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515A - 조립식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515A
KR20100099515A KR1020090018054A KR20090018054A KR20100099515A KR 20100099515 A KR20100099515 A KR 20100099515A KR 1020090018054 A KR1020090018054 A KR 1020090018054A KR 20090018054 A KR20090018054 A KR 20090018054A KR 20100099515 A KR20100099515 A KR 2010009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lded
packaging box
packing box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식
Original Assignee
트라이월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월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이월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515A/ko
Publication of KR2010009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8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incisions defining foldable flaps hinged to it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1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side panels of a "cross-like" body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Cart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각 단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2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벽면(21,22,23,24), 상기 벽면 중 전/후벽면(21,22)의 단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31,3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벽면 중 좌/우벽면(23,24)의 양측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41,4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져 상기 전/후벽면(21,22)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좌/우접힘면(40,40')으로 구성된 상자부; 및 상기 전/후벽면(21,22)과 상기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좌/우접힘면(40,40')이 각각 접촉하는 지점에 부착된 부착부(35)로 이루어져;
상기 포장상자의 분해 및 조립의 작업이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작업하중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의 분해/조립과정에서 손상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포장상자, 상자부, 부착부, 구획부

Description

조립식 포장상자{Assembled packing box}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과정 또는 운반과정에서 이용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상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사용과정에서 편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포장상자의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운반과정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다량의 물품이나 깨지기 쉬운 물품을 수납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포장상자는 물품을 수납하려는 경우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만들 수 있는 반면 물품을 수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 부피 및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포장상자(100)는, 벽면부(110)들과, 상기 벽면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20) 및, 상기 벽면부(1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접힘선(13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져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이루는 다수개의 접힘부(1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포장상자(100)를 구성하려는 경우, 상기 벽면부(110) 에 상기 고정편(120)을 맞대고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벽면부(110)에 각각 연장된 상기 접힘부(130)를 상기 접힘선(135)을 따라 접고, 상기 접힘부(130)를 서로 엇갈리게 접어 조립하면, 상기 벽면부(110)와 접힘부(130)의 사이에 물품의 수납에 필요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포장상자(100)는, 상기 접힘부(130)를 접으면서 서로 엇갈리게 일일이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분해 및 조립과정이 어려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힘부(130)의 접촉지점을 접착테이프로 부착하여 물품이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장상자(100)는,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접착테이프 등을 붙이거나 떼어내는 수작업을 일일이 반복해야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테이프를 떼거나 붙이는 과정에서 접착부위가 손상되므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장상자(100)는, 수납공간에 비해 물품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물품의 운반과정에서 유동으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장상자의 바닥면과 청정면이 단지 접힘부(130)의 접힘력에 의해 유지되므로 물품이 무거운 경우 자중을 이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상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사용과정에서 편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포장상자의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운반과정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단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벽면, 상기 벽면 중 전/후벽면의 단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하천정면, 및 상기 벽면 중 좌/우벽면의 양측부에 연장되어 접힘라인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져 상기 전/후벽면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접촉하는 좌/우접힘면으로 구성된 상자부; 및
상기 전/후벽면과 상기 상/하천정면 및 상기 좌/우접힘면이 각각 접촉하는 지점에 부착된 부착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포장상자는 다음과 같은 다수개의 효과가 있다.
첫째, 포장상자의 분해 및 조립의 작업이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작업하중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의 분해/조립과정에서 손상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포장상자의 내부공간이 구획부에 의해 분할되므로 물건수납에 따른 편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의 상면과 하면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물품이 무겁더라도 손상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접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1)는;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각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2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벽면(21,22,23,24), 상기 벽면 중 전/후벽면(21,2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31,3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벽면 중 좌/우벽면(23,24)의 양측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41,4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져 상기 전/후벽면(21,22)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접촉하는 좌/우접힘면(40,40')으로 구성된 상자부 및; 상기 전/후벽면(21,22)과 상기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좌/우접힘면(40,40')이 각각 접촉하는 지점에 부착된 다수개의 부착부(35)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1)는 상기 상자부와 부착부(35)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접힘면(40,40')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 물품의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구획부(15)가 개재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포장상자(1)는, 상기 부착부(35)에 의해 상기 상자부를 조립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부착부(35)에 의해 상자의 분해조립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상자부의 수납공간에 구획부(15)를 개재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구획부(15)에 의해 포장상자의 수납공간이 분할된다.
이때, 상자부와 부착부(35)와 구획부(15)는 사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보관물품의 형상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자부는, 포장상자(1)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면(10)과,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이루는 벽면(21,22,23,24)들과, 상기 하우징의 덮개를 이루는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하우징의 전체 골격을 지지하는 좌/우접힘면(40,4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바닥면(10)은, 상자부의 하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면(21,22,23,24)은, 상자부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10)의 전/후면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2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전/후벽면(21,22)과, 상기 바닥면(10)의 좌/우면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2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좌/우벽면(23,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하천정면(30,30')은, 상자부의 상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방벽면(2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접힘라인(3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하부천정면(30')과, 상기 전방벽면(2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접힘라인(3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부천정면(30)으로 구성된다.
이때, 벽면(21,22,23,24)의 형성과정에서 전/후벽면(21,22)과 좌/우벽면(23,24)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하천정면(30,30')의 형성과정에서 상부천정면(30)과 하부천정면(30')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접힘면(40,40')은, 전/후벽면(21,22)과 좌/우벽면(23,24)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벽면(23,24)의 양측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41,4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자부의 소재로는 다중골판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자부를 다중골판지로 형성하는 경우 그 절단면에 UV테이프를 부착하여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고, 그 외표면을 외부환경에 의해 보호되도록 내수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자부의 형성과정에서 상부천정면(30)의 개방방지수단으로서 봉인기구(5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후벽면(21,22)에 이송수단으로서 손잡이(60)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부착부(35)는, 상자부를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후벽면(21,22)과 상기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좌/우접힘면(40,40')이 각각 접촉하는 지점에 구성하며, 특히 벨크로테이프와 같이 접착 및 분리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획부(15)는, 상기 상자부의 수납공간을 다수개로 분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좌/우접힘면(40,40')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구획부(15)의 소재로는 다중골판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1)를 조립하려는 경우, 일단 바닥면(10)의 각 단부에 형성된 전후좌우벽면(21,22,23,24)을 수직상태로 접은 상태에서 좌/우접힘면(40,40')을 내측방향으로 접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전/후벽면(21,22)과 상기 좌/우접힘면(40,40')에 각각 구성되어 있던 부착부(35)가 접촉하므로, 상기 전/후벽면(21,22)과 좌/우벽면(23,24)이 도 4와 같이 육면체형상으로 세팅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후벽면(21,22)과 좌/우벽면(23,24)을 상호 부착한 다음, 상기 상자부의 수납공간에 구획부(15)를 개재하여 분할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탄약상자(D)와 같은 물품을 나란히 배치한다.
이때, 상기 상자부의 수납공간에 개재된 구획부(15)를 배제한 상태에서,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런 다음, 상기 전/후벽면(21,22)의 단부에 연장되어 있던 하부천정면(30')을 접힘라인(31')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그 상면에 상부천정면(30)을 접힘라인(31)을 따라 접어 부착부(35)를 부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5에서와 같이, 포장상자(1)가 육면체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상부천정면(30)에 구성되어 있는 봉인기구(50) 또는 시건기구를 연결하면 포장상자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1)를 분해하려는 경우, 상기 봉인기구(50)를 해제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좌/우접힘면(40,40')과 상기 전/후벽면(21,22)을 순차적으로 잡아당겨 부착부(35)를 분리하면, 상기 포장상자(1)의 분해에 따른 작업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접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장상자 10 : 바닥면
15 : 구획부 21,22,23,24 : 벽면
25,31,31',41,41' : 접힘라인 30,30' : 상/하천정면
35 : 부착부 40,40' : 좌/우접힘면
50 : 봉인기구 60 : 손잡이

Claims (8)

  1.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각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2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벽면(21,22,23,24), 상기 벽면 중 전/후벽면(21,2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31,3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하천정면(30,30'), 및 상기 벽면 중 좌/우벽면(23,24)의 양측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라인(41,41')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져 상기 전/후벽면(21,22)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접촉하는 좌/우접힘면(40,40')으로 구성된 상자부; 및
    상기 전/후벽면(21,22)과 상기 상/하천정면(30,30')과 상기 좌/우접힘면(40, 40')이 각각 접촉하는 지점에 부착된 부착부(3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접힘면(40,40')의 사이에 개재되어 물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한 구획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포장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는,
    그 소재가 다중골판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35)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5)는,
    그 소재가 다중골판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가 다중골판지인 경우,
    그 절단면에 UV테이프가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가 다중골판지인 경우,
    그 외표면이 내수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KR1020090018054A 2009-03-03 2009-03-03 조립식 포장상자 KR20100099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54A KR20100099515A (ko) 2009-03-03 2009-03-03 조립식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54A KR20100099515A (ko) 2009-03-03 2009-03-03 조립식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515A true KR20100099515A (ko) 2010-09-13

Family

ID=4300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054A KR20100099515A (ko) 2009-03-03 2009-03-03 조립식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02U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엑시옴 보관함
US11273968B2 (en) 2020-01-22 2022-03-15 Coupang Corp. Packaging box for cool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02U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엑시옴 보관함
US11273968B2 (en) 2020-01-22 2022-03-15 Coupang Corp. Packaging box for cooling
US11667454B2 (en) 2020-01-22 2023-06-06 Coupang Corp. Packaging box for coo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2507A (ko) 수납함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00099515A (ko) 조립식 포장상자
KR20110007541U (ko) 접이식 수납함
US10273045B2 (en) Knockdown crate and method of display packaging
JP2002347842A (ja) 長尺状物の収納函
JP2017095152A (ja) 段ボール組立構造体、コンテナによる輸送方法、及び、コンテナによる海上輸送方法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JP6712195B2 (ja) コンテナの中仕切り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JP4675979B2 (ja) 梱包装置
KR102096712B1 (ko) 포장용 상자
JP2011031891A (ja) 梱包箱及び積載方法
JP3040479U (ja) 多段重ね箱
KR20110119886A (ko) 포장용 박스
JP3182614U (ja) 組合せ式収納箪笥
KR101501974B1 (ko) 분단형 기능성 장례관
KR100569111B1 (ko) 가방겸용 포장상자
KR200445468Y1 (ko) 다용도 박스 조립용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박스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KR200376367Y1 (ko) 포장박스
KR960004167Y1 (ko) 조립식 상자
KR101227863B1 (ko) 액자식 상자커버를 구비한 포장상자 및 제작방법
JP2016199305A (ja) 梱包箱
KR20110010792U (ko) 전개 및 조립이 용이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