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477B1 - 곡관 - Google Patents

곡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477B1
KR101713477B1 KR1020160017953A KR20160017953A KR101713477B1 KR 101713477 B1 KR101713477 B1 KR 101713477B1 KR 1020160017953 A KR1020160017953 A KR 1020160017953A KR 20160017953 A KR20160017953 A KR 20160017953A KR 101713477 B1 KR101713477 B1 KR 10171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axis
concave portion
viewed
b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757A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2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4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bent tubular articles using an undercut forming moul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2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expansible or collaps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4Arrangements of guide vanes in pipe elbows or duct bends; Construction of pipe conduit elements for elbows with respect to flow, e.g. for reducing losses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4Ben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3Y-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과제) 작은 직경의 곡관에 적용 가능하며, 또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곡관을 얻는다.
(해결수단) 곡관(10)의 곡관 본체(12)는 그 유로가 축선(12A)을 따르고 있으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굴곡부(14)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이 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R형상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상기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16)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오목부(16)를 상기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오목부(16)의 양 측벽부(16B)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굴곡부(14)의 상기 축선(12A)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경의 거리보다도 짧다.

Description

곡관{curved tube}
본 발명은 유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의 구부러진 부분에 적용되는 곡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의 구부러진 부분에 적용되는 곡관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급수관 삽입 스토퍼 돌기를 R형상으로 개량함으로써 압력 손실(헤드 로스)이 적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10-6447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양 단부측에 있어서, 언더컷으로 된 내측 금형을 무리하게 빼내고 있기 때문에,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형상이 안정하지 않다. 그 결과, 유체의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작은 직경의 곡관에 적용 가능하며, 또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곡관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곡관은, 축선방향의 일부에 굴곡부를 가지며,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합성수지제의 곡관 본체와, 상기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이 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R형상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상기 축선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저면은,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관 본체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은, 상기 오목부를 상기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축선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양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굴곡부의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경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곡관 본체의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축선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가 곡관 본체의 굴곡부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오목부에 의해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형성한 오목부의 저면이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곡관 본체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의 압력 손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형성한 오목부의 저면이 상기 오목부를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축선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로가 매끄럽게 되어 유체의 압력 손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관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작은 직경의 곡관에 적용 가능하며, 또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곡관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 손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일부를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으로 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내측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성형위치를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이형(離型) 도중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도 6에 계속되는 이형 도중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성형위치를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곡관 성형용 금형의 이형 도중을 나타내는, 곡관의 축선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15는 종래예에 관한 곡관을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
이어서, 본 발명의 곡관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7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곡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곡관(10)의 곡관 본체(12)는 단면 원형의 유로가 축선(12A)을 따르고 있으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거의 직각으로 굴곡된 굴곡부(14)를 가지고 있다. 또, 곡관 본체(12)의 양 단부(12B)는 개구되어 있으며, 양 단부(12B)에는 일례로서 호스(15)가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는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6)에 의해서 액체 등의 유체(도 1의 화살표 W)가 굴곡부(14)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오목부(16)를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어 굴곡부(14)의 유로가 매끄럽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어 굴곡부(14)의 유로 단면적(S)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6)의 양 측벽부(16B)는 저면(16A)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등의 유체(도 1의 화살표 W)가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오목부(16)에 의해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오목부(16)를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전역을 R형상으로 하는 구성에 비해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작은 직경의 곡관(예를 들면, 내경 40mm 이하의 곡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양단(l4B)측에 있어서는 내측 금형을 언더컷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곡관 본체(12)에서 내측 금형을 무리 없이 빼낼 수 있기 때문에,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형상이 안정하게 되어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6)의 저면(16A)이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굴곡부(14)의 유로 단면적(S)이 커져서 유체의 압력 손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오목부(16)의 저면(16A)이 상기 오목부(16)를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굴곡부(14)의 유로가 매끄럽게 되어 유체의 압력 손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곡관 성형용 금형》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곡관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0)을 나타낸 것으로, 외측 금형(22)과 내측 금형(24)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금형(22)은 2분할 가능한 분할 금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합성수지제의 곡관 본체(12)의 외주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내측 금형(24)은 곡관 본체(12)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내측 금형(24)은 동일 형상의 1쌍의 메인 코어(30)와, 동일 형상의 1쌍의 서브 코어로서의 힌지 코어(34)를 가지고 있다. 각 메인 코어(30)와 각 힌지 코어(34)는 곡관 본체(12)의 축선(12A)방향을 따르는 장척(長尺)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각 메인 코어(30)와 각 힌지 코어(34)는, 곡관 본체(12)의 축선(12A)방향으로 접근시키는 접근이동 및 떼어내는 인발(引拔)이동에 의해서, 굴곡부(14)에 있어서의 축선(12A)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축선(12A)방향에서 서로 합체ㆍ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메인 코어(30)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곡관 본체(12)의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메인 코어(30)의 선단부(30A)에는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오목부(16)}의 언더컷부에 걸어맞춰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힌지 코어(34)는 각 메인 코어(30)의 홈부(32)에, 이 메인 코어(30)에 대해서 곡관 본체(12)의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곡관 본체(12)의 내주면은 메인 코어(30)의 만곡된 성형면(30B)과 힌지 코어(34)의 만곡된 성형면(34A)에 의해서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힌지 코어(34)는 길이방향의 일측의 기부(基部)(36)와 길이방향의 타측의 회동부(38)가 힌지부(4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코어(34)의 힌지부(40)에서는,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기부(36)의 오목부와 회동부(38)의 볼록부가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힌지부(40)의 축심(P1)을 중심으로 하여, 기부(36)에 대해서 회동부(38)가 축선(12A)측으로 접근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B방향)과 축선(12A)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힌지부(40)는 탄지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1)을 내장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41)의 탄지력에 의해서 기부(36)에 대해서 회동부(38)가 축선(12A)측으로 접근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회동부(38)는 힌지부(40)에 의해서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홈부(32)의 저부에 눌려 붙여져 있다.
각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의 선단(38A)은,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에 형성되는 오목부(16)의 언더컷부에 대응하고 있으며, 오목부(16)에 걸어맞춰지는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성형위치에서는, 1쌍의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는 그 선단(38A)이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인 오목부(16)를 형성하는 위치에 있다. 또, 1쌍의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는 성형위치에 있는 각 메인 코어(30)의 홈부(32)에 수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메인 코어(30)가 분리되어 각각 성형위치에서 퇴피위치방향(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힌지부(40)에 의해서 각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가 도 6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가 도 5에 나타내는 성형위치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코어(30)가 이동함에 따라서 공간으로 된 메인 코어(30)의 성형위치{회동부(38)의 회동위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메인 코어(30)가 퇴피위치방향(도 7의 화살표 A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1쌍의 메인 코어(30)의 홈부(32)의 선단에 형성된 걸어맞춤부(50)가 각 힌지 코어(34)의 기부(36)에 형성된 볼록부(52)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메인 코어(30)와 함께 각 힌지 코어(34)가 각각 도 7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내측 금형(24)이 곡관 본체(12)에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곡관 성형용 금형(20)에 의해서 곡관 본체(12)를 성형할 경우에는, 우선 외측 금형(22)과 내측 금형(24)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 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오목부(16)를 가지는 곡관(10)의 곡관 본체(12)를 성형한다. 그 후, 외측 금형(22)을 떼어냄과 동시에 내측 금형(24)과 곡관 본체(12)를 분리한다.
이 때, 각 힌지 코어(34)에 대해서 1쌍의 메인 코어(30)를 각각 홈부(32)를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성형위치에서 축선(12A)을 따라서 인발방향(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떼어내어 분리한다. 또, 1쌍의 메인 코어(30)가 분리되어 각각 성형위치에서 퇴피위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각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가 힌지부(40)에 의해서 각 메인 코어(30)가 이동함에 따라서 공간으로 된 각 메인 코어(30)의 성형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각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가 도 6에 나타내는 회동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메인 코어(30)를 퇴피위치방향(도 7의 화살표 A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1쌍의 메인 코어(30)의 각 홈부(32)의 선단에 형성된 걸어맞춤부(50)가 각 힌지 코어(34)의 기부(36)에 형성된 볼록부(52)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1쌍의 메인 코어(30)와 함께 각 힌지 코어(34)가 각각 도 7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곡관 본체(12)에서 내측 금형(24)을 무리 없이 빼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곡관 성형용 금형(20)에서는, 내측 금형(24)의 1쌍의 메인 코어(30)의 홈부(32)에 삽입된 힌지 코어(34)에 의해서,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오목부(16)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같이 굴곡부(104)의 내주면 내측(104A)의 둘레방향 전역을 R형상으로 한 곡관(100)의 곡관 본체(102)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관 성형용 금형(20)의 내측 금형(24)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작은 직경의 곡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양 단부(14B)측에 있어서, 내측 금형(24)을 언더컷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곡관 본체(12)에서 내측 금형(24)을 무리 없이 빼낼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의 형상이 안정하게 되어 곡관(10)에 있어서의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6)의 저면(16A)을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하였다. 이것 대신에, 도 8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오목부(16)의 저면(16A)을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평면으로 하여, 내측 금형(24)의 힌지 코어(34)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6)의 저면(16A)의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형상은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6)의 저면(16A)을 상기 오목부(16)를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하였다. 이것 대신에, 도 9의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오목부(16)의 저면(16A)을 상기 오목부(16)를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경사면으로 하여 내측 금형(24)의 힌지 코어(34)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6)의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본 형상은 상기 제 1, 제 3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코어(34)의 힌지부(40)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41) 등의 탄지수단에 의해서, 회동부(38)를 메인 코어(30)가 이동함에 따라서 공간으로 된 메인 코어(30)의 성형위치{회동부(38)의 회동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 대신에, 힌지부 자체가 탄성 변형함에 의해서, 회동부(38)를 메인 코어(30)가 이동함에 따라서 공간으로 된 메인 코어(30)의 성형위치{회동부(38)의 회동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곡관 및 곡관 성형용 금형을 축선(12A)방향의 일부에 거의 직각으로 굴곡된 굴곡부(14)를 가지는 형상의 곡관에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곡관 및 곡관 성형용 금형은 다른 굴곡형상의 곡관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곡관 본체(12)의 축선방향의 일부에 T자 형상의 굴곡부(14)를 가지는 곡관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곡관 본체(12)의 축선방향의 일부에 Y자 형상의 굴곡부(14)를 가지는 곡관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곡관 본체(12)의 축선방향의 일부에 X자 형상의 굴곡부(14)를 가지는 곡관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금형(24)을, 서브 코어로서의 힌지 코어(34)를 가지는 동일 형상의 1쌍의 메인 코어(3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 대신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 금형(24)을, 서브 코어로서의 힌지 코어(34)를 가지는 메인 코어(3O)와 서브 코어를 가지지 않는 메인 코어(6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힌지 코어(34)의 회동부(38)의 선단(38A)이 곡관 본체(12)의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에 형성되는 오목부(16) 전역의 언더컷부에 대응하고 있으며, 회동부(38)의 선단(38A)이 오목부(16)의 전역에 걸어맞춰지는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10 - 곡관(曲管) 12 - 곡관 본체
14 - 곡관 본체의 굴곡부 14A -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
14B -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둘레방향 양 단부
16 - 굴곡부의 내주면 내측의 오목부
16A - 오목부의 저면 20 - 곡관 성형용 금형
22 - 외측 금형 24 - 내측 금형
30 - 메인 코어 32 - 메인 코어의 홈부
34 - 힌지 코어(서브 코어) 36 - 힌지 코어의 기부(基部)
38 - 힌지 코어의 회동부 38A - 힌지 코어의 회동부의 선단
40 - 힌지 코어의 힌지부 60 - 메인 코어

Claims (5)

  1. 축선(12A)방향의 일부에 굴곡부(14)를 가지며,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합성수지제의 곡관 본체(12)와, 상기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이 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R형상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상기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16)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오목부(16)를 상기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오목부(16)의 양 측벽부(16B)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굴곡부(14)의 상기 축선(12A)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경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관 본체(12)는 축선(12A)방향의 일부에 T자 형상의 직각으로 굴곡된 굴곡부(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관 본체(12)는 축선(12A)방향의 일부에 Y자 형상의 예각으로 굴곡된 굴곡부(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관 본체(12)는 축선(12A)방향의 일부에 X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관 본체(12)의 양 단부(12B)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양 단부(12B)에는 호스(15)의 연결이 가능한 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
KR1020160017953A 2012-09-18 2016-02-16 곡관 KR101713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4534 2012-09-18
JPJP-P-2012-204534 2012-09-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50960A Division KR20150044025A (ko) 2012-09-18 2015-04-10 곡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757A KR20160023757A (ko) 2016-03-03
KR101713477B1 true KR101713477B1 (ko) 2017-03-07

Family

ID=5034137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936A KR20140036965A (ko) 2012-09-18 2013-09-11 곡관 구조 및 곡관 성형용 금형
KR20150050960A KR20150044025A (ko) 2012-09-18 2015-04-10 곡관
KR1020160017953A KR101713477B1 (ko) 2012-09-18 2016-02-16 곡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936A KR20140036965A (ko) 2012-09-18 2013-09-11 곡관 구조 및 곡관 성형용 금형
KR20150050960A KR20150044025A (ko) 2012-09-18 2015-04-10 곡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3913B2 (ko)
EP (1) EP2899445B1 (ko)
JP (2) JP5969617B2 (ko)
KR (3) KR20140036965A (ko)
CN (2) CN104620037B (ko)
MX (1) MX368581B (ko)
WO (1) WO2014046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2064B2 (ja) * 2014-03-18 2017-06-21 株式会社ニフコ 曲管構造
US10054338B2 (en) * 2015-03-19 2018-08-2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lexible coupling with rotational capability
US20170108153A1 (en) * 2015-10-16 2017-04-20 S.P.M. Flow Control, Inc. Lateral fitting including offset parting plane
CN106217770B (zh) * 2016-07-19 2018-06-29 江苏河马井股份有限公司 管接头的注塑模具
KR102238037B1 (ko) * 2017-03-14 2021-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부를 갖는 맨드릴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 차체부품 제조방법
WO2018229863A1 (ja) * 2017-06-13 2018-12-20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
JP6939194B2 (ja) * 2017-07-27 2021-09-22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樹脂製エルボ継手
CN107626928B (zh) * 2017-09-19 2020-06-16 西迪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弯管的模具及成型方法
JP6939374B2 (ja) * 2017-10-06 2021-09-22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の製造装置
EP3696809A4 (en) 2017-10-11 2020-12-09 FUJIFILM Corporation BOX-SHAPED SOUND-INSULATING STRUCTURE AND TRANSPORT UNIT
JP7303991B2 (ja) * 2018-05-28 2023-07-06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樹脂製継手
JP7307875B2 (ja) * 2018-10-02 2023-07-13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樹脂製チーズ継手
JP7136665B2 (ja) * 2018-11-13 2022-09-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金型装置および流路部材の製造方法
DE102019105507A1 (de) * 2019-03-05 2020-09-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römungstechnisch druckverlustoptimierte Verschlusselemente (Stopfen) für Fluidkanäle, insbesondere in Getriebe- und Motorgehäusen
JP2021047000A (ja) * 2019-09-13 2021-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接続モジュール
DE112020004318T5 (de) * 2019-09-13 2022-05-25 Denso Corporation Anschlussmodul
USD971384S1 (en) * 2020-12-28 2022-11-29 Ningbo Xiangyuan Valve Co., Ltd. Pipe fitting
USD955531S1 (en) * 2020-11-06 2022-06-21 Spring Art Company Hose connector
USD960331S1 (en) * 2020-12-15 2022-08-09 Spring Art Company Hose connector
USD958303S1 (en) * 2020-12-15 2022-07-19 Ming-Tsan Yen Hose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251A (ja) * 2004-01-28 2005-08-11 Toyoda Gosei Co Ltd 樹脂パイプの接続方法
JP2009184203A (ja) * 2008-02-05 2009-08-20 Kanayama Seisakusho:Kk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管継手製造用の射出成形金型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3949A (en) * 1940-01-13 1942-12-01 Carl H Nordell Conduit bend
GB886331A (en) 1960-10-27 1962-01-03 Franz Josef Sellmei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bends
JPS5147952A (ja) * 1974-10-24 1976-04-24 Hamamasa Enbi Sangyo Kk Goseijushiseikantsugiteseizoyono shingata
JPS5182356A (en) * 1975-01-17 1976-07-19 Kubota Ltd Kyotsukantsugiteno shinganeridatsuho oyobi shinganesochi
JPS54122111U (ko) * 1978-02-15 1979-08-27
JPS53127559A (en) 1978-04-17 1978-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Molding of bent pipe
JPS5765812U (ko) 1980-10-07 1982-04-20
DK155983C (da) * 1981-01-26 1989-10-16 Wirsbo Pex Gmbh Fremgangsmaade til formgivning af roer af formstof
JPS5830592A (ja) * 1981-08-18 1983-02-2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曲げ箇所を備えたパイプおよび該パイプの曲げ加工方法
JPS59186588U (ja) * 1983-05-30 1984-12-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曲管
US5228127A (en) * 1985-06-24 1993-07-13 Fujitsu Limited Clustered multiprocessor system with global controller connected to each cluster memory control unit for directing order from processor to different cluster processors
JPH0353119Y2 (ko) * 1985-07-10 1991-11-19
JPH04362394A (ja) 1991-06-07 1992-12-15 Mitsui Constr Co Ltd ベント管
CN1072627A (zh) 1991-11-28 1993-06-02 陈振业 带直管段的钢弯头的制造方法和模具及其产品
JP3644816B2 (ja) * 1998-02-25 2005-05-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JP2002525525A (ja) 1998-09-21 2002-08-13 ドン リム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高速粒子を含む流れのための耐磨耗性配管付属品
US7153125B2 (en) * 2000-01-19 2006-12-26 Rain Bird Corporation Molded plastic elbow
JP3893581B2 (ja) * 2000-05-25 2007-03-14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パイプフランジの製造方法
DE50203234D1 (de) 2001-03-22 2005-07-07 Jrg Gunzenhauser Ag Sissach Rohrverbinder aus Kunststoff
US6390142B1 (en) * 2001-09-21 2002-05-21 Sankei Giken Kogyo Kabushiki Kaisya Engine exhaust system
CN2506597Y (zh) * 2001-10-25 2002-08-21 王文辉 物料输送管道降磨弯头
JP2003254490A (ja) 2002-03-01 2003-09-10 Toyota Motor Corp 曲がり部を有する流体通路
JP5013912B2 (ja) * 2006-03-28 2012-08-2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樹脂複合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5905A (ja) 2008-05-28 2009-12-10 Nagaoka Kanagata:Kk 曲管成形用金型
JP2010064472A (ja) 2008-09-11 2010-03-25 Jo Suzuki 内面にアンダ−カットのある射出金型構造及びその作動法
US8235074B2 (en) * 2010-02-25 2012-08-07 Masami Sakita Pope and pipe fittings
JP5228127B1 (ja) * 2011-12-26 2013-07-03 株式会社ヨシダアニー 排水管の設置構造及び排水管の閉塞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251A (ja) * 2004-01-28 2005-08-11 Toyoda Gosei Co Ltd 樹脂パイプの接続方法
JP2009184203A (ja) * 2008-02-05 2009-08-20 Kanayama Seisakusho:Kk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管継手製造用の射出成形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82430B (zh) 2019-12-31
JP5969617B2 (ja) 2016-08-17
WO2014046063A1 (ja) 2014-03-27
US10253913B2 (en) 2019-04-09
KR20150044025A (ko) 2015-04-23
KR20140036965A (ko) 2014-03-26
EP2899445B1 (en) 2022-02-23
JPWO2014046063A1 (ja) 2016-08-18
MX368581B (es) 2019-10-08
WO2014046063A8 (ja) 2015-03-12
JP2016194370A (ja) 2016-11-17
EP2899445A4 (en) 2016-05-11
CN104620037B (zh) 2017-06-06
CN104620037A (zh) 2015-05-13
US20150226360A1 (en) 2015-08-13
MX2015003482A (es) 2015-06-22
KR20160023757A (ko) 2016-03-03
EP2899445A1 (en) 2015-07-29
JP6388620B2 (ja) 2018-09-12
CN106382430A (zh)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477B1 (ko) 곡관
JP5118066B2 (ja) パネルの穴に押し込むスナップ式の係合部を備える締結具
US9903256B2 (en) Bent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00931B2 (en) Bent pipe structure
JP6267705B2 (ja) カテーテル連結器
CA2438008A1 (en) Flexible pipe joint
KR200489205Y1 (ko) 인터로킹 베어링
JP7136665B2 (ja) 金型装置および流路部材の製造方法
JP2017124129A (ja) 隙間ノズル
US20100114000A1 (en) Sanitary tool having functional liquid medicine
JP5034892B2 (ja) 取付穴用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直動案内装置
JP6109782B2 (ja) 継手
JP6825995B2 (ja) 射出成形金型、樹脂部材、及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JP6846289B2 (ja) 射出成形金型、樹脂部材、及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US20200355309A1 (en) Connection Member, Connection Assembly And Tire Repair Machine
JP2016050432A (ja) コーキング材供給ノズル
JP4752501B2 (ja) 曲り管成形用クリップ
JP2009041277A (ja) 竪樋継手
JP2009248425A (ja) 可動式クリップ付きの筆記具
JP2006000158A (ja) 医療用弁体
JP2008211980A (ja) リール装着部を有する釣竿
JP2014008717A (ja) クリップの取り付け構造
CN104095367A (zh) 外撑形变结构伞柄内衬铜管
TH75505B (th) โครงสร้างท่อโค้งและแม่พิมพ์สำหรับขึ้นรูปท่อโค้ง
JP2007176005A (ja) 曲り管成形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