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36Y1 -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36Y1
KR200489136Y1 KR2020170005255U KR20170005255U KR200489136Y1 KR 200489136 Y1 KR200489136 Y1 KR 200489136Y1 KR 2020170005255 U KR2020170005255 U KR 2020170005255U KR 20170005255 U KR20170005255 U KR 20170005255U KR 200489136 Y1 KR200489136 Y1 KR 200489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heating plate
hair
he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20U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현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텍 filed Critical (주)현대텍
Priority to KR2020170005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36Y1/ko
Priority to CN201721522570.2U priority patent/CN207477127U/zh
Publication of KR20190000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잡아서 힌지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본체와;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호 맞닿는 영역에 결합되어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머리카락에 전달하는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후방에는 상기 히터가 결합되고 상기 발열판의 어느 하나에의 판면에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를 머리카락인 모발에 조사하여 모발의 침수성 및 흡수력을 증진시켜 손상되고 거친 머리결의 윤기와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발에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머리카락의 끊김 및 갈라짐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Hair Curling Iron with Multi-fuctional Part including Plasma Part}
본 고안은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가 발생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외모를 단정하고 깨끗하며 미려하게 가꿀 수 있도록 빗, 가위, 면도기, 헤어 커터기, 헤어 드라이어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이미용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미용기구 중에서 고데기는 열을 가하여 머리카락을 곧게 펴거나, 웨이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데기는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고데기 본체를 가지고, 고데가 본체의 마주 닿는 부분에 발열판이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판이 가열된다. 가열된 발열판 사이에 연출하고자 하는 머리카락을 위치시켜 열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키고 있다.
이러한 고데기는 고데기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음이온 등을 방출시키기도 한다.
아울러 이러한 고데기는 보다 향상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1099호 (2008.07.22.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를 머리카락인 모발에 조사하여 모발의 침수성 및 흡수력을 증진시켜 손상되고 거친 머리결의 윤기와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열부와 플라즈마부 또는 고주파부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는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히터부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아서 힌지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본체와;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호 맞닿는 영역에 결합되어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후방에는 상기 히터가 결합되고 상기 발열판의 어느 하나에의 판면에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 또는 고주파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판의 판면에는 상기 플라즈마부가 결합 가능한 플라즈마수용부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재와 상기 발열판 후방에 상기 히터가 결합되는 히터수용부는 상호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수용부는 상기 플라즈마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부에서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의 폭보다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폭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를 머리카락인 모발에 조사하여 모발의 침수성 및 흡수력을 증진시켜 손상되고 거친 머리결의 윤기와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발에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머리카락의 끊김 및 갈라짐을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와 플라즈마부 또는 고주파부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어 발열 기능과 플라즈마 발생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기능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라즈마 또는 고주파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데기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100, 이하에서 ‘고데기’라 함)에 대하여 아래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고데기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이 되어 머리카락인 모발에 열을 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잡아서 힌지(113)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호 맞닿는 영역에 결합되어 히터(153)에 의해 발생된 열을 머리카락에 전달하는 발열판(155)을 갖는 발열부(150)와; 상기 발열판(155)의 후방에는 상기 히터(153)가 결합되고 상기 발열판(155)의 어느 하나에의 판면에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170) 또는 고주파부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고주파부에 대한 설명은 플라즈마부의 설명으로 가름한다. 즉, 이하 설명에서 플라즈마부 대신에 고주파부로 대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주파부와 플라즈마부가 혼용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미도시된 손잡이부와 한 쌍의 손잡이부는 본체(110)의 단부에 결합된 힌지(113)에 의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후술하는 각 구성을 지지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체(110)에는 힌지(113)가 회전 운동하면서 본체(110)의 상호 맞닿는 부분에 머리카락을 수용하여 수용된 머리카락의 스타일링할 수 있는 발열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발열부(150)는 머리카락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53)와, 히터(153)와 결합되어 히터(153)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머리카락으로 열을 전달 가능하게 열전달 효율이 좋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발열판(15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터(153)는, 세라믹히터, LED 히터, PTC 히터, IR 히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터(153)는 본체(110)의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체(110)의 양쪽에 구비되되 어느 한 본체(110)에서도 도 2a에서와 같이 두 개 중 어느 하나의 히터(153)만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여기서 본체(110)에 결합되는 발열부(150)의 측면은 비전도체로 구비되어 있어 판면에서만 열이 발생되고 측면은 본체(110)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발열판(155)과 접촉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발열판(155)의 표면은 공지의 다양한 표면처리가 될 수 있고, 발열판(155)에는 히터(153)가 결합될 수 있는 히터수용부(155a)와, 플라즈마부(170)가 결합될 수 있는 플라즈마부(170)가 결합될 수 있는 플라즈마수용부(155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부(170)와 히터(153)를 이격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히터(153)에서 발생된 열이 발열판(155)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발열판(155)에는 격리판(155c)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램프(160)는 플라즈마부(170) 및/또는 히터(15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거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채의 LED로 구비되어 색을 나타낼 수 있다. LED램프의 형상은 다소 긴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플라즈마부(17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플라즈마부(170)는 소기의 목적인 플라즈마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도 발열판(155)에서 발생되는 열도 가능하면 최대한 머리카락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플라즈마부(170)는 한 쌍의 발열판(155)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어도 되고 한 쌍의 발열판(155) 양쪽 모두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플라즈마부(17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며 플라즈마는 물질의 상태라는 과점에서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제4의 상태이다.
플라즈마는 전자가 원자로부터 제거된 자유전자들의 혼합체와 이를 통해 생성된 이온들이 공존하게 될 때 형성된다. 전극에 에너지를 인가하면 스파크(10 ~ 12KV) 방전이 발생하면서 플라즈마가 발생한다. 이때 산소 음이온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 산소 음이온이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도달되면 침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모발이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모발의 끊김, 갈라짐 등의 현상도 예방되고 윤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라즈마의 발생으로 인해 모발의 세정 및 염색 후에 모발에 함유된 각종 화학성분이나 모발에서 발생 되는 냄새도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판(155)에 플라즈마부(170)를 배치하되 가능하면 플라즈마가 발생 되는 판면의 면적은 발열판(155)의 면적에서 가능하면 적게 차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부(170)가 발열판(155)의 플라즈마수용부(155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플라즈마수용부(155b)의 내측에 수용되는 폭(도 2c의 'W2' 참조)이 외부로 노출되는 플라즈마부(170)의 폭(도 2c의 'W1' 참조)보다 더 크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고데기(1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는 도 2b와 같은 단면을 갖는 레일 형태의 내측의 폭이 더 큰 플라즈마수용부(155b)에 플라즈마부(17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 형태의 플라즈마수용부(155b) 양측에는 LED램프(160)가 각각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발열판(155) 고유의 기능을 하는 발열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부분적으로 플라즈마 발생 기능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열판(155)의 표면을 음이온(원적외선 등 포함) 발생 등의 코팅을 하거나 플라즈마부(170)의 일부에 음이온 발생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본 고안의 고데기(100)는 다기능의 고데기가 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대신에 고주파가 발생되거나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 및 고주파가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히터(153) 및 플라즈마부(170)에 제공하고 고데기(100)의 각종 제어(전원 온, 오프, 온도조절, LED램프 표시 등)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이나 미도시된 회로기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을 변환시키는 DC변환부(미도시)와 발열부(150), 플라즈마부(170)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콘트롤부(미도시)와, 사용자가 필요한 온도를 설정하거나 전원을 온, 오프할 수 있는 조작버튼(133)과, 각 조작 상태나 구성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재(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고데기(100)를 잡고 고데기(100)의 조작버튼(133)을 이용하여 '온(OB)'으로 작동시키면 고데기(100)에 전원이 제어부(130)를 통해 히터(153) 및 플라즈마부(170)로 인가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히터(153)는 가열되어 가열된 열을 발열판(155)으로 전달하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예를 들면, 플라즈마 발생이 연속적 또는 단속적 - 5초 발생 - 1초 정지 - 5초 발생 - 1초 정지 등)에 따라 플라즈마부(170)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부(170)에서 플라즈마의 발생 한 쌍의 본체(110)가 일정한 거리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면, 발열판(155)의 간격이 5mm 이내 등)에만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부(13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스타일링하고자 하는 머리카락을 발열판(155) 사이에 위치시키고 머리카락에 일정한 시간과 형태를 변형시키면서 열을 가하면 동시에 본체(110) 사이의 머리카락에는 플라즈마부(170)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가 조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데기(100)의 상태는 표시부재(135) 및 LED램프(160)에 표시되어 고데기(10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즈마 또는 고구파를 머리카락인 모발에 조사하여 모발의 침수성 및 흡수력을 증진시켜 손상되고 거친 머리결의 윤기와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발에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머리카락의 끊김 및 갈라짐을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고주파를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이 머리카락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열부와 플라즈마부 또는 고주파부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어 발열 기능과 플라즈마 발생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기능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라즈마 또는 고구파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부(270)의 구조가 다르고 다른 구성을 동일하다. 이하에서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부(270)는, 플라즈마부(270)가 판면 형태로 발열판(255)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복수의 원형 점 형태로 노출된 플라즈마노출부재(273)와, 플라즈마노출부재(273)의 하측에 플라즈마수용부(255b)에 수용된 플라즈마생성부재(271)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원형의 점 형태를 일 예이고 전체적으로 플라즈마부(270)가 노출된 폭(도 4의 'W1' 참조)의 전체에 걸쳐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그 중에서 일부분인 복수의 원형 부분에서만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으로, 원형은 삼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향한 다각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플라즈마노출부재(273)를 지지하는 것은 발열판(255)과 동일한 재질로 제2발열판(255-1)이다. 즉, 제2발열판(255-1)은 발열판(255)에서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주보는 발열판(255)과 함께 머리카락으로 전달할 수 있어 전술한 예보다 열이 전달될 수 있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즈마부(270)가 한 쌍의 발열판(255)에 배치되면서 발열판(255)의 판면에 노출되는 플라즈마노출부재(273)는 맞닿는 발열판(255)에 겹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라즈마노출부재(273)의 지그재그 배치에 의해 발열판(255) 길이방향을 따라 플라즈마노출부재(273)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훨씬 효과적으로 플라즈마노출부재(273)에서 조사되는 플라즈마를 본체(110) 사이에 수용된 머리카락 및 인접한 머리카락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전술한 본 고안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데기(300)로 플라즈마부(370)가 발열판(355)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발열판(355) 판면에 함몰 형성된 플라즈마수용부(355b)에 결합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350-1은 제2발명판을, 371은 플라즈마생성부재를 373은 플라즈마노출부재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고데기 110 : 본체
113 : 힌지 130 : 제어부
133 : 조작버튼 135 : 표시부재
150 : 발열부 153 : 발열히터
155 : 발열판 155a : 히터수용부
155b : 플라즈마수용부 155c : 격리판
160 : LED램프 170 : 플라즈마부
250-1, 350-1 : 제2발열판

Claims (5)

  1. 히터를 갖는 고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아서 힌지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본체와;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호 맞닿는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머리카락에 전달하는 발열판을 갖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판의 후방에는 상기 히터가 결합되고 상기 발열판의 어느 하나에의 판면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부 또는 고주파부가 결합되고,
    상기 발열판의 판면에는 상기 플라즈마부가 결합 가능한 플라즈마수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재와 상기 발열판 후방에 상기 히터가 결합되는 히터수용부는 상기 발열판이 투영되는 영역으로부터 상호 이격되되,
    상기 플라즈마부는 상기 발열판 판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플라즈마부가 결합된 상기 발열판 판면의 길이방향 단부 양측에는 상기 발열판 또는 상기 플라즈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 램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수용부는 상기 플라즈마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부에서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의 폭보다 상기 플라즈마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폭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KR2020170005255U 2017-10-11 2017-10-11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KR200489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255U KR200489136Y1 (ko) 2017-10-11 2017-10-11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CN201721522570.2U CN207477127U (zh) 2017-10-11 2017-11-15 多功能卷发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255U KR200489136Y1 (ko) 2017-10-11 2017-10-11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20U KR20190000920U (ko) 2019-04-19
KR200489136Y1 true KR200489136Y1 (ko) 2019-05-07

Family

ID=6247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255U KR200489136Y1 (ko) 2017-10-11 2017-10-11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136Y1 (ko)
CN (1) CN20747712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64B1 (ko) * 2001-11-0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
WO2004086438A1 (ja) * 2003-03-26 2004-10-07 Ken Takachi 可変ハンドスイッチ
KR100725305B1 (ko) * 2003-11-22 2007-06-07 김대환 이단 피크형 캐노피 하우스의 구조
KR100753440B1 (ko) * 2004-06-14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JP4538307B2 (ja) * 2004-12-10 2010-09-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KR100748397B1 (ko) * 2004-12-13 2007-08-10 박기주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KR100735770B1 (ko) * 2005-01-13 2007-07-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KR100718935B1 (ko) * 2005-05-27 2007-05-16 남효근 발포수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
KR100734547B1 (ko) * 2005-06-16 2007-07-04 진덕희 냉풍 냉장고
KR100739342B1 (ko) * 2005-07-14 2007-07-16 신동진 건축용 석재와 파이프를 이용한 공명현상이 있는 분수대의제작 방법
KR100721991B1 (ko) * 2005-07-14 2007-05-25 황충식 부력을 이용한 작동장치
KR100743420B1 (ko) * 2005-08-12 2007-07-30 송병목 절첩식 가로등용 지주와 그 지주의 보수 방법 및 그 장치
KR100720837B1 (ko) * 2005-09-15 2007-05-22 주식회사 비에스이 핀형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0719882B1 (ko) * 2005-09-26 2007-05-21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737299B1 (ko) * 2005-10-20 2007-07-09 한기진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KR100724752B1 (ko) * 2005-11-09 2007-06-07 (주)대우건설 축소모형의 국부 풍압 측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국부 풍압 측정장치
KR100765474B1 (ko) * 2005-11-09 2007-10-09 아륭기공(주) 침수형 다단원심펌프의 펌프 축 지지구조
KR100731290B1 (ko) * 2005-11-16 2007-06-2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100727134B1 (ko) * 2005-11-21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져더 저감을 위한 브레이크 디스크 제조용 금형을 이용한 브레이크 디스크 제조 방법
KR100779941B1 (ko) *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KR100743298B1 (ko) * 2005-12-22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706323B1 (ko) * 2005-12-24 2007-04-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침목의 볼트 설치구조
KR100771608B1 (ko) * 2005-12-30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용 해동 용기
KR100751417B1 (ko) * 2006-01-20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버너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0756720B1 (ko) * 2006-02-02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KR100721707B1 (ko) * 2006-02-03 2007-05-25 이원근 조립식 벽체용 판넬
KR100768883B1 (ko) * 2006-02-07 2007-10-19 (주)와이에스썸텍 Fpd용 배기 및 봉착 장치
KR100766364B1 (ko) * 2006-02-14 2007-10-11 (주)평화엔지니어링 파이프와 가수문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6328B1 (ko) * 2006-02-14 2007-07-06 한국원자력연구원 클라이스트론 고전압 전원의 가변형 과전류 트립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100745653B1 (ko) * 2006-02-21 2007-08-02 이정수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0754121B1 (ko) * 2006-03-02 2007-08-30 연규문 온수를 이용한 주택용 공기난방기
KR100776061B1 (ko) * 2006-03-29 2007-11-15 이호영 온돌 패널
KR100752594B1 (ko) * 2006-03-16 2007-08-29 주식회사 지오네트 산업 플랜트현장의 이벤트 순차적 분석시스템
KR100718722B1 (ko) * 2006-03-22 2007-05-16 주식회사 한경 비탈면 배수시설
KR100753260B1 (ko) * 2006-04-20 2007-08-29 김재수 채염 흡입 장치
KR100737840B1 (ko) * 2006-04-24 2007-07-12 김영배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KR100737683B1 (ko) * 2006-04-27 2007-07-09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의 유조커버 보관구조
KR100749784B1 (ko) * 2006-04-28 2007-08-1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정음형 미니 릴레이
KR100751699B1 (ko) * 2006-05-03 2007-08-23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성 수지용액 도포장치
KR100772959B1 (ko) * 2006-05-17 2007-11-02 서창열 건류장치의 증류탑
KR100764713B1 (ko) * 2006-05-30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세척설비용 철분 제거장치
KR100755176B1 (ko) * 2006-05-30 2007-09-0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엠보싱 캔의 제조방법 및 엠보싱 캔의 통형부 성형장치
KR100787991B1 (ko) * 2006-06-02 2007-12-24 오유정 아기 포대기
KR100777494B1 (ko) * 2006-06-09 2007-11-29 채정윤 시험관 지지장치
KR100726288B1 (ko) * 2006-06-29 2007-06-08 주식회사 수국 노즐 조립체
KR100773225B1 (ko) * 2006-07-05 2007-11-02 노창용 매트리스 쿠션재 제조방법
KR100736922B1 (ko) * 2006-07-25 2007-07-10 (주)로커스 공작기계용 회전 공구대의 툴처킹 구조물
KR100736921B1 (ko) * 2006-07-25 2007-07-10 (주)로커스 공작기계용 회전 공구대의 툴처킹 구조물
KR100747059B1 (ko) * 2006-08-16 2007-08-08 박종화 자성을 이용한 인형 회전장치
KR100779183B1 (ko) * 2006-09-01 2007-12-11 유성석 하수관 연결소켓
KR100755215B1 (ko) * 2006-09-01 2007-09-05 정낙수 공구함과 일체로 형성된 삼각대
KR100778298B1 (ko) * 2006-09-18 2007-11-22 이동원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64501B1 (ko) * 2006-09-21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수동 창문 핸들 구조
KR100781696B1 (ko) * 2006-09-22 2007-12-04 이상일 자립 낚시찌
KR100764629B1 (ko) * 2006-10-18 2007-10-08 (주)미리텍 라운드 슬라이드 방식의 미닫이문
KR100785501B1 (ko) * 2006-10-24 2007-12-13 일리정공 주식회사 자외선 램프 시스템
KR100719409B1 (ko) * 2006-10-30 2007-05-18 (주)거창 인서트 사출로 개별블록을 형성시킨 모형블록의 제작방법및 모형블록
KR100763832B1 (ko) * 2006-11-06 2007-10-05 (주)지영사 고기구이 불판
KR100764549B1 (ko) * 2006-11-09 2007-10-08 주식회사 삼신인터내셔날 귀중품 보관함
KR100771344B1 (ko) * 2006-11-17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슬림 스핀들모터 조립용 지그조립체
KR100754472B1 (ko) * 2006-12-01 2007-09-03 제이에스티 인더스트리얼 (홍콩) 컴퍼니 리미티드 히터용 보호망과 이를 이용한 전기히터
KR100766491B1 (ko) * 2006-12-29 2007-10-15 이영윤 워터필터 공기정화기
KR100788332B1 (ko) * 2006-12-29 2007-12-27 비성전자주식회사 제상 제습기.
KR100738869B1 (ko) * 2007-02-01 2007-07-12 주식회사 케이에스엔텍 무대장치의 와이어 로프 시스템
KR100776915B1 (ko) * 2007-02-16 2007-11-16 심상창 가정용 및 휴대용 아이스크림 제조기
KR100755743B1 (ko) * 2007-02-20 2007-09-05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정차용 차량충돌 알림완충대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KR100743472B1 (ko) * 2007-04-30 2007-07-30 (주)삼우멤코 위치조정 실린더 연동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멤브레인성형장치
KR100773052B1 (ko) * 2007-05-14 2007-11-02 추건식 필기구용 홀더 및 그를 이용한 필기장치
KR100763274B1 (ko) * 2007-05-22 2007-10-04 김상민 실사출력장치
KR100771075B1 (ko) * 2007-05-30 2007-10-29 이만순 케미컬 폐액 열교환기
KR102279834B1 (ko) * 2021-04-05 2021-07-21 (주)이지템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97Y1 (ko) * 2004-04-03 2004-08-11 주식회사 이그니스 시스템 헤어 아이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770B1 (ko) * 2003-11-17 2005-07-29 이만택 헤어 아이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97Y1 (ko) * 2004-04-03 2004-08-11 주식회사 이그니스 시스템 헤어 아이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20U (ko) 2019-04-19
CN207477127U (zh)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36Y1 (ko)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USRE38713E1 (en) Heated hair styling system
JP3204582U (ja) 櫛付き電気ストレートアイロン
KR101124143B1 (ko) 이온 발생 장치
US20070019501A1 (en) Fixture to treat scalp hair with steam
US20160302548A1 (en) Dryer
KR20100096965A (ko) 모발 트리트먼트 장치
US20140102471A1 (en) Hair iron brush
US20050224091A1 (en) Ion curling iron and straightener
KR20140005812U (ko) 개폐형 헤어 아이론 브러시
KR101538902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헤어컬링 장치
JP4381984B2 (ja) イオンおよび/またはオゾンを発生させる整髪用組合体
KR101480724B1 (ko) 원적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헤어컬링장치
JP7008511B2 (ja) ヘアドライヤの取付具およびヘアケア装置
KR101791190B1 (ko) 브러시 구조가 구비된 헤어드라이어
KR101871122B1 (ko)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JP2004148107A (ja) 美肌装置及び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20170073884A (ko) 다리미 겸용 고데기
KR200456914Y1 (ko) 웨이브 스타일링이 가능한 음이온 방출 고대기
KR20190088271A (ko) 냉온 기능을 갖는 고데기
JP3185379U (ja) 毛髪トリートメント装置
RU2403839C2 (ru) Щипцы-утюжок для волос с ионизатором
KR102011557B1 (ko)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합식 고데기
KR200267471Y1 (ko) 원적외선 방사형 헤어 아이론
KR101155523B1 (ko) 머리 미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