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286Y1 - 합성수지 채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286Y1
KR200283286Y1 KR2020020011169U KR20020011169U KR200283286Y1 KR 200283286 Y1 KR200283286 Y1 KR 200283286Y1 KR 2020020011169 U KR2020020011169 U KR 2020020011169U KR 20020011169 U KR20020011169 U KR 20020011169U KR 200283286 Y1 KR200283286 Y1 KR 200283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resent
tray
shape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곤
Original Assignee
김행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곤 filed Critical 김행곤
Priority to KR2020020011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286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채반에 있어서, 지지틀(10)과 격자체(2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본 고안의 특징을 살펴보면, 지지틀(10)은 저면에 요홈부(10a)를 구비하도록 ┏┓형태로 굴곡지고, 상면에 환형턱(12)과 보조턱(14)이 형성된다. 격자체(20)는 상기 지지틀(1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물기가 통과되는 다공을 지닌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격자체(20)는 중앙부의 평면부(20a)와 그 주변의 곡면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20b)는 지지틀(10)의 경사부(10b)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목재를 사용하여 엮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장기간 원형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채반 {Plastic wicker tray}
본 고안은 합성수지 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 특히 대나무를 사용하여 엮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장기간 원형이 유지되는 합성수지 채반에 관한 것이다.
채반은 껍질을 벗긴 싸리, 버드나무, 대나무 따위의 가는 나무 오리로 엮어 만든 둥글넓적한 채 그릇으로서 음식 재료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엮는 구조는 격자형이며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지니는데, 대나무보다 탄성이 약한 목재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각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채반의 용도상 목재로 된 채반은 항상 수분을 접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화되고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우려도 있으며, 또 수분에 의해 약화된 목재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되어 가시와 같이 벌어지면서 사용중에 손을 다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나무 채반은 목재 채반보다는 썩는 기간이 다소 길지만 오래 사용하다 보면 씻기가 힘들어 위생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채반 하부의 중심부가 한군데로 쏠려 있어 물건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두면 요동하며 넘어지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압출형태로 사출된 수지재의 관속에 철사를 넣어 압출한 선재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엮은 채반이 사용된다. 이는 목재에 비하여 강도가 좋고 손을 다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수작업에 의존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수지가 손상되면 철사에서 녹이 발생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를 사용하여 엮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장기간 원형이 유지되는 합성수지 채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부분 절개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도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요부에 대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지지틀 10a: 요홈부
10b: 경사부 12: 환형턱
14: 보조턱 20: 격자체
20a: 평면부 20b: 곡면부
21: 수직선재 22: 수평선재
23: 중심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건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채반에 있어서,
저면에 요홈부(10a)를 구비하도록 ┏┓형태로 굴곡지고, 상면에 환형턱(12)과 보조턱(14)이 형성되는 지지틀(10); 및 상기 지지틀(1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물기가 통과되는 다공을 지닌 격자체(20)가 일체의 사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격자체(20)의 중앙에는 일정 면적에 걸쳐 다공이 없는 중심대(23)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격자체(20)는 중앙부의 평면부(20a)와 그 주변의 곡면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20b)는 지지틀(10)의 경사부(10b)와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부분 절개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물건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채반에 있어서 지지틀(10)과 격자체(20)가 일체로 조립되는 구성을 지닌다. 지지틀(10)은 외곽 테두리 부분으로서 전체적인 강도를 지탱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고, 격자체(20)는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물기를 통과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지지틀(10)은 저면에 요홈부(10a)를 구비하도록 ┏┓형태로 굴곡 형성한다. 지지틀(10)은 물건(주로 음식 재료)을 가지런한 상태로 배열하여 건조하는 측면에서는 타원형이 바람직하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홈부(10a)는 지지틀(10)을 손으로 잡기 편리할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어 강도의 약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소재를 절약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지지틀(10)은 상면에 환형턱(12)과 보조턱(14)이 형성된다. 지지틀(10) 자체는 상면이 일정한 폭으로 편평하지만 그 폭의 중간 위치에 ∩형태의 반원형 단면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지지틀(10)이 타원형, 원형, 각형으로 됨에 따라 환형턱(12)도 그에 상응하여 동일한 형태로 된다. 환형턱(1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면 보조턱(14)은 이에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균등한 복수의 지점에 형성된다.
환형턱(12)은 채반을 사용하는 중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과 비틀림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조턱(14)은 강도상의 보강보다는 마치 지지틀(10)에 보조턱(14)을 엮은 형태로 보이도록 시각적인 효과를 주로 한다. 지지틀(10)의 요홈부(10a)에는 환형턱(12)과 보조턱(14)을 생성하지 않고 평면 상태로 두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지지틀(10)과 격자체(20)를 일체 구조로 사출 성형하는데, 이때 격자체(20)는 물기가 통과되는 다공 구조로서 상기 지지틀(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격자체(2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수직선재(21)와 수평선재(22)가 엮어진 구성을 지닌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격자체(20)의 중앙에는 일정 면적에 걸쳐 다공이 없는 중심대(23)를 더 구비한다. 종래의 경우 엮는 구조이므로 채반의 중앙에서 평면 구조의 중심대(23)를 두기 곤란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금형의 조작에 의해 중심대(23)를 사출 성형하기 용이하다. 중심대(23)는 채반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용도로서 두께는 격자체(20)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중심대(23)는 도시한 장방형 외에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성형할 수 있고, 면적이 충분히 크다면 제조회사의 로고, 상품명이 기록된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도식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격자체(20)는 중앙부의 평면부(20a)와 그 주변의 곡면부(20b)로 이루어진다. 평면부(20a)는 전술한 중심대(23)를 포함한 범위이며 채반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곡면부(20b)는 사출로 채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곡선형이며 목재로 엮은 채반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도록 완만한 곡률로 평면부(20a)와 연결된다.
도시에는 명확하지 않으나, 채반의 상면이나 저면에서 보면 평면부(20a)는 지지틀(10)과 유사한 형태이다. 즉, 지지틀(10)이 타원형이면 평면부(20a)도 타원형에 근접한 형태를 지닌다.
이때, 격자체(20)의 곡면부(20b)는 지지틀(10)의 경사부(10b)와 연결된다. 전술한 지지틀(10)은 수직선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예각(예컨대 10-20°)으로 경사지며 격자체(20)의 곡면부(20b)와 연결된다. 지지틀(10)의 경사부(10b)는 사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곡면부(20b)와 매끄러운 연결을 도모한다. 확대도에서 보조턱(14)이 지지틀(10) 상을 일정한 두께로 감싸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시에서 미설명 부호 21a, 21b, 22a는 격자체(20)를 격자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요부에 대한 저면도가 도시된다.
도 3에서, 중심대(23)를 중심으로 격자체(20)가 수직선재(21)와 수평선재(22)로 엮어진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엮어진 것이 아니며 사출되는 수직선재(21)와 수평선재(22)의 두께 차이에 기인한다. 중심대(23) 부분은 격자를 형성하지 않은 캐비티에 의해 평면형태로 성형된다.
도 4에서, 수직선재(21)에서 부호 21a는 상하로 곡면이고 두께가 크며 부호 21b는 상면이 곡면 하면이 평면으로 두께가 작다. 수평선재(22)도 수직선재(21)와 동일하게 두께가 큰 부호 22a와 두께가 작은 부호 22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들의 단면에 있어서 측면의 두께는 약간씩 다르나 상면의 폭은 상호 유사하다. 두께가 큰 부호 21a와 22a는 넓은 간격으로 교차되고, 두께가 작은 부호 21b와 22b는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교차된다.
상기한 수직선재(21) 및 수평선재(22)의 첨자 a부분(큰 두께)과 첨자 b부분(작은 두께)은 두께 차이를 크게 할수록 나무를 엮은 질감이 잘 표현된다. 그러나 사출 성형시 두께 차이로 유동성이 불량해져 사출온도와 사출압력을 높여야 하고 사출속도가 저하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있으므로 채반의 합성수지 소재를 선택하는 것과 함께 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조건을 찾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수직선재(21)와 수평선재(22)의 두께를 다르게 하면서 교차시키면 일측이 타측의 하부로 통과하여 상부로 넘어와서 결국 엮는 형태로 된다. 도 3처럼 채반의 상면은 엮는 형태로 되지만, 도 4처럼 채반의 저면은 엮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물론 채반의 상면과 저면을 모두 도 4처럼 비교적 편평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나무를 엮은 질감을 표현하는 측면에서 불리한 반면 제조원가를 낮추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합성수지 채반은 목재를 사용하여 엮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장기간 원형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건의 물기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채반에 있어서,
    저면에 요홈부(10a)를 구비하도록 ┏┓형태로 굴곡지고, 상면에 환형턱(12)과 보조턱(14)이 형성되는 지지틀(10); 및
    상기 지지틀(1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물기가 통과되는 다공을 지닌 격자체(20)가 일체의 사출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체(20)의 중앙에는 일정 면적에 걸쳐 다공이 없는 중심대(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체(20)는 중앙부의 평면부(20a)와 그 주변의 곡면부(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20b)는 지지틀(10)의 경사부(10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채반.
KR2020020011169U 2002-04-13 2002-04-13 합성수지 채반 KR200283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69U KR200283286Y1 (ko) 2002-04-13 2002-04-13 합성수지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69U KR200283286Y1 (ko) 2002-04-13 2002-04-13 합성수지 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286Y1 true KR200283286Y1 (ko) 2002-07-26

Family

ID=7312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69U KR200283286Y1 (ko) 2002-04-13 2002-04-13 합성수지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2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60B1 (ko) * 2013-04-09 2013-11-27 박찬덕 선물용 채반
KR101426910B1 (ko) * 2012-11-13 2014-08-05 서달근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KR20170001544U (ko) 2015-10-23 2017-05-08 최성예 매달아 거는 건조 바구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10B1 (ko) * 2012-11-13 2014-08-05 서달근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KR101333960B1 (ko) * 2013-04-09 2013-11-27 박찬덕 선물용 채반
KR20170001544U (ko) 2015-10-23 2017-05-08 최성예 매달아 거는 건조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76050S1 (en) Plastic container
USD445693S1 (en) Plastic container
USD956524S1 (en) Sticker extrusion for spacing wood
US8955681B2 (en) Multi-pot device
USD977022S1 (en) Wind spinner
KR200283286Y1 (ko) 합성수지 채반
USD402381S (en) Injection molded lattice
USD1008076S1 (en) Base for decoration
JP2002362630A5 (ko)
EP1208739B1 (en) Flowerpot and support stick assembly for the same
GB2328369A (en) A garment hanger
KR200165314Y1 (ko) 테이블용 다리
KR200316674Y1 (ko) 장의용 관
KR200187754Y1 (ko) 개폐식 화분커버
EP0484709B1 (en) Punnet for packaging fruit and vegetable articles or the like
CN215936955U (zh) 一种固定插花用的容器
KR200441070Y1 (ko) 화환을 장식하기 위한 인조 장식물
USD1017988S1 (en) Shoe upper
USD1013323S1 (en) Dessert with a filling
CN2254099Y (zh) 塑木装饰条
CN209017523U (zh) 一种带有转角连接件的花箱
KR200442351Y1 (ko) 수목의 폭방향 외형성장 유도부재
KR200214821Y1 (ko) 케익상자
CN214931822U (zh) 一种草莓包装盒
JPS5940893Y2 (ja) 土瓶の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