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850U - 화분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화분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850U
KR20190000850U KR2020170005077U KR20170005077U KR20190000850U KR 20190000850 U KR20190000850 U KR 20190000850U KR 2020170005077 U KR2020170005077 U KR 2020170005077U KR 20170005077 U KR20170005077 U KR 20170005077U KR 20190000850 U KR20190000850 U KR 201900008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rface portion
pollen
side portion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석
이선엽
우현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70005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850U/ko
Publication of KR20190000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소하게 화분을 소지할 수 있도록 화분 포장 용기의 상부면을 손잡이로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분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POT}
본 고안은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을 간소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하고 포장된 상태에서 화분을 관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 포장 용기는 화분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화분을 포장하는 용기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 포장 용기는 화분 내부를 관찰하고 화분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770호에 개시되어 있는 택배용 포장박스는 포장 용기 상부면을 폐쇄하고 손잡이로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3186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는 상부면이 손잡이로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77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318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 포장 용기의 상부면이 손잡이로 형성될 수 있게 만들어 화분 포장 용기를 보다 간소하게 잡을 수 있게 만드는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분 포장 용기를 제거하지 않고 내부에 위치되는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있어서, 제 1 측면부, 좌단이 상기 제 1 측면부 우단과 연결되는 제 2 측면부, 좌단이 상기 제 2 측면부 우단과 연결되는 제 3 측면부, 좌단이 상기 제 3 측면부 우단과 연결되는 제 4 측면부, 상기 제 1 측면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 1 손잡이부, 상기 제 2 측면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손잡이부, 상기 제 3 측면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 3 손잡이부, 상기 제 4 측면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 4 손잡이부, 상기 제 1 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제 1 하면부, 상기 제 2 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제 2 하면부, 상기 제 3 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제 3 하면부 및 상기 제 4 측면부 하단과 연결되는 제 4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면부 및 제 3 하면부는 서로 체결되어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손잡이부 및 제 3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는 서로 맞닿아 손잡이를 형성하며, 제 2 손잡이부 및 제 4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를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 포장 용기는 상부가 손잡이로 형성됨으로서, 화분 포장 용기를 보다 간소하게 파지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포장된 상태에서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화분을 관리할 수 있는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된 상태에서 광원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화분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부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 내부에 화분 받침부가 위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의 제 1 내지 제 3 개방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의 손잡이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의 손잡이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100)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100)는 제 1 측면부(10), 제 2 측면부(15), 제 3 측면부(20), 제 4 측면부(25), 제 1 손잡이부(30), 제 2 손잡이부(35), 제 3 손잡이부(40), 제 4 손잡이부(45), 제 1 하면부(50), 제 2 하면부(55), 제 3 하면부(60) 및 제 4 하면부(65)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제 1 측면부(10)는 화분 포장 용기(100)가 조립되었을 시 일 측면으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 1 측면부(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측면부(15)는 좌단이 제 1 측면부(10) 우단과 연결된다. 제 2 측면부(15)는 제 1 측면부(10)와 같이 화분 포장 용기(100)가 조립되었을 시 일 측면으로 형성되어 화분 포장 용기(100) 내부에 위치되는 화분(5)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2 측면부(1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측면부(20)는 좌단이 제 2 측면부(15) 우단과 연결된다. 제 3 측면부(20)는 제 1 측면부(10), 제 2 측면부(15)와 함께 화분 포장 용기(100)의 일 측면을 형성한다. 제 3 측면부(2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 측면부(25)는 좌단이 제 3 측면부(20) 우단과 연결된다. 제 4 측면부(25)는 화분 포장 용기(100)의 일 측면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위치되는 화분(5)을 보호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제 4 측면부(2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손잡이부(30)는 제 1 측면부(10) 상단과 연결된다. 제 1 손잡이부(3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손잡이부(30)는 일단에 손잡이(97)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97)는 반원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손잡이부(30)에 형성되는 손잡이(97)와 제 3 손잡이부(40)에 형성되는 손잡이(97)는 서로 맞닿아 사용자가 간소하게 파지할 수 있게 만드는 사용자손잡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손잡이부(35)는 제 2 측면부(15) 상단과 연결된다. 제 2 손잡이부(35)는 손잡이(또는 사용자손잡이)(97)가 통과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한다. 제 2 손잡이부(35)는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손잡이부(40)는 제 3 측면부(20) 상단과 연결된다. 제 3 손잡이부(4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손잡이부(40) 일단은 손잡이(97)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97)는 반원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손잡이부(40)에 형성되는 손잡이(97)는 제 1 손잡이부(30)에 형성되는 손잡이(97)와 겹쳐 하나의 사용자손잡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 손잡이부(45)는 제 4 측면부(25) 상단과 연결된다. 제 4 손잡이부(45)는 손잡이(97)가 통과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한다. 제 4 손잡이부(45)는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면부(50)는 제 1 측면부(10) 하단과 연결된다. 제 1 하면부(50)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끝부분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하면부(50)는 제 3 하면부(60)와 체결되어 화분 포장 용기(100)의 하부면을 고정하여 화분(5)이 화분 포장 용기(100)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하면부(55)는 제 2 측면부(15) 하단과 연결된다. 제 2 하면부(5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하면부(60)는 제 3 측면부(20) 하단과 연결된다. 제 3 하면부(6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3 하면부(60) 중앙에 홈(사각형 형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홈을 이용하여 제 1 하면부(50)의 일단이 제 3 하면부(60)와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하면부(50)는 제 1 하부면체결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하부면체결부(350)는 제 1 하면부(50)에 반원 형상의 윤곽선의 홈으로 형성되어 제 1 하부면체결부(350)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제 1 하면부(50)와 제 3 하면부(60)를 체결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제 3 하면부(60)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에 제 1 하면부(50)의 일단(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일단)을 거치시키고, 제 3 하면부(60)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홈의 타 방향에 제 1 하부면체결부(350)를 체결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 1 하면부(50)와 제 3 하면부(60)를 체결할 수 있게 만든다.
제 4 하면부(65)는 제 4 측면부(25) 하단과 연결된다. 제 4 측면부(6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하면부(50, 55, 60, 65)의 체결 과정은 제 2 및 제 4 하면부(55, 65)를 접어 화분 포장 용기(100)의 하부면(조립된 상태에서 하부면)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하면부(50, 60)를 서로 체결하여 하부면을 고정하여 화분 포장 용기(100)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화분 포장 용기(100)의 재질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 포장 용기(100)의 재질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포장 시 내부를 간소하게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화분(5)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만들고, 또한, 포장 상태에서 화분(5)에 광원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간소하게 화분(5)을 관리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6을 참고하면, 제 1 개방홈(70)은 제 3 측면부(20)에 마련되고, 제 1 개방부(75)는 일단이 제 1 개방홈(7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 1 개방홈(70)은 제 3 측면부(20)에 마련되어 제 1 개방부(75)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개방홈(70)은 제 1 개방부(75)가 제 1 개방홈(70)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 1 개방부(75)의 일단을 접었을 경우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제 1 개방홈(70)은 사용자가 화분 포장 용기(100)의 포장을 제거하지 않고도 화분(5)을 관리할 수 있게 만든다. 즉 화분 포장 용기(100)를 제거하지 않고, 제 1 개방홈(70)을 이용하여 화분(5)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게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2 측면부(15)에 마련되는 제 2 개방홈(80), 제 4 측면부(25)에 마련되는 제 3 개방홈(90), 일단이 제 2 개방홈(8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개방부(85) 및 제 3 개방홈(9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3 개방부(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개방홈(80) 및 제 3 개방홈(90)은 상기 기술한 제 1 개방홈(70)과 같이 화분 포장 용기(100)를 제거하지 않고도 화분(5)에 물이나 필요한 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화분(5)을 관리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즉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화분 포장 용기(100)는 광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 1 개방홈(70), 제 2 개방홈(80) 또는 제 3 개방홈(90)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화분 포장 용기(100) 내에서도 효과적으로 화분(5)이 생장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를 참고하면, 제 2 개방부(85)에 마련되는 제 5 손잡이부(310), 제 1 개방부(75)에 마련되는 제 6 손잡이부(320), 제 3 개방부(95)에 마련되는 제 7 손잡이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5 손잡이부(310), 제 6 손잡이부(320) 및 제 7 손잡이부(33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윤곽선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5 손잡이부(310)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간소하게 제 2 개방부(75)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5 손잡이부(310), 제 6 손잡이부(320), 제 7 손잡이부(330) 및 제 1 하부면체결부(350)는 홈의 양 끝단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홈(340)을 구비할 수 있다(도 2 참조). 손잡이홈(34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 5 손잡이부(310), 제 6 손잡이부(320), 제 7 손잡이부(330) 및 제 1 하부면체결부(350)가 절곡될 시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화분 받침부(200)는 조립된 화분 포장 용기(100) 내측에 구비된다. 화분 받침부(200)는 화분(5)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화분 받침부(200)에 화분(5)을 고정하여 화분 포장 용기(100) 내측에서 보다 안전하게 화분(5)을 고정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화분(5)을 보다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어 화분(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화분 받침부(200)는 받침하면부(205), 좌단이 받침하면부(205) 우단과 연결되는 제 1 받침측면부(210), 좌단이 제 1 받침측면부(210)의 우단과 연결되는 받침상면부(215), 받침상면부(215)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받침측면부(220), 받침상면부(215) 우단과 연결되는 제 3 받침측면부(225), 받침상면부(215) 하단과 연결되는 제 4 받침측면부(230), 받침하면부(205) 좌단과 연결되는 제 1 체결부(235) 및 받침상면부(215)는 화분이 위치될 수 있도록 만드는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하면부(205)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받침하면부(205)는 화분 받침부(200)의 하면에 위치된다. 제 1 받침측면부(2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4 받침측면부(210, 220, 225, 230)는 화분 받침부(2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제 1 내지 제 4 받침측면부(210, 220, 225, 23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상면부(21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상면부(215)는 중앙에 화분(5)이 위치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홈에 화분(5)을 끼움 설치하여 화분(5)을 고정할 수 있게 만든다. 제 1 체결부(235)는 접착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받침하면부(205)와 제 3 받침측면부(225)가 보다 간소하게 체결될 수 있게 만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수단은 풀, 본드, 스템플러, 테이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235)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2 체결부(240)는 제 2 받침측면부(220) 상단과 연결되고, 제 3 체결부(245)는 제 4 받침측면부(230) 하단과 연결된다. 제 2 체결부(240) 및 제 3 체결부(245)는 받침하면부(205)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체결부(240) 및 제 3 체결부(245)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화분 받침부(200)는 제 1 받침측면부(210) 상단과 연결되는 제 4 체결부(250), 제 1 받침측면부(210) 하단과 연결되는 제 5 체결부(255), 제 3 받침측면부(225) 상단과 연결되는 제 6 체결부(260) 및 제 3 받침측면부(2255) 하단과 연결되는 제 7 체결부(2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화분 받침부(200)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화분(5)을 지지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 4 체결부 내지 제 7 체결부(250, 255, 260, 265)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돌출부(270)는 받침상면부(215) 홈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돌출부(270)는 화분(5)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받침상면부(215) 홈과 화분(5)이 꼭 맞지 않는 경우에도 화분(5)을 고정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8 체결부(275)는 제 1 측면부(10) 우단과 연결된다. 제 8 체결부(275)는 화분 포장 용기(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만든다. 제 8 체결부(275)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5 : 화분,
10 : 제 1 측면부, 15 : 제 2 측면부,
20 : 제 3 측면부, 25 : 제 4 측면부,
30 : 제 1 손잡이부, 35 : 제 2 손잡이부,
40 : 제 3 손잡이부, 45 : 제 4 손잡이부,
50 : 제 1 하면부, 55 : 제 2 하면부,
60 : 제 3 하면부, 65 : 제 4 하면부,
70 : 제 1 개방홈, 75 : 제 1 개방부,
80 : 제 2 개방홈, 85 : 제 2 개방부,
90 : 제 3 개방홈, 95 : 제 3 개방부,
97 : 손잡이,
100 : 화분 포장 용기,
200 : 화분 받침부,
205 : 받침하면부, 210 : 제 1 받침측면부,
215 : 받침상면부, 220 : 제 2 받침측면부,
225 : 제 3 받침측면부, 230 : 제 4 받침측면부,
235 : 제 1 체결부, 240 : 제 2 체결부,
245 : 제 3 체결부, 250 : 제 4 체결부,
255 : 제 5 체결부, 260 : 제 6 체결부,
265 : 제 7 체결부, 270 : 돌출부,
275 : 제 8 체결부,
310 : 제 5 손잡이부, 320 : 제 6 손잡이부,
330 : 제 7 손잡이부, 340 : 손잡이홈,
350 : 제 1 하부면체결부.

Claims (10)

  1. 제 1 측면부(10);
    좌단이 상기 제 1 측면부(10) 우단과 연결되는 제 2 측면부(15);
    좌단이 상기 제 2 측면부(15) 우단과 연결되는 제 3 측면부(20);
    좌단이 상기 제 3 측면부(20) 우단과 연결되는 제 4 측면부(25);
    상기 제 1 측면부(10) 상단과 연결되는 제 1 손잡이부(30);
    상기 제 2 측면부(15)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손잡이부(35);
    상기 제 3 측면부(20) 상단과 연결되는 제 3 손잡이부(40);
    상기 제 4 측면부(25) 상단과 연결되는 제 4 손잡이부(45);
    상기 제 1 측면부(10) 하단과 연결되는 제 1 하면부(50);
    상기 제 2 측면부(15) 하단과 연결되는 제 2 하면부(55);
    상기 제 3 측면부(20) 하단과 연결되는 제 3 하면부(60); 및
    상기 제 4 측면부(25) 하단과 연결되는 제 4 하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면부(50) 및 제 3 하면부(60)는 서로 체결되어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손잡이부(30) 및 제 3 손잡이부(40)에 구비되는 손잡이(97)는 서로 맞닿아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용자손잡이를 형성하며,
    제 2 손잡이부(35) 및 제 4 손잡이부(45)는 상기 사용자손잡이를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화분 포장 용기의 재질은 투명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면부(20)에 마련되는 제 1 개방홈(70) 및
    일단이 상기 제 1 개방홈(7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 개방부(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부(15)에 마련되는 제 2 개방홈(80);
    상기 제 4 측면부(25)에 마련되는 제 3 개방홈(90);
    일단이 상기 제 2 개방홈(8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개방부(85); 및
    일단이 상기 제 3 개방홈(9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3 개방부(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된 화분 포장 용기 내측에 구비되는 화분 받침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받침부(200)는
    받침하면부(205);
    좌단이 상기 받침하면부(205) 우단과 연결되는 제 1 받침측면부(210);
    좌단이 상기 제 1 받침측면부(210)의 우단과 연결되는 받침상면부(215);
    상기 받침상면부(215)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받침측면부(220);
    상기 받침상면부(215) 우단과 연결되는 제 3 받침측면부(225);
    상기 받침상면부(215) 하단과 연결되는 제 4 받침측면부(230); 및
    상기 받침하면부(205) 좌단과 연결되는 제 1 체결부(235);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상면부(215)는 화분(5)이 위치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받침측면부(220)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체결부(240); 및
    상기 제 4 받침측면부(230) 하단과 연결되는 제 3 체결부(2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측면부(210) 상단과 연결되는 제 4 체결부(250);
    상기 제 1 받침측면부(210) 하단과 연결되는 제 5 체결부(255);
    상기 제 3 받침측면부(225) 상단과 연결되는 제 6 체결부(260); 및
    상기 제 3 받침측면부(225) 하단과 연결되는 제 7 체결부(2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상면부(215) 홈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10) 우단과 연결되는 제 8 체결부(2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KR2020170005077U 2017-09-27 2017-09-27 화분 포장 용기 KR201900008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77U KR20190000850U (ko) 2017-09-27 2017-09-27 화분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77U KR20190000850U (ko) 2017-09-27 2017-09-27 화분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50U true KR20190000850U (ko) 2019-04-04

Family

ID=6610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77U KR20190000850U (ko) 2017-09-27 2017-09-27 화분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850U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016B1 (ko) * 2005-11-28 2007-04-16 백원안 연탄보일러
KR100711589B1 (ko) * 2006-11-13 2007-04-27 이기철 신축성 섬유의 변사처리방법
KR100714301B1 (ko) * 2005-11-23 2007-05-07 이성 시신용 스치로폴 관
KR100716550B1 (ko) * 2006-07-14 2007-05-09 고려검사주식회사 기밀 내부공간을 갖춘 압력구조물의 누설검사장치
KR100716520B1 (ko) * 2005-11-21 2007-05-11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0713717B1 (ko) * 2005-10-25 2007-05-11 박경희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100720653B1 (ko) * 2006-08-10 2007-05-21 황보연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KR100720597B1 (ko) * 2005-12-01 2007-05-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터널용 배관 부재
KR100721721B1 (ko) * 2007-03-20 2007-05-25 김성철 보온성 가변식 모자방한점퍼
KR100728578B1 (ko) * 2005-10-20 2007-06-18 최경식 석재 약탕기용 가열장치
KR100721026B1 (ko) * 2006-01-12 2007-06-19 모바일코리아(주) 신축가능한 다리가 구비된 이동식 화장실
KR100730308B1 (ko) * 2006-08-11 2007-06-19 주식회사 빅솔론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2949B1 (ko) * 2006-05-08 2007-06-29 주식회사 승보메카텍 회로기판 고정용 펌 나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733715B1 (ko) * 2006-09-25 2007-07-02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100738511B1 (ko) * 2005-10-04 2007-07-11 정태원 보온 보냉 내피의 제조방법 및 그 보온 보냉 내피
KR100744868B1 (ko) * 2006-02-20 2007-08-01 정용관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KR100744969B1 (ko) * 2006-06-30 2007-08-02 김홍일 산업용 로봇의 회전핑거
KR100750512B1 (ko) * 2006-06-01 2007-08-20 주식회사 사라콤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환풍구용 커버
KR100751288B1 (ko) * 2005-12-30 2007-08-23 곽기태 완강 피난용 구명낙하산
KR100753474B1 (ko) * 2006-09-05 2007-08-29 조중하 복합창호새시
KR100759311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해체가 용이한 용해로
KR100761517B1 (ko) * 2006-09-07 2007-09-27 최석길 수상 스포츠 기구
KR100764688B1 (ko) * 2006-06-15 2007-10-08 장진욱 농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65065B1 (ko) * 2006-12-01 2007-10-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보관 및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6538B1 (ko) * 2007-05-23 2007-10-15 주식회사 명진 고리가 부착된 고무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476B1 (ko) * 2004-12-11 2007-10-18 주식회사 오.엘.티 전력 소자를 이용한 변압기의 온 로드 자동 탭 절환 장치
KR100769332B1 (ko) * 2006-05-18 2007-11-02 김용근 세계지도
KR100773990B1 (ko) * 2006-02-23 2007-11-08 최길림 포장용 상자
KR100779941B1 (ko) *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KR100777946B1 (ko) * 2006-11-09 2007-11-29 민영우 이. 브이. 에이 합성수지를 이용한 낚싯대의 손잡이
KR100780720B1 (ko) * 2002-01-28 2007-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통신 에러시 문열림 경보음 구동방법
KR100785282B1 (ko) * 2006-11-02 2007-12-12 애경산업(주)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KR100784347B1 (ko) * 2007-08-27 2007-12-13 이송대 끽연 용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86Y1 (ko) 1999-12-16 2000-05-15 문중식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20100030770A (ko) 2008-09-11 2010-03-19 농업회사법인대신원예주식회사 택배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86Y1 (ko) 1999-12-16 2000-05-15 문중식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20100030770A (ko) 2008-09-11 2010-03-19 농업회사법인대신원예주식회사 택배용 포장박스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20B1 (ko) * 2002-01-28 2007-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통신 에러시 문열림 경보음 구동방법
KR100767476B1 (ko) * 2004-12-11 2007-10-18 주식회사 오.엘.티 전력 소자를 이용한 변압기의 온 로드 자동 탭 절환 장치
KR100738511B1 (ko) * 2005-10-04 2007-07-11 정태원 보온 보냉 내피의 제조방법 및 그 보온 보냉 내피
KR100728578B1 (ko) * 2005-10-20 2007-06-18 최경식 석재 약탕기용 가열장치
KR100713717B1 (ko) * 2005-10-25 2007-05-11 박경희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100716520B1 (ko) * 2005-11-21 2007-05-11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0714301B1 (ko) * 2005-11-23 2007-05-07 이성 시신용 스치로폴 관
KR100779941B1 (ko) *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KR100694016B1 (ko) * 2005-11-28 2007-04-16 백원안 연탄보일러
KR100720597B1 (ko) * 2005-12-01 2007-05-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터널용 배관 부재
KR100751288B1 (ko) * 2005-12-30 2007-08-23 곽기태 완강 피난용 구명낙하산
KR100721026B1 (ko) * 2006-01-12 2007-06-19 모바일코리아(주) 신축가능한 다리가 구비된 이동식 화장실
KR100744868B1 (ko) * 2006-02-20 2007-08-01 정용관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KR100773990B1 (ko) * 2006-02-23 2007-11-08 최길림 포장용 상자
KR100732949B1 (ko) * 2006-05-08 2007-06-29 주식회사 승보메카텍 회로기판 고정용 펌 나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769332B1 (ko) * 2006-05-18 2007-11-02 김용근 세계지도
KR100750512B1 (ko) * 2006-06-01 2007-08-20 주식회사 사라콤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환풍구용 커버
KR100764688B1 (ko) * 2006-06-15 2007-10-08 장진욱 농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44969B1 (ko) * 2006-06-30 2007-08-02 김홍일 산업용 로봇의 회전핑거
KR100716550B1 (ko) * 2006-07-14 2007-05-09 고려검사주식회사 기밀 내부공간을 갖춘 압력구조물의 누설검사장치
KR100759311B1 (ko) * 2006-07-31 2007-09-17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해체가 용이한 용해로
KR100720653B1 (ko) * 2006-08-10 2007-05-21 황보연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KR100730308B1 (ko) * 2006-08-11 2007-06-19 주식회사 빅솔론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3474B1 (ko) * 2006-09-05 2007-08-29 조중하 복합창호새시
KR100761517B1 (ko) * 2006-09-07 2007-09-27 최석길 수상 스포츠 기구
KR100733715B1 (ko) * 2006-09-25 2007-07-02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100785282B1 (ko) * 2006-11-02 2007-12-12 애경산업(주)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KR100777946B1 (ko) * 2006-11-09 2007-11-29 민영우 이. 브이. 에이 합성수지를 이용한 낚싯대의 손잡이
KR100711589B1 (ko) * 2006-11-13 2007-04-27 이기철 신축성 섬유의 변사처리방법
KR100765065B1 (ko) * 2006-12-01 2007-10-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보관 및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21721B1 (ko) * 2007-03-20 2007-05-25 김성철 보온성 가변식 모자방한점퍼
KR100766538B1 (ko) * 2007-05-23 2007-10-15 주식회사 명진 고리가 부착된 고무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0784347B1 (ko) * 2007-08-27 2007-12-13 이송대 끽연 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50U (ko) 화분 포장 용기
US4333267A (en) Protective sleeve for plants
CA2827048C (en) Device for displaying flower bouquets or potted plants
EP1306319B1 (en) Packaging for long-stemmed flowers
EP0787104B1 (en) Package for flowers
KR200465967Y1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EP0830301B1 (en) Wrapper for a bunch of flowers
KR20130002895U (ko) 화분용 포장박스
US5570785A (en) Combined floral display and keepsake container
KR20110014770A (ko) 화분 전시겸용 물류박스
KR101979512B1 (ko) 화분 포장 용기
KR101436460B1 (ko) 화분 겸용 야채 포장 케이스
KR200400796Y1 (ko) 화분용 포장상자
KR200351523Y1 (ko) 화분 포장용 박스
GB2402858A (en) A pyramidal plant pot with openable sides
KR200488990Y1 (ko) 생화 배송용 포장용기
JP2975280B2 (ja) 葉野菜の搬送ユニット
KR20000065640A (ko) 포장용 상자
JPH08280504A (ja) 植木鉢用カバー
KR20130006178U (ko) 화분용 포장 케이스.
JP3213596U (ja) 植栽用保水容器
US10569932B2 (en) Package for holding packaged goods
JPH0228186Y2 (ko)
KR200146669Y1 (ko) 화환용 상자
JPH046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