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511B1 -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511B1
KR102383511B1 KR1020190154009A KR20190154009A KR102383511B1 KR 102383511 B1 KR102383511 B1 KR 102383511B1 KR 1020190154009 A KR1020190154009 A KR 1020190154009A KR 20190154009 A KR20190154009 A KR 20190154009A KR 102383511 B1 KR102383511 B1 KR 10238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fold
folded portion
fold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368A (ko
Inventor
최하은
Original Assignee
최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은 filed Critical 최하은
Priority to KR102019015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5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접힘부(100)에 접는선을 따라 고정부(200)를 접힘부(100)에 의해 생성된 화분 용기 부분에 접어 넣어 고정시키고, 복수의 접힘부(100)와 고정부(2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접힘부(100)와 고정부(200)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대량으로 운송 및 취급하는 도중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적으며,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져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화분 용기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Folding Type Flower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이로 화분을 만들어 편리하게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주위의 환경을 새롭게 만드는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안의 구성은, 발포성형시트(1)의 양면에 방수처리를 위하여 인쇄된 투명필름을 접착하고 조립토록 되는 형상에 따라 절취선(6)과 절곡선(7)의 칼선을 형성하여 조립토록 한 후 공작용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수납부(부호 미도시)에 수납되어진 씨앗을 사용하여 조립된 화분에 꽂을 재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절취선(6)과 절곡선(7)에 의하여 조립될 경우에 조립되는 부분에는 끼임홈(8)을 형성하거나 끼임홈(8)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끼임돌기(9)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씨앗을 수납토록 하기 위한 구멍의 위치는 조립되어지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버려지는 부분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분을 조립토록 할 경우에는 공작용지에 나타난 절곡선(7)과 절취선(6)에 의하여 절곡과 절취를 한 후 절취되면서 나타나는 끼임홈(8)에 끼임돌기(9)를 결합토록 함으로서 화분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고 그 후 흙을 화분에 수납토록 한 후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씨앗을 심으면 꽃재배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화분에 물을 줄 경우에도 투명필름의 방수효과에 의하여 시트(1)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절곡선(7)과 절취선(6)의 조립에 의하여 너무 많은 물이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절취선(6)에 의하여 조립되어진 사이로 누출되면서 씨앗에 적당한 수분이 유지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명은 2개로 구분되어 조립함으로써 물 등의 습기에 의하여 끼우는 부분이 얇게 되어 있으므로, 쉽게 해체되는 문제가 있었고, 조립식이었기 때문에 물 등을 주더라도 아래로 쉽게 빠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만들어 분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화분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 운송 및 취급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화분용기를 제공한다.
더구나, 쉽게 해체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하고, 물 등의 수분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화분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ㅡ’자형의 중앙선(20)과, 중앙선(20)을 기점으로 단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좌측으로 제1 접는선(1)과 제2 접는선(2), 제3 접는선(3), 제4 접는선(4), 제5 접는선(5)을 구비하고, 우측으로 제6 접는선(6)과 제7 접는선(7), 제8 접는선(8), 제9 접는선(9), 제10 접는선(10)을 구비하여, 삼각형상의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의 전면부(109), 배면부(110)로 나뉘어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10각 형태를 이루는 접힘부(100);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 상기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연결된 고정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접힘부(100)는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4면씩 삼각 형태로 분할되어, 좌측에는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가 형성하되, 제3, 7 접힘부(103)(107)의 폭이 제2, 6 접힘부(102)(106)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며,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는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2 접힘부(102) 및 제6 접힘부(106)은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이 되고, 상기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는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은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이 되고,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상단 폭보다 상기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의 상단 폭이 더 넓게 되어 상기 넓은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가 텐션을 받아 둥글게 휘어지면서 식물재배공간을 반원형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배면부(110)와의 사이에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 용지(1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용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중앙선(20)과 같은 가로 방향으로 제12 접는선(12)과 제13 접는선(13)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를 제11 접힘부(201)와 중앙에 십(十)자 절취선(204)을 구비하는 제12 접힘부(202), 제13 접힘부(203)로 나누고, 상기 절취선(204)을 통해 커팅된 제12 접힘부(202)는 삽입공(205)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용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접이식 화분 용지(1000)를 전개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전개된 상태에서 제1 접는선(1)에 의해 제1 접힘부(101)를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2 접힘부(102)를 제2 접는선(2)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3 접힘부(103)를 제3 접는선(3)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4 접힘부(104)를 제4 접는선(4)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전면부(109)를 제5 접는선(5)을 따라 안쪽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배면부(110)에 포개지는 단계; 제6 접는선(6)에 의해 제5 접힘부(105)를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6 접힘부(106)를 제7 접는선(7)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7 접힘부(107)를 제8 접는선(8)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 단계;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8 접힘부(108)를 제9 접는선(9)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 단계; 전면부(109)를 제10 접는선(10)을 따라 바깥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상기 배면부(110)에 포개지는 단계;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접힘부(100)에 제11 접는선(11)을 따라 고정부(200)를 접힘부(100)에 의해 생성된 화분 용기 부분에 접어 넣어 고정시킴으로써, 접이식 화분용기(P)를 제조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100)와 고정부(2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접힘부(100)와 고정부(200)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대량으로 운송 및 취급하는 도중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적으며,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져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어린이나 노인도 쉽게 분갈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화분용기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더구나, 쉽게 해체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물 등의 수분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화분 용기의 판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판형상의 화분 용기를 떼내어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만드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유리창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의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에 스폰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만드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를 유리창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의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에 스폰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10각 형태를 이루는 접힘부(100)와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00)를 구비한 접이식 화분 용지(10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힘부(100)는 ‘ㅡ’자형의 중앙선(20)을 기점으로 단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좌측으로 제1 접는선(1)과 제2 접는선(2), 제3 접는선(3), 제4 접는선(4), 제5 접는선(5)을 구비하고, 우측으로 제6 접는선(6)과 제7 접는선(7), 제8 접는선(8), 제9 접는선(9), 제10 접는선(10)을 구비하여, 10개 면의 접힘부인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 전면부(109), 배면부(110)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4면씩 삼각 형태로 분할되어, 좌측에는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가 형성된다. 즉, 제3, 7 접힘부(103)(107)의 폭이 제2, 6 접힘부(102)(106)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3 접힘부(103), 제5 접힘부(105), 제7 접힘부(107)는 접는선을 따라 안쪽으로 접히는 면이고, 상기 제2 접힘부(102)와 제4 접힘부(104), 제6 접힘부(106), 제8 접힘부(108)는 접는선을 따라 바깥으로 접히는 면으로서,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는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2 접힘부(102) 및 제6 접힘부(106)은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이 되고, 상기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는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은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이 되고,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상단 폭보다 상기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의 상단 폭이 더 넓게 되어 상기 넓은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가 텐션을 받아 둥글게 휘어지면서 식물재배공간을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써,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 상기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200)와 배면부(110)의 사이에는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배면부(110)와의 사이에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 용지(10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화분 용지(1000)은 종이나 복합섬유시트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접이식 화분용기(1000)는 종이나 복합섬유시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뛰어난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이 자라면서 뿌리가 종이나 복합섬유시트에 안착 그리고 식물이 물을 찾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식물이 성장할 때, 수분 증발 등이 발생되지 않아 식물이 고사될 우려가 없다.
특히 복합섬유시트의 자체 방수 기능으로 각종구조물과 시설물 등에 설치 시 산성비로 인한 부식 방지효과는 물론 뿌리가 벽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균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시미관 개선, 도시 열섬화현상 완화, 그리고 대기환경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방수성 시트는 지면에 대해 기울였을 때 곧게 유지되는 정도의 소정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시트로서, 플라스틱 시트는 전체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 및 비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플라스틱 재료가 코팅된 시트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시트는 다양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가볍고 강성이 우수하여, 시트 형상으로 만들어 접고 펴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접히는 부분에 갈라짐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을 가져 다양한 그림, 글씨 등을 표면에 나타내기 용이하다.
방수성 시트는 수공구에 의해 절단 등이 가능하므로, 방수성 시트에 원하는 크기로 접힘부(100)와 고정부(200)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후, 가위나 칼 등의 수공구를 사용하여 해당 부분만을 오려냄으로써 접이식 화분용기(1000)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화분 용지(100)에는 다양한 그림(꽃무늬, 캐릭터 포함), 글씨 등을 그릴 수가 있어서, 다양한 연령층에 맞춰 또한 화초와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접이식 화분용기(P)를 디자인할 수 있고, 접이식 화분용기(P)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P)는, 필요에 따라 평면 구조를 입체 구조로 또는 입체 구조를 평면 구조로 자유롭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접는데 시간이 적게 걸리기 때문에 꽃집이나 가정 등 어디에서는 바로 접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화분용기(P)는 화초의 뿌리나 줄기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접이식 화분용기(P)로부터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화분용기(P)는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조 방법은 도 4~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접이식 화분 용지(1000)를 전개 상태로 준비한다.
다음, 도 3의 전개된 상태에서 도 4처럼 제1 접는선(1)에 의해 제1 접힘부(101)를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5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2 접힘부(102)를 제2 접는선(2)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즉,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는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2 접힘부(102) 및 제6 접힘부(106)은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이 된다.
다음, 도 6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3 접힘부(103)를 제3 접는선(3)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7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4 접힘부(104)를 제4 접는선(4)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즉, 상기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는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은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이 된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전면부(109)를 제5 접는선(5)을 따라 안쪽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배면부(110)에 포개진다.
그런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도 8처럼 제6 접는선(6)에 의해 제5 접힘부(105)를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9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6 접힘부(106)를 제7 접는선(7)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즉,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는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2 접힘부(102) 및 제6 접힘부(106)은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이 된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7 접힘부(107)를 제8 접는선(8)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8 접힘부(108)를 제9 접는선(9)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즉, 상기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는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은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이 되고,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상단 폭보다 상기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의 상단 폭이 더 넓게 되어 상기 넓은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가 텐션을 받아 둥글게 휘어지면서 식물재배공간을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 도 10처럼 전면부(109)를 제10 접는선(10)을 따라 바깥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배면부(110)에 포개진다.
이렇게 접혀진 접이식 화분용지(1000)의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의 사이에는 화분 용기 부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배면부(110)와의 사이에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 용지(1000)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도 11처럼 접는선을 따라 접혀진 접힘부(100)에 제11 접는선(11)을 따라 고정부(200)를 접힘부(100)에 의해 생성된 화분 용기 부분에 접어 넣어 고정시킴으로써, 접이식 화분용기(P)를 제조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분 용기 부분에는 도 13 및 도 14처럼 흙과 식물을 넣어 재배할 수 있고, 후크(H)를 걸이용 링에 걸어 행거에 걸어둠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P)를 통해 식물의 식재와 인테리어를 함께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의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에 스폰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본 발명의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13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은 접힘부(100)와 함께, 제12 접는선(12)과 제13 접는선(13), 절취선(204), 삽입공(205)를 구비하는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접힘부(100)는 ‘ㅡ’자형의 중앙선(20)을 기점으로 단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좌측으로 제1 접는선(1)과 제2 접는선(2), 제3 접는선(3), 제4 접는선(4), 제5 접는선(5)을 구비하고, 우측으로 제6 접는선(6)과 제7 접는선(7), 제8 접는선(8), 제9 접는선(9), 제10 접는선(10)을 구비하여, 10개 면의 접힘부인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 전면부(109), 배면부(110)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4면씩 삼각 형태로 분할되어, 좌측에는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3 접힘부(103), 제5 접힘부(105), 제7 접힘부(107)는 접는선을 따라 안쪽으로 접히는 면이고, 상기 제2 접힘부(102)와 제4 접힘부(104), 제6 접힘부(106), 제8 접힘부(108)는 접는선을 따라 바깥으로 접히는 면이다.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써,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 상기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200)와 배면부(110)의 사이에는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중앙선(20)과 같은 가로 방향으로 제12 접는선(12)과 제13 접는선(13)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를 제11 접힘부(201)와 제12 접힘부(202), 제13 접힘부(203)로 나눈다.
상기 제12 접힘부(202)는 중앙에 십(十)자 절취선(204)를 구비하고, 상기 절취선(204)를 통해 커팅된 제12 접힘부(202)는 삽입공(205)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공(205)을 통해 꽃이나 식물이 꽂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조 방법은 도 4~11,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접이식 화분 용지(1000)를 전개 상태로 준비한다.
다음, 도 3의 전개된 상태에서 도 4처럼 제1 접는선(1)에 의해 제1 접힘부(101)를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5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2 접힘부(102)를 제2 접는선(2)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다음, 도 6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3 접힘부(103)를 제3 접는선(3)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7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4 접힘부(104)를 제4 접는선(4)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전면부(109)를 제5 접는선(5)을 따라 안쪽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배면부(110)에 포개진다.
그런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도 8처럼 제6 접는선(6)에 의해 제5 접힘부(105)를 배면부(110)에 포개지도록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도 9처럼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6 접힘부(106)를 제7 접는선(7)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7 접힘부(107)를 제8 접는선(8)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 배면부(110)에 포개지면서, 제8 접힘부(108)를 제9 접는선(9)을 따라 바깥으로 접는다.
다음, 도 10처럼 전면부(109)를 제10 접는선(10)을 따라 바깥으로 접음에 따라, 전면부(109)가 배면부(110)에 포개진다.
이렇게 접혀진 접이식 화분용지(1000)의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의 사이에는 화분 용기 부분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15, 16처럼 제11 접는선(11)을 따라 상기 고정부(200)의 제11 접힘부(201)를 화분 용기 부분으로의 방향인 안쪽으로 접고, 제12 접는선(12)을 따라 제12 접힘부(202)를 바깥 방향으로 접고, 제13 접는선(13)을 따라 접은 후 제13 접힘부(203)를 접힘부(100)에 의해 생성된 화분 용기 부분에 안쪽으로 넣어 고정시킴으로써, 접이식 화분용기(P)를 제조 완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제2 실시예에 스펀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상기 고정부(200)의 제12 접힘부(202)에 스펀지(300)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투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식물을 식재,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 원활한 식물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조성을 제공하여 식물 재배의 관리가 용이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수직정원, 도심텃밭, 식물공장, 실내외 조경시설물, 도시녹화, 벽면녹화 등 활용범위를 다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분용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0: 접이식 화분 용지
1: 제1 접는선
2: 제2 접는선
3: 제3 접는선
4: 제4 접는선
5: 제5 접는선
6: 제6 접는선
7: 제7 접는선
8: 제8 접는선
9: 제9 접는선
10: 제10 접는선
11: 제11 접는선
12: 제12 접는선
13: 제13 접는선
20: 중앙선
100: 접힘부
101: 제1 접힘부
102: 제2 접힘부
103: 제3 접힘부
104: 제4 접힘부
105: 제5 접힘부
106: 제6 접힘부
107: 제7 접힘부
108: 제8 접힘부
109: 전면부
110: 배면부
200: 고정부
201: 제11 접힘부
202: 제12 접힘부
203: 제13 접힘부
204: 절취선
205: 삽입공
300: 스펀지

Claims (3)

  1. ‘ㅡ’자형의 중앙선(20)과, 중앙선(20)을 기점으로 단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좌측으로 제1 접는선(1)과 제2 접는선(2), 제3 접는선(3), 제4 접는선(4), 제5 접는선(5)을 구비하고, 우측으로 제6 접는선(6)과 제7 접는선(7), 제8 접는선(8), 제9 접는선(9), 제10 접는선(10)을 구비하여, 삼각형상의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의 전면부(109), 배면부(110)로 나뉘어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10각 형태를 이루는 접힘부(100);
    대칭을 이루는 마름모 형태로, 상기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연결된 고정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접힘부(100)는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4면씩 삼각 형태로 분할되어, 좌측에는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2 접힘부(102), 제3 접힘부(103), 제4 접힘부(10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5 접힘부(105), 제6 접힘부(106), 제7 접힘부(107), 제8 접힘부(108)가 형성하되, 제3, 7 접힘부(103)(107)의 폭이 제2, 6 접힘부(102)(106)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며,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는 접힘부(100)의 배면부(110)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2 접힘부(102) 및 제6 접힘부(106)은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이 되고,
    상기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는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에 접힘됨과 동시에,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은 제4 접힘부(104)와 제8 접힘부(108)의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식물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이 되고,
    상기 제1 접힘부(101)와 제5 접힘부(105)의 상단 폭보다 상기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의 상단 폭이 더 넓게 되어 상기 넓은 제3 접힘부(103) 및 제7 접힘부(107)가 텐션을 받아 둥글게 휘어지면서 식물재배공간을 반원형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는 상기 중앙선(20)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배면부(110)와의 사이에 제11 접는선(11)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00)의 전면부(109)와 배면부(110)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 용지(1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154009A 2019-11-27 2019-11-27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38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9A KR102383511B1 (ko) 2019-11-27 2019-11-27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9A KR102383511B1 (ko) 2019-11-27 2019-11-27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68A KR20210065368A (ko) 2021-06-04
KR102383511B1 true KR102383511B1 (ko) 2022-04-06

Family

ID=7639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09A KR102383511B1 (ko) 2019-11-27 2019-11-27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41B1 (ko) * 2007-03-06 2008-03-06 이상권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101345313B1 (ko) * 2012-04-27 2013-12-26 윤형준 화분 포장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41B1 (ko) * 2007-03-06 2008-03-06 이상권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101345313B1 (ko) * 2012-04-27 2013-12-26 윤형준 화분 포장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68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1415A1 (en) Vessel for Planting Plants or Flowers, and Its Planar Development
WO2009077379A1 (fr) Tableau végétal vivant
JP2008545386A (ja) 種子を収納するブロック型培養土の製造方法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102383511B1 (ko)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7036272B2 (en) Plant container
US20130152466A1 (en) Convertible planting containers
US20070079552A1 (en) Easy-lift garden bag
KR100810241B1 (ko)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20140005582U (ko) 직물 화분
KR101295376B1 (ko) 도시 원예용 친환경 식물 재배 용기
US6735925B2 (en) Flat panel sleeve with folded por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210002842U (ko) 접이식 화분
KR20110014770A (ko) 화분 전시겸용 물류박스
JP2019162064A (ja) 多用途収納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KR20220001435U (ko) 패키지를 이용한 화분
KR20160001970U (ko) 접이식 화분
CA2082126C (en) Flexible planter
JP2020048546A (ja) 植栽容器
KR200491596Y1 (ko) 화분커버
JPH0115337Y2 (ko)
JP6667887B1 (ja) ボトル巻き植栽ユニット。
JP3008632U (ja) 植木類販売用紙容器
GB2402858A (en) A pyramidal plant pot with openable sides
KR200343656Y1 (ko)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