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941B1 - 천막골조 - Google Patents

천막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941B1
KR100779941B1 KR1020050113339A KR20050113339A KR100779941B1 KR 100779941 B1 KR100779941 B1 KR 100779941B1 KR 1020050113339 A KR1020050113339 A KR 1020050113339A KR 20050113339 A KR20050113339 A KR 20050113339A KR 100779941 B1 KR100779941 B1 KR 10077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olding
frame
t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061A (ko
Inventor
윤건식
Original Assignee
윤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건식 filed Critical 윤건식
Priority to KR102005011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9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 중에서 행사용 등으로 사용되고 비교적 대형이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천막골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수의 인원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절첩하고 전체적으로 견고성을 크게 강화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천막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2열로 연속으로 세워지고 상부관체(11)의 내부로 하부관체(12)가 삽탈되도록 하는 지지기둥(10)과, 각 지지기둥(10)에 고정힌지부(22)와 가이드홈(23)을 형성한 브라켓(21)을 설치한 후 각 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고정힌지부(22)와 가이드홈(23)에 설치되는 절첩간(20)과, 양측 지지기둥(10)의 상단에 절첩봉(31)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부골조(30)를 연결하되, 지지기둥(10)의 상단과 하부 절첩봉(31)의 사이와, 절첩봉(31)이 연결되는 부분 및 맨 상부의 상부골조(3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힌지(101, 201, 301)가 있는 연결구(100, 200, 300)을 구성하여, 절첩시 상부골조가 'W'형으로 접히도록 구성하며, 상부의 연결구(300)를 연결하도록 중간부와 연결구(300)에 연결되는 부분에 힌지(501, 401)가 있는 연결구(500, 40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상부연결대(40)로 구성된다.
천막, 텐트, 골조, 절첩식, x형 연결, 지지기둥

Description

천막골조{Tent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1의 B부 상세도
도 4는 도 1의 C부 상세도
도 5는 도 1의 D분 상세도
도 6은 도 1의 E부 상세도
도 7은 도 1의 F부 상세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천막골조
10: 지지기둥 11: 상부관체
12: 하부관체
20: 절첩간 21: 브라켓
22: 고정힌지부 23: 가이드홈
30: 상부골조 31: 절첩봉
40: 상부연결대 41: 손잡이
50: 중간연결대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연결구
101, 201, 301, 401, 501, 601, 701: 힌지
본 발명은 천막 중에서 행사용 등으로 사용되고 비교적 대형이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천막골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수의 인원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절첩하고 전체적으로 견고성을 크게 강화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천막은 설치 및 절첩이 편리한 장점에 의해 이동식 가옥이라 불릴 만큼 그 사용이 보편화 및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한 천막의 종류 중에서 가정에서 구비하였다가 여름철 야영에 사용하는 텐트를 제외하고, 비교적 대형이면서 절첩이 가능한 천막 행사용, 임시 사무실용, 임시 샤워장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들에 있어서는, 그 골조가 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이나 이동시에 파손이 잦고 사용을 위하여 펼치거나 사용 후 절첩을 할 때는 숙달된 인원이 조심스럽게 절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특히 악천후나 악조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각종 재해시의 임시 대책본부, 군용 작전본부나 제독장, 샤워장 등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 견고성과 사용의 편리함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나, 종래 일반적인 군용천막 등과 같이 중간과 모서리에 여러개의 별도 기둥을 세워야 하는 등의 일반적인 천막 외에는 견 고성과 편리성을 갖춘 천막이 없어서 많은 불편함이 따랐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강한 비바람이나 폭설 등의 악천후 속에서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며, 절첩시 부피가 작아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천막골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천막골조는 이중관으로 절첩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연결되어 지그재그로 접히도록 한 상부골조와, 지지기둥 사이를 연결하면서 절첩되는 절첩간 및 상부골조를 연결하면서 절첩이 이루어지는 상부 및 중간 연결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자세한 구성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각 부분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천막골조(1)는 크게 구분하여 천막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연속으로 세워지는 지지기둥(10)과, 각 지지기둥(10)을 연결하면서 절첩기능을 이루는 절첩간(20), 양측 지지기둥(10)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지붕모양을 이루는 상부골조(30), 그리고 상부골조(30)를 천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대(40) 및 중간연결대(50)로 구성된다.
우선 지지기둥(10)을 살펴보면, 지지기둥(10)은 직경이 큰 상부관체(11)와 그 내부를 삽탈하는 하부관체(12)로 구성되어 접철시에는 하부관체(12)가 상부관체(11)의 내부로 삽입되고 설치시에는 하부관체(12)를 인출시켜 길이를 길게 한다.
지지기둥(10)의 상부관체(11)를 연결하는 절첩간(20)을 도 2를 통하여 살펴보면, 지지기둥(10)에 브라켓(21)을 설치한 후 각 브라켓(21)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절첩간(20)을 설치하되, 브라켓(21)에는 상부에 고정힌지부(22)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상하로 길이가 긴 가이드홈(23)을 형성한 후, 절첩간(20)의 일측 상부 끝단은 고정힌지부(22)에 연결하고 일측 하부 끝단은 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절첩간이 전체적으로 절첩되거나 펄쳐지도록 하였다.
상기 절첩간(20)은 내외부 2중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반적인 X형보다 각각 길이를 연장하면서 교차되는 작동 중심부(25)를 하부에 추가로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켰다.
상부골조(30)는 양측의 지지기둥(10) 상단으로부터 각각 90도 이상의 각도로 상승되면서 연결되고 상부골조(30)는 중간에 절첩수단을 갖는 각 2개씩의 절첩봉(31)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대칭인 2개의 상부골조(30)가 만나는 부분에도 절첩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골조(3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지지기둥(10)의 상부와 상부골조(30)의 아래 절첩봉(31) 하단이 만나는 부위에는 힌지(101)를 구성하여 상부골조(30)의 아래 절첩봉(31)이 아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연결구(100)를 결합하였고, 각 절첩봉(31)이 일직선으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 부에 힌지(201)가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연결구(200)를 결합하였다.
또한, 상부골조(30)의 최상단이 만나는 부분에는 역시 하부에 힌지(301)가 구성되어 하부로 절첩이 가능한 연결구(300)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상부골조(30)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대(40) 및 중간연결대(50)를 구성하여 주면 천막골조(1)의 견고성이 더욱 확고해지게 되는데, 상부연결대(40)의 구성을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상부골조(30) 맨 위의 연결구(300)에 삽입되면서 하부에 힌지(401)가 구성되는 연결구(400)를 구성하여 상부연결대(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연결대(40)의 중간에는 상부에 힌지(501)가 구성되는 연결구(500)를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연결대(40)의 맨 양쪽 끝에는 손잡이(41)를 구성하여 상부연결대(40) 전체를 적어도 18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부골조(30) 중간에 연결되는 중간연결대(50)의 구성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절첩봉(31)의 중간을 연결하는 연결구(200)의 상부에 힌지(601)로 연결되는 연결구(600)를 구성하여 중간연결대(50)를 연결하며, 중간연결대(50)의 중간에는 하부에 힌지(701)가 구성된 연결구(700)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천막골조를 사용하기 위하여 펼치거나 절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기둥(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상부관체(11)의 내부에 하부관체(12)가 삽탈되는 형태이므로 접을 시는 하부관체(12)를 상부관체(11)의 내부로 밀어넣고, 사용시에는 반대로 하부관체(12)를 인출하여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기둥(10)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간(20)의 작용을 살펴보면, 지지기둥(10) 간의 사이를 좁힐 때(절첩할 때)는 브라켓(21) 상부의 고정힌지부(22)에 연결된 절첩간(20)이 아래로 절첩되고 절첩간(20)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된 부분은 아래로 하강하면서 절첩간(20) 전체의 각도가 수직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기둥(10) 간의 간격을 넓힐 때(펼칠 때)는 상기와 반대로 브라켓(21) 상부의 고정힌지부(22)에 연결된 절첩간(20)이 위로 회동되고 절첩간(20)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된 부분은 위로 상승하면서 절첩간(20) 전체의 각도가 수평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기둥(10)과 연결되는 상부골조(30) 절첩작용을 살펴보면, 절첩시에는 각 상부골조(30)가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하부에 연결구(200)가 위치하는 형태가 되고 상부 맨 위에 연결구(300)가 위치하여 상부골조(30) 전체는 'W'형으로 절첩이 되고 그 양끝에 지지기둥(10)이 수직으로 위치하는 형태로 절첩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천막의 측방향(일측 지지기둥 방향)에서 본 상부연결대(40) 및 중간연결대(50)의 작용에서 천막골조(1)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절첩하는 과정을 먼저 살펴보면, 먼저 손잡이(41)를 이용하여 상부연결대(40) 전체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연결구(400)의 힌지(401)가 아래로 위치하고 중간의 연결구(500)는 힌지(501)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야 각 상부연결대(40)가 'V'형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이때 중간연결대(50)는 중간연결대(50)가 연결되는 절첩봉(31)의 연결구(200)는 천막골조(1)를 절첩하면 아래로 하강을 하므로 중간연결대(50)는 상기 상부연결대(40)와 반대로 '∧'형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연결대(40)와 중간연결대(50)의 펼침 작용은 상기 작동과 반대순서이고, 상부연결대(40)는 펼친 후 손잡이(41)를 이용하여 전체를 180도 회전시켜 주어야 저절로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천막골조(1)의 절첩을 완료하였을 때는 완전히 절첩되어 그 부피가 매우 축소되는 것이고, 펼침을 완료하였을 때는 중간에 지지기둥 없이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성에서 문제없이 형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전체적으로 매우 견고한 구성을 갖게 되는데, 이는 첫째, 지지기둥(10)과 상부골조(20)가 전체적으로 계속 연결이 되면서 그 자체로 절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둘째, 가장 힘을 많이 받는 천막 길이방향으로 일반적인 'X'형 절첩간보다 보강된 절첩간(20)을 구성하였으므로 절첩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측방향에서의 바람이나 충격에 매우 강하게 견딜 수 있게 된 것이며, 셋째, 천막 길이방향의 상부에도 상부연결대(40) 및 중간연결대(50)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절첩의 원활화를 꾀하면서도 강도의 보강을 효과적으로 이룩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천막골조를 이용하여 악천후나 유리하지 못한 지형, 상당한 충격이 예상되는 장소 등에서 임시 숙소나 사무실, 행사장용, 의료용 천막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심하고 천막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지지기둥과 상부골조의 절첩기능, 절첩간의 절첩기능, 상부연결대 및 중간 연결대의 절첩기능 등으로 인하여 적은 인력과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도 절첩과 펼침을 매우 편리하고 원활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천막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2열로 연속으로 세워지면서, 직경이 큰 상부관체(11)의 내부로 하부관체(12)가 삽입되어 하부관체(12)가 상부관체(11)의 내부를 삽탈되도록 하는 지지기둥(10)과,
    각 지지기둥(10)에 설치되면서 상단에 고정힌지부(22)가 형성되고 하단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한 브라켓(21)과,
    각 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상단 끝은 고정힌지부(22)에 결합되고 하단 끝단은 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절첩간(20)으로 구성되고,
    양측 지지기둥(10)의 상단에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절첩봉(31)을 연결하고 다시 다른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다른 절첩봉(31)을 연결하며 다시 양측 절첩봉(31)이 만나는 중앙 상단에는 연결구(3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부골조(30)를 구성하며,
    연결구(100, 300)에는 아래쪽에 힌지(101, 301)를 구성하고, 연결구(200)에는 위쪽에 힌지(201)를 구성하여 절첩시에는 연결구(100, 200, 300)가 힌지(101, 201, 301)를 중심으로 젖혀져 양측 절첩봉(31)이 각각 'V'형으로 절첩되고 두 개의 절첩봉(31)이 만나는 중앙 부분은 '∧'형으로 절첩되어 상부골조(30)가 'W'형으로 접히도록 구성하며,
    상부의 연결구(300)를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중간부와 연결구(300)에 연결되는 부분에 힌지(501, 401)가 서로 반대위치에 구성된 연결구(500, 40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상부연결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골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연결대(40)는 연결구(300)에 삽입되면서 손잡이(41)를 구성하여 180도 회전 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골조.
  3. 제 1항에 있어서,
    절첩간(20)은 내외부 2중으로 구성하며, 일반적인 X형보다 각각 길이를 연장하면서 교차되는 작동 중심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골조.
KR1020050113339A 2005-11-25 2005-11-25 천막골조 KR10077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339A KR100779941B1 (ko) 2005-11-25 2005-11-25 천막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339A KR100779941B1 (ko) 2005-11-25 2005-11-25 천막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061A KR20070055061A (ko) 2007-05-30
KR100779941B1 true KR100779941B1 (ko) 2007-11-28

Family

ID=3827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339A KR100779941B1 (ko) 2005-11-25 2005-11-25 천막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62B1 (ko) 2006-08-07 2008-01-21 윤건식 천막골조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8-06-12 이건영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KR20220047445A (ko) * 2020-10-08 2022-04-18 권오영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045A1 (en) 1993-10-28 1995-05-04 Glasdon Group Limited A foldable tent
JPH0734168U (ja) * 1993-12-02 1995-06-23 株式会社新屋製作所 変形、移動可能な天幕装置
JP3040535U (ja) * 1997-02-14 1997-08-26 株式会社クボタ テント支柱の接続構造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045A1 (en) 1993-10-28 1995-05-04 Glasdon Group Limited A foldable tent
JPH0734168U (ja) * 1993-12-02 1995-06-23 株式会社新屋製作所 変形、移動可能な天幕装置
JP3040535U (ja) * 1997-02-14 1997-08-26 株式会社クボタ テント支柱の接続構造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62B1 (ko) 2006-08-07 2008-01-21 윤건식 천막골조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8-06-12 이건영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KR20220047445A (ko) * 2020-10-08 2022-04-18 권오영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KR102505107B1 (ko) 2020-10-08 2023-03-03 권오영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061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462B1 (ko) 천막골조
WO2002068779A1 (fr) Tente pliable pourvue d'avancees
KR100779941B1 (ko) 천막골조
JP2009257080A (ja) テント
US20060283103A1 (en) Gazebo
CN101490351B (zh) 角撑
JP4245171B2 (ja) 折畳式の屋根構造及び該屋根構造を有する二脚の屋根構造体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CN201261963Y (zh) 一种多边帐篷
CN213039019U (zh) 铰链联动机构、伸缩顶篷和铰链伸缩遮阳篷
CN214996572U (zh) 一种具有自动开合中心小顶结构的折叠帐篷
KR101153274B1 (ko) 접철식 천막
CN212836345U (zh) 篷布铰链伸缩组件和铰链伸缩遮阳篷
CN213038709U (zh) 顶篷伸缩驱动机构和铰链伸缩遮阳篷
KR101090348B1 (ko) 천막의 절첩식 프레임
JP3743754B2 (ja) 折り畳みテント
CN209924575U (zh) 一种帐篷的改进结构
KR200377894Y1 (ko) 접철식 골프 연습장
JP2008031831A (ja) テント
JP7128986B1 (ja) コンビ型の大型テントフレーム
CN216476641U (zh) 一种加固型户外野营防风帐篷
JP3244443U (ja) 折り畳みブラケット
CN218623644U (zh) 一种便携式折叠支架
CN209163599U (zh) 一种多功能户外帐篷
KR200413128Y1 (ko) 접철식 골프 연습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