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674Y1 - 장의용 관 - Google Patents

장의용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674Y1
KR200316674Y1 KR20-2003-0008747U KR20030008747U KR200316674Y1 KR 200316674 Y1 KR200316674 Y1 KR 200316674Y1 KR 20030008747 U KR20030008747 U KR 20030008747U KR 200316674 Y1 KR200316674 Y1 KR 200316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pper cover
lower tube
attached
suppo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20-2003-0008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1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가 부착 고정되며, 지지포스트는 하부관체의 밑바닥과 상부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더 연장되고,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되고 나무못을 개재하여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하부관체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손잡이들이 부착되는 장의용 관이 개시된다. 따라서, 하관시에 관의 편평함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모서리에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미관이 유려하게 할 수 있으며, 관 자체가 혐오감을 주지 않도록 외관을 장식하면서 고급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의용 관{Funeral coffin}
본 고안은 장의용 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관시에 안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의용 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모서리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장식적인 효과를 강조하여 관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 한 장의용 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양측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운구시에 편리함을 증가시킨장의용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을 매장하기 위해서는 관에 안치하여 봉분용 구덩이에 하관하고, 매립한 후 봉분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관시에 구덩이의 저면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관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편평함을 유지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의 장의용 관은 그 형태가 일정하고, 대체적으로 관의 재료의 상이에 따라 고급용과 일반용으로 구분하게 된다.
따라서, 그 형태가 일정함에 따라 일반인들에게는 선입관에 의해 관 자체가 혐오감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이나 문양이 새겨지고 향나무 등의 고급재질의 관을 적용할 수 있으나 지나치게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관을 제작하는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는 양쪽 판을 끼워 맞추고 여기에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나무못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나무못을 이용하게 되면 접착제가 새거나 나무못이 노출되어 미관이 유려하지 못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제와 나무못을 이용하지 않으면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관시에 관의 편평함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의용 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서리에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미관이 유려한 장의용 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 자체가 혐오감을 주지 않도록 외관을 장식하면서 고급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의용 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포스트와 관을 결합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관체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장의용 관에 있어서, 하부관체의 밑바닥 각 모서리에는 받침대가 형성된 장의용 관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관체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장의용 관에 있어서,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가 부착 고정되는 장의용 관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하부관체의 지지포스트는 밑바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더 연장된다. 또한, 지지포스트는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일단이 끼워지고 지지포스트에 타단이 끼워지는 나무못을 개재하여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부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하부관체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손잡이들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된다.
더욱이, 상부커버는 길이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포물선 형태로 높이가 증가하고, 높이에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 부분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관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장의용 관은 하부관체(20)와 상부커버(10)로 이루어지며, 특징적으로 하부관체(20)의 배면 각 모서리에는 받침대(40)가 형성된다. 받침대(40)는 각 모서리 이외에 중앙에 하나 더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40)를 부착함으로써 하관시에 구덩이의 저면이 편평하지 않더라도 해당 부분의 저면을 고르게 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관의 편평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의용 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포스트와 관을 결합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체(20)와 상부커버(12)의 각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14, 24)가 부착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지지포스트(14, 24)는 하부관체(20)의 배면이나 상부커버(10)의 표면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하부관체(20)의 몸체(22)의 상부커버(10)의 몸체(1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결합돌기(26)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에 대향하여 상부커버(10)의 몸체(12)에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또한, 폭방향 양 측면에는 손잡이(3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손잡이(30)는 하부관체(20)의 몸체(22)에 부착되는 고정편(32)과 고정편(3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회전축(34) 및 회전축(34)에 양단이 고정된 파지편(36)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편(32)은 망자의 종교에 부합되도록 십자가나 만(卍)자 형상 또는 연꽃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나무못을 이용하여 몸체(22)에 부착한다. 재질은 철이나 플라스틱 또는 나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서 관을 운구할 때에 양측에서 운구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이용하여 운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관시에도 손잡이에 로프를 걸면 되므로 특별히 중심을 잡으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관체(20)의 몸체(22) 중에서 길이방향 몸체(22a)와 폭방향 몸체(22b)는 서로 직각으로 맞대어 나무못으로 결합을 하거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부를 요철형상으로 가공하여 서로 끼워 맞춘다.
이 상태에서 지지포스트(24)를 부착하는데, 예를 들어, 원기둥에서 1/4정도를 절개하여 절개된 측면이 몸체(22a, 22b)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바람직하게, 몸체(22a, 22b)에 각각 홈(23)을 내고, 지지포스트(24)의 절개된 측면에도 홈(25)을 내어 나무못(27)을 그 사이에 끼워 지지포스트(24)를 부착할 수 있다.또한, 결합강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나무못에 인접하여 접착제를 개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나무못을 개재하여 부착함으로써 외부에서는 나무못의 흔적을 볼 수 없으며, 접착제가 누설될 염려도 없다.
또한, 지지포스트(24)로 원기둥 형상 대신에 사각기둥이나 다각기둥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지지포스트(24)의 표면에는 다양한 문양이나 장식을 조각하면 더욱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부커버(10)의 모서리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포스트(14)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포스트(14, 24)를 적용함으로써 장의용 관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이 주는 부정적인 이미지나 혐오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부커버(10)가 길이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포물선 형태로 높이가 부드럽게 증가하고 높이에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 부분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고급스럽게 보이며 관에 대한 선입견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종이점초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질의 선택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특징이 반영되는 한 본 고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포스트는 기본적인 구성을 유지하는 한, 외부에 십이장생 등의 동물을 조각하거나 유족들이 원하는 형상을 조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하부관체의 밑바닥의 각 모서리에 받침대를 형성함으로써 하관시에 관의 편평함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관체 또는 상부커버의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를 부착함으로써 모서리에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미관이 유려한 장의용 관을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포스트를 적용함으로써 관 자체가 혐오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급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커버의 프로파일을 부드럽게 구성하여 관이 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바꿀 수 있다.

Claims (7)

  1. 하부관체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장의용 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의 밑바닥 각 모서리에는 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2. 하부관체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장의용 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가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의 지지포스트는 밑바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손잡이들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포스트에 타단이 끼워지는 나무못을 개재하여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길이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포물선 형태로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높이에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 부분의 폭이 좁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7. 하부관체와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장의용 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포스트가 부착 고정되며,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하부관체의 밑바닥과 상기 상부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더 연장되고,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되고 나무못을 개재하여 상기 하부관체와 상부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하부관체의 폭방향 양 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손잡이들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관.
KR20-2003-0008747U 2003-03-24 2003-03-24 장의용 관 KR200316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47U KR200316674Y1 (ko) 2003-03-24 2003-03-24 장의용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47U KR200316674Y1 (ko) 2003-03-24 2003-03-24 장의용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674Y1 true KR200316674Y1 (ko) 2003-06-18

Family

ID=4933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47U KR200316674Y1 (ko) 2003-03-24 2003-03-24 장의용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6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93B1 (ko) * 2008-01-10 2010-01-13 주식회사 엔딩 장례용 관
KR101460744B1 (ko) * 2014-06-24 2014-11-19 정용성 납골 유골함
KR101501974B1 (ko) * 2014-05-09 2015-03-12 김종원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KR101511141B1 (ko) * 2014-07-25 2015-04-17 김종원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93B1 (ko) * 2008-01-10 2010-01-13 주식회사 엔딩 장례용 관
KR101501974B1 (ko) * 2014-05-09 2015-03-12 김종원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KR101460744B1 (ko) * 2014-06-24 2014-11-19 정용성 납골 유골함
KR101511141B1 (ko) * 2014-07-25 2015-04-17 김종원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881B2 (en) Cremation urn, kit and system for retaining cremation remains
KR200316674Y1 (ko) 장의용 관
CA2105247C (en) Combined stone and bronze upright monument
USD471650S1 (en) Decorative baluster
US6516476B1 (en) Tub surround product and related methods of design
CN205601481U (zh) 一种可发光的字画
JP2535910Y2 (ja) 灯篭用骨組構造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200292380Y1 (ko) 조명등 갓에 부착되는 장식테두리의 조립구조
KR100460395B1 (ko) 거리와 주변장식용 화분 및 그 제조방법
JP3138096U (ja) 屋内用骨箱
KR200164734Y1 (ko) 장식용용두보당트로피
KR200343630Y1 (ko) 상패의 장식용 받침구
JPH0513148U (ja) フラワ−ポツト
JPS6018157Y2 (ja) 献上台
JPS6224645Y2 (ko)
KR200312359Y1 (ko) 건축물 내장용 내모서리 장식판
JPS6128814Y2 (ko)
CN200954205Y (zh) 带有立体天空造型构件的骨灰盒
KR800001031Y1 (ko) 장식용 조립식 모조 타일판
JPS6141866Y2 (ko)
CN2441656Y (zh) 画框
CN2242276Y (zh) 多彩写真墙饰砖
KR200243792Y1 (ko) 쟁반
JPH02365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