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05Y1 - 인터로킹 베어링 - Google Patents

인터로킹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05Y1
KR200489205Y1 KR2020157000010U KR20157000010U KR200489205Y1 KR 200489205 Y1 KR200489205 Y1 KR 200489205Y1 KR 2020157000010 U KR2020157000010 U KR 2020157000010U KR 20157000010 U KR20157000010 U KR 20157000010U KR 200489205 Y1 KR200489205 Y1 KR 200489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fingers
bearing
plain bearing
fl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7000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707U (ko
Inventor
베른트 애스트너
안드리아즈 케일바흐
헤르베르트 사우터
아드리안 존 하드그라세
Original Assignee
지지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지비, 인크. filed Critical 지지비,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01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46Brasses; Bushes; Linings divided or split, e.g. half-bearings or rolled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8Methods of manufacture, e.g. shaping, applying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2Assembling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70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 F16C2226/74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with snap-fit, e.g. by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70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 F16C2226/76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with tongue and groove or key and slot
    • F16C2226/78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with tongue and groove or key and slot of jigsaw-puzz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08Attachment of brasses, bushes or linings to the bearing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이 제공된다.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은 복수의 제1 핑거를 포함한 말단 에지를 갖는 제1 단부 부분 및 복수의 제2 핑거를 포함한 말단 에지를 갖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복수의 핑거는 부분들 사이에 스냅 피트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한다. 더 긴 플레인 베어링의 경우, 베어링 연장부가 제공된다. 베어링 연장부는 복수의 제1 커넥터 핑거를 갖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베어링 연장부는 복수의 제2 커넥터 핑거를 갖는 제1 커넥터에 반대쪽에 있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로킹 베어링{INTERLOCKING BEARING}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는 2012년 9월 6일자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12006306.0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베어링, 더욱 구체적으로 조립 및 제조를 돕기 위해 인터로킹 몸체 조립체를 갖는 더블-플랜지형, 단일-플랜지형, 또는 비-플랜지형 플레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향상된 마모 저항 또는 감소된 마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충전제로 채택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플레인 베어링이 당업계에 잘 공지되었다. 이들 베어링은 단순한 실린더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스러스트 와셔 표면을 제공하고 및/또는 하우징 내의 배치를 돕기 위해 일 단부 상에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고안이 더블 플랜지형 베어링을 필요로 하여 베어링이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에 스러스트 와셔 표면을 제공하고 및/또는 원통형 하우징 내에 확고히 배치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베어링의 하나 또는 양 측면에 플랜지의 추가는 베어링의 설치 및 베어링의 제조 둘 모두에 대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더블 플랜지 베어링의 경우, 더블 플랜지 베어링은 단일의 플랜지 베어링 형태를 갖는 실린더 또는 단순한 실린더 베어링을 제조하기가 더 어려운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중합체 베어링은 예를 들어, 제2 플랜지가 형성되기 전에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압축 또는 조작될 수 있는 단일 부분 베어링을 제조하거나 또는 단일 부분 더블 플랜지형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하여 복잡하고 고가의 다-부분 툴링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다른 공지된 제조 방법은 더블 플랜지형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중 부분 내에 하우징 내로의 조립을 허용하는 베어링 또는 더블 플랜지형 베어링 주위에서 조립될 수 있는 하우징의 설계를 포함한다.
이수그(igus) GmbH가 소유한 유럽 특허 제EP 1 869 334호는 신규한 더블 플랜지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제2 플랜지는 칼라 요소가 원통형 베어링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평평한 위치로부터 칼라 요소가 원통형 베어링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플랜지 위치로 복수의 칼라 요소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칼라 요소의 만곡은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일 예시적인 결함이 베어링 내에 잠재적 파단 지점 또는 응력 집중부를 야기할 수 있는 만곡 위치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결함은 칼라 요소의 만곡의 곤란성에 있다.
게다가, 긴 중합체성 원통형 베어링, 무플랜지일지라도 단일의 플랜지, 또는 이중 플랜지가 통상적으로 제조하기가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긴 중합체성 몰드는 베어링의 길이를 허용하기 위하여 상당히 큰 툴링을 필요로 한다. 추가로, 몰드는 몰드에 대한 툴링을 따라 몇몇의 사출 게이트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긴 원통형 플레인 베어링의 제조가 복잡해진다.
다수의 게이트 및 긴 공구는 또한 몰드의 충전에 관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다수의 사출에 따른 긴 몰드는 대개 베어링 재료 내의 일부 취약성을 야기하는 냉각 용접으로서 지칭되는 접합부 또는 용접부를 따라 재료의 적합한 니팅(knitt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합체 냉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결함을 겪지 않지만 통상적인 사출 몰딩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더블, 단일 또는 비-플랜지형 플레인 중합체 베어링의 산업상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모듈식 베어링을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요구를 해결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적어도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한 모듈식 베어링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은 이의 에지에 복수의 핑거가 제공된다. 복수의 핑거가 스냅 피트 연결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성형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핑거가 협력하여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핑거의 상대 운동을 돕기 위해 챔퍼링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은 외부 및 내부 표면을 갖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표면은 스러스트 베어링 표면 또는 와셔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이 플랜지 이외에 말단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더블 플랜지 베어링, 단일의 플랜지 베어링, 또는 비 플랜지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서, 베어링 연장부가 제공된다. 베어링 연장부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1 커넥터 부분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커넥터 부분을 갖는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핑거가 제공된다. 복수의 핑거는 더 긴 플레인 베어링이 모듈식 방식으로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단부의 복수의 핑거와 협력하여 결합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단부 부분과 베어링 연장부는 중합체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된다. 단부 부분은 사출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단부 부분과 베어링 연장부는 비-중합체성 재료, 예컨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단부 부분과 베어링 연장부는 예를 들어, 마모 저항 및/또는 윤활 표면과 같은 원하는 특성을 위해 선택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핑거가 에지 주위에서 대칭 구조로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핑거가 비대칭으로 제공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단부 부분과 베어링 연장부가 일정한 형상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일정한 형상이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단부 부분과 베어링 연장부는 테이퍼, 스텝, 곡률(curvature) 또는 벌지(bulg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플랜지 베어링의 제1 부분의 제1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플랜지 베어링의 제1 부분의 제2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플랜지 베어링의 제2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1a의 플레인 원통형 플랜지 베어링의 제1 부분의 핑거 단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플레인 원통형 플랜지 베어링의 제1 부분의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더블 플랜지 베어링의 분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더블 플랜지 베어링의 비-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더블 플랜지 베어링의 분해도.
도 6b는 도 6a의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인 원통형 더블 플랜지 베어링의 비-분해 사시도.
본 고안의 기술은 다양한 도면, 표, 등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이 플레인 더블 플랜지 원통형 베어링(plain double flange cylindrical bearing)에 대해 기재될지라도, 이 기술은 플랜지 및 비-플랜지 베어링 타입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사출 몰딩되고 긴 중합체 베어링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게다가, 본 고안의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용어 "예시적인"은 "예시, 실례 또는 도해의 제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실시 형태가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선호되거나 또는 유익하도록 특정 표시가 없는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선호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다. 게다가, 특정 경우에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제공된다. 단일의 예시는 단지 실시 형태로서 해석될 필요가 없다.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상세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를 읽음으로써, 본 고안의 기술이 특정 세부사항에 따라 또는 이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 기재 내용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된 구조물 및 장치는 본 명세서의 기술을 차단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블록도로 도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은 더블 플랜지 플레인 원통형 베어링을 제공하지만 다른 사출 몰딩된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술은 단순한 공동 사출 몰딩 공구로 제조될 수 있는 복수의 모듈식 부분으로서 설계된 플레인 중합체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부분의 모듈식 속성은 중합체 베어링(polymer bearing)이 원하는 기하학적 형상의 플레인 중합체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하여 인터로킹 특징부 및 조립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수의 부분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조립되도록 허용한다. 모듈식 중합체 베어링(500, 600)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 5b 및 도 6b에서 조립되고 도 5a 및 도 6a에서 분해된 것으로 도시된다. 모듈식 중합체 베어링(500, 600)은 각각 종방향 축(502, 602) 및 가로방향 축(504, 604)을 갖는다.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듈식 중합체 베어링(500, 600)은 모듈식 중합체 베어링의 측면 상에 제1 및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06, 606, 508, 608)를 갖는다. 예를 들어, 더 긴 배럴, 단일 또는 비-플랜지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플레인 베어링(500, 600)은 증가된 마모 저항 또는 감소된 마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충전제 등으로 채택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레인 베어링은 경질 및 윤활 조성물, 예컨대 열경화제, 열가소제 및 금속뿐만 아니라 이의 조합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복합물이 스러스트 베어링 또는 와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린더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 표면 및 단순한 실린더를 가질 수 있는 베어링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플레인 베어링은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인 베어링의 양 측면 상에 플랜지 표면을 갖는 더블 플랜지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더블 플랜지 베어링은 베어링의 각각의 측면에 스러스트 표면을 제공하고 및/또는 적절히 원통형 베어링 표면의 배치를 도울 수 있다. 후술된 바와 같이, 모듈식 부분들의 인터로킹의 기계적 속성은 상이한 부분들이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도록 허용한다.
자명하듯이, 통상적으로 특히 배럴이 연장됨에 따라 가공가능한 더블 플랜지 원통형 베어링을 제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의 모듈식 설계는 액체 수지를 사용하여 구성의 급속 조형(rapid prototyping), 액체 중합체의 캐스팅, 오버몰딩, 및 심지어 본 고안의 기술과 연계된 모듈식 베어링 설계의 인터로킹 특징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중합체 부싱의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중합체 베어링을 제공한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면, 플레인 베어링의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은 플레인 베어링(500, 6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공된다.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은 종방향 축(60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04)를 포함한다. 플랜지 표면(104)은 외부 표면(106) 및 내부 표면(108)을 갖는다. 어느 하나의 표면이 표면의 응용 및 위치에 따라 스러스트 와셔 표면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04)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보어(110)를 제공한다(도 3).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60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어링 벽(112)은 내부 측면(116)을 가지며, 이 내부 측면은 베어링 표면으로 불릴 수 있고, 상기 베어링 벽은 내부 측면(116)의 반대쪽에 있는 외부 측면(114)을 갖는다. 베어링 벽은 내부 표면(108)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반적으로 보어(110)를 갖는다. 베어링 벽(112)은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챔퍼링될 수 있는 단부 부분 에지(118)에서 말단을 이룬다. 베어링 벽(112)은 단부 부분 에지(118)로부터 내부 표면(108)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공극(120)을 포함한다. 공극(120)은 일반적으로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넥 부분(122), 스로트 부분(124), 및 말단 부분(126)을 갖는다. 공극(120)은 넥 부분(122)으로부터 스로트 부분(124)을 통하여 말단 부분(126)으로의 곡률에 의해 형성된다. 베어링 벽(112) 내에 공극(120)을 제공함으로써 플랜지(104)에 대해 이동가능하고/유연한 복수의 핑거(128) 등이 형성된다.
이해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은 각각의 공극(120)이 대응 핑거(28)와 정렬되도록 서로에 대해 제1 부분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식으로 링크고정될 수 있다.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을 함께 가압함으로써 핑거(128)가 인터로킹된다.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이 동일하기 때문에, 단일의 몰드 또는 공동이 단부 부분(102)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몰딩 공정에서 적합하다. 그러나, 제1 부분 또는 단부 부분(102)은 상이한 형상 또는 길이의 베어링이 제조될 수 있도록 동일할 필요는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부분 에지(118)는 핑거(128)가 스냅 피트 결합으로 인터로킹되도록 서로에 대해 만곡 및 이동시키는 것을 돕도록 챔퍼링될 수 있다.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극(120)(또는 역으로 핑거(128))은 핀치형 넥 부분(pinched neck portion, 112) 및 벌어지거나 또는 확장된 스로트 부분(124)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연장부(bearing extender, 200)가 도 2에 도시된다. 베어링 연장부(200)는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배럴 또는 실린더로서 지칭될 수 있다. 베어링 연장부(200)는 제1 부분(102)의 베어링 벽(112)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종방향 축(20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어링 벽(202)을 갖는다. 베어링 벽(202)은 원통형이고 제1 부분(102)가 정렬되는 보어(206)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연장부(200)는 베어링 벽(202)의 일 단부 상에 제1 커넥터 부분(208) 및 베어링 벽(202)의 반대쪽에 있는 단부 상에 제2 커텍터 부분(210)을 갖는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08, 210)은 제1 부분(102)의 핑거(128)와 공극(120)을 상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핑거(212)와 공극(214)과 함께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베어링 연장부(200)는 긴 실린더 플레인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쌍을 이루는 제1 부분(102)들 사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플랜지형 베어링의 경우, 베어링 연장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부분(210) 이외에 가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연장부 말단 벽(216)에서 말단을 이룰 수 있다. 비-플랜지 또는 논-플랜지 베어링이 베어링 연장부 말단 벽(216)과 2개의 베어링 연장부(200)를 스냅 피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재차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더블 플랜지 베어링(500)과 더블 플랜지 연장식 베어링(600)이 추가로 상세히 도시된다. 더블 플랜지 베어링(500)은 서로 스냅 피팅되는 제1 단부 부분(102)과 제2 단부 부분(102)이 제공된다. 더블 플랜지 연장식 베어링은 베어링 연장부(200)의 제1 및 제2 커넥터(208, 210)로 스냅 피팅되는 제1 및 제2 단부 부분(102)을 갖는다. 더 긴 연장식 베어링(600)은 제1 부분(102)들 사이에 복수의 베어링 연장부(200)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단일의 플랜지 베어링이 요구되는 경우, 제2 단부 부분(102)은 베어링 연장부 말단 벽(216)을 갖는 베어링 연장부(200)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베어링 연장부(200)는 명확함을 위해 제2 단부 부분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 및 설명이 상대 운동 및 만곡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형상을 갖는 핑거 및 공극에 대해 제공될지라도, 당업자는 대안의 형상이 스냅 피트 배열로 인터로킹할 수 있는 연장부 및 단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방향 축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베어링 벽(112, 202)에 대해 도시될지라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 벽(112, 202)은 벽을 따라 치수상 차이를 허용할 수 있는 테이퍼링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테이퍼 대신에, 베어링 벽(112, 202)은 보어 등의 직경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스텝 특징부(step featur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02)과 연장부(200)는 예를 들어, 일부가 요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절두 원뿔, 난형, 타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양태는 제공된 플레인 베어링(500, 600) 등이 함께 가압될 수 있고, 자유 공간 내에서 또는 수용되지 않을 때 상당히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부분들은 부분을 하우징 내로 삽입하고 부분들을 서로 가압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인터로킹되도록 하우징 내에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뜻밖에 하우징 내로 일체로 형성되면, 베어링(500, 600)은 베어링 조립체를 파괴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더블 플랜지형 베어링이 사용되는 경우, 베어링은 효과적으로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단일- 또는 비-플랜지형 베어링이 또한 수용 시에 분리되지 않을 수 있지만 베어링은 비-수용 시에 용이하게 분리되고 하우징을 통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인터로킹 형상이 함께 가압 시에 서로에 대해 만곡되지만 분리 시에 베어링의 외측 직경의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설계 특징부가 작용한다. 베어링 부분이 삽입되고 인터로킹되면, 하우징은 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이는 베어링이 후속 조립 절차 동안에 헐거워지는 것을(fall out) 방지하기 때문에 유용한 설계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는 핑거(또는 공극)의 에지가 부분들의 자가-정렬 또는 배향을 제공한다. 즉, 제1 부분(102) 및/또는 연장부(200)가 배치되고 종방향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할 때, 부분들은 인터로킹 형상이 서로 접촉함에 따라 약간 회전할 수 있고 인터로킹 위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는 부분들이 조립 시에 서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향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는 정확한 배향으로 자가-정렬될 수 있다.
인터로킹을 사전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곡선의 크기 및 형상이 필요한 베어링의 직경 및 폭에 따라 쉽사리 계산될 수 있다. 게다가, 인터로크는 전적으로 강성일 필요는 없다. 게다가, 이는 수용 시에 베어링 길이를 따라 부분들 사이에 일부 비스듬한 운동을 제공한다. 이 설계 변형은 설계가 하우징 길이의 비교적 폭 넓은 변화를 요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연결부가 기계적이기 때문에, 제1 부분과 연장부가 상이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마모 및 마찰 특성의 재료를 제공하고, 여기서 예를 들어 고안이 베어링 상에 높은 에지 로딩을 가지며, 단부 부분은 마모 저항에 대해 적합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연장 부분은 더 작은 마찰 재료이지만 더 작은 마모 저항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형태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이용 또는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다른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또는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Claims (25)

  1.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으로서,
    종방향 축 및 가로방향 축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은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및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제1 단부 부분 에지로 연장되는 베어링 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은 제1 단부 부분 에지와 인접한 복수의 제1 핑거를 가지며, 각각의 복수의 제1 핑거는 외부 측면 및 내부 측면을 가지며,
    제1 단부 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가로방향 축 및 종방향 축을 가지며 제2 단부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 부분 에지로 연장되는 베어링 벽을 가지며, 제2 단부 부분은 제2 단부 부분 에지와 인접한 복수의 제2 핑거를 가지며, 각각의 복수의 제2 핑거는 외부 측면 및 내부 측면을 가지며,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어링 연장부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1 커넥터 부분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및 제2 커넥터 핑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핑거는 스냅 피트 방식으로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제1 및 제2 핑거와 협력하여 결합하고,
    복수의 제1 및 제2 핑거는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핑거는 제1 및 제2 단부 부분 에지에서 외부 측면으로부터 내부 측면으로 챔퍼링되어 제1 및 제2 핑거가 조립 중에 서로 가압될 때 제1 및 제2 핑거가 만곡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스냅 피트 방식으로 협력하여 결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은 제1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3.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은 제2 단부 부분 말단 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동일한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동일하지 않은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은 보어를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7.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연장부는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8.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연장부는 테이퍼 또는 스텝을 갖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핑거 및 복수의 제2 핑거는 베어링 벽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핑거 및 복수의 제2 핑거는 베어링 벽 주위에 불균등하게 이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사출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베어링 연장부는 중합체를 사출 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베어링 연장부는 서로 상이한 제1 재료로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과 하나 이상의 베어링 연장부가 조립 중에 함께 가압될 때 제1 및 제2 커넥터 핑거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제1 및 제2 핑거가 만곡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스냅 피트 방식으로 협력하여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제1 및 제2 핑거와 제1 및 제2 커넥터 핑거가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6.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으로서,
    종방향 축 및 가로방향 축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은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보어를 갖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및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제1 단부 부분 에지로 연장되는 원통형 베어링 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은 제1 단부 부분 에지와 인접한 복수의 제1 핑거를 가지며, 각각의 복수의 제1 핑거는 외부 측면 및 내부 측면을 가지며, 원통형 베어링 벽의 내부 표면은 플랜지 내에 형성된 상기 보어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제1 단부 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가로방향 축 및 종방향 축을 가지며 제2 단부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 부분 에지로 연장되는 베어링 벽을 가지며, 제2 단부 부분은 제2 단부 부분 에지와 인접한 복수의 제2 핑거를 가지며, 각각의 복수의 제2 핑거는 외부 측면 및 내부 측면을 가지며, 복수의 제1 및 제2 핑거는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핑거는 제1 및 제2 단부 부분 에지에서 외부 측면으로부터 내부 측면으로 챔퍼링되어 제1 및 제2 핑거가 조립 중에 서로 가압될 때 제1 및 제2 핑거가 만곡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스냅 피트 방식으로 협력하여 결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은 제1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8. 제16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은 제2 단부 부분 말단 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19.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동일한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0.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동일하지 않은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1.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은 보어를 포함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2.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핑거 및 복수의 제2 핑거는 베어링 벽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3.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핑거 및 복수의 제2 핑거는 베어링 벽 주위에 불균등하게 이격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4.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25. 제24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사출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플랜지형 모듈식 플레인 베어링.
KR2020157000010U 2012-09-06 2013-08-22 인터로킹 베어링 KR2004892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6306.0A EP2706246B1 (en) 2012-09-06 2012-09-06 Interlocking bearing
EP12006306.0 2012-09-06
PCT/US2013/056245 WO2014039277A1 (en) 2012-09-06 2013-08-22 Interlocking bea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07U KR20150001707U (ko) 2015-05-06
KR200489205Y1 true KR200489205Y1 (ko) 2019-05-15

Family

ID=4692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7000010U KR200489205Y1 (ko) 2012-09-06 2013-08-22 인터로킹 베어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429192B2 (ko)
EP (2) EP2706246B1 (ko)
JP (1) JP6324385B2 (ko)
KR (1) KR200489205Y1 (ko)
CN (1) CN205244141U (ko)
BR (1) BR112015004778A2 (ko)
ES (1) ES2560004T3 (ko)
HK (1) HK1215515A2 (ko)
PL (1) PL2706246T3 (ko)
WO (1) WO2014039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0168U1 (de) * 2017-01-13 2018-04-16 Habermaass Gmbh Gleitlageranordnung für eine Achse eines Kinderspielzeuges sowie Verwendung derselben und ein Kinderspielzeug mit einer Gleitlageranordnung
GB2562748A (en) * 2017-05-23 2018-11-28 Airbus Operations Ltd Bearing assembly
DE102018213604A1 (de) * 2018-08-13 2020-02-13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Leitschaufelbaugruppe mit Dichtelement
US11917936B2 (en) 2019-10-28 2024-03-05 Cnh Industrial Canada, Ltd. Support for an agitator of an agricultural system
WO2021183864A1 (en) 2020-03-13 2021-09-16 Ggb Llc Bearings and components thereof comprising a 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7B1 (ko) * 2005-04-11 2010-02-01 이구스 게엠베하 플레인 베어링 시스템 및 플레인 베어링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4380A (en) * 1926-11-20 1932-10-25 Gen Motors Corp Four speed step-down transmission
US2308183A (en) * 1941-12-27 1943-01-12 Du Pont Packless valve
US2568614A (en) * 1945-10-04 1951-09-18 Admiral Corp Clothes-washing machine with a horizontally reciprocating agitator
US2547374A (en) * 1946-12-06 1951-04-03 Biagio A Carideo Rotary engine
US2865452A (en) * 1955-10-05 1958-12-23 Walter G Porter Piercing punch
US3368852A (en) * 1965-10-24 1968-02-13 Trw Inc Pin-type bushing assembly
FR2126016A5 (ko) * 1971-02-20 1972-09-29 Jorn Raoul
DE2108358A1 (de) * 1971-02-22 1972-09-07 Seifert W Kombinations-Gleitlager
US3972576A (en) * 1975-02-27 1976-08-03 Vandervell Products Limited Flanged half bearings
US4230194A (en) * 1979-02-23 1980-10-28 Logan Jr Clifford K Rotary drill bit
FR2580747B1 (fr) * 1985-04-22 1991-09-06 Federal Corp Palier de butee composite constitue par un palier radial a au moins une butee axiale rapportee
JPS63195415A (ja) * 1987-02-05 1988-08-12 Daido Metal Kogyo Kk 少なくとも2つの合わせ目を有する雌雄締結形ブシユ軸受
JPH0425612A (ja) * 1990-05-22 1992-01-29 Iseki & Co Ltd すべり軸受
FR2669691A1 (fr) 1990-11-28 1992-05-29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Palier lisse souple et son application aux directions d'automobile.
KR960002648Y1 (ko) * 1993-03-13 1996-03-28 이영식 캐스터의 베어링 조립구조
GB9325345D0 (en) * 1993-12-10 1994-02-16 Dev Enterprises Limited Gas springs
US5577843A (en) * 1994-10-11 1996-11-26 Gleason Corporation Self-aligning, self-locking plastic bushing including a method for mounting the bushing to a wheel assembly
US5775741A (en) * 1996-01-26 1998-07-07 Baracuda International Corporation Swimming pool cleaner swivel assembly
US6107694A (en) * 1996-12-12 2000-08-22 Mostrom; Lloyd C. Baffler--Model A --an automobile anti-theft device
AUPP855099A0 (en) * 1999-02-09 1999-03-04 Resmed Limited Gas delivery connection assembly
US6086327A (en) * 1999-01-20 2000-07-11 Mack Plastics Corporation Bushing for a jet engine vane
US7241300B2 (en) * 2000-04-29 2007-07-10 Medtronic, Inc,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astomoses using magnetism or other coupling means
DE10023602C2 (de) * 2000-05-15 2002-06-27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hülsengelenk
DE10202057A1 (de) * 2002-01-18 2003-07-24 Mitex Gummifabrik Hans Knott G Fixierungsvorrichtung für Sleeve-Walzen
AU2002340712A1 (en) * 2002-02-25 2003-09-09 Huber + Suhner Ag Optical plug-in connection
BRPI0508729A (pt) * 2004-04-06 2007-09-25 Peraves Ag motor com pistão giratório e veìculo com motor deste tipo
US8028692B2 (en) * 2006-03-09 2011-10-04 Ric Investments, Llc Multi-sectioned conduit assembly
JP4669436B2 (ja) * 2006-04-27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鏡筒駆動装置
JP4811342B2 (ja) * 2007-05-02 2011-11-0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US8365414B2 (en) * 2008-12-16 2013-02-0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oller bearing assembly
AT508186A1 (de) * 2009-04-22 2010-11-15 Faigle Kunststoffe Gmbh Gleitlager
US20110155006A1 (en) * 2009-12-31 2011-06-30 Bryce Corporation Interlocking printing sleev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7B1 (ko) * 2005-04-11 2010-02-01 이구스 게엠베하 플레인 베어링 시스템 및 플레인 베어링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5515A2 (zh) 2016-08-26
US9765818B2 (en) 2017-09-19
EP3009696A1 (en) 2016-04-20
PL2706246T3 (pl) 2016-06-30
CN205244141U (zh) 2016-05-18
JP6324385B2 (ja) 2018-05-16
KR20150001707U (ko) 2015-05-06
EP2706246B1 (en) 2015-12-09
EP3009696B1 (en) 2019-10-23
US20150226259A1 (en) 2015-08-13
JP2015528554A (ja) 2015-09-28
US9429192B2 (en) 2016-08-30
US20160319866A1 (en) 2016-11-03
WO2014039277A1 (en) 2014-03-13
ES2560004T3 (es) 2016-02-17
BR112015004778A2 (pt) 2017-07-04
EP2706246A1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05Y1 (ko) 인터로킹 베어링
US9382935B2 (en) Elastic tubular attachment assembly for mat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ting components
KR101713477B1 (ko) 곡관
US8533912B2 (en) Grab handle mounting assembly
CN108291574B (zh) 球窝接头的制造方法及稳定器连杆的制造方法
DE102011082809A1 (de) Verbindungskonzept für einen geteilten Lagerkäfig
CN107532650B (zh) 圆锥滚子轴承
CN111133210B (zh) 圆锥滚子轴承用保持架和圆锥滚子轴承
AU2013201209A1 (en) Nut
CN107131412A (zh) 用于将成套设备、尤其是泵固定在机动车上的保持件
KR20110019765A (ko) 파이프 연결부
CN107150577A (zh) 挤制构件角连接
US9862016B2 (en) Mandrel
JP4500007B2 (ja) 樹脂製シールリング
JP2008157397A (ja) シールリング
JP2008111477A (ja) シールリング
US20140010486A1 (en) Integral spherical bearing and lug for aerospace applications
JP2007078029A (ja) 樹脂製波形保持器およびこの保持器を用いた玉軸受、ならびに樹脂製波形保持器の製造方法
JP4251860B2 (ja) シールリング
US257891A (en) Lightning-rod coupling
KR101079638B1 (ko) 가이드 클로
CN105980756B (zh) 接头结构及接头结构的制造方法
WO2011108085A1 (ja) ヒンジ部材及びヒンジ部材の製造方法
CN113202854A (zh) 一种装配式塑料杆端关节轴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