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445A -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445A
KR20220047445A KR1020200130287A KR20200130287A KR20220047445A KR 20220047445 A KR20220047445 A KR 20220047445A KR 1020200130287 A KR1020200130287 A KR 1020200130287A KR 20200130287 A KR20200130287 A KR 20200130287A KR 20220047445 A KR20220047445 A KR 2022004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column
pillar
building structure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107B1 (ko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102020013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with articulated bar-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 구조체를 미리 제작한 후, 지붕을 설치하되 지붕과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붕을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와, 미리 제작된 지붕을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와, 지붕과 기둥을 바닥부에 설치하는 지붕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 제작 단계는 지붕 구조체를 제작하는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과, 지붕 구조체의 하부에 기둥을 결합하는 기둥 결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a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structure and the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 구조체를 미리 제작한 후, 지붕을 설치하되 지붕과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건물(1)과 같은 구조물은 기둥(11)과 지붕 구조용 빔(12)으로 뼈대구조가 이루어져, 주어진 폭(L)에 의해 정해지는 내부 공간에 크레인 등이 설치되어 공장의 내부 공간으로 활용된다.
최근 공장 건물(1)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내부 공간의 폭(L)을 형성하는 기둥(11)의 횡방향으로의 간격을 보다 크게 하여, 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장 건물(1)의 내부 공간을 보다 확장하기 위하여 폭(L)을 증가시킬수록, 지붕 구조용 빔(1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점점 크게 작용하게 되고, 이를 지지하는 외측 기둥(11)에는 축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휨모멘트의 크기도 커져 좌굴이 발생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공장 건물(1)의 폭(L)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중앙부에 별도의 중간 기둥을 설치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공장 건물(1)의 내부 공간에 중간 기둥을 세우면, 지붕 구조용 빔(12)과 외측 기둥(11)의 단면력을 줄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공장 내부의 크레인이 중간 기둥에 의해 서로 이원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그런데, 공장 건물(1)의 폭(L)이 커지면 내부 공간의 활용도는 높아지지만,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지붕 구조용 빔의 설치 시 이의 자중에 의하여 지붕 구조용 빔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붕 구조용 빔(10)을 기둥(11)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일반적으로 공장의 뼈대구조(1)는 기둥(11)을 세운 이후에, 별도로 제작된 지붕 구조용 빔(12)을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기둥(11)에 결합시키는데, 지붕 구조용 빔(12)을 인상하면 인상 위치에 따라 지붕 구조용 빔(12)의 양단부의 사이 간격이 또한 변동되므로, 지붕 구조용 빔(12)을 기둥(11)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3857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강재 뼈대 구조(100)의 시공 방법으로서, 외측 기둥(120)을 횡방향으로 제1간격만큼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하는 외측 기둥 설치단계와; 중앙부에 비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재(141)와, 상기 경사재(141)로부터 하향 연장된 기둥 결합재(145)를 포함하는 지붕구조용 빔(140)을 제작하고, 지붕 구조용 빔(140)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인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인장재(150)를 설치하는 빔 제작단계와; 상기 인장재(150)로 상기 기둥 결합재(145)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상기 제1간격으로 조절하는 지붕구조용 빔 간격조정단계와; 상기 지붕구조용 빔 간격조정단계를 행한 이후에, 상기 지붕 구조용 빔(140)의 상기 기둥 결합재(145)와 상기 외측 기둥(120)을 연결하는 기둥연결단계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538579호에 기재된 기술은 큰 공간을 가지는 내부를 형성하고자 기둥 사이의 간격을 크게 벌린 구조의 공장 건물의 철골 뼈대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 지붕 구조용 빔(140)과 기둥(1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지붕 구조용 빔(140)을 미리 제작한 후, 지붕을 기둥(120)의 상부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바닥에 설치된 기둥(1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인장재(150)를 사용하여 별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져 시공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리 시공된 기둥(120)의 상부에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용 빔(140)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기둥 결합재(145)와 기둥(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는데, 크레인을 사용하여 지붕 구조용 빔(14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85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을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와 제작된 지붕을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와 들어올린 지붕을 고정하는 지붕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되, 지붕 제작 단계에서 지붕 구조체의 하부에 절첩가능한 기둥을 연결함으로써, 지붕 리프팅 단계에서 지붕 구조체와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지붕 구조체를 제작할 때, 지붕을 설치할 바닥에서 직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둥을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지붕을 제작할 때, 낮은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추락하더라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붕 구조체를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와,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와, 지붕 구조체와 기둥을 바닥부에 설치하는 지붕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붕 제작 단계는 지붕 구조체를 제작하는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과, 지붕 구조체의 하부에 기둥을 결합하는 기둥 결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둥 결합 공정에서 연결하는 기둥은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은 일측에 경첩을 설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붕 고정 단계는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을 펼친 후,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공정과, 상기 기둥을 바닥부에 고정하는 고정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둥 연결 공정에서는 상기 상부 기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에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공과, 상기 하부 기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결합부에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2연결공에 연결핀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 연결 공정에서는 상기 상부 기둥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1고정공이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하부 기둥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2고정공이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을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와 제작된 지붕을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와 들어올린 지붕을 고정하는 지붕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되, 지붕 제작 단계에서 지붕 구조체의 하부에 절첩가능한 기둥을 연결함으로써, 지붕 리프팅 단계에서 지붕 구조체와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지붕 구조체를 제작할 때, 지붕을 설치할 바닥에서 직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둥을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지붕을 제작할 때, 낮은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추락하더라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강재 뼈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강재 뼈대 구조의 제작공정 중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용 빔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강재 뼈대 구조의 제작공정 중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용 빔을 기둥의 상부에 고정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지붕에 기둥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지붕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지붕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지붕의 하부에 연결된 기둥을 바닥에 고정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에 제3,4결합부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의 절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기둥을 3부부능로 분할하여 절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기둥의 사이에 보강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서 기둥을 H빔으로 형성한 구조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지붕 구조체(200)를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S100)와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체(200)를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S200)와 지붕 구조체(200)와 기둥(300)을 바닥부(미도시)에 설치하는 지붕 설치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미도시)는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바닥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형성하고, 바닥부(미도시)의 상부에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체(200)를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설치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둥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기둥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지붕 설치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지붕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으로 지붕을 시공할 경우,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제작 단계(S100)는 지붕 구조체(200)를 제작하는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S110)과 지붕 구조체(200)의 하부에 기둥(300)을 결합하는 기둥 결합 공정(S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S110)에서 제작하는 지붕 구조체는 공장 등에 사용되는 지붕일 수도 있고, 일반 주택에서 사용되는 지붕일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기둥 결합 공정(S120)에서 연결하는 기둥(300)은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은 일측에 경첩(330)을 설치하여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의 비율은 각 기둥(3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절첩된 상태에서 마주보는 하부 기둥(320)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붕 구조체(200)는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사용하여 바닥부(미도시)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데, 상기 지지대(미도시)의 높이는 상부 기둥(31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지지대(미도시)에 지붕 구조체(200)를 올려둔 상태에서 기둥(300)을 절첩된 상태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리프팅 단계(S200)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지붕 구조체(20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크레인 등에 의해 지붕 구조체(2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부 기둥(310)의 하부에 경첩(330)으로 연결되어 절첩된 하부 기둥(320)은 지붕 구조체(200)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하부 기둥(320)의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되는데, 지붕 구조체(200)가 기둥(300)의 길이보다 높이 올라갈 경우 하부 기둥(32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붕 고정 단계(S300)는 상기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펼친 후,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공정(S310)과 상기 기둥(300)을 바닥부(미도시)에 고정하는 기둥 고정 공정(S3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둥 연결 공정(S310)에서는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서로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기둥(310)에는 경첩(330)이 설치된 타측에는 제1결합부(31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둥(320)에는 경첩(330)이 설치된 타측에는 제2결합부(3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312)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제1연결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322)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제2결합공(3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312)와 제2결합부(322)는 각각 경첩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하부 기둥(320)이 완전히 펼쳐질 경우, 제1결합부(312)와 제2결합부(322)는 서로 겹쳐지게 되어 제1,2연결공(313,323)이 서로 연통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기둥(300)이 완전히 펼쳐져 상기 제1,2연결공(313,323)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연결공(313,323)에 연결핀(미도시)을 삽입하여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즉, 경첩(330)과 제1,2결합부(312,322)의 사이]에는 각각 제3결합부(314)와 제4결합부(324)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결합부(314)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제1고정공(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4결합부(324)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제2고정공(3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공(315)와 제2고정공(325)은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기둥(30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제1,2고정공(315,325)은 서로 연통되도록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 연결 공정(S310)에서는 상기 제3결합부(314)와 제4결합부(324)를 접하도록 하여 제1,2고정공(315,325)에 고정볼트(344)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 연결 공정(S310)에서는 제1,2결합부(312,322)와 제3,4결합부(314,324)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기둥(320)의 상단에는 상부 기둥(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삽입부재(326)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기둥(300)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재(326)가 상부 기둥(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중공으로 삽입되게 되어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의 결합력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 고정 공정(S320)에서는 기둥(300)을 바닥부(미도시)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바닥부(미도시)에는 기둥(300)을 고정할 위치에 앵커볼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앵커볼트(미도시)에 기둥(300)의 하부가 결합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300)을 형성하는 하부 기둥(320)의 하단에는 판형상의 제5결합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제5결합부(328)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제3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너트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바닥부(미도시)의 상부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하면서 동시에 지붕 구조체(200)까지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300)을 형성하는 상부 기둥(310) 또는 하부 기둥(320) 사이에 벽체(미도시)를 설치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기둥(310)의 하단 측부면에는 지지편(3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편(340)은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 기둥(320)의 상단 측부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편(340)의 상단은 상부 기둥(310)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연결하는 경첩(330)에 의해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이 상하로 연결되면 상기 지지편(340)의 하단은 상기 하부 기둥(320)의 상단 일측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340)의 하부에는 제4고정공(34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지지편(340)의 하부를 하부 기둥(320)의 상부와 고정하여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구조체(200)를 지지하는 기둥(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동(320)의 두 부분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13에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기둥(300)을 상, 중, 하 3부분으로 분할 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다 많은 부분으로 분할하여 절첩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둥(300)들은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이 서로 측부에 인접한 상부 기둥(310) 또는 하부 기둥(320)을 보강봉(350)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봉(350)을 'X'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접한 기둥(300)을 보강봉(350)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지붕 구조체(200)를 상부로 들어올릴 때, 각 기둥(300)들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 파이프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00')을 H빔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기둥(300')을 형성하는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첩(330)을 형성하여 절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기둥(310')의 하단 양측에는 제3결합부(314')가 설치되고, 하부 기둥(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3결합부(314')에 대응되도록 제4결합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제3,4결합부(314',324')에는 각각 제1,2고정공(315,325)가 형성되어 볼트 결합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기둥(31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제3결합부(314')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이탈방지바(3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바(350)의 상부는 상기 제3결합부(314')의 하단 양측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기둥(310')과 하부 기둥(32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바(360)의 하부가 하부 기둥(320')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부 기둥(310')와 하부 기둥(320')의 타측면에는 제1,2결합부(312,322)를 설치하여 결합력을 높여줄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상기 제1,2결합부(312,322)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 구조체를 미리 제작한 후, 지붕을 설치하되 지붕과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 : 지붕 구조체 300 : 기둥
310 : 상부 기둥 320 : 하부 기둥
330 : 경첩 410 : 앵커볼트
S100 : 지붕 제작 단계 S110 :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
S120 : 기둥 결합 공정 S200 : 지붕 리프팅 단계
S300 : 지붕 고정 단계 S310 : 기둥 연결 공정
S320 : 기둥 고정 공정

Claims (10)

  1. 지붕 구조체를 제작하는 지붕 제작 단계와,
    미리 제작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올리는 지붕 리프팅 단계와,
    지붕 구조체와 기둥을 바닥부에 설치하는 지붕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제작 단계는 지붕 구조체를 제작하는 지붕 구조체 제작 공정과,
    지붕 구조체의 하부에 기둥을 결합하는 기둥 결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결합 공정에서 연결하는 기둥은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은 일측에 경첩을 설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고정 단계는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을 펼친 후,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공정과,
    상기 기둥을 바닥부에 고정하는 고정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연결 공정에서는 상기 상부 기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에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공과,
    상기 하부 기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결합부에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2연결공에 연결핀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연결 공정에서는 상기 상부 기둥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1고정공이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하부 기둥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2고정공이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7. 지붕 구조체와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은 일측에 경첩을 설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둥의 타측에는 제1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제1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둥의 타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제2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2연결공에는 연결핀이 삽입되어 제1,2결합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둥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1고정공이 형성되는 제3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둥의 측면에는 제3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관통되도록 제2고정공이 형성되는 제4결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2고정공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제3,4결합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체.
KR1020200130287A 2020-10-08 2020-10-08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KR10250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287A KR102505107B1 (ko) 2020-10-08 2020-10-08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287A KR102505107B1 (ko) 2020-10-08 2020-10-08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445A true KR20220047445A (ko) 2022-04-18
KR102505107B1 KR102505107B1 (ko) 2023-03-03

Family

ID=8139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287A KR102505107B1 (ko) 2020-10-08 2020-10-08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1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056A (ja) * 2001-10-17 2003-04-23 Shinken Kogyo Kk 日除け用建物
US20040172898A1 (en) * 2003-03-07 2004-09-09 Knepp Wayne A. Hinged support column
KR100779941B1 (ko) *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KR101538579B1 (ko) 2014-03-19 2015-07-21 원인복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927025B1 (ko) * 2018-04-10 2018-12-07 김순자 현장 시공 철제 건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056A (ja) * 2001-10-17 2003-04-23 Shinken Kogyo Kk 日除け用建物
US20040172898A1 (en) * 2003-03-07 2004-09-09 Knepp Wayne A. Hinged support column
KR100779941B1 (ko) *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KR101538579B1 (ko) 2014-03-19 2015-07-21 원인복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927025B1 (ko) * 2018-04-10 2018-12-07 김순자 현장 시공 철제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07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02869842A (zh) 预制模块化建筑单元的改进
CN111894307A (zh) 全装配式的标准化临时支撑结构及施工方法
JP2010180620A (ja) 屋上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050166B1 (ko)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20220047445A (ko)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JP5840914B2 (ja) 新旧建物一体化曳き屋工法
KR200187693Y1 (ko) 조립식 가설대
JPS61290164A (ja) 梁及びスラブの支持方法及び装置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200409486Y1 (ko) 조립식 철 구조물
JPH0468140A (ja) 梁の構造
JPH06193133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を主体とした建物の混合構造
JP2019039180A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55525Y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
KR102453459B1 (ko)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JP3187618B2 (ja) 梁鉄筋の組み立て方法
KR200427089Y1 (ko) 조립식 기둥
JP3026115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6479341B2 (ja) 建物
JPH0470468A (ja) 床版施工用移動式型枠支保工
JPH0468167A (ja) 建築物の施工方法
KR100758944B1 (ko) 조립식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