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278B1 - 하강장치 - Google Patents

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278B1
KR102093278B1 KR1020180174142A KR20180174142A KR102093278B1 KR 102093278 B1 KR102093278 B1 KR 102093278B1 KR 1020180174142 A KR1020180174142 A KR 1020180174142A KR 20180174142 A KR20180174142 A KR 20180174142A KR 102093278 B1 KR102093278 B1 KR 10209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ending
passage
mat
buff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룡
Original Assignee
이향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룡 filed Critical 이향룡
Priority to KR102018017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에서 발생되는 화재 등의 위난상황에서 건물의 통로에 하강 경로를 형성하여 사람들을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의 통로에 하강 경로를 형성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하강 체험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하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는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연통하는 통로, 그리고 통로의 적어도 일측 벽면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통로를 일시 차단하고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차단된 통로의 일부가 개방되어 하향 이동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하강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강장치{DESCENT APPARATUS}
본 발명은 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가 발생되면 이에 대한 인지가 늦어질 수 있으며, 대피 경로에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하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고층건물의 화재에 대비한 소화장비가 구비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고층건물에서는 이러한 소화장비가 단순히 화재감지기와 스프링쿨러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긴급 대피에 대해서는 여전히 취약하다.
한편,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과 연기로 인해 건물에 거주하거나 사용하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건물의 외부로 대피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건물이나 신축 건물에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는 하강장치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에서 발생되는 화재 등의 위난상황에서 건물의 통로에 하강 경로를 형성하여 사람들을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의 통로에 하강 경로를 형성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하강 체험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하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는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연통하는 통로, 그리고 통로의 적어도 일측 벽면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통로를 일시 차단하고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차단된 통로의 일부가 개방되어 하향 이동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하강 완충부를 포함한다.
통로에 구비되어 통로의 상황에 대응하는 하강신호를 발생하는 하강 검출부, 하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하강신호를 분석하여 통로의 상황이 검출되면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발생하여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하강 완충부는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하강 완충부는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길게 팽창되어 통로를 일시 차단하는 하강용 매트, 벽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어 하강용 매트의 보관을 지지하며, 하강용 매트의 팽창시 하강용 매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하강 지지부, 그리고 하강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제어부의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하강용 매트의 일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하강용 매트를 팽창시키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완충부는 벽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하강 완충부, 그리고 제1 하강 완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벽면의 타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하강 완충부를 포함하며, 제1 하강 완충부의 제1 하강용 매트와 제2 하강 완충부의 제2 하강용 매트는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결합면을 갖고 외력에 따라 결합면이 분리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면에 구비되어 결합면간의 결합을 강화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결합부재는 벨크로, 실리콘 고무, 흡착패드, 자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완충부는 통로의 적어도 일측 벽면에 수납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로는 건물의 승강기 통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는 통로를 개방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 통로에 배치된 승강기의 외부 상면에 구비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강장치가 건물에 적용되는 경우, 건물의 화재발생과 같이 위급한 하강을 요하는 비상 상태에서 건물의 통로에 보관된 하강장치가 구동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건물의 통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의 외부로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강장치가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에 적용되는 경우, 통로에 보관된 하강장치가 구동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통로를 이용하여 하강을 체험하는 사용자들이 신속하고 안전한 하강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로에 구비되는 하강 완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하강용 매트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는 하강 검출부(100), 제어부(200), 하강 완충부(30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건물의 통로(10)에 보관되는 하강용 매트를 필요에 따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 하강 체험시설 또는 놀이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하강 검출부(100)는 건물의 각층에 구비되어 통로의 상황을 감지하며, 통로의 상황에 대응하는 하강신호를 발생한다. 하강 검출부(100)는 특정된 공간에 대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통해 통로의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강 검출부(100)는 화재 정보를 수집하는 화재 감지부, 건물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 건물내 구획된 영역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건물내 유독물질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유독물질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하강 검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하강신호를 분석하여 통로의 상황이 검출되면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발생하여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하강 검출부(100)에서 검출되는 하강신호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또는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복합적인 환경정보를 취합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비상 상황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로부터 일산화탄소(CO)와 같은 가스가 검출되고, 해당 구역에 분포된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다른 구역에 비해 높은 온도로 감지되며, 가스 감지부를 통해 가스의 검출 종류에서 유독물질의 감지가 검출되면 화재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건물의 화재 발생을 판단하여,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하강 완충부(300)로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연산, 처리 등이 되는 것으로, 컴퓨터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일부분을 뜻하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 제어부(200)는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부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완충부(300)는 건물의 각층에 대응하는 통로(10)의 적어도 일측 벽면(12)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통로(10)를 일시 차단하고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차단된 통로(10)의 일부가 개방되어 통로(10)를 통해 건물의 층간 하향 이동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하강 경로를 형성한다. 하강 완충부(300)는 통로(10)의 적어도 일측 벽면(12)에 수납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강 완충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하강 완충부(300)는 건물의 실내나 계단 등에 설치된 하강 검출부(100) 등의 방재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에 따른 경보 시 제어부(200)를 통해 하강 완충부(300)로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공급하여 자동으로 하강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하강 완충부(300)는 건물의 중앙통제시스템과 연계하여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로(10)는 복수의 층을 갖는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건물의 복수 층을 연통하는 기능을 한다. 통로(10)는 별도로 형성되는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10)는 승강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층 빌딩에서 화재 등 긴급하게 하강이 필요할 때 승강기 통로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다. 승강기 통로는 빌딩에서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 자동 잠금으로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층 빌딩에서 화재시 계단을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층 빌딩에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통로(10)로 승강기 통로를 이용하는 경우, 건물에 별도의 하강 경로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승강기 통로에 하강 완충부(300)가 구비되는 경우, 승강기 통로의 도어측에 인접된 벽면(12)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펼쳐진 하강용 매트가 통로를 일시 차단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무게로 결합된 하강용 매트가 분리되어 하강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로에 구비되는 하강 완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하강용 매트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강 완충부(300)는 하강용 매트, 하강 지지부(22), 그리고 공기 공급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완충부(300)는 화재나 지진 등의 위난이나 비상사태 발생 시에만 사용자가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하강할 수 있도록 통로(10)의 벽면(12) 내부 또는 벽면(12)에 구비되어 보관되다가 제어부(200)의 하강 경로 형성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통로(10)의 벽면(12)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하강 완충부(300)는 평상시 통로(10)의 벽면(12) 내측에 삽입되거나 벽면(12)에 밀착되도록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하강 완충부(300)의 불필요한 노출로 인한 오염 또는 제품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로(10)에 노출되는 하강 완충부(300)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통로(10)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길게 팽창되어 통로(10)를 일시 차단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완전히 팽창되었을 때의 길이가 통로(10)의 폭 길이에 대응하게 펼쳐질 수 있다. 즉, 하강용 매트는 통로(10)의 벽면(12)에 설치 가능하며, 건물의 화재 발생시 또는 하강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하강용 매트가 통로(10)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통로(10)를 일시 차단하는 하강용 매트가 외력에 따라 일부 개방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동작으로 사용자의 신속한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시에는 팽창이 가능한 튜브형태의 공기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강용 매트는 공기 펌프와 공기 매트의 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일측이 통로(10)의 벽면(12)에 고정되고 타측이 팽창되어 통로(10)를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공기가 공급되면서 팽창하여 통로(10)를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하강용 매트에 떨어지더라도 사용자의 무게를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강용 매트는 사용자의 무게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무게가 초과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통로(10)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던 힘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건물의 통로(10)에 복수로 구비된 하강용 매트에 순차적으로 접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로(10)에 구비된 복수의 하강용 매트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다. 한편, 하강용 매트는 로드 안테나와 같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접철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신축 및 접철 가능한 벨로스(bellows)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강용 매트의 재질은 난연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때신 내화재 또는 완충재가 공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 공급부(23)는 내화재 공급부 또는 완충재 공급부로 구비될 수 있다.
하강 지지부(22)는 벽면(12)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어 하강용 매트의 보관을 지지하며, 하강용 매트의 팽창시 하강용 매트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하강 지지부(22)는 통로(10)의 벽면(12)에 매립되는 보관부, 보관부의 일측에 힌지(222) 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220)를 포함하며 하강용 매트가 수납되는 보관함 기능을 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화재나 지진 등의 위난이나 비상사태 발생 시 사용자가 건물의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통로(10)의 보관부에 보관되다가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제어동작에 따라 보관부 밖으로 팽창되어 해당되는 하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일측이 회동 가능한 결합구조로 연결되어 보관부에서 일정 길이 이상으로 인출되거나 외력의 전달 유무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강 경로를 개폐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 공급부(23)는 하강 지지부(22)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제어부(200)의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하강용 매트의 일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하강용 매트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기 공급부(23)는 하강용 매트의 팽창을 위한 컴프레서 등의 공기 발생부와 공기압을 전달할 수 있는 공기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강 완충부(300)는 건물의 통로(10)에서 벽면(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하강 완충부(20), 그리고 제1 하강 완충부(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벽면(12)의 타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하강 완충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강 완충부(20)의 제1 하강용 매트(24)와 제2 하강 완충부(20a)의 제2 하강용 매트(24a)는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결합면을 갖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하강용 매트가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하강용 매트의 팽창시 길이는 통로(10)의 폭 길이를 양분한 길이보다 더 길게 펼쳐질 수 있다. 즉, 하강용 매트가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양측의 하강용 매트가 서로 겹쳐지는 결합면을 갖고 결합력을 임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로(10)를 통해 자유 낙하시 공기의 저항이 클수록 하강시간이 늘어난다. 그리고 충격량이 같을 때 충돌 시간이 길수록 충격력은 작아질 수 있다. 통로(10)의 각층에 구비되는 하강 완충부(300)를 복수로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자유낙하 시 지상까지 도달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하강용 매트와 사용자 사이의 마찰력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는 서로 겹치는 하강용 매트와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간 마찰력은 사용자가 하강용 매트에 머무르는 단위 시간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로 전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층의 통로(10)에서 서로 팽창되는 제1 하강용 매트(24)와 제2 하강용 매트(24a)의 결합구조에서 각각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결합면간의 결합을 강화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제1 하강용 매트(24)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240), 제2 하강용 매트(24a)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재(240)는 제1 하강용 매트(24)의 일면에 결합되며, 제2 결합부재(240a)는 제1 하강용 매트(24)의 일면과 대응하는 제2 하강용 매트(24a)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강용 매트(24)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하강용 매트(24a)가 하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결합면이 겹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 결합부재(240)는 제1 하강용 매트(24)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결합부재(240a)는 제2 하강용 매트(24a)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벨크로, 실리콘 고무, 흡착패드, 자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표면에 물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면서 열에 강한 실리콘 고무로 코팅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 자체를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용 매트는 통로(10)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하강용 매트는 서로 팽창하여 겹치는 부분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강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중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배치를 고려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하강용 매트는 통로(10)의 폭방향으로 80% 넓이를 차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는 통로(10) 내에서 발생되는 정지기류 또는 상승기류로 인해 완충기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통로(10)의 내부 환경에 따라 하강용 매트의 배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건축되는 빌딩에서는 화재나 긴급 상황시 승강기(110)는 지층에 자동 배치되도록 제어되므로 별도의 리프트 와이어가 없는 형태의 통로(10)에 구비되는 하강용 매트의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의 하강을 안내하기 위해서 하강용 매트의 배치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의 수량과 배치 위치의 조절로 위난 상황에서 급속하강과 완속하강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강용 매트는 통로(10)의 4개면에서 필요에 따라 1개 내지 4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가 특정 신호를 입력받거나 자체 위험 감지에 의해 일괄적으로 펴지게 할 수 있다. 하강용 매트가 펴지는 방향은 수평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신속히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팽창된 하강용 매트는 사용자의 하강 낙하시 충격량을 완화시키는 완충기능을 할 수 있다. 하부방향으로 팽창된 하강용 매트는 수평방향으로 팽창된 하강용 매트의 버팀목 기능을 하며, 사용자의 하강시 벽면(12)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강용 매트의 배치로 인해 하강용 매트는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층건물의 각층에 대응하는 통로(10)에 하강용 매트가 펼쳐짐에 따라 고도감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고소공포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건물의 화재 발생시 승강기 통로는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뚫려 있음으로 굴뚝기능을 하여 화재의 확산을 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기 통로를 통로(10)로 이용하는 경우 하강용 매트가 통로(10)를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 통로를 통한 화재 확산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승강기(110)의 승강을 위해 연결되는 리프트 와이어는 위난 발생시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만약 통로(10)에 리프트 와이어가 존재하더라도 하강용 매트는 리프트 와이어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프트 와이어를 잡고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승강기(110)의 외부 상면에 충격완화를 위한 완충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30)는 완충용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비상상황에서 지층에 자동 배치된 승강기(110)의 외부 상면에 구비된 완충부(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하게 사용자의 외부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의 작동과 사용자의 하강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 비상 상황 발생시 개별 층에 구비된 승강기 통로를 통로(10)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로(10)에 구비된 하강 완충부(300)가 구동되어 하강용 매트가 통로(10)를 일시 차단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통로(10)인 승강기 통로에서 승강기(110)의 작동이나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경고하거나 표시함으로써 승강기(110)의 작동 및 출입문의 개폐오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는 건물 내의 하강 검출부(100) 또는 관제센터나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건물의 방재시스템 혹은 중앙통제시스템과 연계될 경우, 각 층별로 구비된 하강용 매트가 하강 경로 형성신호 제어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여 각 층별 통로(10)의 벽면(12)에서 통로(10)의 폭방향으로 동시에 팽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층에서 펼쳐진 하강용 매트가 서로 임시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하강용 매트는 위층과 아래층에서 동시에 펼쳐서 각 층간을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고층에 위치한 사용자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층까지 하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하강 검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하강신호를 분석하여 통로의 상황이 검출되면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발생하여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의 하강 경로 형성 제어동작에 따라 건물의 통로(10)에서 각층에 대응하는 하강용 매트가 해당되는 통로(10)의 위치에 펼쳐지게 된다. 각각의 하강용 매트는 서로 결합되는 접합면 간의 결합력에 의해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탱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통로(10)의 출입문을 열고 하강용 매트의 위로 1차적으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층의 하강용 매트를 따라 순차적으로 완충되면서 자연스럽게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내려가 안전한 장소로 하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강용 매트는 층마다 설치할 경우 각각의 하강용 매트가 서로 동일한 조건으로 전개되면 위층의 사용자와 아래층의 사용자가 아래층의 하강용 매트로 동시에 떨어질 때 혼잡하여 서로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각 층별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결합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3개층을 기준으로 통로(10)에 구비되는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 길이를 설명하면, 상층의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의 길이(510)를 가장 짧게 설정하고, 중간층의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의 길이(520)를 중간 길이로 설정하며, 하층의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의 길이(530)를 가장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 길이는 상층이 가장 길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용 매트의 결합면의 길이는 사용자의 충격량 또는 하강속도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강용 매트는 화재가 발생한 층(500)에서는 펼쳐지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500)에서는 통로(10)를 개방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층의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화재가 발생한 층을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다. 건물의 화재 발생시에 승강기 통로가 굴뚝 기능을 하여서 불이 크게 번질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 통로를 하강용 매트로 일시 차단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기 통로에서 사용자가 추락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통로에 펼쳐진 하강용 매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하강 완충부의 제1 하강용 매트(24-1)와 제2 하강 완충부(20a)의 제2 하강용 매트(24-1a)는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결합면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하강용 매트가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양측의 하강용 매트가 서로 겹쳐지는 결합면이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고 결합력을 임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하강용 매트는 층마다 한 개씩 전개되고 서로 어긋나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경사진 하강용 매트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하강용 매트의 팽창 또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강장치가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에 적용되는 경우,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의 일측에 구비된 통로에 하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놀이시설 또는 체험시설의 통로에 설치된 하강장치가 구동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통로를 이용하여 하강을 체험하는 사용자들이 신속하고 안전한 하강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통로 20 ; 제1 하강 완충부
20a ; 제2 하강 완충부 22 ; 하강 지지부
23 ; 공기 공급부 24 ; 제1 하강용 매트
24a ; 제2 하강용 매트 30 ; 완충부
100 ; 하강 검출부 110 ; 승강기
200 ; 제어부 240 ; 제1 결합부재
240a ; 제2 결합부재 300 ; 하강 완충부

Claims (10)

  1.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연통하는 통로, 그리고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측 벽면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통로를 일시 차단하고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차단된 상기 통로의 일부가 개방되어 하향 이동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하강 완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강 완충부는
    상기 벽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하강 완충부, 그리고
    상기 제1 하강 완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벽면의 타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하강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강 완충부와 상기 제2 하강 완충부는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결합면을 갖고 외력에 따라 상기 결합면이 분리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하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통로의 상황에 대응하는 하강신호를 발생하는 하강 검출부,
    상기 하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하강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로의 상황이 검출되면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발생하여 하강 경로 형성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강 완충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하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하강 완충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하강 경로 형성신호의 입력에 따라 길게 팽창되어 상기 통로를 일시 차단하는 하강용 매트,
    상기 벽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하강용 매트의 보관을 지지하며, 상기 하강용 매트의 팽창시 상기 하강용 매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하강 지지부, 그리고
    상기 하강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하강 경로 형성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상기 하강용 매트의 일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하강용 매트를 팽창시키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강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하강 완충부는
    상기 제1 하강 완충부의 제1 하강용 매트와 상기 제2 하강 완충부의 제2 하강용 매트는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결합면을 갖고 외력에 따라 상기 결합면이 분리되어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하강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면간의 결합을 강화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강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 실리콘 고무, 흡착패드, 자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강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하강 완충부는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측 벽면에 수납형태로 구비되는 하강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통로는 건물의 승강기 통로인 하강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물의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는 상기 통로를 개방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하강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승강기 통로에 배치된 승강기의 외부 상면에 구비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하강장치.
KR1020180174142A 2018-12-31 2018-12-31 하강장치 KR10209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42A KR102093278B1 (ko) 2018-12-31 2018-12-31 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42A KR102093278B1 (ko) 2018-12-31 2018-12-31 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278B1 true KR102093278B1 (ko) 2020-03-25

Family

ID=7000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142A KR102093278B1 (ko) 2018-12-31 2018-12-31 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2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163A (ko) * 2002-04-18 2005-01-15 베르너 회프리거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60014496A (ko) * 2004-08-11 2006-02-16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KR20090067815A (ko) * 2007-12-21 2009-06-25 손승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163A (ko) * 2002-04-18 2005-01-15 베르너 회프리거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60014496A (ko) * 2004-08-11 2006-02-16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KR20090067815A (ko) * 2007-12-21 2009-06-25 손승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800B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US20080223656A1 (en) Self-deploying automatic inflatable fire escape (SAFE)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WO2005035064A1 (en) Modular, external emergency structure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as a fire escape
KR102093278B1 (ko) 하강장치
JP2010121385A (ja) 防災装置
CN102009888B (zh) 电梯救援运转系统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US10599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kiosk which responds to natural disasters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JP2007210779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677869A (zh) 一种房屋建筑竖向防火排气道系统
KR101271178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CN112160427B (zh) 一种基于bim的3d打印装配式建筑
KR102265833B1 (ko)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WO2004054658A1 (en)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20230013685A (ko) 화재감지시 자동차폐기능을 갖는 방화겸용 롤스크린
CN207293883U (zh) 防火升降移动设备
JP5612059B2 (ja) 耐火ドア
KR101996720B1 (ko) 고층건물 비상탈출용도의 내화·방연 구조로 된 도관 장치
KR20190101779A (ko) 중력가속도 저감을 통한 피난장치
KR1025979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KR101656041B1 (ko)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JP3242214U (ja) 耐震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