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833B1 -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833B1
KR102265833B1 KR1020190107282A KR20190107282A KR102265833B1 KR 102265833 B1 KR102265833 B1 KR 102265833B1 KR 1020190107282 A KR1020190107282 A KR 1020190107282A KR 20190107282 A KR20190107282 A KR 20190107282A KR 102265833 B1 KR102265833 B1 KR 10226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building
fire
evacuation route
scenar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470A (ko
Inventor
김정엽
이수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0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정보 및 재실자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건물의 복도의 분기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 및 상기 센서부의 정보를 송신 받아 복수의 상기 방연설비 중 일부을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Evacuation route sec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moke prevention facilities}
실시예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에어커튼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경제 성장에 따라 건축기술 역시 발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축물은 대형화와 (초)고층화, 인텔리젼트화 되어가고 있고, 건축물의 용도도 복잡 다양화되어 하나의 빌딩을 점포, 음식점, 사무실 등 복합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최근 소방안전대책에 의해 고도화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화재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고, 생활공간의 다변화로 (초)고층건물이나 대단위 건축물이 등장하면서 화재로 인한 재산과 인명피해의 증가는 엄청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때, 화재로 인한 인명안전의 영향에는 화재발생장소 부근의 화열(火熱)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화재기류에 의해 건물 내에 확산 되는 연기로 인한 질식사로 인해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 되는 연기가 인명 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살펴보면, 연기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된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 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연기가 인명위험의 가장 중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화염에 비해 연기가 건물 내 확산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플라스틱, 도료 등 석유화학제품이나 합성섬유로 된 카펫 등 신건축자재를 이용한 대형 고층건물에서 새롭고 다양한 재질로 된 용품을 사용함에 따라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에는 다량의 연기는 건물 내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들의 시계를 가리고 대피로를 찾지 못하게 하며 그 독성으로 인하여 질식되기도 하여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되며 화재건물의 접근을 방해하여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가져다 준다.
한편, 건축물의 화재발생 시 연기이동을 막고 피난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국내 건축법에서는 건축물의 11층 이상 또는 지하 3층 이하의 층에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 구조되기까지 일시적으로 머무는 피난장소의 역할과 화재실의 연기가 피난계단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장벽(barrier)역할을 할 수 있는 제연구역(부속실,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등)과 같은 보호 공간(이하, '보호 공간'이라 한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재발생 공간과는 구분되는 보호구역에는 출입문이 설치되어 대피가 가능하지만, 출입문은 방연성능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방화문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문 무게 증가로 인한 일상 사용의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065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옥상 또는 지상에 급기용 외기취입구를 가지며, 건물내측에 수직급기덕트 및 수평급기덕트를 가지며 고층건물의 각층에는 부속실이 마련되고 제연구역경계(부속실출입문내측 상단)에는 수평급기덕트와 접속된 에어커튼기기를 설치하여 화재시 에어커튼기기가 작동하면 외기취입구에서 취입된 옥외의 신선한 공기가 수직급기덕트 및 수평급기덕트를 통하여 에어커튼기기토출구로 토출되며 이때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공기막)으로 화재층의 거실또는 복도에서 발생된 연기가 부속실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직접차단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업무용 건물등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에어커튼(공기막)이 화재시 거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부속실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고속의 공기 방연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수단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며, 건축물 공간의 구조와 연기확산 특성 및 피난경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방연에 의한 안전한 피난경로 확보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065호.
실시예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방연설비의 작동 방향을 변경하여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정보 및 재실자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건물의 복도의 분기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 및 상기 센서부의 정보를 송신 받아 복수의 상기 방연설비 중 일부을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연설비는 에어커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커튼은 적어도 상기 복도의 분기지점에 연결되는 복도의 개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에어커튼은 일측 단부가 하나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물에서 화재 발생위치에 따른 연기의 이동방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저장하는 시나리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화재발생 위치와 상기 시나리오부에서 예측되는 화재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에어커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나리오부는 건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건물의 구조, 건물의 통로구조, 재실자밀도, 건출물의 사용조건 중 적어도 4개 이상을 조합하여 화재 확산방향을 예측하여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확산 방향을 예측하는 방향예측 단계; 건물내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화재 확산 방향과 재실자 정보를 종합하여 피난 경로를 도출하는 피난 경로 도출 단계; 및 상기 피난 경로에 따라 건물의 복도 분기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 중 일부를 동작시키는 방연설비 동작 단계;를 포함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연기의 이동과 재실자의 피난 경로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도록 방연설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 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의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 및 재실자 상황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며, 화재로 인한 재실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연설비 배치의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1의 방연설비 배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4은 도 2의 화재 발생시 제1 운용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화재 발생시 제2 운용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연설비 배치의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1의 방연설비 배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200)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은 센서부(100), 제어부(300), 방연설비(200) 및 시나리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정보 및 재실자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110)와 재실자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영상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10)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10)는 건물의 복도의 분기점에 배치되며, 각 복도 마다 각각 설치되어 화재의 정보 및 연기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락식 감지기의 경우, 설정된 온도에서 화재 발생신호를 1회만 송출하는 바, 화재의 발생여부는 감지할 수 있으나 화재 상황에 대한 추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화재 감지 센서(110)는 화재에 대한 감지를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하기 위해 아날로그식 감지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 감지 센서(110)로 아날로그식 감지기가 사용되는 경우, 화재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온도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동안의 화재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센서(130)는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영상센서(130)는 복도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재실자의 이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영상센서(13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카메라와 같이 재실자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방연설비(200)는 건물의 복도의 분기지점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방연설비(200)는 연기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방연설비(200)는 에어커튼(210)이 사용될 수 있다.
에어커튼(210)은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블로워(미도시)와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21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에어커튼(210)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커튼(210)은 복도의 분기지점에 연결되는 복도의 개수보다 많은 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4개의 에어커튼(210)이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구조이며, 도 3은 3개의 에어커튼(21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커튼(210)은 적어도 상기 복도의 분기지점에 연결되는 복도의 개수가 배치될 수 있다. 복도의 개수보다 에어커튼(210)의 수가 적은 경우는 필요한 대피통로가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재실자의 위치와 화재의 진행 방향, 비상구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피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에어커튼(210)의 수가 복도의 개수보다 같거나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구비되는 에어커튼(210)은 일측단부가 하나의 점을 향하도로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210)을 통해 대피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대피통로 측으로 연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각 에어커튼(210)의 일측단부가 서로 동일한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연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4개의 에어커튼(210)이 배치되는 경우,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3개의 에어커튼(210)이 배치되는 경우 120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210)의 배치 각도는 복도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송신받아 복수의 방연설비(200) 중 일부를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의 에어커튼(210) 중 일부를 가동하여 연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에어커튼(2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에어커튼(2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의 상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아래에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
시나리오부(400)는 건물에서 화재 발생위치에 따른 연기의 이동방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시나리오부(400)는 화재의 발생위치에 따라 연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사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시나리오부(400)는 건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건물의 구조, 건물의 통로구조, 재실자밀도, 건출물의 사용조건 중 적어도 4개 이상을 조합하여 화재 확산방향을 예측하여 시나리오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화재의 발생위치와 시나리오부(400)에서 예측되는 화재의 확산방향을 고려하여 에어커튼(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화재의 발생위치를 전달 받은 경우, 시나리오부(400)에 저장된 다수의 시나리오에서 화재의 발생위치와 일치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며, 선택된 시나리오에서 도출되는 화재 또는 연기의 확산 방향에 따라 복수의 에어커튼(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은 도 2의 화재 발생시 제1 운용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도의 분기지점은 3개의 복도가 연결되고 있으며, 4개의 에어커튼(210)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제1 복도(10)에 배치되는 제1 화재 감지 센서(110a)에서 화재가 감지되고, 재실자들의 다수가 제2 복도(20)에 배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에어커튼(210a)과 제2 에어커튼(210b)을 동작하고, 제3 에어커튼(210c)과 제4 에어커튼(210d)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복도(10)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제1 복도(10)에 설치되어 있는 환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재실자는 제3 에어커튼(210)과 제4 에어커튼(210)을 통해 형성되는 피난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화재 발생시 제2 운용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도의 분기지점은 3개의 복도가 연결되고 있으며, 4개의 에어커튼(210)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제3 복도(30)에 배치되는 제3 화재 감지 센서(110)에서 화재가 감지되고, 재실자들의 다수가 제3 복도(30)에 배치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에어커튼(210a)과 제4 에어커튼(210d)을 동작하고, 제2 에어커튼(210b)과 제3 에어커튼(210c)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복도(20)의 재실자들이 대피구가 있는 제3 복도(30)로 이동하는 경우 연기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 경우, 제3 복도(30)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제1 복도(10)내에 설치되어 있는 환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재실자는 연기의 피해를 받지 않고 제2 복도(20)에서 구조대를 기다릴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200)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200)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연설비(200)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연설비(200)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은 화재감지 단계(S100), 방향예측 단계(S200), 피난 경로 도출 단계(S300) 및 방연설비(200) 동작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 단계(S10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10)는 건물의 복도의 분기지점을 기준으로 각 복도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방향예측 단계(S2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방향예측 단계(S200)는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연기의 진행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화제의 발생위치와 시나리오부(400)에 저장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연기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피난 경로 도출 단계(S300)는 건물내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화재 확산방향과 재실자 정보를 종합하여 피난 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피난 경로 도출 단계(S300)는 연기의 이동과 재실자의 피난 경로를 고려하여 최적의 피난경로를 선책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피난 경로 도출 단계(S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도록 방연설비(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피난 경로 도출 단계(S300)는 센서부(100)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 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방연설비(200) 동작단계(S400)는 피단 경로 도출 단계(S300)에서 피난 경로에 따라 건물의 복도 분기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200) 중 일부를 동작하여 피난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110 : 화재 감지 센서
130 : 영상센서
200 : 방연설비
210 : 에어커튼
300 : 제어부
400 : 시나리오부

Claims (12)

  1.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정보 및 재실자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건물의 복도의 분기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 및
    상기 센서부의 정보를 송신 받아 복수의 상기 방연설비 중 일부를 동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방연설비는 에어커튼이 사용되고,
    건물에서 화재 발생위치에 따른 연기의 이동방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저장하는 시나리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화재발생 위치와 상기 시나리오부에서 예측되는 화재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에어커튼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시나리오부는 건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건물의 구조, 건물의 통로구조, 재실자밀도, 건출물의 사용조건 중 적어도 4개 이상을 조합하여 화재 확산방향을 예측하여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은 적어도 상기 복도의 분기지점에 연결되는 복도의 개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에어커튼은 일측 단부가 하나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9.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확산 방향을 예측하는 방향예측 단계;
    건물내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화재 확산 방향과 재실자 정보를 종합하여 피난 경로를 도출하는 피난 경로 도출 단계; 및
    상기 피난 경로에 따라 건물의 복도 분기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연설비 중 일부를 동작시키는 방연설비 동작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예측 단계는 화재의 발생위치와 시나리오부에 저장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연기의 진행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시나리오부는 건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건물의 구조, 건물의 통로구조, 재실자밀도, 건출물의 사용조건 중 적어도 4개 이상을 조합하여 화재 확산방향을 예측하여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연기의 이동과 재실자의 피난 경로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경로를 확보하도록 방연설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경로 도출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연기의 이동방향, 건물 내 비상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연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방법.
KR1020190107282A 2019-08-30 2019-08-30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82A KR102265833B1 (ko) 2019-08-30 2019-08-30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82A KR102265833B1 (ko) 2019-08-30 2019-08-30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70A KR20210026470A (ko) 2021-03-10
KR102265833B1 true KR102265833B1 (ko) 2021-06-16

Family

ID=7514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82A KR102265833B1 (ko) 2019-08-30 2019-08-30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22B1 (ko) * 2022-12-09 2023-12-0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플랜트 화재 예측 및 시뮬레이션 기반의 전자동 방수총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858A (ja)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5330094A (ja) * 2004-05-21 2005-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制御装置及び排煙制御方法
JP2009264619A (ja) * 2008-04-23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室内空調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538A (ja) * 1983-05-10 1984-11-21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屋内通路のエア・カ−テン装置
KR20070001065U (ko) 2007-08-30 2007-10-04 김창환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4872A (ko) * 2016-03-11 2016-03-30 안송길 화재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858A (ja)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5330094A (ja) * 2004-05-21 2005-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制御装置及び排煙制御方法
JP2009264619A (ja) * 2008-04-23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室内空調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70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3859A1 (es) Método de accionamiento de dispositivos de seguridad en una edificación.
JP4822812B2 (ja) 避難者行動予測装置および避難者行動予測方法
KR20130136758A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2265833B1 (ko)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Law Fire and smoke models-their use in the design of some large buildings.
KR102200410B1 (ko)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Rini Applying Indonesia Regulation on Fire Protection System at WTC 1 Building in Jakarta through Fire Risk Assessment (FRA)
KR101556377B1 (ko) 슬라이드식 간이형 계단부속공간 확보 장치
Datta Fire and Life Safety Evaluation of Christopher Cohan Center
CN112096166B (zh) 提升交通建筑配套地下商业设施防火安全性能的设计方法
JP2580438B2 (ja) 給排気制御による大空間の火災抑制・保安方法
CN117436774A (zh) 基于数字孪生的高层建筑多目标协同消防应急处理方法
Anderson Cal Poly State University Robert E. Kennedy Library Fire Protection Analysis Report
Batra Modern fire safety engineering trends
Mallett Two-Storey Office Building
Olmstead Fire and Life Safety Analysis: Robert E Kennedy Library, Cal Poly San Luis Obispo Campus
Terrer Fos Interaction between ESFR and smoke vents in industrial warehouses
KR20230150773A (ko) 중성대 위치조절형 제연시스템
Ulpan et al. Influence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solutions on fire risk in public buildings
Francis A Fire Protection Life Safety Analysis of Permian Oil Plaza
Voloshenko MIXED‐USE COMMERCIAL AND RESIDENTIAL PODIUM BUILDING
AUYEZOVA et al. INFLUENCE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SOLUTIONS ON FIRE RISK IN PUBLIC BUILDINGS
Salcedo ATX Storage: Fire and Life Safety Analysis
Shields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RE, BIRMINGHAM. FIRE ENGINEERING.
CN111437552A (zh) 公寓火灾安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