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069B1 -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069B1
KR101533069B1 KR1020140100486A KR20140100486A KR101533069B1 KR 101533069 B1 KR101533069 B1 KR 101533069B1 KR 1020140100486 A KR1020140100486 A KR 1020140100486A KR 20140100486 A KR20140100486 A KR 20140100486A KR 101533069 B1 KR101533069 B1 KR 10153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oulder
vest
safety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봉
Original Assignee
손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봉 filed Critical 손승봉
Priority to KR102014010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석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조끼의 등판부와 어깨부에 다수개의 완충재를 설치하고, 안전조끼의 내외측 간에 통풍이 되게 등판부에 설치되는 완충재 사이의 골부분에 통기부를 구비하며, 안전조끼의 내부에 안전벨트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등판부로는 구명줄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구명줄구멍을 형성하고, 양측 앞가슴부에는 안전조끼의 내부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가슴벨트가 외부로 나와서 결속되게 하는 가슴벨트구멍을 형성한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판부(10)와, 등판부(10)의 상측에 연결 되어 어깨부분을 감싸는 양측 어깨부(30)와, 어깨부(30)의 하방에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20)가 포함되고, 등판부(10)와 어깨부(30)에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설치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는 조끼본체(101)의 외부면에 개별적으로 가장자리가 재봉으로 설치되는 외피(12)와 조끼본체(10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어깨완충재(31)는 좌우로 분리되게 설치되고, 좌우측 어깨완충재(31) 사이의 조끼본체(101) 사이에는 구명줄구멍(32)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등판완충재(11)의 사이에는 통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앞가슴부(20)에는 가슴벨트구멍(21)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등판부(10) 측 조끼본체 내면과 양측 앞가슴부(20) 측 조끼본체 내면에는 안전벨트(60)의 전후방측 벨트부를 장착하는 벨트장착밴드(14,22)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A working dress for falling stone prevention having safety belt mounting means}
본 발명은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석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조끼의 등판부와 어깨부에 다수개의 완충재를 설치하고, 안전조끼의 내외측 간에 통풍이 되게 등판부에 설치되는 완충재 사이의 골부분에 통기부를 구비하며, 안전조끼의 내부에 안전벨트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등판부로는 구명줄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구명줄구멍을 형성하고, 양측 앞가슴부에는 안전조끼의 내부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가슴벨트가 외부로 나와서 결속되게 하는 가슴벨트구멍을 형성한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222171호(고안의 명칭 :낙석방지용 안전조끼)의 고안이 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작업자용 안전조끼의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의 상측에 구비된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상하로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전방면은 지퍼에 의해 잠금되도록 하되 전방면의 양쪽 어깨걸이는 어깨보호부와 조절끈에 의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작업자의 착용상태에서 터널공사 등의 작업도중 떨어져 부딪치는 낙석의 충격을 완충재가 완화시키게 되어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안전조끼의 전방면 어깨걸이와 후방면 어깨보호부에 조절끈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조끼를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조끼는 등판부와,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는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떡국 떡 형태로 성형한 것임에 따라 자체적으로 쿠션을 지니고 있으면서 활처럼 휘어지나, 활처럼 휘어졌다가도 평평하게 펼쳐지려는 탄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탄력을 지니고 있는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직물지로 제작하는 내외피 사이의 등판부를 포함한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의 몸통은 둥근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신체에 착용했을 때, 안전조끼의 등판부를 포함한 후면부 전체가 둥글게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된다.
이렇게 안전조끼의 등판부를 포함한 후면부 전체가 둥글게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됨에 따라 작업자의 등부분과 안전조끼의 후면부가 들뜨게 되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작업자의 행동을 부자연스럽게 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안전조끼를 착용하는 작업자는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신체에 착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안전조끼는 신체에 밀착하지 않고 뻣뻣하게 들 뜬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착용한 외부에 안전벨트를 결속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신체에 먼저 착용한 상태에서 그 외부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착용해야 하는데, 안전벨트의 구명줄이 목 뒤쪽을 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가 신체와 많이 들뜨면서 안전조끼 전면 상부가 목부분을 조이게 되는 문제가 있어 작업자의 움직임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222171호(고안의 명칭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조끼의 내부에 안전벨트를 장착할 수 있게 안전벨트장착밴드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안전벨트를 안전조끼의 내부에 장착한 뒤에는 안전벨트의 안전고리에 구명줄의 걸고리를 등판부에 절개형성된 구명줄구멍을 통하여 걸을 수 있게 하며, 양측 앞가슴부에는 안전조끼의 가슴벨트를 엮어서 결속하게 하는 가슴벨트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안전벨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안전조끼를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안전벨트에 연결한 구명줄이 안전조끼의 후방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되고 앞가슴부에서는 안전벨트의 가슴벨트가 엮여서 결속됨에 따라 안전벨트와 안전조끼가 일체화되면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등판부에는 완충재가 설치되는 사이의 골부분으로 통기가 되게 하여 작업자의 등부분이 더워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양측 어깨부의 외측에는 완충재가 설치된 어깨덮개를 연결 설치하여 어깨외측까지 낙하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판부와, 등판부의 상측에 연결 되어 어깨부분을 감싸는 양측 어깨부와, 어깨부의 하방에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가 포함되고, 등판부와 어깨부에 등판완충재와 어깨완충재가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설치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완충재와 어깨완충재는 조끼본체의 외부면에 개별적으로 가장자리가 재봉으로 설치되는 외피와 조끼본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어깨완충재는 좌우로 분리되게 설치되고, 좌우측 어깨완충재 사이의 조끼본체 사이에는 구명줄구멍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등판완충재의 사이에는 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앞가슴부에는 가슴벨트구멍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등판부 측 조끼본체 내면과 양측 앞가슴부 측 조끼본체 내면에는 안전벨트의 전후방측 벨트부를 장착하는 벨트장착밴드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조끼의 내부에 안전벨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안전벨트와 안전조끼를 한꺼번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착용하였던 안전조끼를 벗었다가 다시 착용할 때 안전벨트를 별도로 착용하지 않고 안전조끼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안전벨트와 안전조끼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조끼의 내부에 장착한 안전벨트의 안전고리에 구명줄의 걸고리를 등판부에 절개 형성된 구명줄구멍을 통하여 걸음에 따라 구명줄이 안전조끼의 후방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되어 작업자의 행동이 자연스러워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조끼의 양측 앞가슴부에 절개 형성되는 가슴벨트구멍을 통하여 안전조끼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의 가슴벨트를 외부로 엮어서 결속하게 되어 안전벨트와 안전조끼에서 흔들리지 않고 일체화되면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복수개의 판형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함에 따라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두꺼운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조끼의 등판부가 신체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지게 되어 완충재가 구비된 안전조끼의 착용감이 나쁘지 않음은 물론이고, 종래의 안전조끼가 부풀어 오른 형태가 되어 행동이 불편했던 것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앞가슴부를 열어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배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내부에 안전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를 안전조끼(100)라고 약칭하여 함께 기재함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는 등판부(10)와, 양측 어깨부분을 커버하게 등판부(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어깨부(30)와, 양측 어깨부(30)와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20)와, 목덜미부분을 커버하게 어깨부 내측의 목덜미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목보호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양측 앞가슴부(20)는 버튼이나 지퍼로서 여밀 수 있으며, 등판부(10)와 양측 앞가슴부(20)는 연결밴드(102)로 조임길이를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등판부(10)와 양측 어깨부(30) 및 양측 앞가슴부(20)는 망사 또는 직물지로 되는 조끼본체(101)가 바탕이 되어 구비되고, 이 조끼본체(101)의 등판부(10)측과 어깨부(30)측의 외측면에는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조끼본체(101)는 통기가 자유로운 망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는 1개씩의 완충재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게 각각의 외피(12)가 개별적으로 간격을 두고 조끼본체(101)의 외측면에 재봉으로 설치되며, 등판부(10)측에 설치되는 등판완충재(11)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 등판완충재(11)를 감싸는 외피(12)의 사이에는 통기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13)는 망사로 설치되어 안전조끼의 내외측으로 통기가 되는 것이며, 양측 어깨부(30)의 외측에는 내측에 어깨완충재가 삽입된 어깨덮개(33)가 재봉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부(30) 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봉형 어깨완충재(31)는 좌우로 분리되게 설치되며, 좌우측 어깨완충재(31) 사이의 조끼본체(101)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명줄구멍(32)이 상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이 구명줄구멍(32)에는 지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측 앞가슴부(20)에는 상하로 가슴벨트구멍(21)이 절개 형성되고, 이 가슴벨트구멍(21)에는 지퍼나 버튼 등의 여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판부(10)측 내피본체(101)와 앞가슴부(20) 측의 내피본체(101) 내부면에는 안전벨트(60)를 안전조끼(100)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벨트장착밴드(14,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장착밴드(14,22)는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수매직테이프가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조끼본체(101)에 고정 설치되며, 수매직테이프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끼본체(101)에는 각각의 수매직테이프와 탈부착되는 암매직테이프가 설치되어 내피본체(101)와 벨트장착밴드(14,22)의 사이에 안전벨트(60)를 끼움식으로 장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앞가슴부(20)의 전면과 등판부(10)의 외피(12) 외부면에는 반사시트(15,23)와 발광시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는 안전조끼(100)의 내부에 안전벨트(60)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안전벨트와 안전조끼를 한꺼번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안전벨트와 안전조끼를 한꺼번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안전벨트(60)를 안전조끼(100)에 장착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조끼(100)의 양측 앞가슴부(20)를 펼친 상태에서 등판부(10)의 내면에 매직테이프로 부착된 벨트장착밴드(14)와 앞가슴부(20)의 내면에 매직테이프로 부착된 벨트장착밴드(22)를 떼어낸다.
그 다음에 안전벨트(60)를 펼쳐진 안전조끼(100)의 내부에 펼쳐 놓으면서 안전벨트(60)의 후방측 벨트부를 등판부(10)의 내면에 설치되는 벨트장착밴드(14)의 내부로 삽입시키면서 그 벨트장착밴드(14)에 설치된 수매직테이프를 등판부(10) 측 조끼본체(101) 내면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에 부착시키면, 안전벨트(60)의 후방측 벨트부가 벨트장착밴드(14)와 조끼본체(10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안전벨트(60)의 전방측 벨트부는 앞가슴부(20) 내면측의 벨트장착밴드(22) 안쪽으로 삽입시키면서 앞가슴부(20)의 내면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와 벨트장착밴드(22)에 설치된 수매직테이프를 부착시키게 되면, 안전벨트(60)의 전방측 벨트부가 벨트장착밴드(22)와 앞가슴부(20)측 조끼본체(10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60)의 전후방측 벨트부가 안전조끼(100)의 앞가슴부(20) 내부와 등판부(10)의 내부에 끼워져 있게 되어 안전벨트(60)가 안전조끼(100)에 간편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조끼(100)의 내부에 안전벨트(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안전조끼(100)를 착용하면서 양측 앞가슴부(20)의 전방을 지퍼나 버튼 등의 여밈수단을 채워서 착용한다.
그 뒤에, 안전벨트(60)의 전방측 벨트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슴벨트(61)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가슴부(20)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절개 형성된 가슴벨트구멍(21)을 통하여 안전조끼(100)의 안쪽에 있는 가슴벨트(61)를 안전조끼(100)의 외측으로 꺼낸다.
그 다음에 양측 가슴벨트구멍(21)을 통하여 외부로 나온 양측 가슴벨트(61)를 그 선단에 설치된 후크 등의 결합수단을 결합시킴으로서, 안전벨트(60)의 전면에 안전조끼(100)의 전면에 흔들리지 않고 장착되어 안전벨트(60)와 안전조끼(100) 를 한꺼번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안전벨트(60)와 안전조끼(100)를 한꺼번에 착용했을 때, 등판부(10)에 상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구명줄구멍(32)에는 안전벨트(6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가슴벨트(61)가 위치하게 되어 등판부(10)에 상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구명줄구멍(32)을 통하여 구명줄(50)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고리(51)를 안전고리(62)에 걸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등판부(10)의 구명줄구멍(32)을 통하여 안전벨트(60)의 후방측에 설치된 안전고리(62)에 걸고리(51)가 걸린 구명줄(50)의 타단부를 고소작업 장소의 주변 가설재 등의 물체에 걸어서 추락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에는 등판부(10)와 어깨부(30)에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각각 설치되고, 양측 어깨부(30) 외측에 어깨덮개(33)가 각각 설치되어서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체로부터 작업자의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도 1,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행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신체가 구부러지는 대로 구부려져서 행동이 자연스러워지게 된다.
그리고, 등판부(10)와 어깨부(30)에 두꺼운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각각 설치되어서 안전조끼(100) 내부에 있는 작업자의 몸통이 매우 더울 수 있는데, 등판부(10)에 수개의 통기부(13)가 구비되고, 안전조끼(100)를 구성하는 조끼본체(101)가 망사로 제작되어서 안전조끼(100)의 내외측은 통기가 자유로워서 몸통이 더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판부(10)와 어깨부(30)에 설치된 각각의 완충재는 두꺼우면서 쿠션을 지닌 발포 폴리에틸린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서 쿠션을 지니고 있지만 뻣뻣함이 있어 등판부(10)를 비롯한 어깨부(30)가 전체적으로 작업자의 몸통과 밀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들뜨게 되어 그 들뜬 공간부와 상기 통기부(13)가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등부분을 시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0 : 등판부 11 : 조끼본체 12 : 외피
13 : 통기부 14 : 벨트장착밴드 15 : 반사시트
16 : 발광시트 20 : 앞가슴부 21 : 가슴벨트구멍
22 : 벨트장착밴드 23 : 반사시트 30 : 어깨부
31 : 어깨완충재 32 : 구명줄구멍 33 : 어깨덮개
40 : 목보호부 50 : 구명줄 51 : 걸고리
60 : 안전벨트 61 : 가슴벨트 62 : 안전고리
100 : 안전조끼 101 : 조끼본체 102 : 연결밴드

Claims (3)

  1. 등판부(10)와, 등판부(10)의 상측에 연결 되어 어깨부분을 감싸는 양측 어깨부(30)와, 어깨부(30)의 하방에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20)가 포함되고, 등판부(10)와 어깨부(30)에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가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설치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완충재(11)와 어깨완충재(31)는 조끼본체(101)의 외부면에 개별적으로 가장자리가 재봉으로 설치되는 외피(12)와 조끼본체(10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어깨완충재(31)는 좌우로 분리되게 설치되고, 좌우측 어깨완충재(31) 사이의 조끼본체(101) 사이에는 구명줄구멍(32)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등판완충재(11)의 사이에는 통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앞가슴부(20)에는 가슴벨트구멍(21)이 상하로 절개 형성되고,
    등판부(10) 측 조끼본체 내면과 양측 앞가슴부(20) 측 조끼본체 내면에는 안전벨트(60)의 전후방측 벨트부를 장착하는 벨트장착밴드(14,22)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본체(101)는 망사로 제작되고,
    상기 벨트장착밴드(14,22)는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수매직테이프가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조끼본체(101)에 고정 설치되며, 수매직테이프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끼본체(101)에는 암매직테이프가 설치된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측 벨트장착밴드(14)와 등판부측 조끼본체 사이로 안전벨트(60)의 후방측 벨트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양측 앞가슴부(20) 측 벨트장착밴드(22)와 앞가슴부측 조끼본체 사이로 안전벨트의 전방측 벨트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안전벨트(60)의 전방측 벨트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양측 가슴벨트(61)가 가슴벨트구멍(21)을 통하여 외부로 나온 뒤에 그들의 선단부에 설치된 버클이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등판부(10)에 형성된 구명줄구멍(32)을 통하여 안전벨트(6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안전고리(62)에 구명줄(50)의 걸고리(51)가 걸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KR1020140100486A 2014-08-05 2014-08-05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KR10153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6A KR101533069B1 (ko) 2014-08-05 2014-08-05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6A KR101533069B1 (ko) 2014-08-05 2014-08-05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069B1 true KR101533069B1 (ko) 2015-07-01

Family

ID=5378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86A KR101533069B1 (ko) 2014-08-05 2014-08-05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0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19B1 (ko) * 2016-11-23 2018-02-19 (주) 티에스기술 다기능 안전 조끼
JP2019094587A (ja) * 2017-11-21 2019-06-20 ミドリ安全株式会社 衣服
KR20190002021U (ko) * 2018-01-31 2019-08-08 박지혜 다용도 안전조끼
KR20200133875A (ko) *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안전 보호구 조끼
JP2020193417A (ja) * 2019-05-30 2020-12-03 株式会社岩田工業 墜落制止用器具を装着のまま着脱可能な作業衣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1Y1 (ko) *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432339Y1 (ko) * 2006-06-27 2006-12-04 박용환 허리보호대를 구비한 조끼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288774B1 (ko) *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1Y1 (ko) *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432339Y1 (ko) * 2006-06-27 2006-12-04 박용환 허리보호대를 구비한 조끼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288774B1 (ko) *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19B1 (ko) * 2016-11-23 2018-02-19 (주) 티에스기술 다기능 안전 조끼
JP2019094587A (ja) * 2017-11-21 2019-06-20 ミドリ安全株式会社 衣服
KR20190002021U (ko) * 2018-01-31 2019-08-08 박지혜 다용도 안전조끼
KR200490056Y1 (ko) * 2018-01-31 2019-09-18 박지혜 다용도 안전조끼
KR20200133875A (ko) *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안전 보호구 조끼
KR102196469B1 (ko) * 2019-05-20 2020-12-30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안전 보호구 조끼
JP2020193417A (ja) * 2019-05-30 2020-12-03 株式会社岩田工業 墜落制止用器具を装着のまま着脱可能な作業衣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069B1 (ko)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US4608716A (en) Safety jump suit uniform and lifting mechanism for miners and other workers
ES2726939T3 (es) Conjunto de bandas de pernera y arnés de seguridad que lo incluye
US20120217090A1 (en) Harness with suspension relief seat
US20140215679A1 (en) Padded pants
JPH08336607A (ja) 落下防護用安全スーツ
JP6049026B2 (ja)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KR10114976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CN105531158A (zh) 具有六个约束点的改进的辅助约束系统
JP5391378B2 (ja) 鼻から口元、及び首筋から胸元、並びに肩部を包囲できるマスク
US10285458B2 (en) Garment for motorcyclist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device
US20120291187A1 (en) Blocking Shield
JP3218351U (ja) 工事作業用安全具
US6990687B2 (en) Fire protective trousers with belt closure system
US20150374059A1 (en) Hooded garment with impact protection
JP4413220B2 (ja) 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ボトム
JP2017155389A (ja) 膝用プロテクタ
KR101456656B1 (ko)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JP2020532660A5 (ko)
JP6975623B2 (ja) ヒップガード
JP2005068562A (ja) 膝部保護パットを有する衣服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JP4354005B1 (ja) チェーンソー作業用防護下衣
US1362908A (en) Garment-protector
KR102551263B1 (ko) 근골격계 보호구를 일체화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