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163A -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163A
KR20050006163A KR10-2004-7016476A KR20047016476A KR20050006163A KR 20050006163 A KR20050006163 A KR 20050006163A KR 20047016476 A KR20047016476 A KR 20047016476A KR 20050006163 A KR20050006163 A KR 20050006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uilding
plate
life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408B1 (ko
Inventor
베르너 회프리거
Original Assignee
베르너 회프리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회프리거 filed Critical 베르너 회프리거
Publication of KR2005000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배열되고 상기 작동위치에서 건물의 상층으로부터 지면위치(20)까지 형성되는 구조용 채널(29)을 구성하는 부품을 가지며 건물(2)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구조용 채널(29)을 형성하는 부품이 함께 접혀지는 관(7)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관이 건물벽(2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채널(29)을 통해 인명이 안전하게 지면위치(20)까지 전달되기 위한 제동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건물로부터 인명이 신속하게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BUILDING}
상기 형태의 장치가 공개된 문헌 제 DE-A- 41 08 979 호에 의하면, 팽창가능하고 경사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슈트(shute)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들이 상기 관들을 팽창시켜서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관들이 구조용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건물의 상층으로부터 지면위치까지 형성된다. 인명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경사각도를 고려할 때 구조용 슈트를 위한 공간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구조용 슈트는 고층건물로부터 인명구조작업에는 부적합하다. 관이 가지는 굽힙강도에 관한 문제점이 미끄럼길이에 따라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제 1항에 따르고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비작동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작동위치에 위치한 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부호설명*
2 : 건물 3 : 용기
4 : 판 6 : 플랩
7 : 관 15 : 개구부
본 발명은 고층건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한 상기 형태의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문제점이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종속항에 의해 제공된다.
구조용 채널을 형성하는 부품이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이 비작동위치에서 서로 접혀지며 작동위치로 펼쳐질 때 수직 또는 건물벽에 대해 경미한 각도로 배열되며 구조용 채널을 통해 지면위치까지 인명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심지어 고층건물로부터 신속한 구조작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로서 관내부에서 에어백형태로 팽창될 수 있는 원형의 공기쿠션으로 구성된 제동수단내에서 사람들이 차례로 상기 수직의 구조용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어서, 자유낙하없이 개별 공기쿠션을 통해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건물(2)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1)가도 1의 비작동위치에서 건물(2)의 상층에 위치한 용기(3)내에 수용된다. 용기(3) 또는 건물(2)로부터 외측을 향해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판(4)위에 상기 장치(1)가 배열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상기 판(4)이 건물(2)로부터 돌출하고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판(4)이 기저개구부(5)를 가지고, 상기 기저개구부가 도 1의 비작동위치에서 플랩(flap)(6)에 의해 밀폐상태로 유지되며, 건물(2)로부터 벗어나 연장되는 판(4)의 영역에 배열된다.
상기 장치(1)가 콘서티나(concertina)형태로 서로 접혀지는 관(7)을 가지고, 상기 관(7)의 길이에 걸쳐서 서로 거리를 두고 분포한 다수의 횡방향 링(ring)들이 상기 관에 구성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상기 관이 접혀진 위치에 있을 때 횡방향링(10)들이 밀착상태로 압축된다. 상기 관(7)이 한쪽 단부에서 입구개구부(12)를 형성하는 입구부분(13)과 연결되고 판(4)의 기저개구부(5)의 전방에서 다른 한쪽 단부에 의해 배열된다. 비작동위치에 배열된 유입개구부(12) 및 횡방향 링(10)들이 제공되고 접혀진 관부분이 판(4)과 평행하게 즉 수평으로 배열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5)들이 상기 횡방향 링(10)에 제공된다. 개별 횡방향링(10)의 개구부(15)들을 통해 인장로프(16)가 통과하고, 상기 로프는 두 개의 고정점(17,18)들사이에서 연장구성되며, 두 개의 고정점들중 한 개가 용기(3)(도 1을 참고)의 후방영역내에 배열되고, 다른 한 개가 (도 2의 )지면위치(20)에 배열된다.
인장 및 전달장치(26)의 상측부위로 인장로프(16)가 통과한다. 상기 판(4)위에 배열된 인장 및 전달장치(26)가 휠(24,25)들 및 상기 휠들에 의해 구동되는 전달체인(27)을 가지고, 상기 체인이 관(7)의 횡방향 링(10)과 함께 작동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비작동위치에서, 인장로프(16)는 인장상태가 아니며 건물벽(22)을 따라 요홈(21)내에서 이동한다. 판이 연장될 때, 고정점(17,18)들에 고정된 상기 인장로프(16)가 요홈(21)으로부터 분리되고 건물벽(22)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위치까지 이동한다.
위험상태에 있는 건물(2)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하여, 용기(3)내에 제공된 판(4) 및 판위에 배열된 인장 및 전달장치(26)가 외측을 향해 도 2의 위치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에서 건물벽(22)은 벽요소(23) 또는 판위에 배열된 유사한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장작용이 발생할 때 상기 벽요소(23)가 건물벽내부의 개구부에 영향을 준다. 연장작용이 발생할 때 또한 인장로프(16)는 건물전방부위에서 요홈(21)으로부터 분리되고 판(4)에 의해 운동하는 롤러(24)를 이용하여 기준위치(17,18)들사이에서 인장된다.
판(4)이 연장되고 단부위치에 도달할 때, 플랩(6)이 또한 자동으로 아래로 피봇운동하고 판(4)내부의 기저개구부(5)가 개방되며, 관(7)은- 중력에 의해- 상기 기저개구부(5)를 통해 아래로 하강하고 자동으로 펼쳐진다. 따라서 횡방향 링(10)은 인장로프(16)를 따라 미끄럼운동한다.(또는 인장로프들을 따라 미끄럼운동하고, 각각의 횡방향 링(10)은 마주보는 두 개의 개구부(15)들을 가지며, 두 개의 인장로프(16)들이 제공된다.) 상측단부로 이동한 판(4)위에 배열된 입구부분(13)에 의해 관(7)이 상단부에 단단히 고정되고, 인장 및 전달장치(26)를 이용하여 입구개구부(12)가 기저개구부(5)와 동축상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하강된 관(7)이 구조용 채널(29)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은 상층으로부터 지면위치(20)까지 형성된다.
관(7)의 내측부에서 각각의 횡방향 링(10)이 에어백(airbag)형태로 팽창될 수 있는 원형 공기쿠션을 가지고, 관(7)이 하강될 때 상기 공기쿠션은 자동으로 팽창된다. 관(7)을 통해 전달되는 인명에 대해 상기 공기쿠션(30)이 제동수단을 형성하고 수직관구조내에서 자유낙하를 방지한다. 입구개구부(12)를 통해 관(7)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한사람씩 한 개의 공기쿠션(30)으로부터 다음 공기쿠션으로 미끄럼운동한다.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쿠션(30)의 탄성휨정도에 의해 서로 다른 신장 및 크기를 가진 사람들이 제동상태로 통과될 수 있다.
관(7)의 하단부에서 _도 2를 참고할 때, -고정된 출구부분(31)이 제공되고, 상기 출구부분은 더 이상 제동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신속한 탈출을 이루어지게 한다.
에어백형태로 팽창될 수 있는 원형의 공기쿠션(30)대신에, 인원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다른 제동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측으로부터 팬에서 관내부로 공기가 송풍되어 필요한 제동저항이 보장될 수 있다.
관(7)은 화염에 견디고 단열기능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어, 심지어 화재가 발생할 때에도 관을 통해 전달되는 인명에는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다. 구조작업을 더욱 양호하게 감시하거나 관내부에 창을 제공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가 가지는 장점에 의하면, 건물의 기반시설 예를 들어, 전원공급으로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판(4)에 의해 형성되고 건물(2)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는 용기의 일부분내에 전체 장치가 비작동위치에서 수용되고, 건물(2)위에서 상기 용기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여러개의 상기 장치가 각층마다 또는 여러층에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1)

  1.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배열되고 상기 작동위치에서 건물의 상층으로부터 지면위치(20)까지 형성되는 구조용 채널(29)을 구성하는 부품을 가지며 건물(2)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구조용 채널(29)을 형성하는 부품이 함께 접혀지는 관(7)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관이 건물벽(2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채널(29)을 통해 인명이 안전하게 지면위치(20)까지 전달되기 위한 제동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관(7)이 길이를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횡방향 링(10)들을 가지고, 작동위치에서 관(7)의 배열을 결정하는 인장로프(16)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5)들이 상기 상기 횡방향 링(10)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횡방향 링(10)을 가진 관(7)이 서로 접혀지거나 콘서티나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관(7)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에어백형태로 팽창될 수 있는 원형의 공기쿠션(30)이 각각의 횡방향 링(10)에 구성되며, 구조용 채널(29)을 통해 인명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횡방향 링(10)의 공기쿠션(30)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한 항에 있어서, 관(7)이 비작동위치에서 접혀져 있을 때 상층에서 건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판(4)의 용기(3)내에 배열되고, 판(4)이 연장될 때 관이 자동으로 판의 기저개구부(5)를 통해 지면위치(20)까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6. 제 2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판(4)이 연장된 작동위치에서 상층 및 지면위치(20)에 해당하는 두 개의 고정점(17,18)들사이에서 인장로프(16)가 연장되고, 판(4)이 연장될 때, 건물벽(22)내에 제공된 요홈(21)으로부터 로프가 분리되고 수직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7)이 한쪽 단부에서 입구개구부(12)를 형성하는 입구부분(13)과 연결되고, 판(4)이 연장될 때, 입구개구부(12)가 지면 개구부(5)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는 위치로 입구부분(13)이 이동되며, 입구부분(13)이 판(4)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8. 제 1항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작업위치에서 원호형상의 출구부분(31)이 관(7)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9. 제 5항내지 제 8항중 한 항에 있어서, 건물(2)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용기의 일부분이 상기 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기내에서 전체 장치가 비작동위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 1항내지 제 9항 중 한항에 있어서, 관(7)이 화염에 견디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11. 제 1항내지 제 10항 중 한항에 있어서, 관(7)이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어 윈도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1020047016476A 2002-04-18 2003-03-22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10094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650/02 2002-04-18
CH6502002 2002-04-18
PCT/EP2003/003005 WO2003086540A1 (de) 2002-04-18 2003-03-22 Vorrichtung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63A true KR20050006163A (ko) 2005-01-15
KR100949408B1 KR100949408B1 (ko) 2010-03-24

Family

ID=2922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476A KR100949408B1 (ko) 2002-04-18 2003-03-22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556124B2 (ko)
EP (1) EP1494758B1 (ko)
JP (1) JP4332435B2 (ko)
KR (1) KR100949408B1 (ko)
CN (1) CN100444911C (ko)
AT (1) ATE326267T1 (ko)
AU (1) AU2003222776A1 (ko)
CA (1) CA2481766C (ko)
DE (1) DE50303368D1 (ko)
DK (1) DK1494758T3 (ko)
ES (1) ES2265102T3 (ko)
MX (1) MXPA04010260A (ko)
WO (1) WO20030865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78B1 (ko) * 2018-12-31 2020-03-25 이향룡 하강장치
KR20200115972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대 할강 방식의 대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1073B1 (no) * 2003-08-29 2006-03-13 Viking Life Saving Equipment N Anordning ved evakueringssystem
CH697894B1 (de) * 2005-12-06 2009-03-13 Werner Haefliger Vorrichtung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DK2029239T3 (da) * 2006-06-13 2010-10-04 Viking Lifesaving Equipment As Redningssystem til nødevakuering
JP5148105B2 (ja) * 2006-12-22 2013-02-20 益雄 稲永 避難装置
KR20100125224A (ko) * 2007-12-27 2010-11-30 에이에이치 인벤션 아게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JP2011507645A (ja) * 2007-12-27 2011-03-10 エイエイチ・インベンション・アーゲー 建築物から人々を避難させるための装置
JP4584345B1 (ja) * 2009-12-14 2010-11-17 真盛 野中 ベランダ用避難装置
CN102068769A (zh) * 2011-01-21 2011-05-25 胡盼成 预设建筑救生舱
TW201328744A (zh) * 2012-01-13 2013-07-16 Yi-Jian Xu 逃生氣墊
CN102698381A (zh) * 2012-05-13 2012-10-03 山西兰德消防装备有限公司 连续不间断高楼快速逃生系统
DE102012208046A1 (de) 2012-05-14 2013-11-14 AHInvention GmbH Einrichtung zur Evakuierung insbesondere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JP5793124B2 (ja) * 2012-08-03 2015-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
CN103801027B (zh) * 2012-11-10 2017-11-07 福建省连江县迅捷技术孵化有限公司 一种楼房
CN105536162B (zh) * 2016-01-13 2018-10-30 山东科技大学 缓降式老年人火灾救生管道
WO2017147723A1 (es) * 2016-03-02 2017-09-08 Miranda Naranjo Oscar Iván Sistema para recolección y transporte de frutas o similares, desde laderas de cerros o lo similar
CN107685997A (zh) * 2017-09-26 2018-02-13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产品排布装置
US20190320646A1 (en) * 2018-03-15 2019-10-24 Frank C. Dennis Camouflage Covering for Ladderstand
KR102190015B1 (ko) * 2018-10-24 2020-12-11 배상대 건설폐기쓰레기 수거용 기둥형 에어 튜브 투기장치
CN109794002B (zh) * 2019-03-15 2022-11-08 宋庆赫 高层楼宇逃生装置及逃生方法
CN112675446A (zh) * 2020-12-30 2021-04-20 北京艺轩吉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救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500A (en) * 1877-06-26 goblb
US386253A (en) * 1888-07-17 Fire-escape
US3464529A (en) * 1968-03-04 1969-09-02 Theodore Horsky Jr Fruit handling device
US4122934A (en) * 1974-07-23 1978-10-31 Societe Soberal S.A. Apparatus for decelerating descending bodies
FR2282915A1 (fr) * 1974-07-23 1976-03-26 Soberal Sa Appareil tubulaire a parois souples destine a ralentir un corps en chute
US4099595A (en) * 1976-04-20 1978-07-11 Thomas Ray Tracy Escape device
US4398621A (en) * 1981-05-06 1983-08-16 Baker Ralph T Fire escape
GB2124168B (en) * 1982-07-29 1985-08-14 Raymond David Michael Facey Fire escape
JPS60501243A (ja) * 1982-12-30 1985-08-08 ノルユル アクシエセルスカツプ 網ストツキング状の脱出装置
JPH0228991B2 (ja) * 1984-12-31 1990-06-27 Kazuo Ootsu Kukibukurotorenzokukatsukochosetsusoryonokasaihinankigu
US4778031A (en) * 1987-12-16 1988-10-18 Dynavac, Inc. Escape chute
DE4108979A1 (de) 1991-03-19 1992-09-24 Autoflug Gmbh Aufblasbare rettungsrutsche
US5620058A (en) * 1995-04-04 1997-04-15 Cerberus Institut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Emergency evacuation system
CN2338032Y (zh) * 1998-01-19 1999-09-15 吴修明 一种高层建筑消防逃生器械
DE20116626U1 (de) * 2001-10-10 2002-02-21 Drescher Christian Feuerfester Rettungsschlauch
IL145935A0 (en) * 2001-10-15 2002-07-25 Eliyahu Nir Rescue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20030226713A1 (en) * 2002-06-06 2003-12-11 Ralph T. Baker Fire esca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78B1 (ko) * 2018-12-31 2020-03-25 이향룡 하강장치
KR20200115972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대 할강 방식의 대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81766A1 (en) 2003-10-23
AU2003222776A1 (en) 2003-10-27
US20060151240A1 (en) 2006-07-13
EP1494758B1 (de) 2006-05-17
ATE326267T1 (de) 2006-06-15
DE50303368D1 (de) 2006-06-22
KR100949408B1 (ko) 2010-03-24
US7556124B2 (en) 2009-07-07
WO2003086540A1 (de) 2003-10-23
MXPA04010260A (es) 2005-07-05
EP1494758A1 (de) 2005-01-12
DK1494758T3 (da) 2006-08-14
ES2265102T3 (es) 2007-02-01
JP2005522285A (ja) 2005-07-28
CN1646194A (zh) 2005-07-27
CA2481766C (en) 2011-06-14
JP4332435B2 (ja) 2009-09-16
CN100444911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08B1 (ko)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US7246913B2 (en) Mobile lighting system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US6360384B1 (en) Earthquake-proof sleeping place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WO2013054861A1 (ja) 送風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CN103282277A (zh) 用于从交通工具疏散人的系统
KR101620912B1 (ko)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100125224A (ko) 빌딩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KR20150139353A (ko) 급기댐퍼
KR101996949B1 (ko)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US20200276459A1 (en) Safety system including evacuation slide and floatation raft, and methods of use
WO2005052319A1 (en) A refuge chamber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807805B1 (ko) 터널 방재 대피 시스템
KR101848600B1 (ko)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KR102647276B1 (ko) 소방호스 고정장치
JP3283950B2 (ja) 防煙装置
CN210355720U (zh) 一种防踩踏训练用模拟安全逃生通道
CN106641913A (zh) 气膜建筑及其应急照明灯
JPH05231100A (ja) トンネル用通気仕切り
KR102377942B1 (ko) 승강기용 화염·연기 배출장치
CN114960762B (zh) 井圈施工防坠装置
KR102405214B1 (ko) 안전 대피 유도를 위한 소방피난유도장치
CN206955432U (zh) 一种用于单一立柱地铁楼扶梯防烟封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