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74B1 -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 Google Patents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74B1
KR101501974B1 KR20140055745A KR20140055745A KR101501974B1 KR 101501974 B1 KR101501974 B1 KR 101501974B1 KR 20140055745 A KR20140055745 A KR 20140055745A KR 20140055745 A KR20140055745 A KR 20140055745A KR 101501974 B1 KR101501974 B1 KR 10150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tube main
cover pla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2014005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4Foldable, pliable or separabl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가 한쌍의 연결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한 차량 적재시 및 보관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funeral coffin}
본 발명은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가 연결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한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에 사용되는 관은 목재 또는 석재로 바닥판을 형성하고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4개의 측면판을 각각 직교하게 설치하여 관 본체를 형성하고, 그 상부를 덮개판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관 본체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접합되는 전·후면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접합되는 좌·우면판으로 이루어진다.
관 본체는 일반적으로 목재로 제작되고, 각각의 판들의 선단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나무못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제작된다. 덮개판은 유해가 입관된 관 본체에 덮여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박히는 다수개의 나무못에 의해 관 본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바닥판은 전·후면판 및 좌·우면판과 나무못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나무못이 풀어져 바닥판과 전·후면판 및 좌·우면판의 접합이 해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바닥판에 안치되는 유해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관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외력에 의해 바닥판과 전·후면판 및 좌·우면판의 접합력이 더욱 약해져 바닥판이 외부로 이탈되어 유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통상의 장례용 관은 완제품 형태로 수요처에 공급된다. 그러나 완제품은 그 부피로 인해 대량 운송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비가 가중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조립식 장례용 관이 도입된 바 있다.
조립식 장례용 관은 측판의 결합방식에 따라 2가지로 대분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된 4개의 측면판과 이들 측면판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측면판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측면판, 바닥판 및 덮개판은 포개진 상태의 적재된 상태로 수요처로 운송된 후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측면판 각각의 양측에는 결합수단으로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에 의해 각 측면판은 서로 깍지 낀 형태로 요철 결합된다. 깍지 낀 요철 형태의 결합은 치차 결합이며 측면판의 결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면판의 요철결합 또는 돌기구멍 결합은 고무망치 등을 통해 억지끼움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부분이 일부 손상되거나 도색이 벗겨져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장례용 관은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제작하거나 운반할 수 없으며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장례용 관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가 한쌍의 연결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한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 상기 바닥판(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전면판(10), 상기 바닥판(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 및 우면판(30)으로 구성된 관본체 전반부;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1), 상기 바닥판(40-1)의 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후면판(20), 상기 바닥판(4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1) 및 우면판(30-1)으로 구성된 관본체 후반부; 상기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트; 및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가 덮개판 연결구로 연결된 연결덮개판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가 한쌍의 연결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제작할 수 있으며 관본체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 적재시 분단되는 기능성 장례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 상기 바닥판(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전면판(10), 상기 바닥판(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 및 우면판(30)으로 구성된 관본체 전반부(100, 100');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1), 상기 바닥판(40-1)의 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후면판(20), 상기 바닥판(4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1) 및 우면판(30-1)으로 구성된 관본체 후반부(100-1, 100'-1); 상기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트; 및 덮개판 전반부(300)와 덮개판 후반부(300-1)가 덮개판 연결구로 연결된 연결덮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있어서 연결브라켓트는 다수개의 너트홈돌기(410)가 형성된 외벽연결판재(400)와 다수개의 관통홀(420)이 형성된 내벽연결판재(400-1)가 볼트(430)로 볼트홀(32)을 관통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있어서 연결브라켓트(200, 200-1)는 관본체의 전후반을 연결하도록 내부가 "H" 자 형태로 형성된 "ㄴ"자 형태의 브라켓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 양쪽에 하부홈(210, 210-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 양쪽에 측면홈(220, 2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에 다수개의 하부볼트홀(2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에 다수개의 상부볼트홀(240)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홀(32-1)을 관통하여 볼트(25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관은 관본체 전반부(100, 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 100'-1)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은 측면에 다수개의 손잡이끈 고정용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34)에 손잡이끈(36)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끈(36) 안쪽에 고정링(38)이 체결된 상태로 손잡이끈 단부(37)가 묶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은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 하부 모서리에 모서리 받침부(120)가 양면테이프(122)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은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위 외부면에 연결부위 받침부(130)가 양면테이프(132)로 부착되어 있으며, 연결부위 내부면에 연결부위 받침부(140)가 양면테이프(142)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은 내부에 고정관(5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500)은 머리가 안치될 수 있도록 본체(510)의 상부에 홈 형태의 머리부(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있어서 덮개판 연결구는 다수개의 양면테이프 연결구(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양면테이프 연결구(320)는 양쪽 단부에 양면테이프(322, 32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에 있어서 덮개판 연결구는 경첩(31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은 재질이 종이판재, 나무판재 및 합성수지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가 한 쌍의 연결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위 중앙에 돌기부(42)가 형성된 관본체 전반부(100')와 연결부위 중앙에 돌기부(42-1)가 형성된 관본체 후반부(100'-1)가 한쌍의 연결브라켓트(200, 200-1)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트는 다수개의 너트홈돌기(410)이 형성된 외벽연결판재(400)와 다수개의 관통홀(420)이 형성된 내벽연결판재(400-1)가 볼트(430)로 볼트홀(32)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으며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트(200, 200-1)는 관본체의 전후반을 연결하도록 내부가 "H" 자 형태로 형성된 "ㄴ"자 형태의 브라켓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 양쪽에 하부홈(210, 210-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 양쪽에 측면홈(220, 2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에 다수개의 하부볼트홀(2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에 다수개의 상부볼트홀(240)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홀(32-1)을 관통하여 볼트(250)로 연결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으며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은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를 별개로 구분하지 않고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위 중앙에 돌기부(42)가 형성된 관본체 전반부(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를 별개로 구분하지 않고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은 관본체 전반부(100, 100')와 관본체 후반부(100-1, 100'-1)에 장식테(110, 110-1)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판 전반부(300, 300')와 덮개판 후반부(300-1, 300'-1)가 덮개판 연결구로 연결된 연결덮개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판 전반부(300, 300')와 덮개판 후반부(300-1, 300'-1)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별개로 구분하지 않고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관본체 전반부(100)는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 상기 바닥판(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전면판(10), 상기 바닥판(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 및 우면판(30)으로 구성되어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관본체 후반부(100-1)는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1), 상기 바닥판(40-1)의 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후면판(20), 상기 바닥판(4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1) 및 우면판(30-1)으로 구성되어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관본체 전반부(100')는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위 중앙에 돌기부(42)가 형성된 바닥판(40), 상기 바닥판(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전면판(10), 상기 바닥판(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 및 우면판(30)으로 구성되어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관본체 후반부(100'-1)는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위 중앙에 돌기부(42-1)가 형성된 바닥판(40-1), 상기 바닥판(40-1)의 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후면판(20), 상기 바닥판(4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1) 및 우면판(30-1)으로 구성되어 있어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관은 측면에 다수개의 손잡이끈 고정용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34)에 손잡이끈(36)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끈(36) 안쪽에 고정링(38)이 체결된 상태로 손잡이끈 단부(37)가 묶어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연결관은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 하부 모서리에 모서리 받침부(120)가 양면테이프(122)로 부착되어 있어 관 전체가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연결관은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위 외부면에 연결부위 받침부(130)가 양면테이프(132)로 부착되어 있으며, 연결부위 내부면에 연결부위 받침부(140)가 양면테이프(142)로 부착되어 있어 관 전체가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연결관은 내부에 고정관(5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500)은 머리가 안치될 수 있도록 본체(510)의 상부에 홈 형태의 머리부(520)가 형성되어 있어 유해가 고정된 상태로 안치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본 발명에서 덮개판 연결구는 양면테이프 연결구(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양면테이프 연결구(320)는 양쪽 단부에 양면테이프(322, 324)가 부착되어 덮개판 전반부(300)와 덮개판 후반부(300)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5와 같이 본 발명에서 덮개판 연결구는 경첩(310)으로 이루어져 있어 덮개판 전반부(300)와 덮개판 후반부(300)를 각각 별개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도 16에 도시한 본 발명에서 덮개판 연결구는 상부 연결판(600)과 하부 연결판(300-1)을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상부 연결판(600)은 너트홈돌기(5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연결판(600-1)은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를 사용하여 덮개판 전반부(300)와 덮개판 후반부(300-1)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덮개판은 반으로 나누어지므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연결 부분은 덮개판과 같은 색상과 모양의 종이나 테이프로 붙이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의 연결관은 재질이 종이판재, 나무판재 및 합성수지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종이판재로 제작하는 것이 제조공정과 제작경비가 저렴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10: 전면판 20: 후면판
30': 좌면판 30: 우면판
42, 42-1: 돌기부
100, 100': 관본체 전반부 100-1, 100'-1: 관본체 후반부
110, 110-1: 장식테
300, 300': 덮개판 전반부 300', 300'-1: 덮개판 후반부

Claims (11)

  1.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 상기 바닥판(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전면판(10), 상기 바닥판(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 및 우면판(30)으로 구성된 관본체 전반부;
    유해가 안치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40-1), 상기 바닥판(40-1)의 후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후면판(20), 상기 바닥판(4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결합된 좌면판(30'-1) 및 우면판(30-1)으로 구성된 관본체 후반부;
    상기 관본체 전반부와 관본체 후반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브라켓트; 및
    덮개판 전반부와 덮개판 후반부가 덮개판 연결구로 연결된 연결덮개판으로 연결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트는 관본체의 전후반을 연결하도록 내부가 "H" 자 형태로 형성된 "ㄴ"자 형태의 브라켓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 양쪽에 하부홈(210, 210-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전후반이 연결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 양쪽에 측면홈(220, 2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바닥에 다수개의 하부볼트홀(230)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50)와 너트(252)로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의 측면에 다수개의 상부볼트홀(240)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홀(32-1)을 관통하여 볼트(25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 연결구는
    상부 연결판(600)과 하부 연결판(600-1)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조립되고, 상기 상부 연결판(600)은 너트홈돌기(6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연결판(600-1)은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630)를 사용하여 덮개판 전반부(300)와 덮개판 후반부(300-1)가 결합되어 덮개판이 반으로 나누어지며 쉽게 운반할 수 있어 보관경비나 운반경비가 절감되고 연결 조립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140055745A 2014-05-09 2014-05-09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KR10150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745A KR101501974B1 (ko) 2014-05-09 2014-05-09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745A KR101501974B1 (ko) 2014-05-09 2014-05-09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74B1 true KR101501974B1 (ko) 2015-03-12

Family

ID=5302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5745A KR101501974B1 (ko) 2014-05-09 2014-05-09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57B1 (ko) 2017-07-17 2018-10-16 조석암 반려동물 장례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214A (ja) * 1993-04-22 1994-11-01 Kiyoshi Minemura 段ボール製棺組立部材
KR200316674Y1 (ko) * 2003-03-24 2003-06-18 이상수 장의용 관
KR20050049818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영광토탈써비스 화장용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214A (ja) * 1993-04-22 1994-11-01 Kiyoshi Minemura 段ボール製棺組立部材
KR200316674Y1 (ko) * 2003-03-24 2003-06-18 이상수 장의용 관
KR20050049818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영광토탈써비스 화장용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57B1 (ko) 2017-07-17 2018-10-16 조석암 반려동물 장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37A1 (en) Bedhead And Collapsible Bed Frame With The Bedhead
KR100697921B1 (ko) 조립식 저장 팔레트
US7905183B2 (en) Structural cardboard runner, pallet, shipping article
US6019226A (en) Demountable palletized container
JP5779093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および折り畳まれたコンテナを輸送する方法
US20180220627A1 (en) Stackable package and system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honeybees
US11634251B2 (en) Knockdown crate and method of display packaging
KR101501974B1 (ko)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WO2020178637A8 (en) Cargo unit
BR102013021281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caixa palete com meio de união e dobra flexível
KR101003527B1 (ko) 서랍형 포장 박스
KR101511141B1 (ko)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KR20130008447A (ko) 골프백 상부 하드 커버
CN207275241U (zh) 一种木质拼装盒
CN211810827U (zh) 一种组合式包装套件及组合式包装箱
US1475573A (en) Knockdown flower box and fernery
KR20170004688A (ko) 물품 포장박스
KR20100099515A (ko) 조립식 포장상자
JP2018019734A (ja) 多目的運搬ケース
JP7134448B2 (ja) 組み立て式アルミニウムパレットを利用する物品積載台
KR101855227B1 (ko) 방송장비 운반용 박스
JPS6014667Y2 (ja) 照明器具用包装箱
FR2554787A1 (fr) Caisse palette repliable
US910497A (en) Shipping case or crate.
KR101480664B1 (ko) 조립식 유닛 박스용 l-자형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