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173A -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173A
KR20050006173A KR10-2004-7016853A KR20047016853A KR20050006173A KR 20050006173 A KR20050006173 A KR 20050006173A KR 20047016853 A KR20047016853 A KR 20047016853A KR 20050006173 A KR20050006173 A KR 2005000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topographical map
topographical
display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타간세이
다니엘비산
피쿠플로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지에스 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지에스 컴퓨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지에스 컴퓨터
Publication of KR2005000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5Map projections or methods associated specifically therewi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2Relief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TM도법으로 작성된 기본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형상으로 구분하고, 또한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한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4)을 생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작은 눈금(4)의 x, y좌표와 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표고를 관련지어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표고가 동일한 상기 작은 눈금(4)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6)이 선분열에 의해 형성된 제 1 지형도(5)를 생성하는 공정과, 제 1 지형도(5)의 등고선(6)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선분열에 의해 형성된 등고선(6)보다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6)이 형성된 제 2 지형도(7)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도록 한 것으로,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6)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가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얻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DIGITAL ALTIMETRIC MAP DRAWING METHOD AND DEVICE}
종래, 국토지리원에서 작성되어 있는 지형도는, 지표의 기복을 등고선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등고선에 의한 지형도의 작성에 있어서는 수준점을 기준으로 한 삼각측량에 의해 측량점의 표고를 측량하고, 얻어진 다수의 측량점 중 표고가 동일한 측량점을 운형자 등의 제도기구를 사용하여 1개씩 수작업으로 연결함으로써 작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보다 정밀도가 높은 지형도를 얻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측량점으로 작성할 필요가 있어, 등고선을 작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勞力)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얻어진 측량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여 지형도를 작성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지형도의 작성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데다가 인위적인 실수(miss)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작성된 지형도는 정밀도나 신뢰성이 낮은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등고선에 의해 지표의 기복이 표현된 종래의 지형도를, 패턴인식 등의 처리에 의해 2치화(디지털화)하여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를 곡선화처리함으로써 지형도를 작성하거나, 등고선을 좌표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하여 좌표 데이터를 작성하고, 얻어진 좌표 데이터를 화상처리하여 지형도를 작성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으나, 전자의 방법에서는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의 불균일성으로부터 매끄러운 곡선의 지형도를 작성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고, 후자의 방법에서는 좌표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처리에 곤란이 따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등고선의 데이터가 디지털한 벡터 데이터이어도 등고선 그 자체가 높이방향의 정보, 즉 3차원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지형도상에 도로를 계획하여도 지형의 고저차를 판독할 수 없거나, 지형도에 표시된 협곡에 강우가 있었던 경우 빗물이 어떻게 하여 협곡에 집수되는지, 또 분수령에 강우가 있었던 경우 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빗물은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 송전선이나 통신선을 설치하는 경우 지형도의 어느 위치에 철탑을 설치할지, 화산이 분화한 경우 화쇄류는 어떻게 흐를지, 해안선에 대하여 해일은 어떻게 몰려들지 등을 CAD로 시뮬레이션하려고 하여도 종래의 지형도에서는 불가능한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 지형도를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지형의 등고선을 3차원의 디지털 데이터로 작성하여 얻어진 등고선을 주요 요소로 하여 이미 디지털화되어 있는 해안선이나 하천, 호수늪, 철도, 도로, 건조물 등의 지도요소를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량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처리하여 등고선을 생성함으로써,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측량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된 등고선을 주요 요소로 하고, 이미 디지털화되어 있는 해안선이나 하천, 호수늪, 철도, 도로, 건조물 등의 지도요소를 합성하여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에 사용하는 기본도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에 사용하는 기본도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에 사용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표고를 색으로 구분한 디지털 지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1 지형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 1 지형도의 일부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2 지형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지형도의 일부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를 한데 모은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에 자원 등의 지도요소를 합성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부등변사각형을 등변사각형으로 좌표 변환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에 표고마다 착색하기 위한 다이얼로그를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에 표고마다 착색하기 위한 다이얼로그를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의 등고선에 착색하기 위한 다이얼로그를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와 동시에, 커서 및 및 서브화면을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와 동시에, 단면도 및 서브화면을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와 동시에, 단면도 및 서브화면을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와 동시에, 단면도 및 서브화면을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으로 얻어진 제 3 지형도와 동시에, 단면도 및 서브화면을 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제 3 지형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UTM 도법으로 작성된 기본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square)형상으로 구분하고, 또한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생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작은 눈금의 x, y 좌표와 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표고를 관련지어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표고가 동일한 상기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이 선분열로 형성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제 1 지형도의 등고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선분열로 형성된 등고선보다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형성된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각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함으로써,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가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방대한 측량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위적인 실수가 발생하는 것이 적기 때문에, 지형도의 정밀도 및 신뢰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layer)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등고선이 표시된 제 2 지형도에, 간단하게 지도요소를 합성하고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지도요소의 일부만을 제 2 지형도에 합성할 수 있으므로 지형도의 편리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고가 동일한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하여 제 1 지형도를 생성할 때, 선분열이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수학적 처리가 적성으로 행하여져 있는지를 체크하는 체크기능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 지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의 제 2 지형도 및 지도요소를,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제 3 지형도 및 지도요소를 작성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 3 지형도를 한데 모았을 때, 등고선이나, 철도, 도로, 경계선 등의 지도요소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이용자가 독자적으로 작성한 이용자지도요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이용자 지도요소와 상기 제 3 지형도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최신의 지형도나, 이용자의 이용목적에 따른 지형도가 용이하게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UTM 도법으로 작성된 기본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형상으로 구분하고, 또한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생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작은 눈금의 x, y 좌표와 측량에 의해 얻어진 표고를 관련지어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3차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표고가 동일한 상기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이 선분열로 형성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제 1 지형도의 등고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선분열로 형성된 등고선보다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형성된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제 2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는 공정과, 제 3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는 공정에 의하여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각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함으로써,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가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방대한 측량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위적인 실수가 발생하는 것이 적기 때문, 지형도의 정밀도 및 신뢰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제 2 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3 지형도를 한데 모아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였을 때, 등고선이나, 호수늪, 바다, 해안선, 철도, 도로, 건조물, 시읍면의 경계선 등의 지도요소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에, 표고에 따라 색별한 컬러 스케일과, 컬러 스케일에 따라 이동 자유로운 슬라이드 바를 가지는 다이얼로그를 표시시키고, 또한 슬라이드 바를 컬러 스케일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 3 지형도를 표고마다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평지는 녹색으로, 그리고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녹색으로부터 갈색으로 순차 색별(色別)된 컬러 지형도가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평지와 같이 표고차가 작은 지형도의 경우는,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켜 등고선의 착색범위를 세밀하게 지정함으로써 표고마다 세밀하게 색별된 제 3 지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저차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에, 임의의 등고선의 표고를 표시하는 표고 표시란과, 착색하는 등고선의 색을 지정하는 컬러 팔렛트를 가지는 다이얼로그를 표시시키고, 또한 표고 표시란에 착색하는 등고선의 표고를, 그리고 컬러 팔렛트로부터 색을 입력함으로써 제 3 지형도의 등고선을 표고마다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등고선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동일 표고의 등고선이 판별하기 어려운 제 3 지형도이어도 원하는 표고의 등고선을 임의의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동일 표고의 등고선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제 3 지형도의 표시된 표시수단에 서브화면을 표시시키고, 또한 서브화면에 표시수단에 표시된 임의의 장소의 제 3 지형도에 연속되는 주변의 제 3 지형도를, 지도번호와 지도명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서브화면을 봄으로써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 주변의 지형도를, 지도번호와 지도명으로부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제 3 지형도와 함께 +자상으로 교차하는 X축 커서와 Y축 커서를 표시시키고, 또한 X, Y축 커서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X, Y축 커서의 교점을 제 3 지형도의 임의의 장소에 맞춤으로써 교점의 위도와 경도를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표시수단에 표시된 각 제 3 지형도는, 서로 합성되어 이음매부분의 등고선이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커서의 교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제 3 지형도에 연속하여 스크롤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재 커서의 교점이 지형도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서브화면을 봄으로써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상에 임의의 복수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복수점을 직선 또는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직선 또는 곡선으로 단면된 제 3 지형도의 단면도를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단면도를 참조하여 철탑의 높이를 설계하거나, 철탑의 설치장소를 검토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측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포설루트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의 동일한 표고의 등고선상에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임의의 2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직선으로 단면된 하천의 단면도를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등고선과 직선 및 단면으로부터 직선보다 상류측의 저수량을 산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제 3 지형도에 표시된 하천의 어느 위치에 댐을 건설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저수량이 얻어지는지를 순간에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의 호수나 늪을 둘러 싸는 동일한 표고의 등고선상에, 호수나 늪을 가로지르도록 임의의 2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직선으로 단면된 호수나 늪의 단면도를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등고선 및 단면으로부터 호수나 늪의 저수량을 산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호수나 늪의 깊이나 바닥부의 지형을 단면도를 봄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호수나 늪의 저수량을 순간에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형도의 작성방법은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에, 지형의 경사방향과 경사의 크기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지형의 경사방향이나 경사의 크기를 제 3 지형도상에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장치는,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를 눈금형상으로 분할하고,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형성하고, 이들 작은 눈금마다 디지털 지형도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표고를 판독하여, 평면에 배열, 블럭화하여 메시형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벡터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수단과, 저장수단에 저장된 각 작은 눈금마다의 벡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고의 허용범위를 정의한 데이터로부터 표고가 동일값인 경우는 근방의 측정점을 선택하면서 각 작은 눈금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가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선분열이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고, 또한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 1 지형도의 선분열의 접점을 통하여, 또한 미분계수가 연속적인 곡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smoothing))처리함으로써, 곡선군에 의하여 등고선이 구성된 제 2 지형도를 작성하는 수단과,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상기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상기제 2 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 3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가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방대한 측량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위적인 실수가 발생하는 일이 적기 때문에, 지형도의 정밀도 및 신뢰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제 2 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3 지형도를 한데 모아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였을 때, 등고선이나, 호수늪, 바다, 해안선, 철도, 도로, 건조물, 시읍면의 경계선 등의 지도요소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함에 있어서, 먼저 기본이 되는 지형도를 작성하는 UTM 도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인 지구(1)에 대하여 적도와 직교하여, 남북극점을 연결하는 선이 경선(2), 이 경선에 직교하는 선이 위선(3)이다.
인접하는 경선(2) 사이의 각도를 예를 들면 6°로서 분할하면, 360°의 지구(1)에 대하여 60개의 경선(2)이 그려지고, 이들 경선(2)의 번호순으로 경도가 정의된다.
또 적도를 위도 0°로 하고, 남북 양 극점을 각각 위도 90°로 하여 그 사이를 소정의 각도로 분할함으로써 위도가 정의된다.
경선(2)과 위선(3)으로 분할 구획된 지구(1)를, 가우스-크뤼겔도법으로 평면에 투영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구면을 평면에 투영한 것에 의하여 경선(2)과 위선(3)에 의해 분할형성된 구획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남북 양 극점측의 폭이 좁아진 부등변사각형이 되어, 밑변을 예를 들면 1이라 한 경우, 윗변은 0,999정도로 축소된다.
한편 국토지리원으로부터 발행되어 있는 일본국의 지형도는, 상기 UTM 도법으로 작성되어 있고, 주된 축척은 50,000분의 1이나, 25,000분의 1로 되어 있다.
이 지형도에는 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다량의 측량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된 등고선이나, 하천, 바다, 철도, 도로, 지명 등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최근에서는 측량에 의해 얻어진 다량의 측량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수준점으로부터의 높이(표고)를 색으로 구분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지털 지형도도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디지털 지형도는 등고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등고선에 의한 표고 등의 파악이 어려워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국토지리원으로부터 발행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지형도로부터 취득한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상세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그 작성방법을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설명한다.
상기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지도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0m나, 250m, 상세도를 얻는 경우는, 10m 등의 간격으로 눈금형상으로 세분화한다.
얻어진 예를 들면 50m 사방의 눈금을 다시 10등분 정도로 분할하여 도곽(圖郭)으로 둘러 싸인 도 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은 눈금(4)을 형성하나, 50m 사방의 눈금을 10등분 정도로 분할한 경우, 각 도곽 사이에 데이터의 불연속한 부분이 발생하거나, 화곽 내에서 데이터의 불연속 부분이 발생한다.
또 UTM 도법에 의하여 작성된 부등변사각형의 지도를 뒤에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직각등변사각형으로 변환한 경우도, 부등변사각형의 거리가 짧은 윗변 길이를 밑변 길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변환 처리하였을 때에, 윗변측의 데이터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의 불연속 부분을 보간하거나, 데이터의 부족을 보간하여 연속되는 작은 눈금(4)을 형성하나, 보간방법으로서는 비교적 정밀도가 높은 가중 보간법 등을 사용한다.
다음에 보간에 의해 얻어진 작은 눈금(4)마다 상기 디지털 지형도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표고를 판독하여 평면에 배열, 블럭화된 메시형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벡터 데이터로서 도 4에 나타내는 지형도작성시스템의 HD(11)에 저장한다(단계 1).
다음에 HD(l1)에 저장된 각 작은 눈금(4)마다의 벡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CPU(10)에 의해 처리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지형도(5)를 생성하나, 제1 지형도(5)의 생성에 있어서는 작은 눈금(4)의 x, y 평면과 높이방향에 표고(h)를 정의한다(단계 2).
미리 지형도작성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12)에는, 표고(h)의 허용범위를 정의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CPU(10)는 표고(h)가 동일값인 경우는 근방의 측정점을 선택하면서 각 작은 눈금(4)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가는 처리를 행하고, 블럭 내의 각 작은 눈금(4)의 모든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선분열이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고, 또한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지형도(5)를 생성한다(단계 3). 또한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또 CPU(10)는 상기 처리 중, 각 작은 눈금(4)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가는 처리가 적정하게 행하여져 있는지를 끊임없이 체크하는 체크기능을 설치하여 처리를 진행시킨다.
얻어진 제 1 지형도(5)는, 메시 데이터가 눈금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동일표고(h)를 순차 연결함으로써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각선분이 되기 쉽고, 또 지형을 표시하는 등고선(6)은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등고선화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등고선화처리는, 상기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제 1 지형도(5)를 평탄화처리하여 매끄러운 곡선에 의한 등고선(6)을 생성하는 것으로, 절벽과 같이 등고선(6)의 밀도가 높은 부분은, 상기한 선분열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하여 이 선분열을 평탄화처리하고 있고, 이들 선분열의 접점을 통하여, 또한 미계수(미분치)가 연속적인 곡선을 수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곡선군에 의하여 등고선(6)이 구성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2 지형도(7)를 작성한다(단계 4). 또한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작성된 제 2 지형도(7)는, 밑변에 대하여 윗변이 작은 부등변사각형으로 블럭화하여 작성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블럭화된 제 2 지형도(7)를 한데 모으면, 인접하는 지형도의 등고선(6)에 어긋남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국 특개2000-118051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방법으로, 부등변사각형상의 좌표 어드레스를 그 구분 내의 데이터 및 수를 유지한 채로 등변사각형상의 좌표 어드레스로 좌표 변환하여, 등변사각형의 제 3 지형도(8)를 수학적으로 작성한다(단계 5).
이들 처리는 선출원과 같이 지도작성시스템을 사용하여 행하나, 그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14의 (가)는 가우스-크뤼겔도법에 의한 투영 데이터로부터 컷아웃된 부등변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임의의 장소의 제 2 지형도(7)와, 그 변환상대가 되는 직교등변사각형의 제 3 지형도(8)를 나타내는 것으로, 좌표 변환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이란, 도 14의 (가)의 부등변사각형의 좌표로부터 직교등변사각형으로의 도형 변환처리를 가리킨다.
제 2 지형도(7)와 제 3 지형도(8)는, 모두 디지털화상이고, 단위는 화소이나, 제 2 지형도(7)로부터 제 3 지형도(8)로 변환함에 있어서, 양 지형도(7, 8) 모두 동일한 화소배열과 화소수가 유지되도록 좌표변환을 행하는 것으로, 이것이 기본적인 사고방식이다.
또한 좌표변환이란, 부등변사각형의 좌표(어드레스)로 위치(어드레스화)결정된 메모리에 대한 등변사각형의 좌표 어드레스에의 어드레스변환처리이다.
도 14의 (가)에 나타내는 제 2 지형도(7)와 제 3 지형도(8)의 밑변 길이, 높이가 동일 길이(B, H)라 하면, 제 3 지형도(8)는, 가로가 B, 세로가 H가 되는 직교등변사각형이고, 제 2 지형도(7)의 윗변은 좌단의 개시점이 ΔX1, 우단의 종료점이 제 3 지형도(8)의 윗변의 우단보다 ΔX2 짧은 것이 된다.
이에 의하여 제 2 지형도(7)는 부등변사각형이 되기 때문에, 제 2 지형도(7)의 임의의 위치를 (x', y')라 하고, 도형변환 후의(x', y')의 제 3 지형도(8)상의 위치를(x, y)라 한다.
도 14의 (나)는, 서로의 크기관계를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양 지형도(7, 8)를 겹친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이 도면에서 부등변사각형을 연장시켜 삼각형으로 하였을 때의 높이(y 좌표)를 N, 그 x 좌표값을 L이라 한다.
이상과 같이 도 14에서 H, B, N, L, B, ΔX1,ΔX2는 컷아웃 구분이 정해지면 기지의 값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지의 각 값을 이용한 (x', y')로부터 (x, y)로의 좌표 변환식은, 다음식이 된다.
단, L, N은, 다음식으로부터 얻어지는 값이다.
이상의 수학식 1, 수학식 2의 수식은, 대수기하학에 의하여 구하는 것으로, 그 과정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제 2 지형도(7)로부터 제 3 지형도(8)에의 좌표변환에서의좌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2 지형도(7)와 제 3 지형도(8)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10 × 10화소 크기로 하고 있고, 이것은 앞서 설명한 제 2 지형도(7)와 제 3 지형도(8)에 있어서 동일 화소배열과 동일 화소수를 유지한 것을 의미하고 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부등변사각형의 각 좌표는 아래쪽의 1화소 구획이 크고, 위쪽이 될 수록 1화소 구획이 작으며, 또한 각 화소구간은 부등변사각형의 형상이 되도록 좌표계로 규정되어 있는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등변사각형의 각 좌표는, 종횡 규칙적으로 배열한 좌표계가 되고, 얻어진 제 3 지형도(8)를 예를 들면 4매 한데 모으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고선(6)에 어긋남이 없는 연속된 지형도가 된다.
또 이들 제 3 지형도(8)에는 아직 지도요소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2)에 미리 저장된 지도요소를 판독하여 합성하고, 지형도 작성시스템의 표시수단(13)에 표시하거나, 도시 생략한 프린터 등의 인쇄수단을 사용하여 종이 등에 지형도로서 출력할 수 있으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요소가 UTM 도법으로 작성되어 있으면, 직각등변사각형으로 변환된 제 3 지형도(8)에 하천이나 바다, 철도, 도로, 시읍면의 경계 등의 지도요소를 겹쳐서 층구조로 합성한 경우, 복수의 블럭화된 제 3 지형도(8)를 한데 모으면, 인접하는 지형도의 지도요소에 어긋남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없애기 위하여 지도요소에 대해서도 상기 제 2 지형도(7)와 동일한 좌표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부등변사각형의 각 좌표가 직각등변사각형의 좌표로변환되어 지도요소가 작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작성된 등고선 데이터 및 지도요소는 미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등고선 단독 또는 지도요소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판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고선 데이터에는 x, y 평면 데이터에 표고(h)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등고선 데이터를 종래의 방법으로 3차원 처리함으로써 지형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게 되고, 특히 토목공사나 재해예측, 등산 등에 사용하는 데 최적의 지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후지산 부근의 지형도에, 수자원의 조사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합성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원지의 수질을 색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자원의 파악이 용이해진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요소의 데이터형식은 디지털 벡터(벡터 데이터)로서, 상기한 하천 등의 이외에, 문자 데이터로서 지명이나 역명, 경도나 위도의 위치정보, 등고선마다 표시된 수준점으로부터의 고도(표고) 등이 있고, 표고에 따라 제 3 지형도(8)를 착색하거나, 등고선(6)을 1개씩 높이에 따라 다른 색로 착색하거나, 또는 지형도에 합성하여 표시한 도로나 산길 등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다른 색으로 착색할 수 있는 등, 다음과 같은 기능의 부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5는 표시수단(13)에 표시시킨 임의의 장소의 지형도에, 표고에 따라 착색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다이얼로그(20)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이얼로그(20)에는 예를 들면 표고 0m 로부터 4000m 까지를, 초록으로부터 갈색으로 순차 색별하여 표시하는 컬러 스케일(20a)과 컬러 스케일(20a)에 따라 이동 자유로운 예를 들면 2개의 슬라이드 바(20b, 20c)와, 컬러 스케일(20a)에 따라 붙여진 표고 눈금(scale)(20d)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 다이얼로그(20)의 사용법으로서는,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지형도 데이터를, 미리 제 3 지형도(8)마다 붙여진 지도번호(22a) 또는 지도명(22b)으로 표시수단(13)에 호출하여 표시시키면 다이얼로그(20)를 표시시킨다.
다이얼로그(20)의 컬러 스케일(20a)에는,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녹색으로부터 갈색까지 순차 색별되어 있고, 표시된 바와 같은 색별로 좋은 경우는, 도시 생략한 실행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표시수단(13)에 표시된 제 3 지형도(8)가 컬러 스케일(20a)의 색별에 따라 표고마다 착색 표시됨과 동시에, 얻어진 제 3 지형도(8)에 도로나 산길 등의 지도요소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경우는, 도로나 산길 등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데다가 이것을 종이 등에 출력함으로써 지도요소를 합성한 컬러의 지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도 16은 표시수단(13)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8)의 착색의 범위를 임의로 변경하는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 다이얼로그(20)의 컬러 스케일(20a)에 설치된 좌측의 슬라이드 바(20b)를, 컬러 스케일(20a)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녹색으로 착색하는 표고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도 16의 경우, 예를 들면 870m 부근까지를 녹색으로 착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컬러 스케일(20a)의 오른쪽의 슬라이드 바(20c)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갈색으로 착색하는 표고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슬라이드 바(20c)를 예를 들면 2660m 부근으로 이동하면 2660m 이상의 표고부분은 갈색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기능은, 표고차가 적은 예를 들면 평지의 제 3 지형도(8)나, 높은 산이 연속되어 있는 산악지대의 제 3 지형도(8)를 표고마다 착색한 경우, 대부분이 동일색의 녹색이나 갈색으로 표시되어 버려, 고저차가 판별하기 어려운 지형도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다이얼로그(20)의 컬러 스케일(20a)에 설치된 좌우의 슬라이드 바(20b, 20b)를 컬러 스케일(20a)에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여, 녹색이나 갈색으로 착색하는 표고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저지나 고지의 지형과 같이 표고차가 없는 지형도이어도 표고마다 세밀하게 색별된 제 3 지형도(8)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저차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다이얼로그(20)의 왼쪽 밑에 표시된 컬러 바(20e)는, 표고마다 등고선에 임의의 색을 착색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1040 m를 갈색으로, 1210m를 청색으로, 그리고 1410m이 적색으로 착색되도록 지정함으로써 표고 1040m를 표시하는 등고선은 갈색으로, 표고 1210m를 표시하는 등고선은 청색으로, 그리고 표고 1410m를 표시하는 등고선은 적색으로 착색된 제 3 지형도(8)가 표시수단(13)에 표시되고, 종이 등에의 출력도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표시수단(13)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8)의 등고선(6)을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때의 실행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 3 지형도(8)와 함께 표시수단(13)에 표시된 다이얼로그(21)에 의해 임의의 등고선(6)에 임의의 색으로 착색하거나, 등고선(6)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다이얼로그(21)의 표고 표시란(21a)에 착색하고 싶은 등고선(6)의 표고를 표시시키면 컬러 팔렛트(21b)에 의해 임의의 색을 지정함으로써, 그 등고선(6)을 원하는 색으로 착색하여 제 3 지형도(8)상에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컬러 팔렛트(21b)상에서 다른 색을 선택함으로써, 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임의의 장소의 제 3 지형도(8)를, 지도번호(22a) 또는 지도명(22b)으로 데이터베이스(12)에 의하여 호출하여 표시수단(13)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위의 서브화면(22)에는 표시수단(13)에 표시한 제 3 지형도(8) 주변의 8개소의 지도번호(22a)와 지도명(22b)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수단(13)의 화면에 표시된 제 3 지형도(8)상에는, X축 커서(23a)와 Y축 커서(23b)를 +자 형상으로 교차시킨 커서(23)가 표시되어 있고, 이 커서(23)의 교점(23c)을 이동시킴으로써, 다이얼로그(24)에 교점(23c)의 임의가, 북위(24a)와 동경(24b)으로 표시되고, 동시에 표고(24c)도 표시된다.
표시수단(13)에 표시된 각 제 3 지형도(8)는, 서로 합성되어 이음매부분의 등고선(6)이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커서(23)의 교점(23c)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제 3 지형도(8)에 연속하여 스크롤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재 커서(23)의 교점(23c)이 지형도상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왼쪽 밑의 서브화면(25)을 봄으로써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브화면(25)에 인접하는 지도번호(22a)가 표시되고, 이들 지도번호(22a)의 사이에 커서(23)의 교점(23c)이 있는 경우는, 표시수단(13)에 표시된 제 3 지형도(8)가 인접하는 지형도에 걸쳐 표시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표시수단(13)에 표시된 제 3 지형도(8)에는 화살표(26)에 의하여 경사(그라디엔트)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이 그라디엔트를 나타내는 화살표(26)는, 지형이 화살표방향으로 낮게 경사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또한 화살표(26)의 길이가 경사의 크기, 즉 구배를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26)에 커서(23)의 교점(23c)을 맞추면, 그 그라디엔트의 수치(24d)가 다이얼로그(24)에 표시된다.
도 19는 지형도의 후지산(지도번호 : 533805, 지도명 : 후지산)을 표시수단(13)에 표시시킨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왼쪽 위의 서브화면(22)에는 후지산과 그 주변의 지도번호(22a)와 지도명(22b)이, 그리고 왼쪽 밑의 서브화면(25)에는 후지산의 지도번호「533805」가 표시된다.
표시된 제 3 지형도(8)의 후지산의 산 정상을 가로지르도록 표시된 직선(27)은, 표시된 제 3 지형도(8)의 임의의 2점 A-B 사이의 단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3 지형도(8)상에 점 A 및 점 B를 설정하면, 점 A와 점 B를 연결하는 직선(27)에 의하여 절단된 제 3 지형도(8)의 단면이 화면의 아래쪽에 단면도(28)로서 확대 표시된다.
표시된 단면도(28)의 세로축에는 표고가 숫자로 표시되고, 가로축에는 거리가 숫자(모두 단위는 m)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 이 단면도(28)를 보면, 후지산 정상에 형성된 이른바 「화산의 분화구」의 지름이나 깊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A-B 사이의 직선(27)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의 단면을 단면도(28)로서 화면의 아래쪽 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제 3 지형도(8)의 임의의 장소를 곡선(29)으로 단면하여 화면의 아래쪽에 단면도(28)로서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 3 지형도(8)의 이용방법으로서는, 어느 장소에 예를 들면 고압선을 포설하기 위한 제 3 지형도(8)의 어느 장소에 고압선의 철탑을 설치할지를 검토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먼저, 고압선을 포설할 장소의 제 3 지형도(8)를 표시수단(13)에 표시시키고, 제 3 지형도(8)의 철탑설치 예정지에 복수의 표적(30)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 표적(30)을 곡선(29)으로 연결함으로써, 화면의 아래쪽에는 곡선(29)으로 단면된 제 3 지형도(8)의 단면도(28)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 단면도(28)를 참조하여 철탑의 높이를 설계하거나, 철탑의 설치장소를 검토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측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포설루트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은 표시수단(13)에 표시된 제 3 지형도(8)중의 예를 들면 하천을 가로지르는 임의의 2점(C-D)을 직선(31)으로 연결함으로써, 댐의 저수량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3 지형도(8)에 표시된 하천의 어느 위치에 댐을 건설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저수량이 얻어지는 지를 순간에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3 지형도(8)의 하천을 가로지르는 2점(C-D)을 설정하여 직선(31)으로 연결하면 직선(31)으로 단면된 제 3 지형도(8)의 단면도(32)가 화면에 표시됨과 동시에 점(C, D)이 설정된 등고선(6)이 예를 들면 적색으로 표시되고, 이 등고선(6)과 직선(31)으로 둘러 싸인 부분과, 단면형상으로부터 저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댐의 저수량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 하천의 어느 위치에 댐을 건설하면 좋은지를 제 3 지형도(8)상에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댐의 건설계획에 요하는 기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도 22는 호수나 늪의 수량을 산출하거나, 임의의 2점(E-F)을 연결하는 직선(33)으로 호수나 늪을 단면하여 그 단면도(34)를 표시한 것으로, 호수나 늪을 둘러 싸는 착색 등고선(6)은 분수령을 나타내고 있고, 이 착색 등고선(6)에 점(E)과 점(F)을 설정하여, 이들 2점(E-F)을 직선(33)으로 연결함으로써, 직선(33)으로 단면된 호수나 늪의 단면도(34)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다.
또 호수나 늪의 중앙을 향하여 표시되는 화살표(35)는, 그라디엔트의 방향을, 그리고 길이는 구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면도(34)의 세로축에 표시된 표고와, 가로축에 표시된 거리(모두 단위는 m)에 의하여 호수나 늪의 깊이와 크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제 3 지형도(8)의 호수나 늪의 부분을 확대 표시한 것으로, 호수나 늪에 내린 비 중, 호수나 늪을 둘러 싸는 봉우리의 최고부를 연결한 착색 등고선(R)으로 나타내는 분수령보다 안쪽에 내린 비는 호수나 늪으로 흘러 들고, 바깥쪽에 내린 비는, 호수나 늪으로 흘러 드는 일 없이 산의 사면을 따라골짜기 등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호수나 늪의 Q의 개소에 둑이 설치되어 있어, 이 둑(Q)을 넘어 호수나 늪의 물이 흘러 나가는 경우는, 둑(Q)의 높이로 규제되는 등고선(S)의 범위 내가 호수나 늪의 수량이 되고, 착색 등고선(R)의 범위 내에 내린 비의 양으로부터,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되는 수량을 감지한 값이 둑(Q)에 의하여 흘러 나가는 수량이 되어, 미리 설정한 도시 생략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량의 계산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3 지형도(8)에 등고선(6)에 의해 표시된 하천, 특히 산간부에서의 하천의 강 바닥은, 고지로부터 저지를 향하여 도로형상으로 표시되나,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설정한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직선으로 단면된 단면형상으로부터 저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은 댐의 저수량을 산출할 때에 설명하였으나, 도로형상에 표시된 하천의 강 바닥을 중심으로 하여 하천의 양측에 2점을 설정하는 조작을 하천의 전역에 걸쳐 임의의 간격으로 실시하고, 단면적을 데이터화함으로써 큰 비일 때에 하천의 어느 부분이 범람할지를 예측하는 방재지도가 용이하게 얻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도로나 하천, 철도, 지명 등의 지도요소는, 미리 국토지리원 등에서 작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지도요소는 자연현상이나 인공적인 환경의 변화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어, 예를 들면 산간지에 내린 큰 비에 의해 절벽붕괴가 발생하거나, 도로나 철도가 새롭게 부설되거나, 산림이 경작되어 농지가되는 등의 변화를 종래의 데이터베이스화된 지도요소에서는 신속하게 대응할수 없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부가정보로서 독자적으로 작성한 이용자 지도요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가정보, 또는 부가정보와 위치에 의해 호출한 이용자 지도요소를 제 3 지형도(8)에 겹쳐 표시함으로써, 최신의 지형도나, 이용자의 이용목적에 따른 지형도가 용이하게 얻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각종의 기능은, 미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등고선 데이터를 호출하여, CPU(10)에 의해 연산처리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나,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등고선 데이터는, 각 등고선(6) 사이의 데이터가 보간에 의해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간 등고선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등고선(6)의 간격을 10m나 20m와 같이 임의의 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절벽 등과 같이 지형이 복잡한 장소에서는 등고선(6)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지형을 보다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자원 등의 조사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등고선(6)이 표시된 지형도에 합성하여 출력하는 등의 이용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국토지리원으로부터 발행되어 있는 디지털 지형도에서 취득한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상세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를 작성하였으나, 등고선이 디지털화된 지형도이면 다른 것을 사용하여도 물론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의 작성방법에 의하면,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표시된 디지털 지형도가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방대한 측량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위적인 실수가 발생하는 일이 적기 때문에, 지형도의 정밀도 및 신뢰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도모된다.
또 등고선이 표시된 제 2 지형도에, 간단하게 지도요소를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거나,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데다가, 필요에 따라 지도요소의 일부만을 제 2 지형도에 합성할 수 있으므로, 지형도의 편리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표고마다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평지는 녹색으로, 그리고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녹색으로부터 갈색으로 순차 색별된 컬러 지형도가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평지와 같이 표고차가 작은 지형도의 경우는, 등고선의 착색범위를 세밀하게 지정함으로써, 표고마다 세밀하게 색별된 제 3 지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저차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선 또는 곡선으로 단면된 제 3 지형도의 단면도를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함으로써, 단면도를 참조하여 철탑의 높이를 설계하거나, 철탑의 설치장소를 검토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측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철탑의 설치장소나 고압선의 포설루트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의 동일한 표고의 등고선상에,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임의의 2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과 직선및 단면으로부터 직선보다 상류측의 저수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제 3 지형도에 표시된 하천의 어느 위치에 댐을 건설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저수량를 얻을 수 있는지를 순간에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5)

  1. UTM 도법으로 작성된 기본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square)형상으로 구분하고, 또한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생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작은 눈금의 x, y 좌표와 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표고를 관련지어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표고가 동일한 상기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이 선분열로 형성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지형도의 등고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선분열로 형성된 등고선보다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형성된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layer)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표고가 동일한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하여 제 1 지형도를 생성할 때선분열이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수학적 처리가 적성으로 행하여져 있는지를 체크하는 체크기능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제 3 지형도를 작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독자적으로 작성한 이용자 지도요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이용자 지도요소와 상기 제 3 지형도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6. UTM 도법으로 작성된 기본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눈금형상으로 구분하고, 또한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생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작은 눈금의 x, y 좌표와 측량에 의해 얻어진 표고를 관련지어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3차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표고가 동일한 상기 작은 눈금을 순차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등고선이 선분열로 형성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지형도의 등고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선분열로 형성된 등고선보다 매끄러운 곡선으로 등고선이 형성된 제 2 지형도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상기 제 2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3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또한 이들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는 지형도로서 종이 등에 출력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에, 표고에 따라 색별한 컬러 스케일과, 상기 컬러 스케일을 따라 이동 자유로운 슬라이드 바를 가지는 다이얼로그를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를 상기 컬러 스케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3 지형도를 표고마다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상기 제 3 지형도에, 임의의 등고선의 표고를 표시하는 표고 표시란과, 착색하는 등고선의 색을 지정하는 컬러 팔렛트를 가지는 다이얼로그를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표고 표시란에 착색하는 등고선의 표고를, 그리고 상기 컬러 팔렛트로부터 색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3 지형도의 등고선을 표고마다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형도의 표시된 표시수단에 서브화면을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서브화면에,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임의의 장소의 제 3 지형도에 연속되는 주변의 제 3 지형도를, 지도번호와 지도명으로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제 3 지형도와 함께 +자상으로 교차하는 X축 커서와 Y축 커서를 표시시키고, 또한 X, Y축 커서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X, Y축 커서의 교점을 상기 제 3 지형도가 임의의 장소에 맞춤으로써 상기 교점의 위도와경도를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상기 제 3 지형도상에 임의의 복수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복수점을 직선 또는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직선 또는 곡선으로 단면된 상기 제 3 지형도의 단면도를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2.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의 동일한 표고의 등고선상에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임의의 2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직선으로 단면된 하천의 단면도를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등고선과 상기 직선 및 단면으로부터 상기 직선보다 상류측의 저수량을 산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3. 제 6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상기 제 3 지형도의 호수나 늪을 둘러 싸는 동일한 표고의 등고선상에, 호수나 늪을 가로지르도록 임의의 2점을 설정하고, 또한 이들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직선으로 단면된 호수나 늪의 단면도를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등고선 및 단면으로부터 상기 호수나 늪의 저수량을 산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4. 제 6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제 3 지형도에, 지형의 경사방향과 경사의 크기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15.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기본도를 눈금형상으로 세분화하고, 얻어진 눈금을 더욱 세분화함과 동시에, 각 눈금 사이의 부족되는 데이터 및 각 눈금 내의 불연속한 데이터 사이를 보간하여 작은 눈금을 형성하고, 이들 작은 눈금마다 디지털 지형도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표고를 판독하고, 평면에 배열, 블럭화하여 메시형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벡터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수단과, 저장수단에 저장된 각 작은 눈금마다의 벡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고의 허용범위를 정의한 데이터로부터 표고가 동일값인 경우는 근방의 측정점을 선택하면서 각 작은 눈금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가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선분열이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고, 또한 합리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근거로 제 1 지형도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 1 지형도의 선분열의 접점을 통하여, 또한 미분계수가 연속적인 곡선을 수학적으로 평탄화처리함으로써, 곡선군에 의하여 등고선이 구성된 제 2 지형도를 작성하는 수단과, UTM 도법에 의해 작성된 상기 기본도 및 지도요소를 기초로 생성된 부등변사변형을, 직각사변형이 되도록 수학적으로 수정 및 보간하여, 상기제 2 지형도로부터 제 3 지형도를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 3 지형도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지도요소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단독 또는 층구조로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장치.
KR10-2004-7016853A 2002-04-22 2003-04-21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KR20050006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9513 2002-04-22
JPJP-P-2002-00119513 2002-04-22
JPJP-P-2002-00240548 2002-08-21
JP2002240548 2002-08-21
PCT/JP2003/005038 WO2003090184A1 (fr) 2002-04-22 2003-04-21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le dessin d'une carte altimetrique numer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73A true KR20050006173A (ko) 2005-01-15

Family

ID=2925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853A KR20050006173A (ko) 2002-04-22 2003-04-21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04884A1 (ko)
EP (1) EP1498864A4 (ko)
JP (2) JP4429737B2 (ko)
KR (1) KR20050006173A (ko)
CN (1) CN100501804C (ko)
HK (1) HK1076183A1 (ko)
WO (1) WO20030901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70B1 (ko) * 2005-12-28 2007-10-09 주식회사 유성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동입력장치와 그 입력방법
KR100860768B1 (ko) * 2008-04-22 2008-09-29 (주)신한항업 수치도화의 등고선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46527B1 (ko) * 2019-03-14 2019-11-19 (주)수인테크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109791B1 (ko) * 2019-03-14 2020-05-12 (주)수인테크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5800B2 (en) * 2003-07-08 2008-01-01 Meiners Robert E System and method of sub-surface system design and installation
US7523396B2 (en) * 2003-09-29 2009-04-21 Autodesk, Inc. Surface construction audit trail and manipulation
US20050091016A1 (en) * 2003-09-29 2005-04-28 Autodesk, Inc. Surface smoothing techniques
US7561990B2 (en) * 2003-09-29 2009-07-14 Autodesk, Inc. Interactiv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surfaces design
CN101014831B (zh) * 2004-03-23 2013-08-21 咕果公司 数字地图描绘系统
JP4020400B2 (ja) * 2004-08-31 2007-12-12 株式会社リガク X線回折装置
KR100662507B1 (ko) * 2004-11-26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목적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WO2007024892A2 (en) * 2005-08-23 2007-03-01 R.A. Smith & Associates, Inc. High accuracy survey-grade gis system
WO2007119347A1 (ja) * 2006-03-22 2007-10-25 Pioneer Corporation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386951B2 (en) * 2006-09-29 2013-02-26 Fluke Corporation Display adjustment features
RU2009130385A (ru) * 2007-01-10 2011-02-20 Томтом Интернэшнл Б.В. (Nl) Отображение информации о возвышении с цифровой карты
JP2008181185A (ja) * 2007-01-23 2008-08-07 Sony Corp 数値シミュレーション結果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数値シミュレーション結果表示方法並びに数値シミュレーション結果表示システム
US8120615B2 (en) * 2007-05-09 2012-02-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errain representation
CN101334985B (zh) * 2007-06-27 2012-02-0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波形数据的显示装置及方法
US8554475B2 (en) * 2007-10-01 2013-10-08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tic and dynamic contours
US8774468B2 (en) * 2009-09-08 2014-07-0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Dynamic shape approximation
JP4785211B2 (ja) * 2009-11-20 2011-10-05 株式会社オーエムアイ 中山間地域直接支払制度支援装置、中山間地域直接支払制度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12010005857T5 (de) * 2010-09-07 2013-08-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raßenbild zeichnende Vorrichtung und Straßenbild zeichnendes Verfahren
CN102760377B (zh) * 2011-04-29 2014-03-19 黄桂芝 采用旋转tin网和距离与夹角双权内插法的大比例尺地形图测绘方法
US8676546B2 (en) 2011-07-07 2014-03-18 Autodesk, Inc. Grading method utilizing flow grade solution
US9020783B2 (en) * 2011-07-07 2015-04-28 Autodesk, Inc. Direct manipulation of composite terrain objects with intuitive user interaction
US9196085B2 (en) 2011-07-07 2015-11-24 Autodesk, Inc. Interactively shaping terrain through composable operations
CN102568011B (zh) * 2011-09-02 2013-08-14 广西远长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根据等高线图自动生成数字航道图的方法
CN102346915B (zh) * 2011-09-20 2013-05-29 东北电网有限公司 电压等高曲面图形快速生成方法
CN103117024B (zh) * 2011-11-17 2015-08-05 上海市测绘院 一种分区段地图变形的方法
CN102722909B (zh) * 2012-05-28 2014-07-02 武汉大学 一种基于自适应尺度dem的流水线拓扑网络动态模拟方法
DE102012023481A1 (de) * 2012-10-30 2014-04-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räumlichen Darstellung eines digitalen Kartenausschnitts
CN103900582A (zh) * 2012-12-25 2014-07-02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小区地图记录方法和系统
CN103246689B (zh) * 2012-12-27 2016-07-06 北京地拓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栅格数据的预测方法和装置
US20140222327A1 (en) * 2013-02-04 2014-08-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errain altitudes on an aircraft display
CN103674018A (zh) * 2013-12-20 2014-03-26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三维航迹的二维显示方法
CN104809692B (zh) * 2015-05-12 2019-03-12 山东临沂烟草有限公司 一种等高线生成dem的内插方法
CN106056671B (zh) * 2016-05-20 2018-11-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等高线断线连接方法
JP7156775B2 (ja) 2016-07-26 2022-10-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CN106873931A (zh) * 2017-02-15 2017-06-20 北京佳格天地科技有限公司 栅格数据可视化装置、方法及计算机系统
JP7148229B2 (ja) * 2017-07-31 2022-10-05 株式会社トプコン 三次元点群データの縦断面図作成方法,そのための測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測量システム
JP2020060078A (ja) * 2018-10-12 2020-04-16 日本信号株式会社 土砂崩落の発生時刻を推定するシステム
CN110440753B (zh) * 2019-08-13 2021-04-09 中国地质调查局西安地质调查中心 考虑地球曲率的高精度dem航空重力远区地形改正方法
JP6949926B2 (ja) * 2019-11-21 2021-10-13 アジア航測株式会社 等高線生成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3674368B (zh) * 2021-08-25 2023-12-15 中国电建集团河北省电力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AutoCAD的等高线自动着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1526B (en) * 1981-01-13 1985-10-02 Harris Corp Digital map generator and display system
CA1277043C (en) * 1985-07-25 1990-11-27 Marvin S. White, Jr. Apparatus storing a representation of topological structure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searching the representation
JPS6282473A (ja) * 1985-10-07 1987-04-15 Jeol Ltd 2次元強度デ−タの等高線描画方式
US5317678A (en) * 1989-03-15 1994-05-31 Hitachi, Ltd. Method for changing color of displayed images by use of color components
US5249263A (en) * 1989-06-16 1993-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or palette display interface for a computer-based image editor
US5150295A (en) * 1990-05-22 1992-09-22 Teledyne Industries, Inc. Computerized system for joining individual maps into a single map product
JP2644935B2 (ja) * 1991-07-25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形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333248A (en) * 1992-07-15 1994-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mooth contouring of triangulated surfaces
JPH0667605A (ja) * 1992-08-21 1994-03-11 Hitachi Ltd 地図処理装置及び地図処理方法
JP3286366B2 (ja) * 1992-12-18 2002-05-27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等高線データの検査装置及びこれを含む図面自動入力システム
WO1996015516A1 (fr) * 1994-11-14 1996-05-23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cartographique pour vehicules
JP3185577B2 (ja) * 1994-12-27 2001-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地図作成システム
JP3652741B2 (ja) * 1995-08-31 2005-05-25 東京瓦斯株式会社 地図データ作成方法
US5552787A (en) * 1995-10-10 1996-09-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asurement of topography using polari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US6023278A (en) * 1995-10-16 2000-02-08 Margolin; Jed Digital map generator and display system
JP3611650B2 (ja) * 1995-11-09 2005-01-19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車両用地図表示装置
JP3630811B2 (ja) * 1996-01-11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作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781146A (en) * 1996-03-11 1998-07-14 Imaging Accessories, Inc. Automatic horizontal and vertical scanning radar with terrain display
JP3050127B2 (ja) * 1996-06-05 2000-06-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膜厚測定装置
US5961573A (en) * 1996-11-22 1999-10-05 Case Corporation Height control of an agricultural tool in a site-specific farming system
JP3460510B2 (ja) * 1997-06-02 2003-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立体地図表示装置
JP3373145B2 (ja) * 1997-12-25 2003-02-04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等高線連結方法及び記録媒体
JP3365297B2 (ja) * 1998-02-20 2003-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立体地形表示装置
JPH11282861A (ja) * 1998-03-30 1999-10-15 Hitachi Ltd 画像情報検索ナビゲーション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表示装置
JP2000242812A (ja) * 1998-12-22 2000-09-08 Hitachi Ltd ポリゴン生成画像処理方法
JPH11282344A (ja) * 1999-02-15 1999-10-15 Pioneer Electron Corp 地図表示装置
US6307573B1 (en) * 1999-07-22 2001-10-23 Barbara L. Barros Graphic-information flow method and system for visually analyz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JP3267589B2 (ja) * 1999-10-05 2002-03-18 日本計測株式会社 地図データ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1118051A (ja) * 1999-10-14 2001-04-27 Dgs Computer:Kk 地図作成装置
JP2001140257A (ja) * 1999-11-15 2001-05-22 Jekku:Kk 造成計画設計支援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US6552670B2 (en) * 2000-05-26 2003-04-22 Switchboard Incorporated Location encoder
JP2002032772A (ja) * 2000-07-13 2002-01-31 Pasuko:Kk 数値地図データベースに含まれる連接したデジタル地図を張り合わせる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70B1 (ko) * 2005-12-28 2007-10-09 주식회사 유성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동입력장치와 그 입력방법
KR100860768B1 (ko) * 2008-04-22 2008-09-29 (주)신한항업 수치도화의 등고선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46527B1 (ko) * 2019-03-14 2019-11-19 (주)수인테크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109791B1 (ko) * 2019-03-14 2020-05-12 (주)수인테크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8864A4 (en) 2006-12-27
JP4429737B2 (ja) 2010-03-10
CN100501804C (zh) 2009-06-17
US20050104884A1 (en) 2005-05-19
JPWO2003090184A1 (ja) 2005-08-25
HK1076183A1 (en) 2006-01-06
CN1647138A (zh) 2005-07-27
WO2003090184A1 (fr) 2003-10-30
EP1498864A1 (en) 2005-01-19
JP2009151323A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6173A (ko)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Tate et al. Floodplain mapping using HEC-RAS and ArcView GIS
CN104766366B (zh) 一种三维虚拟现实演示的建立方法
CN101872376B (zh) 真三维道路智能设计方法及系统
JP4964762B2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US7944547B2 (e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3D images with airborne oblique/vertical imagery, GPS/IMU data, and LIDAR elevation data
KR101755134B1 (ko) 디지털 지도 섹션을 공간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202809B2 (ja) 土石流氾濫域高速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土石流氾濫域高速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5128838A (ja) 簡易型洪水氾濫解析システム
CN116090219A (zh) 一种矿区流域污染物迁移的gis风险管控系统及方法
US8395760B2 (en) Unified spectral and geospatial information model and the method and system generating it
CN111831778A (zh) 一种三维地理信息系统快速集成展现的方法
JP3407883B2 (ja) デジタル地図データを用いた土工設計支援システム
JP3412815B2 (ja) 地図データを活用した3次元道路設計支援システム
CN114564779A (zh) 一种基于bim和无人机的复杂山区施工便道的规划方法
KR20070099298A (ko) 모바일 내비게이션용 3차원 형상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CN114969944B (zh) 一种高精度道路dem构建方法
JP4543820B2 (ja) 3次元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5018973A (zh) 一种低空无人机点云建模精度的无靶标评估方法
Olah Historical maps and their application in landscape ecological research
JP7373626B1 (ja) 変換装置、変換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arol et al. Using historic postcards and photographs for the research of historic landscape in geography and the possibilities of their digital processing
JP3313679B2 (ja) 鳥瞰及び走行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20034705A (ja) 砂防堰堤の計画支援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Sobatnu et al. Geometric Modeling of River Estuary to Support Normalization Program of Veteran River, Banjarmasin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