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669Y1 - 화환용 상자 - Google Patents

화환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669Y1
KR200146669Y1 KR2019970007661U KR19970007661U KR200146669Y1 KR 200146669 Y1 KR200146669 Y1 KR 200146669Y1 KR 2019970007661 U KR2019970007661 U KR 2019970007661U KR 19970007661 U KR19970007661 U KR 19970007661U KR 200146669 Y1 KR200146669 Y1 KR 200146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wreath
box
cut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197U (ko
Inventor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이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환 filed Critical 이세환
Priority to KR201997000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6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669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환용 상자의 재단 성형이 간편하여 성형에 따른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화환에 사용이 용이하며, 화환을 신선하게 보호할 수 있는 화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일측 모서리로 걸림돌부(13)를 가지고, 꺽이는 선(11)에 의해 절형되는 받침판부(12)를 구비한 전면판부(10)와 : 상기한 전면판부(10)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꺽이는 선(25)(25a)에 의해 절형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21)(21a)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 받침판부(12)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절첩선(23)(23a)을 가지는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22)(22a)를 각각 구비한 양측벽부(20)(20a)와 : 양측벽부(20a)의 일측으로 꺽이는 선(32)에 의해 절형되도록 형성하고, 전면판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부(33)를 가지는 덮게판부(31)가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으로 형성된 보조받침판부(34)와 일측으로 양측판부(20)에 접착되는 접착부(35)를 구비한 후면판부(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화환용 상자
본 고안은 화환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단 성형이 간편하여 성형에 따른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화환에 사용이 용이하며, 화환을 신선하게 보호할 수 있는 화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용 꽃바구니는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재 및 철선을 엮어서 만든 통상의 바구니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화환용 꽃바구니를 이용하여 화환을 만들 경우, 꽃꽂이된 외부로 노출되어져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 꽃꽂이된 꽃이 주위 사람들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재질이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 및 철선을 엮어서 제작하므로써,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작에 따른 노동력이 많이 소용됨으로 해서 꽃바구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켰으며, 차광 및 바람으로부터 꽃꽂이된 꽃다발이 그대로 노출되어 쉽게 시들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 모서리로 걸림돌부를 가지고, 꺽이는 선에 의해 절형되는 받침판부를 구비한 전면판부와 : 상기한 전면판부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꺽이는 선에 의해 절형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 받침판부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절첩선을 가지는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를 각각 구비한 양측 벽부와 : 양측벽부의 일측으로 꺽이는 선에 의해 절형되도록 형성되고, 전면판부의 내측으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덮게판부가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으로 형성된 보조받침판부와 일측으로 양측판부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구비한 후면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용 상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상자의 전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상자를 성형한 사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판부 11,25,25a,32 : 꺽이는 선
12 : 받침판부 13 : 걸림돌부
20,20a : 양측판부 21,21a : 접이부
22,22a : 부채꼴모양 접착부 23,23a : 절첩선
24 : 걸림부 30 : 후면판부
31 : 덮게판부 33 : 삽입부
34 : 보조받침판부 35 : 접착부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상자의 전개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상자를 성형한 사시 구성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단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화환용 상자는, 일측 모서리로 걸림돌부(13)를 가지고, 꺽이는 선(11)에 의해 절형되는 받침판부(12)를 구비한 전면판부(10)와 : 상기한 전면판부(10)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꺽이는 선(25)(25a)에 의해 절형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21)(21a)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 받침판부(12)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절첩선(23)(23a)을 가지는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22)(22a)를 각각 구비한 양측벽부(20)(20a)와 : 양측벽부(20a)의 일측으로 꺽이는 선(32)에 의해 절형되도록 형성하고, 전면판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부(33)를 가지는 덮게판부(31)가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으로 형성된 보조받침판부(34)와 일측으로 양측판부(20)에 접착되는 접착부(35)를 구비한 후면판부(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양측판부(20) 하단 일측 모서리에 받침판부의 걸림돌부(13)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환용 상자가 절형되어지면 전면판부(10)와, 양측판부(20)(20a) 및 후면판부(30)가 꺽이는 선(25)(25a)(32)을 이용하여 사각형상이 되도록 꺽은 상태에서 후면판부(30)의 일측으로 형성된 접착부를 양측판부(20)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착제로 접착한다.
이때 양측판부(20)(20a)의 상단으로 형성된 접이부(21)(21a)는 내측으로 절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면판부(10)의 하단으로 형성된 받침판부(12)를 꺽이는 선을 이용하여 직각 절첩하되,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걸림돌부(13)가 양측판부(20)의 하단 일측 모서리로 형성된 걸림부(25)에 걸리도록 절형하고, 절형된 받침판부(12)의 위로 후면판부(30)의 하단으로 형성된 보조받침판부(34)가 겹쳐지게 절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판부(20)의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22)를 절첩선(23)에 의해 접은 상태에서 내면에 접착제를 발라 받침판부(12)에 접착하고, 양측판부(20a)의 하단에 형성된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22a)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보조받침판부(34)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화환용 상자의 성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화환용 상자 내부에 꽃꽂이된 꽃다발을 집어넣어 꽃상자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면판부(30)의 상단으로 형성된 덮게판부(31)을 덮은 상태에서 운반함으로써, 꽃을 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꽃의 신선도를 오래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환용 상자는, 재단을 물론 성형이 간편하여 성형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 성형에 따른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꽃다발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꽃의 신선도를 오래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하부로 꺽이는 선에 의해 절형되는 받침판부를 구비한 전면판부 양쪽에 대응되는 크기의 양측판부를 가지고, 양측벽부의 상단에 접이부와 하부로 받침판부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양측벽부에 꺽이는 선에 의해 절형되어지는 후면판부에는 상단으로 덮게판부와 하단에 보조받침판부를 가지는 것으로써, 재단은 물론 성형이 간편하여 성형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 성형에 따른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꽃다발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꽃의 신선도를 오래동안 유지할 수 있는 화환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Claims (1)

  1. 일측 모서리로 걸림돌부(13)를 가지고, 꺽이는 선(11)에 의해 절형되는 받침판부(12)를 구비한 전면판부(10)와 : 상기한 전면판부(10)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꺽이는 선(25)(25a)에 의해 절형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21)(21a)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 받침판부(12)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절첩선(23)(23a)을 가지는 부채꼴 모양의 접착부(22)(22a)를 각각 구비한 양측벽부(20)(20a)와 : 양측벽부(20a)의 일측으로 꺽이는 선(32)에 의해 절형되도록 형성되고, 전면판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부(33)를 가지는 덮게판부(31)가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으로 형성된 보조받침판부(34)와 일측으로 양측판부(20)에 접착되는 접착부(35)를 구비한 후 후면판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용 상자.
KR2019970007661U 1997-04-14 1997-04-14 화환용 상자 KR200146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61U KR200146669Y1 (ko) 1997-04-14 1997-04-14 화환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61U KR200146669Y1 (ko) 1997-04-14 1997-04-14 화환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97U KR19980063197U (ko) 1998-11-16
KR200146669Y1 true KR200146669Y1 (ko) 1999-06-15

Family

ID=1949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61U KR200146669Y1 (ko) 1997-04-14 1997-04-14 화환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6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73B1 (ko) 2011-04-26 2011-09-14 송석명 종이 꽃바구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73B1 (ko) 2011-04-26 2011-09-14 송석명 종이 꽃바구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97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0721B1 (en) A flexible pliable retaining package for flowers and plants
US4333267A (en) Protective sleeve for plants
US5293715A (en) Reversible dual-purpose self-standing pot cover
US5239775A (en) Elastic wrap for plant materials and method for covering such materials
US5106662A (en) Flower wrapper
ITMI970385U1 (it) Struttura di contenitore per mazzi di fiori avente caratteristiche funzionali migliorate
US4295187A (en) Assemblable container
CA1122944A (en) Assemblable lamp shade
KR200146669Y1 (ko) 화환용 상자
CA2200025A1 (en) Packaging structure for decorative bow
US5195271A (en) Plant container cover
US5896988A (en) Wrapper for a bunch of flowers
US3290820A (en) Floral arranger
US4811896A (en) Bottle wrapper
IT1246887B (it) Foglio doppio da arricciare con nastro inserito per il perfezionamento di piante in vaso, fiori, bouquet, oggetti da regalo in genere,
KR20090055335A (ko) 과실봉지 및 과실봉지의 제조 방법
US20060225343A1 (en) System for gridding floral vases/containers
RU2809780C1 (ru) Быстросборн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букета
US1994333A (en) Flower package
KR102383511B1 (ko)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15936955U (zh) 一种固定插花用的容器
KR200283286Y1 (ko) 합성수지 채반
EP1410748A1 (en) Packaging for plants and the like
JPH0338121Y2 (ko)
KR200147521Y1 (ko) 화환용 꽃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