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791B1 -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791B1
KR102109791B1 KR1020190029289A KR20190029289A KR102109791B1 KR 102109791 B1 KR102109791 B1 KR 102109791B1 KR 1020190029289 A KR1020190029289 A KR 1020190029289A KR 20190029289 A KR20190029289 A KR 20190029289A KR 102109791 B1 KR102109791 B1 KR 10210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ipe network
maintenance system
information
network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용태
송재석
김진국
안용관
Original Assignee
(주)수인테크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인테크,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수인테크
Priority to KR102019002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망에 설치된 유량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량계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각 유량계 데이터와 상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유수율 등을 계산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지점을,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정보인 V-WORLD에 적용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단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WATER PIPE NETWORK MAINTENANCE SYSTEM HAVING FUNCTION TO DISPLAY TOPOGRAPHY CROSS-SECTION}
본 발명은,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서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단면을 표시하는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수관망 및 이에 설치된 유량계 등에 대한 각종정보와 지형정보를 함께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토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지도에 정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다.
그러나 종래 HMI(Human Machine Interface) 기반의 관리시스템은, 상수관망 정보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제어, 보고서 출력 위주의 간단한 관제 및 분석만이 이루어지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되지 않아 실제 현장의 위치 파악 및 상황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기존 HMI 기반의 관리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GIS 기반의 관리시스템이 등장하여, GIS 기반으로 상수관망도와 지도를 연동하여 실제 현장의 위치 파악 및 상황 파악이 용이하였으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지형정보의 한계, 즉 평면 지형만의 제공으로 실제 현장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결국, 종래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GIS를 기반으로 하더라도 상수관망도가 단순히 지리정보시스템화가 된 것에 불과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툴로서 제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3-0104833 A1 KR 10-0991227 B1
본 발명은,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 주변 지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수관망에 설치된 유량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량계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각 유량계 데이터와 상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유수율 등을 계산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지점을,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정보인 V-WORLD에 적용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단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고,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상기 단면선의 제1 간격마다 고도를 추출하여 상기 지형단면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변곡지점을 중심으로 전후 구간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좁은 제2 간격으로 고도를 추출하여 연속한 고도를 가진 상기 지형단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고,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상기 출력된 지형단면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은 경우, 해당지점의 지형고도 값과 최초 선택된 시작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에 사용자로부터 일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고, 입력된 지도상의 상기 일 지점에 대해 주소 정보, 지형고도 정보 또는 로드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고,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상기 단면선 중 어느 두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은 경우, 두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출발점으로 또 다른 지점을 도착점으로 한 네비게이션정보를 원격의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의 단말기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고도정보를 근거로 낮은경사 우선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매립 깊이 및 매립 방향에 따라 상기 지형단면에 상기 상수관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기 저장된 지역별 동결심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지점에서 매립깊이가 해당 지점의 동결심도 초과인지 판단하고,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가 동결심도 이하인 경우 동파예상알람표시하되,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에 따른 동파예상기온이 해당 지점에 대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예보기온 이상인 경우만 동파예상알람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인공위성의 X밴드 레이더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의해 예측된 싱크홀예상발생지역과, 상기 유수율을 근거로 예측된 누수예상발생지역을 교차 비교하여, 싱크홀발생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 주변 지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형정보를 2D 및 3D 형태로 동시 출력하되 서로 지도에 대한 시점이동을 연동하여 동일 지역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획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의 어느 일 지점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을 받고, 입력된 지도상의 일 지점에 대해 로드뷰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장 방문시 지하에 매립된 상수관로 또는 계측기기에 대한 접근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지형 단면의 단면선 상에 선택된 적어도 두 지점 간 네비게이션 정보를 원격 단말기에 전송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상수도관의 점검구들을 이동할 때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고도 정보를 고려하여 낮은경사를 우선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수관로의 매립 깊이 정보와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또는 기온 예보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에 대한 동파예상알람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유수율을 이용하여 판단한 누수예상발생지역과, 인공위성의 X밴드 레이더 촬영 영상에 의한 싱크홀예상발생지역을 조합하여, 보다 정확한 싱크홀예상발생지역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계측기 측정값을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상수관망을 지도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상호 연동되는 2차원 및 3차원 지형정보를 동시에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의 지형단면도를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점의 로드뷰를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의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지형단면도에 매립된 상수관망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블록별 유수율을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14 각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의 서버(10~3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0)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에 연결된 각 노드 간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 가능한 것이면 족하고,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이나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각 지자체서버(10)로부터 전달받거나 각종 저장매체를 통해 읽어들여, 상수관로의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지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수관망 지리정보는 상수관(또는 상수관망)과 관련된 각종의 정보로서,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상수관로의 매설위치는 물론, 매설깊이, 매설방향, 매설길이, 매설형태, 그리고 상수관로 이외에 이에 설치된 각종 측정기기인 유량계, 유속계, 수압계, 각종 밸브 등에 대한 설치 위치, 측정기기 사양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계측기 측정값을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지도 상에 각종 계측기기의 위치를 표시하고, 계측기기에 의해 측정된 값들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각 계측기기(유량계 등)에 의해 측정된 순시유량, 적산 유량, 관압, 유속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계측기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나 상태정보 등을 수집 분석한 종합정보로서 유수율, 누수율, 송수율과 같은 유량현황을 제공하거나, 계측기기 및/또는 관로의 사양, 설치시기 등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거나, 계측기기 및/또는 관로의 이상알람 또는 장애알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각종 측정값을 이용하여 변화이력 또는 시간별패턴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상기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단순히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정보인 V-WORLD를 국토교통부서버(20)로부터 전달받거나 각종 저장매체를 통해 읽어들여, 상기 V-WORLD 상에 상기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상수관망을 지도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지도상에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 주변의 지형 정보를 3차원 형태로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한 화면에 2차원 형태와 3차원 형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화면 좌측 영역(L)에는 2차원 평면 지도상에 상수관망을 오버레이하여 화면에 출력하거나, 화면 우측 영역(R)에는 3차원 입체 지도상에 상수관망을 오버레이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2차원 평면 지도와 3차원 입체 지도를 한 화면에 동시출력할 때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동하여 어느 한 지도상에 사용자로부터의 시점이동입력명령이 있으면 해당 지도뿐 아니라 다른 한 지도에 대해서도 시점이동되어 서로 동일한 지역을 화면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입체적으로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획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지도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어느 한 블록(또는 영역), 적어도 어느 한 구간, 및/또는 적어도 어느 한 계측기기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을 수 있고, 선택입력에 따라 선택된 대상에 대한 사양 정보, 상태 정보, 측정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의 지형단면도를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단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포함한 복수의 지점에 대해 선택입력이 있은 경우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연결한 단면선을 형성하고, 단면선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V-WORLD로부터 추출하여 지형단면도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고,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지형단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지점(S1)부터 경로지점(S2~S6) 및 종료지점(S7)까지 순차대로 사용자 선택 입력이 있으면, 입력 순서대로 연결된 단면선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지형단면도(S)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지형단면도(S) 상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변곡점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지형단면도(S)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 지점들에 해당하는 지점의 고도정보를 이용함은 물론, 인접한 선택지점들 간에도 소정 간격마다 고도정보를 추출하여 실제와 유사한 지형단면을 표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도정보 추출 간격이 좁으면 실제와 흡사한 지형단면이 생성될 수 있으나,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의 동작부하가 발생할 수 있어, 서로 다른 거리의 제1 및 제2 간격으로 고도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선 전 구간에 걸쳐서는 제1 간격으로 고도정보를 추출하여 지형단면을 생성하되, 선택지점은 단면선의 변곡지점으로서 변곡지점을 중심으로 고도 역시 급격하게 변하므로, 변곡지점 전후의 소정 구간에 대해서는 제1 간격보다 좁은 제2 간격으로 고도정보를 추출하여 연속된 고도를 가진 지형단면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하나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단면선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복수의 단면선에 따른 복수의 지형단면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동시(同時) 또는 이시(異時)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단면선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단면선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드래그앤드롭(drag&drop) 입력이 있으면, 그에 따라 시작지점, 종료지점, 경로지점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경로지점이 아닌 경로 상의 일 지점을 이동하여 경로지점을 새로이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지형단면도(S)는, 상기 지형단면도(S)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지점의 지형고도 값을 출력함은 물론, 최초 선택된 단면선의 시작지점으로부터의 거리도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수관을 따라 단면선을 형성한 경우, 동종 상수관의 시작지점으로부터 현재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의 어느 일 지점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을 받고, 입력된 지도상의 일 지점에 대해 주소 정보 또는 지형고도 정보 뿐 아니라 로드뷰 정보(R)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중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출력화면 예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점의 로드뷰를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의 어느 일 지점에 대하여 외부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이용하여 로드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현장을 방문할 때 해당 지점에 대한 정확한 영상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하에 매립된 상수관로나 각종 계측기기 등에 대한 접근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단면선을 생성하고,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지형단면 중 어느 두 지점, 또는 단면선 중 어느 두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은 경우 두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출발점으로 또 다른 지점을 도착점으로 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원격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의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발점 및 도착점을 근거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관제하는 사용자는, 현장에 있는 원격의 단말기(200)를 통해 현장의 작업자에게 현재위치(C)로부터 도착지(D)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산정하는 주체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나 원격의 단말기(200)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며,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경로를 산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V-WORLD의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출발점의 고도와 도착점의 고도를 근거로 경사가 낮은 경로를 위주로 한 낮은경사 우선경로를 산정할 수 있고, 이렇게 산정된 낮은경사 우선경로를 원격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원격의 단말기(200)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상수도관의 점검구들 간 이동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고도 정보를 고려하여 낮은경사를 우선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여, 이동에 번거로운 장비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단면선을 생성하고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상수관망 지리정보(일 예로, 매설위치, 매설깊이, 매설방향, 매설길이 등)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형단면 상에 상수관로의 단면(P1~P7)을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수관로는 단면선의 방향에 따라 길이방향 단면 또는 반경방향 단면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위치에 대응하는 매립깊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의 상수관로의 매립깊이가 동결심도 초과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수관로의 어느 매립지점에서의 매립깊이가 동결심도 이하인 경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해당 지점에 대한 동파예상알람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동파위험을 알릴 수 있다.
다만, 해당 지역의 기온분포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기온이 한랭한 지역이 아니어서 불필요한 동파예상알람표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기상청서버(30)로부터 해당 지역의 기온예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함께 고려하여 동파예상알람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수관로의 매립깊이에 따라 동파 예상 기온이 변하기 때문에,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상수관로의 설치지점에서의 동파 예상 기온이 해당 지점에 대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예보 기온 이상인 경우에만 동파예상알람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싱크홀(sink-hole) 예상 발생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은 정수장, 배수지, 대블록, 중블록, 소블록별 분기되기 전 본관 등에 설치된 압력계, 유량계를 이용하여, 유수율 또는 누수발생지점을 산출할 수 있다(도 10 참조).
유수율이 높아 상수의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상수도관 주변의 흙이 쓸려 내려가 지반 붕괴로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유수율만으로 싱크홀예상발생지역을 예측하는 것은 그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파장이 수 cm인 X밴드 레이더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의해 구분되는 지하에 동공이 형성된 싱크홀예상발생지역과 상기 유수율이 높은 누수예상발생지역을 교차 비교하여, 위 조건을 모두 충족되는 지역을 싱크홀발생지역으로 선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싱크홀예상발생지역을 도출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싱크홀 방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가 상기 인공위성의 X밴드 레이더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인공위성운영기관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지점을,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정보인 V-WORLD에 적용하는 단계(S10), 및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단면을 표시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상수관로 주변 지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형정보를 2D 및 3D 형태로 동시 출력하되 서로 지도에 대한 시점이동을 연동하여 동일 지역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획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S20 단계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는 단계(S21), 및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상기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지형단면을 출력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22 단계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상기 단면선의 제1 간격마다 고도를 추출하여 상기 지형단면을 생성하되, 상기 선택된 변곡지점을 중심으로 전후 구간은 제1 간격보다 좁은 제2 간격으로 고도를 추출하여 연속한 고도를 가진 지형단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S22 단계는, 상기 출력된 지형단면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은 경우, 해당지점의 지형고도 값과 최초 선택된 시작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에 사용자로부터 일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는 단계(S31), 및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입력된 지도상의 상기 일 지점에 대해 주소 정보, 지형고도 정보 또는 로드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로드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장 방문시 지하에 매립된 상수관로 또는 계측기기에 대한 접근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상기 단면선 중 어느 두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받는 단계(S41),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두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출발점으로 또 다른 지점을 도착점으로 한 네비게이션정보를 원격의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단계(S42), 및 상기 원격의 단말기(200)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4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S43 단계는, 상기 고도정보를 근거로 한 낮은경사 우선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지형 단면의 단면선 상에 선택된 적어도 두 지점 간 네비게이션 정보를 원격 단말기에 전송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상수도관의 점검구들을 이동할 때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때, 고도 정보를 고려하여 낮은경사를 우선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상기 S20 단계에 따라 화면 출력되는 지형단면에 상수관로의 매립 깊이 및 매립 방향에 따라 상수관로를 표시할 수 있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지역별 동결심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지점에서 매립깊이가 해당 지점의 동결심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단계(S51),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가 동결심도 이하인 경우 동파예상알람표시하는 단계(S53)를 더 포함하되, 상기 S53 단계 이전에,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에 따른 동파예상기온이 해당 지점에 대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예보기온 이상인지 판단(S52)하고, 동파예상기온이 예보기온 이상인 경우만 동파예상알람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100)이 인공위성의 X밴드 레이더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의해 예측된 싱크홀예상발생지역과, 상기 유수율을 근거로 예측된 누수예상발생지역을 교차 비교하여, 싱크홀발생지역을 예측하는 단계(S61)를 더 포함하여, 보다 정확한 싱크홀예상발생지역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자체서버
20: 국토교통부서버
30: 기상청서버
100: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200: 원격의 단말기

Claims (5)

  1. 상수관망에 설치된 유량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량계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각 유량계 데이터와 상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유수율을 계산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각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설치 또는 설치예정인 지점을,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정보인 V-WORLD에 적용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는 고도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단면을 표시하되, 상기 상수관망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매립 깊이 및 매립 방향에 따라 상기 지형단면 상에 상기 상수관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순차대로 n회의 위치 선택 입력을 받고, 선택된 위치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지형단면을 출력하되, 상기 지형단면 상에 상수관로의 배치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상기 단면선을 입력받아 복수의 지형단면도를 동시에 제공하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단면선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드래그앤드롭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단면선의 시작지점, 종료지점 또는 경로지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단면선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출력된 지형단면 중 어느 두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두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출발점으로 또 다른 지점을 도착점으로 한 네비게이션정보를 원격의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원격의 단말기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고도정보를 근거로 한 낮은경사 우선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기 저장된 지역별 동결심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지점에서 매립깊이가 해당 지점의 동결심도 초과인지 판단하고,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가 동결심도 이하인 경우 동파예상알람표시하되, 상기 상수관로의 매립깊이에 따른 동파예상기온이 해당 지점에 대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예보기온 이상인 경우만 동파예상알람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상기 단면선의 제1 간격마다 고도를 추출하여 상기 지형단면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변곡지점을 중심으로 전후 구간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좁은 제2 간격으로 고도를 추출하여 연속한 고도를 가진 상기 지형단면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지형단면 중 어느 일 지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이 있은 경우, 해당지점의 지형고도 값과 최초 선택된 시작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화면에 출력된 지도상에 사용자로부터 일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고, 입력된 지도상의 상기 일 지점에 대해 주소 정보, 지형고도 정보 또는 로드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은,
    인공위성의 X밴드 레이더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의해 예측된 싱크홀예상발생지역과, 상기 유수율을 근거로 예측된 누수예상발생지역을 교차 비교하여, 싱크홀발생지역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KR1020190029289A 2019-03-14 2019-03-14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KR10210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89A KR102109791B1 (ko) 2019-03-14 2019-03-14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89A KR102109791B1 (ko) 2019-03-14 2019-03-14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91B1 true KR102109791B1 (ko) 2020-05-12

Family

ID=7067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289A KR102109791B1 (ko) 2019-03-14 2019-03-14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7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173A (ko) * 2002-04-22 2005-01-15 가부시키가이샤 디지에스 컴퓨터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KR20070088180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70110631A (ko) * 2006-05-15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도관 동파 문자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0991227B1 (ko) 2010-04-06 2010-11-01 (주)서광기전 Gis 기반으로 한 상하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05959A (ko) * 2010-03-22 2011-09-28 (주)코아텍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20130104833A (ko) 2012-03-15 2013-09-25 김준현 상수도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2183A (ko) *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173A (ko) * 2002-04-22 2005-01-15 가부시키가이샤 디지에스 컴퓨터 디지털 지형도의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KR20070088180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70110631A (ko) * 2006-05-15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도관 동파 문자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110105959A (ko) * 2010-03-22 2011-09-28 (주)코아텍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100991227B1 (ko) 2010-04-06 2010-11-01 (주)서광기전 Gis 기반으로 한 상하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4833A (ko) 2012-03-15 2013-09-25 김준현 상수도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2183A (ko) *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ül et al. A combined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ing approach for testing efficiency of structural flood control measures
Shahi et al. Onsite 3D marking for construction activity tracking
Alshibani et al. Productivity based method for forecasting cost & time of earthmoving operations using sampling GPS data.
Schindler et al. Radar interferometry based settlement monitoring in tunnelling: Visualisation and accuracy analyses
Kim et al. ArcMine: A GIS extension to support mine reclamation planning
CN107218923A (zh) 基于PS‑InSAR技术的地铁沿线周边环境历史沉降风险评估方法
Lee et al. A risk management system for deep excavation based on BIM-3DGIS framework and optimized grey Verhulst model
CN104636817A (zh) 漏水调查计划制定装置、系统及漏水调查计划制定方法
Cai et al. Modeling road centerlines and predicting lengths in 3‐D using LIDAR point cloud and planimetric road centerline data
CN106195646A (zh) 漏水分布推定装置、推定系统和推定方法
KR102100306B1 (ko) 분류식 오수관로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7194344A (ja) 浸水リスク診断装置、浸水リスク診断方法、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083388A (ko) 도시철도 지하공간의 빔-그리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663762A (zh) 一种城市规划地下空间勘察测绘方法及系统
KR102046527B1 (ko)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109791B1 (ko) 지형단면 표시기능을 갖는 상수관망 유지관리시스템
JP7294529B2 (ja) 分析装置、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ddiqui et al.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wireless ultra-wideband technology for tracking equipment on a congested site
Winning et al. Modelling soil erosion risk for pipelines using remote sensed data
Pradhananga Construction site safety analysis for human-equipment interaction using spatio-temporal data
Juan et al. Developing a radar-based flood alert system for Sugar Land, Texas
Kubota et al. Accuracy validation of point clouds of UAV photogrammetry and its application for river management
Sinickas et al. Comparing methods for estimating β points for use in statistical snow avalanche runout models
Woldemichael et al. Role of land–water classification and Manning's roughness parameter in space-borne estimation of discharge for braided rivers: A case study of the Brahmaputra River in Bangladesh
Boggs et al. Assessing catchment-wide mining-related impacts on sediment movement in the Swift Creek catchment,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using GIS and landform-evolution modell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