KR100666783B1 -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783B1
KR100666783B1 KR1020050098271A KR20050098271A KR100666783B1 KR 100666783 B1 KR100666783 B1 KR 100666783B1 KR 1020050098271 A KR1020050098271 A KR 1020050098271A KR 20050098271 A KR20050098271 A KR 20050098271A KR 100666783 B1 KR100666783 B1 KR 10066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metal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준
주후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계열의 재료에 이소프렌고무를 혼합함으로써 일반 아스팔트계 조성물을 사용한 진동감쇄용 시트에서 발생되는 접착성, 오염성, 표면점착성, 흘러내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저비중 충전제 사용으로 경량성이 우수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차량중량 감소에 따른 연비향상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자동차 도장 오븐의 열에 의해 접착 및 융착 특성이 양호하며, 내한 충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범위 (-20 ∼ 60 ℃)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차체에 대한 접착력 및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탁월하게 개선된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염성, 흐름성, 이소프렌고무, 금속, 비금속, 경량성

Description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Light weight composition of superior adhesion to the metal and light metal}
도 1 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흐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60 도 경사면 강판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계열의 재료에 이소프렌고무를 혼합함으로써 일반 아스팔트계 조성물을 사용한 진동감쇄용 시트에서 발생되는 접착성, 오염성, 표면점착성, 흘러내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저비중 충전제 사용으로 경량성이 우수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차량중량 감소에 따른 연비향상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자동차 도장 오븐의 열에 의해 접착 및 융착 특성이 양호하며, 내한 충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범위 (-20 ∼ 60 ℃)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차체에 대한 접착력 및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탁월하게 개선된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 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에는 아스팔트계 진동감쇄재(제진재)나 부타디엔 수지계의 복층형의 제진재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진재 중에서 아스팔트계 제진재는 주재료인 아스팔트의 특성상 온도 변화에 민감하며, 온도가 올라갈 때 제진의 변형에 의한 오염 발생 및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동차 플로어(floor panel)에 적용 후 20 ℃ 영역에서만 진동감쇄효과(제진성)를 발휘하고 실제 주행조건인 40 ∼ 60 ℃에서는 낮은 제진성을 발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부타디엔 수지계 진동감쇄제는 적용 후 자동차 도장오븐에 의한 열경화 조건에서 기포 및 크랙 등의 품질 문제 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제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열가소성 고무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및 폴리테르펜 수지 그리고 브로운 아스팔트를 주재로 하고, 저비중의 충전재를 일정량 사용함으로써 진동감쇄와 경량성을 갖는 작업 특성이 용이한 경량성 진동감쇄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제진재의 오염성, 표면점착성 및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한 경량성 진동 감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고무 5 ∼ 10 중량%, 이소프렌고무 2 ∼ 7 중량%,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20 ∼ 30 중량%, 중질탄산칼슘(CaCO₃) 6 ∼ 15 중량%, 운모분(Mica powder) 18 ∼ 33 중량%, 저비중 충전제 15 ∼ 25 중량%, 카본블랙 2 ∼ 5 중량%, 셀룰로스 섬유(cellulose fiber) 2 ∼ 4 중량% 및 폴리테르펜계 점착제 1 ∼ 3 중량%를 포함하는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계열의 재료에 이소프렌고무를 혼합함으로써 일반 아스팔트계 조성물을 사용한 진동감쇄용 시트에서 발생되는 접착성, 오염성, 표면점착성, 흘러내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폴리테르펜 수지 적용으로 각종 금속 및 비금속 패널에 대한 강한 점착성 및 고온영역에서의 진동감쇄 기능을 부여하며, 저비중 충전제 사용으로 경량성이 우수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차량중량 감소에 따른 연비향상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자동차 도장 오븐의 열에 의해 접착 및 융착 특성이 양호하며, 내한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범위 (-20 ∼ 60 ℃)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차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탁월하게 개선된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을 구성성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의 주재료로서,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상온(20 ∼ 25 ℃)에서 고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가소성 고무 수지의 사용량은 5 ∼ 10 중량%이며,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어 이로써 제조된 시트가 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내열 유동성이 증가로 인한 흐름성이 증가하여 제조상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소프렌 고무는 고점도의 액상인 것으로 사용량은 2 ∼ 7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 ∼ 5 중량%, 사용량이 2 중량% 미만이면 경화성이 저하되며, 7 중량%를 초과하면 침입도가 낮아져 배합상의 문제점과 제품의 경도 증가에 의한 기능저하가 우려된다.
상기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는 상온에서 통상 고형상태인 것으로,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어 특히 20 ∼ 40 ℃ 영역에서의 진동감쇄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특성을 발현시킨다. 특히 상기 브로운 아스팔트로서 침입도가 침입도가 10 ∼ 20인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브로운 아스팔트는 20 ∼ 30 중량% 사용하는데,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접착성과 방진성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열유동이 좋지 않고, 표면점착성이 발생되고 오히려 진동 감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충전제를 사 용하는데, 일반적인 충전제로서 중질탄산칼슘(CaCO3) 6 ∼ 15 중량%, 제진성 충전제로서 운모분(Mica powder) 18 ∼ 33 중량%, 보강성 충전제인 카본블랙을 2 ∼ 5 중량%을 사용한다. 상기 중질탄산칼슘과 운모분을 사용함으로써 20 ∼ 60 ℃ 영역에서의 열유동을 억제하고 진동감쇄 기능을 유지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운모분은 40 ∼ 60 메쉬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재이면서 착색제인 카본블랙은 2 ∼ 5 중량% 사용하는데, 입자가 미세하여 조성물의 강인도를 높여서 조성물의 강성을 부여한다. 상기 카본블랙으로서는 HAF나 SRF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량화를 위하여 저비중 충전제를 사용하는데, 이때 비중이 0.1 ∼ 0.4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경량화용 충전제인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량은 15 ∼ 25 중량% 이다. 이때, 상기 저비중 충전제의 사용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경량화를 달성할 수 없고, 사용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최종 조성물이 쉽게 부서지는 등의 강도에 문제가 생기며 또한 가격이 비싸서 가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섬유소인 셀룰로스 섬유(cellulose fiber), 특히 선형으로 가공된 셀룰로스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데, 사용량은 2 ∼ 4 중량% 이다. 이때, 사용량이 2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취약하게 되고, 4 중량%를 초과하면 배합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폴리테르펜계 점착제는 조성물 중에 첨가한 다음 공지의 약 90 ∼ 150 ℃의 온도로 완전 용융 및 혼련 교반될 때까지 가열하여 상온에서 점성이 없는 차량 패널용 제진용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폴리테르펜계 점착제는 점착특성에 의하여 -20 ∼ 60 ℃ 영역에서 강한 진동감쇄 성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테르펜 수지(Polyterpene resin) 성분이며, 구체적으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Phenol-formaldehyde resin) 및 테르펜 페놀수지(Terepene phenolic res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테르펜계 점착제는 1 ∼ 3 중량%를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후 제품의 경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동감쇄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시트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본 발명의 진동감쇄용 조성물을 약 90 ∼ 160 ℃ 가온 조건에서 니더(kneader) 등의 다양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컴파운드 상으로 제조한 다음 압출기(extruder) 등을 이용하여 압착롤러에 공급하여 얇은 진동감쇄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진동감쇄용 (패드)시트는 비중이 0.8 ∼ 0.99 범위로서, 저비중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감쇄용 시트는 차체구조물의 진동감쇄가 필요한 부위에 상기 조성물을 장착 고정하여 자동차 조립라인의 도장건조로의 온도로 접착 경화하게 되며, 특히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의 제어, 차음성능 증가 및 방진을 위하여 자동차의 플로어(floor panel), 대쉬패널(dash panel)등과 같은 차량의 실내 쪽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성분을 혼합한 다음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90 ∼ 160 ℃ 에서 균일하게 교반시켜 컴파운드 상으로 제조한 다음 압출기(extruder)를 이용하여 압착롤러에 공급하여 1 ∼ 5 mm의 얇은 진동감쇄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1 (일반제진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6 8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 30
브로운 아스팔트 23 22 10
이소프렌고무 4 2 -
카본블랙 3 2 -
CaCO3 12 14 48
글래스버블(초경량 충전제) 22 20 -
마이카(운모) 25 28 10
생석회(CaO) - - 2
셀룰로스 충전제 3 2 -
폴리테르펜 수지 (점착제) 2 2 -
합계 100 100 100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에 의하여 제조된 진동감쇄용 시트를 사용하여 MS 200-39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밀착성은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100 × 120 ㎜)를 유리판 (150 × 150 × 2.0 ㎜)에 놓고 150 ± 2 ℃의 열풍 건조기에 30 분간 정치한 후, 상온까지 방냉한다.. 이후 유리판의 면에서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의 밀착면적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20 ℃ 제진성능은 기준강판은 0.8 ± 0.02 ㎜로, 크기는 400 × 40 ㎜ 또는 200 × 20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제진계수 시험의 공진주파수는 2차에서 측정하였으며, 흐름성은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의 (80 × 20 ㎜)를 도 1과 같이 60 도(度) 경사면의 강판 위에 놓고 160 ± 2 ℃로 조정된 열풍건조기 내에 넣어 30분간 가열하고 상온으로 방냉 후,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의 끊어짐, 흘러내린 거리를 측정하여 얻는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일반제진재)
시편의 두께 (㎜) 2.0 2.0 2.0
비 중 0.9 0.9 1.6
밀 착 성 (%) 65 60 65
20 ℃ 제진성능 0.16 0.13 0.11
흐름성( 10mm 이하) 2 0 2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트는 통상의 일반 제진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진성능은 경량 제진재가 높은 수준이며, 비중 또한 일반제진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소프렌고무에 의한 오염성 및 흐름성은 기존의 경량 또는 일반제진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소프렌 고무 및 폴리테르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면 다양한 온도범위 (-20 ∼ 60 ℃)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며 차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아스팔트계 재료를 주재료로 하는 제진제보다 오염성, 표면점착성 및 흘러내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은 시트상을 제조하여 자동차의 플로어(floor panel), 대쉬패널(dash panel)등과 같은 차량의 실내쪽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고무 5 ∼ 10 중량%, 이소프렌고무 2 ∼ 7 중량%,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20 ∼ 30 중량%, 중질탄산칼슘(CaCO₃) 6 ∼ 15 중량%, 운모분(Mica powder) 18 ∼ 33 중량%, 저비중 충전제 15 ∼ 25 중량%, 카본블랙 2 ∼ 5 중량%, 셀룰로스 섬유(cellulose fiber) 2 ∼ 4 중량% 및 폴리테르펜계 점착제 1 ∼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 진동감쇄용 조성물.
  2. 청구항 1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비중이 0.8 ∼ 0.99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 진동감쇄용 시트.
KR1020050098271A 2005-10-18 2005-10-18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KR10066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71A KR100666783B1 (ko) 2005-10-18 2005-10-18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71A KR100666783B1 (ko) 2005-10-18 2005-10-18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783B1 true KR100666783B1 (ko) 2007-01-09

Family

ID=3786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71A KR100666783B1 (ko) 2005-10-18 2005-10-18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383B2 (ja) 1988-08-11 1997-05-07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系振動減衰材料
KR20050035844A (ko) * 2005-03-25 2005-04-19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JP2005186303A (ja) 2003-12-24 2005-07-14 Saitama Rubber Kogyo Kk 鋼板用制振補強シート
KR100516129B1 (ko) * 2003-06-09 2005-09-22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진동감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383B2 (ja) 1988-08-11 1997-05-07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系振動減衰材料
KR100516129B1 (ko) * 2003-06-09 2005-09-22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진동감쇄용 조성물
JP2005186303A (ja) 2003-12-24 2005-07-14 Saitama Rubber Kogyo Kk 鋼板用制振補強シート
KR20050035844A (ko) * 2005-03-25 2005-04-19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500B2 (en) Sprayable low-viscosity rubber damping compounds
JP3954119B2 (ja) 加熱発泡充填補強材及び同加熱発泡充填補強材を用いた閉断面構造部材補強構造
KR100811946B1 (ko) 강판 보강용 실러 조성물
KR100666783B1 (ko)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KR101186980B1 (ko) 자동차 차체용 분무형 제진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차체에 제진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648648B1 (ko) 차체에 강도 및 제진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시트 조성물 및그 시트
EP1294810B1 (en) Asphalt emulstion based damping composition
JPS6220542A (ja) 制振シ−ト
KR20050035844A (ko)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KR100510577B1 (ko) 차량의 방진겸 제진시트 제조용 조성물
CN106085294B (zh) 汽车用多功能阻尼胶片及其制备方法
KR100435337B1 (ko) 다양한 접착기능을 가지는 마그네틱 패드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JP2006321837A (ja) 加硫接着用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ゴム積層金属板
KR102197041B1 (ko) 자동차용 발포형 접착 조성물
KR102197044B1 (ko) 자동차용 접착 조성물
KR100516129B1 (ko) 진동감쇄용 조성물
KR101315743B1 (ko) 자동차 차체용 분무형 제진재 조성물
KR100590970B1 (ko) 제진용 조성물
KR102138716B1 (ko) 자동차용 접착 조성물
KR20070053009A (ko) 제진재료 조성물
KR20200144291A (ko) 자동차용 접착 조성물
KR20160146456A (ko) 고발포 마그네틱 아스팔트 시트의 제조방법
JPH0525359A (ja) 制振シート
KR100892472B1 (ko) 제진재료 조성물
KR20200144292A (ko) 자동차용 접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