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410B1 -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410B1 KR102200410B1 KR1020190178329A KR20190178329A KR102200410B1 KR 102200410 B1 KR102200410 B1 KR 102200410B1 KR 1020190178329 A KR1020190178329 A KR 1020190178329A KR 20190178329 A KR20190178329 A KR 20190178329A KR 102200410 B1 KR102200410 B1 KR 102200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information
- evacuation
- fir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 및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시, 각 층별 재실 인원과 대피 수단을 통해 탈출 가능한 구역으로의 도달 시간을 고려하여, 최대한 많은 인원을 빨리 출구까지 수용하여 탈출 가능하도록 유도함에 있어 탈출 순서를 정하여 혼잡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경로로써 빠르게 도달하여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 및 숙박시설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판이나 알림 등이 해당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종래의 시스템은 건물 내의 모든 사람들이 빠르게 비상구를 찾을 수 있도록 가까운 안내판 또는 승강기를 안내해 주어 탈출 최적 경로를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알려주는 안내판을 향해, 또는 대피 시 운영되는 승강기를 통해 건물 내의 모든 인원이 혼잡한 상황에서 비규칙적으로 이동 시,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와 안전 사고 발생 또한 화재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126571호에서는 초고층 빌딩에서 특히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못하게 될 시, 빌딩의 외부에서 드론을 사용해서 구조차의 대형 모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에 상황에 맞게 2줄로 설치하고, 와이어에 구조용 상자를 매달아서 왕복 운행함으로써 빌딩 외부의 높이에 제약을 덜 받으면서도 화재 때문에 집안에 고립된 사람들을 구조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초고층 빌딩의 규모가 상당하여 내부의 인원을 구조용 상자를 통해 모두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드론 및 와이어를 통해 고립된 인원을 모두 구조하기까지 화재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왕복 운행이 반복 가능한지 불명확하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재 대피 시스템에서 탈출 최적 경로만을 제시하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층별 인원과 출구까지의 대피 속도를 통해 최단시간에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면서도, 대피 순서를 정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규칙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함에 있어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고려하여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최대한의 인원이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과 옥상을 탈출 구역으로 정함으로써 화재 발생층에 따라 층별 대피 순서를 다르게 정하여 최대한의 인원이 최단 시간 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층부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제1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일 영역이고, 상기 중층부는,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피난 안전 구역 사이에 위치한 일 영역이고, 상기 고층부는, 상기 제2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고층 빌딩의 최상부까지 포함하는 일 영역이고, 상기 층별 단말은, 상기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 또는 상기 피난 안전 구역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는, 기 저장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Simulation)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된 경우, 화재 진압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화재 진압 정보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고, 상기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층별 단말에 상기 탈출 안내 정보 또는 상기 화재 진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화재 발생층 및 상기 화재 발생층에 인접된 층의 우선 순위를 최우선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와 탈출 임계 인원 정보에 따라 상기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화재 발생층을 기준으로, 상기 탈출 구역은 옥상으로도 설정 가능하고,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탈출 구역이 옥상 또는 지상층으로 나뉘어질 경우,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각 탈출 구역까지의 이동 속도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부;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부;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출 최적 경로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층별 인원과 출구까지의 대피 속도를 통해 최단시간에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면서도, 특히 대피 순서를 정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규칙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와 안전 사고 발생 또한 화재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함에 있어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고려하여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일정한 인원이 탈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피 순서를 지키며 대피 시의 충돌 등의 2차피해를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하여 지속적으로 최대 인원이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과 옥상을 탈출 구역으로 정함으로써 화재 발생층에 따라 층별 대피 순서를 다르게 정하여 최대한의 인원이 최단 시간 내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경로를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의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와 피난 안전 구역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단계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시간 및 대피 수단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출 안내 정보가 층별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의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와 피난 안전 구역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단계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시간 및 대피 수단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출 안내 정보가 층별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구현된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시, 각 층별 재실 인원과 대피 수단을 통해 탈출 가능한 구역으로의 도달 시간을 고려하여, 최대한 많은 인원을 빨리 출구까지 수용하여 탈출 가능하도록 유도함에 있어 탈출 순서를 정하여 혼잡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경로로써 빠르게 도달하여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재 대피 시스템에서 탈출 최적 경로만을 제시하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층별 인원과 출구까지의 대피 속도를 통해 최단시간에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면서도, 대피 순서를 정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규칙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함에 있어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고려하여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함으로써 단위 시간 동안 최대한의 인원이 탈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지상과 옥상을 탈출 구역으로 정함으로써 화재 발생층에 따라 층별 대피 순서를 다르게 정하여 최대한의 인원이 최단 시간 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의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와 피난 안전 구역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단계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시간 및 대피 수단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출 안내 정보가 층별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이다.
먼저,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크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A1, A2)을 기준으로 저층부(F3), 중층부(F2) 및 고층부(F1)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10)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20)을 통해 수신 시, 층별 단말(20)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S10), 층별 단말(20)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S20),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S30),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 및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층별 단말(20)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피난 안전 구역(A1, A2)을 기준으로 저층부(F3), 중층부(F2) 및 고층부(F1)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10)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20)을 통해 수신 시, 층별 단말(20)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S10)가 수행된다.
초고층 빌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초고층 빌딩의 저층부(F3)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제1 피난 안전 구역(A2)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일 영역이고, 중층부(F2)는 제1 피난 안전 구역(A2)과 제1 피난 안전 구역(A2)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피난 안전 구역(A1) 사이에 위치한 일 영역이고, 고층부(F1)는 제2 피난 안전 구역(A1)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고층 빌딩의 최상부까지 포함하는 일 영역이고, 층별 단말(20)은 저층부(F3), 중층부(F2) 및 고층부(F1) 또는 피난 안전 구역(A1, A2)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술한 피난 안전 구역(A1, A2)은 재실 인원을 옥외까지 피난하게 할 시에 무리가 있기 때문에 건축물 중간에 화재 시 철저하게 보호되는 구역을 설치함으로써 1차로 피난시키는 장소를 가리킨다. 이는 초고층 건물에 화재를 비롯한 각종 비상사태 시 노약자나 어린이 등 피난을 함에 있어 비상계단을 통하여 피난을 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난을 함에 있어 서로간에 방해가 되어 피난 흐름속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임시적인 대피 지역이 필요하게 되고, 많은 인원들이 한꺼번에 피난계단으로 몰려 생기는 문제를 완화하고 피난의 흐름을 원활하게 시켜 빠른 피난활동과 함께 비상대원의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여러 구역들로 분리되는 초고층 빌딩에는 정해진 구역마다 화재 감지 센서(10)를 두어 화재를 감지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연기의 변화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 온도를 감지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도 알 수 있듯, 이러한 화재 감지 센서(10)의 센싱 결과를 층별 단말(20)을 통해 수신하여, 층별 단말(20)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층별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통하여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의 100에서는 층별 단말(20)의 식별 정보를 통해 화재 발생층이 65층임을 감지하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S10)는 기 저장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Simulation)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된 경우, 화재 진압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가 더 포함되는 이유는, 초고층 빌딩이 포함하고 있는 화재 진압 설비를 통하여 충분히 진압 가능한 규모의 화재인 경우에는 초고층 빌딩의 많은 재실 인원이 이동함이 없이 그 화재 진압 설비를 통해서 진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본적으로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는 대규모 피해가 발생되므로, 우선 화재가 발생 가능한 원인을 없애고 만약에 화재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화재를 방어할 수 있는 전자동식 시스템(예를 들어 스프링 쿨러 설비 등)으로 구축하고 2중, 3중의 방어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의 원인이 주로 연기 및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 및 중독사임을 고려하여 건물 내에서 연기 이동을 좌우하는 원인인 기후 조건(예를 들어 풍향 또는 기온), 건물 내의 개폐상황 또는 계단에서 발생 가능한 굴뚝 효과의 영향이 있을 수 있어 배연 설비와 연기 제어 설비까지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상술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는 전자동식 시스템뿐만이 아니라 건물의 구조와 이에 따른 배연 설비 등 여러 가지 시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할 때에는, 설치된 화재 진압 설비를 통해 진압하도록 하고, 화재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확산되어 번지게 될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보다 더 넓은 화재 진압 설비까지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화재 진압이 가능한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시뮬레이션을 통해 충분히 진압이 가능하다고 예측될 경우에는 화재 진압 정보가 생성됨을 통해 별도의 피난이 없어도 됨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200에는 일 예로, 화재 진압 시뮬레이션이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이 일 예로 도시되어 있는데, 화재 발생 구역에서의 소방 장비를 가장 먼저 점검하고, 다음에는 화재 확산 속도를 계산하여 마지막으로는 최종적으로 대피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200을 통해서는 화재에 대한 진압이 어려워 불가피하게 대피하는 것으로 결정됨을 알 수 있고, 화재 진압 정보가 생성될 경우에는 "대피 최종 결정"이 아닌 "진압 가능"이 표기될 수 있을 것이다.
화재 진압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상술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에서는 화재 진압 정보를 통해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고,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에서는 층별 단말(20)에 탈출 안내 정보 또는 화재 진압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화재 진압 정보를 통해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에서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 시에 화재 진압 정보에 포함되는 화재 진압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위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화재 진압 가능한 위치는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함에 있어 후순위로 두거나 대피 순서에 올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고,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에서는 탈출 안내 정보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 정보까지 전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탈출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탈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S10) 이후에는 상기 층별 단말(20)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는데, 층별 재실 인원은 초고층 건물에서의 각 층별 현존하는 인원을 가리키는 것으로, 층별 단말(20)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을 확인함에 있어서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영상을 통해 인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층별 단말(20)이 수집한 각 층별 재실 인원의 입퇴실 및 출입 기록을 통해 정확한 인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S30)가 수행된다.
상술한 기 저장된 대피 수단은 대표적인 예로 비상계단 또는 승강기가 있을 수 있고, 피난 시에는 이뿐만 아니라 특별피난계단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시설이 아닌 기본적으로 설정된 피난동선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대피 수단 정보는 이동 시에 소요되는 각 대피 수단별 평균 속도 또는 최대 수용 가능 인원 등에 대한 값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대피 수단 정보와 상술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단위 인원 내지는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시간 및 대피 수단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써, 피난 안전 구역(A1, A2)과 출구의 위치를 알 수 있고, 화재 발생층이 65층임을 알 수 있다. 60층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피난 안전 구역까지는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제2 피난 안전 구역까지는 일반 및 비상 엘리베이터를 통해, 제2 피난 안전 구역부터 출구까지는 계단, 일반 및 비상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으며, 물론 이는 이동 시의 유일의 수단일 수도 있으나 최단 이동 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는 대피 수단을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함께 각각 소요되는 시간까지 알 수 있도록 하여 대피함에 있어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탈출 구역은 기본적으로 지상층에 위치한 초고층 빌딩의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구역을 가리킬 수 있는데, 이러한 탈출 구역은 탈출 가능하도록 하는 최대 인원의 임계값을 가지고 있다. 이를 탈출 임계 인원 정보라 하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출구의 폭이 동시에 대략 성인 2명이 나란히 나갈 수 있는 폭이라면 폭 방향으로는 2명 정도로 나갈 수 있도록 하거나, 한꺼번에 100여명 이상이 출구를 통해 나가려 할 시 파손되거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임계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탈출 구역의 탈출 임계 인원 정보와 함께 상술한 층별 도달 시간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와 화재 발생층을 기준으로 층별 대피 순서를 구하는데, 이러한 순서를 구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층에 각 100명씩이 수용되어 있고, 지상층을 포함한 층별 도달 시간은 동일하게 소요되는 경우, 이러한 조건 하에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에서는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인접된 층이 화재가 도달할 시간이 더 짧을 가능성이 크므로 우선 순위를 최우선으로 설정하여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할 수 있는 것이고, 예시의 경우 서로 다른 층이더라도 화재 발생층이거나 화재 발생층에 더 인접된 층을 우선 순위로 하여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층별 대피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는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층별 재실 인원 정보와 탈출 임계 인원 정보에 따라 저층부(F3)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할 수 있다. 즉, 층별 대피 순서는, 층별 재실 인원과 탈출 구역까지의 속도를 기준으로 결정하고, 이때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고려해서 저층부(F3)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한다.
이때, 분산함을 일 시점에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과,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해서, 탈출 임계 인원 정보와 그 예상되는 인원의 차이값이 저층부(F3)의 해당 시점 대피 인원이 되도록 각 대피 순서를 분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탈출 임계 인원이 100명인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할 경우, 중층부(F2)에 위치한 층별 재실 인원 50명이 탈출 구역으로 향함에 있어 약 10여분이 소요될 시, 중층부(F2)의 층별 재실 인원 50명이 탈출 순서가 되어 탈출 구역으로 이동 중인 10여분 동안에는 저층부(F3)의 층별 재실 인원 100명이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하도록 하고, 10분 후, 중층부(F2)의 50명이 탈출 구역에 다다를 경우에는 중층부(F2)의 50명과 저층부(F3)에 남은 재실 인원 50명이 함께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층부(F3)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함으로써, 탈출 임계 인원이 존재하는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함에 있어서 인원이 과도하게 탈출 구역에 몰리거나, 혹은 더 탈출이 가능함에도 소수의 인원만을 수용하여 탈출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서로 간의 과도한 충돌과 겹침을 피해 피난 시의 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단위 시간동안 최대한 많은 인원을 탈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에서는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통해서도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층 빌딩 등에서 화재 확산 속도를 구할 시에는 다양한 인자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화재가 최초로 발생한 화재 발생층 내 물건들의 발화점, 건물 구조도, 또는 대피 경로와 각 층에 위치된 인화성 물질에 대한 정보, 기본적인 연소 및 열역학적 물성 및 가연물의 적재 상태 등 다양한 인자들을 통해 화재 확산 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듯 다양한 인자를 통해 화재 확산 속도를 산출할 경우, 그 연산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게 되고 인자에 따라 불명확한 결과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느린 연산 속도를 통해 화재 확산 속도를 산출하게 될 경우, 화재 대피 경로를 설정함에 있어서도 경로 설정 속도 또한 느려지고, 심지어 화재 대피 경로에 미처 화재 확산 속도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아 화재 대피 경로에 이미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화재 확산 속도를 산출할 시에는 다음 단계로 대피 순서까지 정해야 하는 연산을 빠르게 산출해야 하기 때문에 층별 마감재에 대한 발화점 등 비교적 간단한 몇 가지 인자들로써 산출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를 함께 비교하여, 일 시점의 특정한 층에 화재가 발생될 예정인지, 그 일 시점에 층별 재실 인원이 존재할 것인지 예측함으로써, 만일 특정한 일 시점에 화재가 확산이 될 것이라 예상되는 층에 층별 재실 인원이 그럼에도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해당 층의 대피 순서를 우선으로 더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과정을 통해 대피 순서를 정함으로써 탈출 최적 경로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층별 인원과 출구까지의 대피 속도를 통해 최단시간에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면서도, 특히 대피 순서를 정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서도 규칙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와 안전 사고 발생 또한 화재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여기에 화재 확산 속도까지 대피 순서에 더 반영함으로써 대피 인원들이 화재를 피하면서 탈출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탈출 구역은 피난 안전 구역과 화재 발생층을 기준으로, 탈출 구역은 지상층만이 아닌 물론 옥상으로도 설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는 탈출 구역이 옥상 또는 지상층으로 나뉘어질 경우,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각 탈출 구역까지의 이동 속도를 통해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이 가능하다.
탈출 구역을 지상층 또는 옥상으로 나뉘어 설정하는 것은, 화재의 위치(예를들어 화재 발생층이 중층부(F2)일 경우)에 따라 고층부(F1)의 인원은 지상층으로 가기 보다는 옥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빠른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옥상으로 이동하고, 중층부(F2) 및 저층부(F3)는 지상층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탈출 구역이 옥상 또는 지상층으로 나뉘어질 경우에는 어느 위치의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하느냐에 따라 이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 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층별 대피 순서가 정해질 경우,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20)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를 수행함으로써, 층별 재실 인원이 탈출하도록 한다.
즉, 상술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S40)에서 일정 시점에 대피하도록 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의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층별 단말(20)에는 도 7과 같이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출 안내 정보가 층별 단말(20)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써, 탈출 순서가 되어 탈출 하도록 안내하는 정보와, 2분이라는 탈출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출력된 것이다. 층별 재실 인원은 탈출 대기 중에 이러한 층별 단말(20)의 탈출 안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순서에 따라 탈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듯 시각적으로 안내함은, 대피가 순서대로 진행되고 있고, 언제쯤 탈출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각종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질서있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부(31),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부(32),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부(33),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부(34), 탈출 안내 정보 전송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화재 발생 정보 감지부(31)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부(32)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부(33)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부(34)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탈출 안내 정보 전송부(35)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5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에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부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앞서 언급한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는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층부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제1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중층부는,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피난 안전 구역 사이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고층부는, 상기 제2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고층 빌딩의 최상부까지 포함하는 일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 또는 상기 피난 안전 구역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층별 단말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는,
기 저장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Simulation)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된 경우, 화재 진압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화재 발생 구역에서의 소방 장비를 가장 먼저 점검하고, 다음으로 화재 확산 속도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대피 여부를 판단하는 시뮬레이션이 단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며,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 또는 화재 진압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되, 층별 마감재에 대한 발화점을 비교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가 재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화재 발생층 및 상기 화재 발생층에 인접된 층의 우선 순위를 최우선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와 탈출 임계 인원 정보에 따라 상기 저층부의 재실 인원의 대피 순서를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화재 발생층을 기준으로, 상기 탈출 구역은 옥상으로도 설정 가능하고,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탈출 구역이 옥상 또는 지상층으로 나뉘어질 경우,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각 탈출 구역까지의 이동 속도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에 있어서,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부;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부;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층부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제1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중층부는,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피난 안전 구역 사이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고층부는, 상기 제2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고층 빌딩의 최상부까지 포함하는 일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 또는 상기 피난 안전 구역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층별 단말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발생 정보 감지부는,
기 저장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Simulation)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된 경우, 화재 진압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화재 발생 구역에서의 소방 장비를 가장 먼저 점검하고, 다음으로 화재 확산 속도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대피 여부를 판단하는 시뮬레이션이 단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며,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 또는 화재 진압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부는,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되, 층별 마감재에 대한 발화점을 비교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가 재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장치.
-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로 구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각 층별로 수집하는 층별 단말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층별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층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
상기 층별 단말을 통해, 확인된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수신하는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수신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대피 수단 정보와 수신된 상기 층별 재실 인원 정보를 통해 층별 재실 인원이 지상층까지 도달 가능한 층별 도달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산출 단계;
상기 층별 도달 시간 정보, 층별 재실 인원 정보 및 기 설정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를 비교하여 층별 대피 순서가 설정된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에 포함된 층별 대피 시점에 따라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탈출 안내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층부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제1 피난 안전 구역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중층부는,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과 상기 제1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피난 안전 구역 사이에 위치한 일 영역으로, 상기 고층부는, 상기 제2 피난 안전 구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고층 빌딩의 최상부까지 포함하는 일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저층부, 중층부 및 고층부 또는 상기 피난 안전 구역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층별 단말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발생 정보 감지 단계는,
기 저장된 화재 진압 설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Simulation)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된 경우, 화재 진압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진압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 진압 가능 여부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화재 발생 구역에서의 소방 장비를 가장 먼저 점검하고, 다음으로 화재 확산 속도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대피 여부를 판단하는 시뮬레이션이 단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며, 상기 층별 단말에 탈출 안내 정보 또는 화재 진압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 생성 단계는,
예측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통해 상기 층별 대피 순서를 재설정하되, 층별 마감재에 대한 발화점을 비교한 화재 확산 속도 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층별 대피 순서 정보가 재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067 | 2019-11-13 | ||
KR20190145067 | 2019-11-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0410B1 true KR102200410B1 (ko) | 2021-01-08 |
Family
ID=741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8329A KR102200410B1 (ko) | 2019-11-13 | 2019-12-30 |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4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6903B1 (ko) * | 2021-05-27 | 2022-01-04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
CN117809420A (zh) * | 2023-12-29 | 2024-04-02 | 营口天成消防设备有限公司 | 一种建筑内火灾逃生指引方法及系统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57162A (ja) * | 1993-08-19 | 1995-03-03 | Sekisui House Ltd | 連結ビルの避難誘導方法 |
JP2006201961A (ja) * | 2005-01-19 | 2006-08-03 | Hitachi Ltd | 災害時誘導システム、災害時誘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60116987A (ko) * | 2015-03-31 | 2016-10-10 | (주)이공감 |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JP2017021692A (ja) * | 2015-07-14 | 2017-01-26 | 能美防災株式会社 | 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順次避難計画策定方法 |
KR20190061974A (ko) * | 2017-11-28 | 2019-06-05 |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8329A patent/KR102200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57162A (ja) * | 1993-08-19 | 1995-03-03 | Sekisui House Ltd | 連結ビルの避難誘導方法 |
JP2006201961A (ja) * | 2005-01-19 | 2006-08-03 | Hitachi Ltd | 災害時誘導システム、災害時誘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60116987A (ko) * | 2015-03-31 | 2016-10-10 | (주)이공감 |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JP2017021692A (ja) * | 2015-07-14 | 2017-01-26 | 能美防災株式会社 | 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順次避難計画策定方法 |
KR20190061974A (ko) * | 2017-11-28 | 2019-06-05 |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6903B1 (ko) * | 2021-05-27 | 2022-01-04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
CN117809420A (zh) * | 2023-12-29 | 2024-04-02 | 营口天成消防设备有限公司 | 一种建筑内火灾逃生指引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134B1 (ko) |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 |
CN108710976B (zh) | 动态逃生路线生成方法、服务器、及系统 | |
US20170100609A1 (en) | Occupant evacuation control system | |
KR102124067B1 (ko) |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200410B1 (ko) |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
JP4822812B2 (ja) | 避難者行動予測装置および避難者行動予測方法 | |
CN109830092A (zh) | 消防救援调度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 |
KR101893040B1 (ko) |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
CN105561492A (zh) | 人的行为统计信息动态获取终端、疏散系统和方法 | |
US20080067006A1 (en) | Elevator System | |
KR101758860B1 (ko) |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88100B1 (ko) | 공간 위험 지수를 이용한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
CN106999739B (zh) | 智能型防灾逃生方法及其防灾逃生系统 | |
JP5158632B2 (ja) | 火災監視装置、及び火災監視方法 | |
KR101917215B1 (ko) |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 |
KR101785810B1 (ko) | 방화문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20210114699A (ko) | 복합 재난 대응 시스템 | |
CN109785568A (zh) | 火灾报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KR101778445B1 (ko) | 비상탈출유도방법 및 장치 | |
KR101991258B1 (ko) | 피난 유도물 및 피난 유도원의 배치효율 평가 방법 | |
KR20180036008A (ko) |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346903B1 (ko) |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 |
CN113995998B (zh) | 压缩空气泡沫消防灭火方法、系统及相关装置 | |
KR102233045B1 (ko) |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 |
JP2009175965A (ja) | 火災及び煤煙の伝搬を予測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