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56Y1 - 다용도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다용도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56Y1
KR200490056Y1 KR2020180000480U KR20180000480U KR200490056Y1 KR 200490056 Y1 KR200490056 Y1 KR 200490056Y1 KR 2020180000480 U KR2020180000480 U KR 2020180000480U KR 20180000480 U KR20180000480 U KR 20180000480U KR 200490056 Y1 KR200490056 Y1 KR 200490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afety vest
user
sides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21U (ko
Inventor
박지혜
Original Assignee
박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혜 filed Critical 박지혜
Priority to KR2020180000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5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실생활에 의복 또는 담요로 활용이 가능하고, 각종 재해 발생시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다용도 안전조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용도 안전조끼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캡(Cap) 형태로 형성되는 후드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 전방 및 상기 후드부의 안쪽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완충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전방 중앙부는 사용자의 등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은 사용자의 상체를 커버하여 상기 완충재들을 통해 해당 사용자를 보호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안전조끼{MULTIPURPOSE SAFETY VES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실생활에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각종 재해 발생시 신체를 보호하는 다용도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각종 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각종 안전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특히 각종 재해 발생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관련 의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조끼는 사용자의 신체 보호를 목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신체보호 장비들이 다양한 위치에 부착되어 착용시 움직임이 불편하고, 실생활에서 사용하에는 외관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77호는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2171호는 낙석방지용 안전조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낙석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거나 야간에 안전조끼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전을 개선한 기술은 개시하고 있으나, 실생활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각종 재해에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조끼 관련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실생활에 의복 또는 담요로 활용이 가능하고, 각종 재해 발생시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다용도 안전조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용도 안전조끼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캡(Cap) 형태로 형성되는 후드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 전방 및 상기 후드부의 안쪽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완충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전방 중앙부는 사용자의 등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은 사용자의 상체를 커버하여 상기 완충재들을 통해 해당 사용자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드부의 양측 하방에서 상단과 이격된 위치에 상하부로 절개된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들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결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전면이 사용자의 등을 감싸고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팔들이 상기 커버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모서리는 서로 교차하며 상기 결착부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부의 양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포켓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결합하여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팔을 커버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 상단에 결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용도 안전조끼는 평상시에 다양한 의복의 조끼로 착용이 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완충재들을 통해 각종 재해 발생시 물건이나 낙석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다용도 안전조끼는 착용이 쉽고, 의복이 아닌 베개, 이불 또는 돗자리로 활용이 가능하며, 양측면으로 신체를 감싸서 커버하는 다양한 착용방법들을 통해 여러 디자인의 의복들을 착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용도 안전조끼는 버튼이 위치한 부분에 경보기를 설치하여 지진대피시 위험상황에 위치를 주변에 알리고, 아동성범죄와 같은 위험상황에서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다른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또 다른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의 완충재 및 후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커버부(200), 후드부(400), 완충재(600, 620)들, 지퍼(700), 제1 포켓(800) 및 제2 포켓(900)을 포함한다.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중앙부 전면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형성된 절개된 부분들을 통해 양팔이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 각각의 전면을 서로 교차하며 사용자의 전방을 커버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평상시 정장, 캐쥬얼 의류 또는 교복 속의 조끼로 사용이 가능하고, 캠핑용 담요, 베게, 보자기 또는 돗자리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갑자기 물이 불어나는 재난 상황에서 담요로 활용하여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전면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부드럽게 감싸도록 털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면에는 각종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커버(220), 제1 결착부(242), 제2 결착부(244), 제1 결합부(243), 제2 결합부(245), 제1 개구부(260) 및 제2 개구부(262)를 포함한다.
커버(220)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좌측면(222)과 우측면(224)으로 구분되고,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후드부(400)를 사이에 두고 후드부(400)의 양측 하부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커버(220)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도록 절개된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이 형성된다.
해당 사용자는 커버(220)의 전면을 등에 밀착시킨 상태로 양쪽 팔들을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을 통해 커버(22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착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부(243, 245)들 각각은 우측면(224) 및 좌측면(222)들 각각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각각이 후드부(400)의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또는 제2 결착부(242, 244)들 중 어느 하나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착부(242)는 후드부(400)의 우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커버(220)의 상단 전면에 결합되고, 제2 결착부(244)는 후드부(400)의 좌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커버(220)의 상단 배면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결착부(242, 244)들 각각은 버튼, 자석, 벨크로 또는 스냅버튼의 결합구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43)는 커버(220)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245)는 커버(220)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243) 및 제2 결합부(245)들 각각은 제1 결착부(242) 또는 제2 결착부(244)들 중 어느 하나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절개선, 자석, 벨크로 또는 상기 스냅버튼의 나머지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양팔을 제1 개구부(260) 및 제2 개구부(262)들을 통해 커버부(2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2 결합부(245)를 제1 결착부(242) 또는 제2 결착부(244) 중 어느 하나와 결합시키면서 상체 전방을 커버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보면 제2 결합부(245)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결착부(242)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양팔을 제1 개구부(260) 및 제2 개구부(262)들을 통해 커버부(2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1 결합부(243)를 제1 결착부(242) 또는 제2 결착부(244) 중 어느 하나와 결합시키면서 상체 전방을 감싸도록 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는 제1 결합부(243)는 제2 결착부(244)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결착부(242, 244)들 각각은 누르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지진대피와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시 제1 결착부(242) 또는 제2 결착부(244)를 눌러서 주위에 위급한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결착부(242, 244)들 각각은 경보버튼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제1 결합부(243) 또는 제2 결합부(245)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 및 제2 결합부(243, 245)들 각각은 제1 및 제2 결착부(242, 244)들 각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보버튼 형태로 제작되는 제1 및 제2 결착부(242, 244)들 각각은 눌러서 작동시키는 경우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녹음을 시작하고 인접한 경찰서에 자동으로 전화를 시작하는 어플과 연동될 수 있다.
후드부(400)는 커버(220)의 중앙 상단과 결합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캡(Cap)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가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후드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을 통해 양팔을 커버부(2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후드부(400)를 통해 머리를 커버하는 형태로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착용하여 우비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완충재(600, 620)들 각각은 커버부(200)의 양측 전방 및 후드부(400)의 안쪽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벨크로 또는 접착물질을 통해 커버부(200) 및 후드부(400)에 접착된다.
완충재(600, 620)들 각각은 해당 사용자가 후드부(400)로 머리를 감싸고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신체와 커버부(200) 및 후드부(400)의 안쪽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완충재(600)들은 커버(220)의 양측 전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고, 직사각 또는 일측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발포 고분자 또는 변형이 용이한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가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어깨 상단과 밀착된다.
완충재(620)는 해당 사용자가 후드부(4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밀착되어 상부에서 머리를 향해 낙하하여 충돌하는 각종 낙하물질로부터 머리를 보호한다.
완충재(620)의 형태는 해당 사용자의 두상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후드부(400)의 안쪽에서 해당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반구형, 원형 플레이트, 일측이 반원형인 플레이트 또는 상부에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완충재(600, 620)들 각각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로 부착시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고, 후드부(400)를 통해 외부를 감싸서 베개 또는 쿠션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완충재(600, 620)들 각각은 압축팩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소지품들을 수납할 수 있고, 지퍼나 뚜껑을 통해 내부를 개방하여 소지품의 활용이 가능하다.
지퍼(700)는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 각각에 인접한 커버(220)를 연결하는 형태로 커버(220)와 결합되고,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 각각을 개방하여 커버(220)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거나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 각각을 밀폐하여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을 통해 양팔이 커버부(20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지퍼(700)를 통해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을 차단하여 돗자리, 보자기, 담요 또는 베개로 활용이 가능하고, 의류 또는 안전조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지퍼(700)를 열고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포켓(800)은 커버(220)의 배면에서 좌측면(222)과 인접한 위치에서 후드부(400)의 좌측 하방에 위치하고, 제2 포켓(900)은 우측면(224)과 인접한 위치에서 후드부(400)의 우측 하방에 위치한다.
제1 포켓(800)은 포켓커버(820) 및 탈착부(840)를 포함하고, 제2 포켓(900)은 포켓커버(920) 및 탈착부(940)를 포함한다.
포켓커버(820, 920)들 각각은 후드부(400)의 양측 하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일단이 커버(220)의 배면과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타단은 커버(220)와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에는 탈착부(840, 940)들 각각이 형성된다.
탈착부(840, 940)들 각각은 버튼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접착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냅버튼 형태로 커버(220)의 상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켓커버(820, 920)들 각각의 타단은 커버(220)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포켓커버(820, 920)들 각각의 일단 외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절곡되고, 탈착부(840, 940)들 각각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들 각각의 상단에 커버(220)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선들 각각으로 삽입되어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를 통해 후방에 위치한 양측 팔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다른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다용도 안전조끼의 또 다른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착용방법에 따라 가운, 조끼 등의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로써 사용이 가능하고, 배면에는 체크무늬를 포함하는 모직 사용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편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제1 개구부(260) 및 제2 개구부(262)들 각각을 통해 양측 팔들을 커버부(2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들 각각을 양측 하부로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완충재(600)들 각각이 어깨와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들 각각은 양측 하부로 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해당 사용자의 신체 중앙 일부가 전방을 향해 노출된다.
또한, 제1 결합부(243) 및 제2 결합부(245)들 각각이 제2 결착부(244) 및 제1 결착부(242)들 각각과 분리된 상태이므로,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들 각각의 양단은 주름진 형태로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가운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개구부(260, 262)들 각각에 지퍼(700) 대신에 커버부(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팔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의 옷소매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부(243) 및 제2 결합부(245)들 각각이 제2 결착부(244) 및 제1 결착부(242)들 각각과 분리된 상태에서 양쪽의 포켓커버(820, 920)들 각각은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를 통해 양측에 노출되는 팔들을 커버하여 다용도 안전조끼(100)의 보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제1 결합부(243)가 위치한 우측면(224)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상체를 커버한 후 제1 결합부(243) 및 제2 결착부(244)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좌측면(222)은 좌측에 늘어뜨리는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면(222)은 망토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에 펼쳐지면서 디자인이 화려하고, 기능적으로는 동행자에게 접근하는 눈 또는 비를 막는 우비역할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오는 날 자동차들에 의해 고인물이 튀는 경우나 먼지들이 날리는 경우 커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자인적으로 좌측면(222)의 배면에 형성된 체크무늬 또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우측면(224)의 배면 디자인과 사선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단조로운 디자인에서 벗어나 안정감을 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결합부(243) 및 제2 결합부(245)들 각각이 제2 결착부(244) 및 제1 결착부(242)들 각각과 분리된 상태에서 양쪽의 포켓커버(820, 920)들 각각은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를 통해 양측에 노출되는 팔들을 커버하여 다용도 안전조끼(100)의 보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좌측면(222)의 제2 결합부(245)를 제1 결착부(242)와 결합하고, 우측면(224)은 사용자의 우측에 늘어뜨리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제1 결합부(243)를 제2 결착부(244)와 결합하고, 제2 결합부(245)를 제1 결착부(242)와 결합하는 방법을 통해 상체를 감싸는 조끼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반대로 제2 결합부(245)를 제1 결착부(242)에 결합한 후 제1 결합부(243)를 제2 결착부(244)와 결합시켜 좌측면(222)의 전방을 우측면(224)이 커버하는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들 각각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사용자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다용도 안전조끼(100)는 사용자의 벨트 상단에 위치한다.
좌측면(222) 및 우측면(224)들 각각이 사용자의 상체 전방을 감싸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 포켓(800, 900)들 각각은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탈착부(840, 940)들 각각을 제2 개구부(262) 및 제1 개구부(260)들 각각의 상단에 해당하는 커버(220)와 결합시켜 양쪽 팔을 커버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다용도 안전조끼(100)의 착용 방법을 통해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사용하여 정장 또는 교복의 셔츠를 감싸거나 겨울에 패딩 또는 자켓의 안쪽에 착용하는 조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천재지변으로 인해 우산이 필요하거나 눈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후드부(400)의 착용이 가능하고, 높은 강우량의 우천이 지속되는 경우 다용도 안전조끼(100)를 탈의하여 우비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110)는 커버부(3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다용도 안전조끼(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안전조끼(110)는 지퍼(115) 및 커버부(300)를 포함하고, 커버부(300)는 커버(310), 제1 결착부(320), 제1 결합부(340), 제1 개구부(360) 및 제2 개구부(362)를 포함한다.
커버부(310)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모서리들은 테이퍼 가공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며, 우측 중앙에는 좌측 중앙의 제1 결합부(34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제1 결착부(320)가 형성된다.
제1 결착부(320) 및 제1 결합부(340)들은 버튼, 자석 또는 벨크로 형태로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버튼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 결착부(32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340)가 위치한 부분에는 커버(310)를 절개한 절개선이 형성된다.
제1 결착부(32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지진대피를 포함하는 각종 재난 또는 아동성범죄 상황이 발생시 해당 사용자가 버튼 중앙에 형성된 스위치를 누르면 주위에 경보음을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평소에는 경보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를 커버하는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커버(310)의 전면 중앙부가 사용자의 등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340)를 해당 사용자의 상체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 결착부(320)를 이동시켜 제1 결합부(340)와 결합시켜 착용할 수 있다.
지퍼(115)들 각각은 커버(3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커버(31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되고, 해당 사용자가 다용도 안전조끼(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의 중앙부가 절곡되고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밀착되며, 지퍼(115)의 손잡이를 이동시켜 지퍼(115)의 일단 및 타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용도 안전조끼(110)는 지퍼(115)들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어깨에 배치되는 완충재(600)들의 고정을 개선하고, 각종 재난 상황에서 다용도 안전조끼(1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용도 안전조끼(110)는 상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착용시키는 경우 지퍼(115)들 각각을 통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상체와 밀착되도록 고정시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활동으로 인한 탈의가 어려운 장점이 있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의 완충재 및 후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조끼(120)는 완충재(64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다용도 안전조끼(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안전조끼(120)는 완충재(640)를 포함한다.
완충재(640)는 바디부(642), 탈착부(644), 절개선(646) 및 마스크(648)를 포함하고, 마스크(648)는 필터(649) 및 연결부(650)를 포함한다.
완충재(640)는 평상시에 커버(220)의 전면 상단에 부착되어 해당 사용자가 다용도 안전조끼(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하며, 지진을 포함하는 각종 재난 상황에서 공기를 정화하고 호흡을 유지하기 위한 마스크(648)들을 수납할 수 있다.
탈착부(644)의 저면 중앙에는 바디부(642)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디부(64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탈착부(644)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 마스크(648)의 분리가 용이하다.
바디부(642)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복수의 마스크(648)들을 서로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상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탈착부(644)들 각각은 바디부(642)의 상부면 및 저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일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분을 커버하여 상부 및 하부 각각의 위치에서 탈착부(644)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기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가 형성된다.
절개선(646)들은 탈착부(644)를 정사각형의 복수의 조각들로 절개할 수 있도록 탈착부(644)의 상부 일부분를 측면에서 상기 통로를 향해 절개하여 형성되고, 절개선(646)들을 통해 긴급상황에서 탈착부(644)를 신속히 바디부(642)에서 탈거하여 마스크(648)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마스크(648)는 코의 구멍들 각각에 삽입되는 필터(649)들과 필터(649)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50)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마스크(648)들 각각은 각각의 필터(649)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부(650)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연결부(650)들 각각은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고 상기 통로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탈착부(644)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며, 탈착부(644)를 바디부(642)와 분리하면 연결부(650)를 잡고 마스크(648)의 탈거가 가능하다.
필터(649)들 각각은 상기 통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되어 상기 수납공간에는 수납이 가능하지만 상기 통로를 통해 이동이 제한되며,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유해가스를 소정의 시간 동안 필터링이 가능하고 탄성이 있는 고분자 또는 천연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탈착부(644)들 각각에 충격이 가해지고 탈착부(644)들 각각이 필터(649)들 각각을 압박하는 경우에도 서로 밀착된 필터(649)들 각각은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가능성이 낮아지며 상대적으로 충격 완화 기능이 낮은 연결부(650)들은 탈착부(644)들 사이에서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400)는 안면커버(420)를 포함한다.
안면커버(420)는 후드부(400)의 내측면에 벨크로 또는 접착물질을 통해 밀착되고, 안면을 보호하거나 마스크(648)를 안정적으로 착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안면에 밀착되어 소정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 소재로 제작된다.
안면커버(420)의 중앙에는 마스크(648)의 필터(649)들이 외부에서 후드부(400)의 안쪽을 향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 각각의 크기는 필터(649)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필터(649)가 상기 홀을 통해 후드부(400)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면 상기 홀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스크(648)가 필터(649)들 및 상기 홀들을 통해 안면커버(642)와 결합된 상태에서 안면커버(642)가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고 필터(649)들 각각이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면, 안면커버(642)의 탄성력에 의해 필터(649)들 각각이 콧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다용도 안전조끼
200: 커버부 400: 후드부
600, 620, 640: 완충재 700: 지퍼
800, 900: 제1 및 제2 포켓

Claims (5)

  1.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캡(Cap) 형태로 형성되는 후드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 전방 및 상기 후드부의 안쪽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완충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드부의 양측 하방에서 상단과 이격된 위치에 상하부로 절개된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들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결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전면이 사용자의 등을 감싸고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팔들이 상기 커버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모서리는 서로 교차하며 상기 결착부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완충재들을 통해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조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양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결합하여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팔을 커버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 상단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조끼.



KR2020180000480U 2018-01-31 2018-01-31 다용도 안전조끼 KR200490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80U KR200490056Y1 (ko) 2018-01-31 2018-01-31 다용도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80U KR200490056Y1 (ko) 2018-01-31 2018-01-31 다용도 안전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21U KR20190002021U (ko) 2019-08-08
KR200490056Y1 true KR200490056Y1 (ko) 2019-09-18

Family

ID=6758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480U KR200490056Y1 (ko) 2018-01-31 2018-01-31 다용도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4332A (ko) 2021-11-19 2023-05-30 (주)다울 스마트 안전 조끼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853B2 (ja) * 1991-07-31 2000-05-22 昭和電工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多層積層体
KR200362001Y1 (ko) 2004-06-19 2004-09-13 이상훈 후드를 구비한 의복의 후두부 보호구조
JP2013184616A (ja) 2012-03-08 2013-09-19 Miyu Seto フード付ライフジャケット
KR101533069B1 (ko) * 2014-08-05 2015-07-01 손승봉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853U (ja) * 1997-05-28 1997-12-02 克良 山口 防炎ポンチ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853B2 (ja) * 1991-07-31 2000-05-22 昭和電工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多層積層体
KR200362001Y1 (ko) 2004-06-19 2004-09-13 이상훈 후드를 구비한 의복의 후두부 보호구조
JP2013184616A (ja) 2012-03-08 2013-09-19 Miyu Seto フード付ライフジャケット
KR101533069B1 (ko) * 2014-08-05 2015-07-01 손승봉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4332A (ko) 2021-11-19 2023-05-30 (주)다울 스마트 안전 조끼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21U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0422C (en) Protective garment adapted to be selectively configured
KR200490056Y1 (ko) 다용도 안전조끼
CN204796788U (zh) 一种森林防火服
JP5093737B1 (ja) 防災用品兼用バッグ
US20080120762A1 (en) Multi-function hood
JP3170635U (ja) 手提げバッグ
JP2007023453A (ja) 保護衣料
JP3079232U (ja) 防炎頭巾
JP4856927B2 (ja) リュックサック
JP2013022039A (ja) 防災頭巾
JP3100077U (ja) 頭部装着体
JP2007090059A (ja) 防災頭巾機能付きランドセル
JP3043853U (ja) 防炎ポンチョ
JP2007181506A (ja) 枕兼用非常持出袋
JP3208720U (ja) 防災頭巾
JPH0663057U (ja) 防災用保護衣
JP3207785U (ja) 緊急避難コート
JP3185280U (ja) 学校用震災津波対策避難ジャケット
CN219501880U (zh) 一种防火面罩及消防用头部护具
JP2019187972A (ja) ずきん
JP3021457U (ja) 防災マスク
JP3177059U (ja) 防災頭巾
JP3177282U (ja) 防災ずきん
KR20240000816U (ko) 야영용 침낭으로 변형이 가능한 점퍼
JP4388716B2 (ja) 防災頭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