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56B1 -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56B1
KR101456656B1 KR1020130156380A KR20130156380A KR101456656B1 KR 101456656 B1 KR101456656 B1 KR 101456656B1 KR 1020130156380 A KR1020130156380 A KR 1020130156380A KR 20130156380 A KR20130156380 A KR 20130156380A KR 101456656 B1 KR101456656 B1 KR 10145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safety vest
plate unit
separat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봉
Original Assignee
손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봉 filed Critical 손승봉
Priority to KR102013015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복수개의 판형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하고, 좌우측 완충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에 구명줄구멍과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구명줄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통기구에 의해서는 통기가 이루어지게 하며,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함에 따라 등판부에 두꺼운 완충재가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등판부가 신체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져서 안전조끼의 착용감이 나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판부(10)와, 등판부(10)의 전방에 양측 어깨부분과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30)와, 등판부(10)의 상부에 지퍼(24)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목보호부(20)를 포함하는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10)는 등판부본체(11)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완충재챔버(12)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리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완충재챔버(12)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완충재(14)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좌우측 완충재챔버(12)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19) 바닥의 등판부본체(11)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하는 구명줄구멍(18)과, 수개의 통기구(16)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석대비용 안전조끼{Safety vest for falling rock}
본 발명은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복수개의 판형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하고, 좌우측 완충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에 구명줄구멍과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구명줄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통기구에 의해서는 통기가 이루어지게 하며,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함에 따라 등판부에 두꺼운 완충재가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등판부가 신체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져서 안전조끼의 착용감이 나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222171호(고안의 명칭 :낙석방지용 안전조끼)의 고안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작업자용 안전조끼의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의 상측에 구비된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상하로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전방면은 지퍼에 의해 잠금되도록 하되 전방면의 양쪽 어깨걸이는 어깨보호부와 조절끈에 의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작업자의 착용상태에서 터널공사 등의 작업도중 떨어져 부딪는 낙석의 충격을 완충재가 완화시키게 되어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안전조끼의 전방면 어깨걸이와 후방면 어깨보호부에 조절끈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조끼를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조끼는 등판부와,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는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떡국 떡 형태로 성형한 것임에 따라 자체적으로 쿠션을 지니고 있으면서 활처럼 휘어지나, 활처럼 휘어졌다가도 평평하게 펼쳐지려는 탄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탄력을 지니고 있는 환봉형상의 완충재가 직물지로 제작하는 내외피 사이의 등판부를 포함한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의 몸통은 둥근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신체에 착용했을 때, 안전조끼의 등판부를 포함한 후면부 전체가 둥글게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된다.
이렇게 안전조끼의 등판부를 포함한 후면부 전체가 둥글게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됨에 따라 작업자의 등부분과 안전조끼의 후면부가 들뜨게 되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작업자의 행동을 부자연스럽게 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안전조끼를 착용하는 작업자는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신체에 착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안전조끼는 신체에 밀착하지 않고 뻣뻣하게 들 뜬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착용한 외부에 안전벨트를 결속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신체에 먼저 착용한 상태에서 그 외부에 종래의 안전조끼를 착용해야 하는데, 안전벨트의 구명줄이 목 뒤쪽을 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어깨보호부 및 목보호부가 신체와 많이 들뜨면서 안전조끼 전면 상부가 목부분을 조이게 되는 문제가 있어 작업자의 움직임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제20-222171호(고안의 명칭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복수개의 판형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하고, 좌우측 완충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에 구명줄구멍과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구명줄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게 하고, 통기구에 의해서는 통기가 이루어지게 하며,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함에 따라 두꺼운 완충재가 설치된 안전조끼가 신체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짐에 따라 완충재가 구비된 안전조끼의 착용감이 나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판부와, 등판부의 전방에 양측 어깨부분과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와, 등판부의 상부에 지퍼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목보호부를 포함하는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등판부본체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완충재챔버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리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완충재챔버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완충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좌우측 완충재챔버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 바닥의 등판부본체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하는 구명줄구멍과, 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낙석대비용 안전조끼는,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복수개의 판형 완충재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함에 따라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두꺼운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조끼의 등판부가 신체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지게 되어 완충재가 구비된 안전조끼의 착용감이 나쁘지 않음은 물론이고, 종래의 안전조끼가 부풀어 오른 형태가 되어 행동이 불편했던 것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조끼의 등판부에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하게 하는 구명줄구멍과 통기가 되게 하는 통기구를 형성함에 따라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그 외측에 두꺼운 안전조끼를 착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조끼가 들뜨지 않고 안전하게 안전벨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통기구에 의한 통기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가 더워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앞가슴부를 열어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를 안전조끼(100)라고 약칭하여 함께 기재함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는 등판부(10)와, 등판부(10)의 전방에 양측 어깨부분과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30)와, 등판부(10)의 상부에 지퍼(24)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목보호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등판부(10)는 내피가 되는 등판부본체(11)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완충재챔버(12)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리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완충재챔버(12)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판형 완충재(14)가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완충재챔버(12)는 등판부본체(11)의 외부에 완충재(14)가 삽입될 공간부가 형성되게 외피(13)가 재봉으로 설치되어 형성되며, 완충재(14)는 발포합성수지를 판형으로 쿠션감이 있게 형성된 것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작한 안전조끼(100)에는 두께가 30㎜인 완충재(14)를 삽입 설치하였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좌우측 완충재챔버(12)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19) 바닥의 등판부본체(11)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하는 구명줄구멍(18)과, 수개의 통기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상기 완충재(14)가 삽입 설치되는 완충재챔버(12)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된 것을 설명하였는데, 좌우측 완충재챔버(12) 사이에 형성되는 골부분을 세로골부(19)라고 칭하고, 상하측 완충재챔버(12) 사이에 형성되는 골부분을 가로골부(19a)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명줄구멍(18)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퍼(17)가 설치되고, 상기 목보호부(20)는 내피가 되는 목보호부본체(21)와 외피(23)의 사이에 완충재챔버(22)가 형성되고, 그 완충재챔버(22)에 완충재(25)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판부(1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재(14)는 양측 어깨를 감싸면서 앞가슴부(30)의 상부와 연결 설치되어 어깨를 낙하물로 부터 보호하게 하게 하는 어깨보호부(14a)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가슴부(30)의 전면과 등판부(10)의 외피(23) 외부면에는 야광시트(32,15)가 재봉으로 설치되며, 좌우로 분리 설치된 양측 앞가슴부(30)는 후크형태의 결속부재(31)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앞가슴부(30)의 외측과 등판부(10)의 외측 사이에는 착용자의 신체 몸통 크기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하는 연결끈(34)이 연결 설치되고, 연결끈(34) 상측의 양측 앞가슴부(30) 외측과 등판부(10)의 외측 사이에는 착용자의 팔이 끼워지는 팔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와 안전벨트를 함께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전벨트(도시생략)를 신체에 먼저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안전조끼(100)의 등판부(10)에 형성된 구명줄구멍(18)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 뒤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신체에 안전조끼(100)을 착용한다.
위와 같이 등판부(10)에 형성된 구명줄구멍(18)을 통하여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한 뒤에는 필요한 높이만큼 지퍼(17)를 잠그며, 안전조끼(100)의 양측 앞가슴부(30)를 결속부재(31)로서 잠금에 따라 양측 앞가슴부(30)를 여미어서 안전벨트와 안전조끼(100)를 함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벨트를 신체에 착용하고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안전조끼(100)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안전조끼(100)를 착용함에 따라 안전벨트의 구명줄이 작업자의 등부분에 베기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구명줄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를 거푸집 등의 구조물에 걸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명줄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를 거푸집 등의 구조물에 걸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하거나 보행하는 경우에는 구명줄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를 안전벨트에 설치된 고리부분에 걸은 상태로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은 등판부(10)에 30㎜ 정도로 두꺼우며 쿠션을 지닌 완충재(14,25)가 등판부(10) 전체와 목보호부(20), 그리고 어깨보호부(14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중에 작업자의 몸쪽으로 낙하물이 낙하되는 경우에 그 두꺼운 완충재(14,25)가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100)는 복수개의 완충재(14,25)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들 복수개의 완충재(14,25)들의 사이에는 가로골부(19a)와 세로골부(19)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이므로 신체의 곡선에 맞게 구부려져서 행동의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작업자가 움직이는 대로 안전조끼(100)가 굴곡되어 작업이나 행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완충재(14,25)는 연질합성수지재를 발포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등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등판부(10)에는 수개의 통기구(16)가 형성되어서 등부분으로 통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등판부(10)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30㎜ 정도로 두꺼운 복수개의 완충재(14,25)가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등판부(10)가 작업자의 등부분에 전체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들뜨게 되고, 그 들뜬 공간부와 상기 통기구(16)가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등부분을 시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0 : 등판부 11 : 등판부본체 12 : 완충재챔버
13 : 외피 14 : 완충재 15 : 야광시트
16 : 통기구 17 : 지퍼 18 : 구명줄구멍
19 : 세로골부 20 : 목보호부 21 : 목보호부본체
22 : 완충재챔버 23 : 외피 24 : 지퍼
25 : 완충재 30 : 앞가슴부 31 : 결속부재
32 : 야광시트 33 : 팔구멍 34 : 연결끈
100 : 안전조끼

Claims (2)

  1. 등판부와, 등판부의 전방에 양측 어깨부분과 연결되며 좌우로 분리되는 앞가슴부와, 등판부의 상부에 지퍼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목보호부를 포함하는 낙석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등판부본체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완충재챔버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리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완충재챔버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완충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좌우측 완충재챔버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골부 바닥의 등판부본체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의 구명줄을 외부로 인출하는 구명줄구멍과, 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줄구멍에는 지퍼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재챔버는 등판부본체의 외부에 완충재가 삽입될 공간부가 형성되게 외피가 재봉으로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목보호부는 목보호부본체와 외피의 사이에 완충재챔버가 형성되고, 그 완충재챔버에 완충재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KR1020130156380A 2013-12-16 2013-12-16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KR10145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80A KR101456656B1 (ko) 2013-12-16 2013-12-16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80A KR101456656B1 (ko) 2013-12-16 2013-12-16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656B1 true KR101456656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380A KR101456656B1 (ko) 2013-12-16 2013-12-16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72B1 (ko) * 2021-01-14 2022-03-28 배은정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713A (ja) * 1999-06-24 2001-01-16 Mitsunori Masuda 安全被服
KR200222171Y1 (ko) *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288163Y1 (ko) * 2002-06-14 2002-09-09 손승봉 보호패드가 삽입된 작업용 조끼
KR101288774B1 (ko) *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713A (ja) * 1999-06-24 2001-01-16 Mitsunori Masuda 安全被服
KR200222171Y1 (ko) *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288163Y1 (ko) * 2002-06-14 2002-09-09 손승봉 보호패드가 삽입된 작업용 조끼
KR101288774B1 (ko) *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72B1 (ko) * 2021-01-14 2022-03-28 배은정 충격 흡수 가능한 작업복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9108A (en) Protective helmet
US4608716A (en) Safety jump suit uniform and lifting mechanism for miners and other workers
AU776595B2 (en) Protective garments with floating armor system
US3174155A (en) Protective helmet having a padded outer surface
US6070274A (en) Protective garments with floating armor and reduced bulk
US3148375A (en) Football helmet harness
US6035453A (en) Race car driver vest
KR101533069B1 (ko)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JPH0211464B2 (ko)
ITVR20120114A1 (it) Dispositivo indossabile di protezione.
KR10114976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US20110283446A1 (en) Life Vest
US8276217B1 (en) Personal roll bar
US7975321B1 (en) Combination neck brace incorporated into a body protector
US20150374059A1 (en) Hooded garment with impact protection
KR101456656B1 (ko)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US2364571A (en) Boxer's helmet
US5482324A (en) Supplemental car seat belt for protecting users wtih stomas
JP2006257615A (ja) 保護胴衣及びプロテクタ
PL226220B1 (pl) Kask bezpieczenstwa
US6554668B2 (en) Life jacket
JP5280565B2 (ja) プロテクター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EP2745720A1 (en) Protection device
CN214283398U (zh) 一种体育运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