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56Y1 -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 Google Patents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56Y1
KR200343656Y1 KR20-2003-0036449U KR20030036449U KR200343656Y1 KR 200343656 Y1 KR200343656 Y1 KR 200343656Y1 KR 20030036449 U KR20030036449 U KR 20030036449U KR 200343656 Y1 KR200343656 Y1 KR 200343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side wall
wall portion
folded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이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권 filed Critical 이상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비자가 다른 준비물 없이 간편하게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해주는 원예용품 및 그에 이용되는 화분에 관련된 것으로, 평판형태로 접혀진 화분과 얇은 판 형태의 압축인공토양과 식물종자가 포장재에 의해 평판형태로 포장되어서 구성되며, 부피가 작고 별도의 관리가 필요치 않아 유통 및 보관이 쉬워 판매처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해주고, 화분, 식물종자, 흙 등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도 누구나 쉽게 식물종자를 파종하여 식물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Gardening articles, flowerpot and saucer for the gardening articles}
본 고안은 원예용품 및 이에 이용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다른 준비물 없이 간편하게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해주는 원예용품 및 이에 이용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이 식물종자를 이용해 화분에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꽃씨 등 식물종자와 화분 및 흙을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또, 종래의 화분으로는 자기화분, 토기화분, 플라스틱화분이 있는데, 자기화분은 가격이 비싸고 깨지기 쉽고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토기와 플라스틱은 가격은 저렴하나 미관상 관상가치가 떨어지고 토기 또한 깨지기 쉽고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둘러싸인 도시생활을 하는 사람은 그 주거환경에서 흙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으며 특히, 식물성장에 적합한 양질의 토양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훼시장에서 원예용 배양토를 구입해야 하는데, 배양토는 소포장으로는 판매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소규모 꽃가게에서는 판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 구입에 불편함이 따르고 각기 다른 생리를 가진 식물에 적합한 토양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의 경우, 살아있는 식물 때문에 그 유통기한이 짧아 판매자의 입장에서 재고부담이 크며 판매 전까지 화분에 계속적으로 물을 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고 소비자가 구입 시 운반이나 배송의 경우 물이 흐르고 화분이 엎질러지는 경우가 있어 판매관리, 유통에 문제점이 많다.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은 부피가 크고 기르기 까다로워 소비자가 부담을 느껴 쉽게 구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소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13518호의 등록공보에 개시된 것(이하, 선원 고안이라 함)이 있다. 선원 고안은 흙이 포장된 지퍼백과 씨가 포장된 지퍼백 및 골판지 밴드를 박스에 포장하여 만든 패키지와 일회용 투명컵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일회용 투명컵의 재활용, 식물재배의 편리함 등의 장점을 가지나, 여전히 박스 형태로 부피가 크며,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종래의 접는 화분으로는 종이형태로 펼쳐진 것은 정해진 선을 따라 접은 후 접힌 부분에 클립을 끼워 화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접는 화분은 소비자가 직접 화분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로운 일이고, 별도의 클립이 필요하기 때문에 평판형태로 포장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클립이 빠질 우려가 있으며,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화분받침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원 고안에 비해 그 부피가 작아 휴대 및 유통이 편리하고 소비자가 편리하게 식물종자를 이용해 식물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원예용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판매처의 다양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원예용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사람에게 편지처럼 또는 편지와 함께 우편발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원예용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접이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며, 본 고안의 원예용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이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립과 별도의 화분 받침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접이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견고성이 뛰어난 접이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나머지 목적은 본 고안의 화분에 적합한 접이식 화분 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원예용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구성과 한 번 동작으로 펼쳐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 이용될 수 있는 화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 이용될 수 있는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 접이식 화분의 전개도,
도 11은 도 9접이식 화분의 테두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9 받침의 전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 접이식 화분의 전개도,
도 15는 도 13접이식 화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3 받침의 전개도,
도 17은 도 1 원예용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원예용품 110, 120, 210 : 화분
111, 121, 211 : 측벽부 112, 122 : 측벽
113, 123 : 제 1접선 116, 126 : 바닥부
117, 127 : 제 2접선 116a, 126a : 제 1바닥판
116b, 126b : 제 2바닥판 128 : 보조판
130 : 압축인공토양 140 : 식물종자
142 : 비닐팩 150 : 부직포
160, 172 : 스티커 170 : 포장재
180, 180a : 화분 받침 190 : 흡착판
213 : 접선 216 : 바닥판
218 : 테두리 부재
본 고안에 따른 원예상품은 평판형태로 접혀진 접이식 화분과 얇은 판 형태의 압축인공토양과 식물종자가 포장재에 의해 평판형태로 포장된 구성을 가진다.
식물종자는 편지봉투 형태의 포장재에 직접 넣어질 수도 있으나, 비닐 팩 등에 넣어진 상태로 편지봉투 형태의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이식 화분은 소정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 폐단면을 형성하고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1접선들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측벽들로 이루어져 평판형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절첩정도에 따라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바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인공토양은 피트모스라는 건조이끼의 분말, 코코피트라는 야자껍질분말, 비료, 커피찌꺼기 등을 각각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만든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홈을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각판 또는 원판형태로 미리 절단된 것이 포장되어질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화분 저면에 부착하여 물이 접이식 화분에서 빠르게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스티커와 접이식 화분의 내부 바닥에 깔기 위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좋다.
접이식 화분의 측벽들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내측으로 1차 절곡된 후 그 끝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슬롯 또는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절단삽입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의 상단에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더욱 좋다.
경우에 따라 접이식 화분은 폐단면을 이루며 적어도 2이상의 상하로 형성된 접선을 구비하여 평판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측벽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벽부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장재는 편지봉투와 엽서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되고, 압축인공토양은 피트모스라는 건조이끼의 분말 또는 코코피트라는 야자껍질분말이 고압으로 압축되어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인공토양에는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홈이 형성되고,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화분 저면에 부착하여 물이 접이식 화분에서 빠르게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스티커와 접이식 화분의 내부 바닥에 깔기 위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접이식 화분 다각형 접이식 화분 받침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은 접이식 화분에 있어서, 소정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 폐단면을 형성하고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1접선들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측벽들로 이루어져 평판형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절첩정도에 따라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판을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접이식 화분의 측벽들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내측으로 1차 절곡된 후 그 끝단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슬롯 또는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절단삽입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접이식 화분의 상단에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좋다.
측벽부는 4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사각단면을 이루고, 바닥부는 일측의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절첩 정도에 따라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제 1바닥판과 타측의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타측의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절첩 정도에 따라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해 접혀지거나 상기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제 1바닥판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여주는 제 2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고 펼쳐진 상태에서 안쪽으로 배치되는 제 1바닥판과 제 1바닥판과 마주보고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제 1바닥판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제 1바닥판의 끝단부근을 지지하여주는 제 2바닥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측벽부는 6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육각단면을 이루고, 바닥부는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바닥판과 두 바닥판 사이에서 마주보고 배치된 두 개의 보조판을 구비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각형 접이식 화분 받침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에는 접이식 화분을 창문에 부착하여 둘 수 있도록 해주는 흡착판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 받침은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화분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찌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이식 화분 받침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 3접선들과 모서리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제 4접선을 구비하여, 가장자리가 제 3접선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 4접선을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은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식물을 간편하게 키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평판형태로 접혀진 접이식 화분, 고압으로 압축되어 얇게 만들어진 압축인공토양, 식물 종자와 기타 스티커, 부직포를 편지봉투와 같은 포장재로 함께 포장하여 편지와 같이 얇게 한 세트로 패키지화한 원예상품이다.
접이식 화분은 사용 전에는 접힌 상태로 납작하게 되어 포장봉투 안에 포장이 되어 있고 사용 시에는 포장봉투에서 꺼내어 펼치면 접이식 화분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펼친 상태의 접이식 화분의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접는 접이식 화분은 비닐이 코팅된 종이나 비닐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PVC, PP, PE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인공토양은 “피트모스(peatmoss)“라는 건조이끼의 분말 또는 “코코피트(cocopeat)“라는 야자껍질 분말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만든 원예용 인공토양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비료나 커피찌꺼기 등이 단독 또는 다른 것과 혼합되어 압축인공토양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압축인공토양은 포장봉투에 다른 부재들과 함께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매우 얇게 제작을 하는데 파손이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나뉘어 포장될 수 있고, 절단된 상태로는 원판 형태나 사각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압축인공토양이 접이식 화분에 넣어진 상태에서 압축인공토양에 물이 가해지면 압축인공토양은 부풀면서 접이식 화분 내부를 채우게 되는데, 여기에 식물종자가 파종된다. 압축인공토양의 포장 시 부서져 포장봉투내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인공토양은 비닐, 종이, 은박지 등의 다양한 소재에 의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상품은 부가적으로 스티커와 부직포를 포함하는데, 스티커는 압축인공토양을 넣기 전에 접는 접이식 화분의 하부 바닥의 배수구를 막기 위해 붙이는데 압축인공토양을 넣고 물을 부었을 때 물이 배수구로 빠르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압축인공토양이 신속히 효과적으로 부풀게 하기 위함이다.
펼쳐진 접이식 화분 내부 바닥에 부직포를 깔아놓은 후 그 위에 압축인공토양을 넣고 물을 부으면 물은 부직포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지만 압축인공토양은 부직포에 걸려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식물종자로는 일반적인 꽃씨, 채소종자, 버섯종균 등 다양한 식물의 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접이식 화분, 압축인공토양, 식물종자, 스티커, 부직포를 함께 포장하는 포장재로는 편지봉투 형태로 된 종이, 비닐, 은박지,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편지지나 엽서케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포장봉투외부의 한쪽 면에 주소와 우편번호의 표기를 위한 란이 인쇄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는 원예용품의 사용방법, 식물종자의 파종방법이나 파종시기, 식물재배방법 등을 설명한 설명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은 폐단면을 이루며 적어도 2이상의 상하로 형성된 접선을 구비하여 평판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측벽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벽부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고,
측벽부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측벽부의 상단을 보강하여주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원예용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평판형태로 접혀진 접이식 화분(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접이식 화분(110)은 PP, PE, PVC 등의 합성수지재로 한 번의 동작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이식 화분(110)의 구조와 관련하여서는 도 4∼도 8, 도 9∼1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평판형태로 얇게 압축되어서 만들어진 압축인공토양(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인공토양(130)으로는 “피트모스(peatmoss)“라는 건조이끼의 분말 또는 “코코피트(cocopeat)“라는 야자껍질의 분말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축인공토양(130)에는 가로와 세로로 절단홈(132)을 형성하여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압축인공토양(130)은 물을 가하는 경우 부피가 매우 커진다. 이 압축인공토양(130)은 유통과정에서 부스러져 찌꺼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으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식물종자(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식물종자(140)로는 작은 접이식 화분에서 키우기에 적합한 꽃씨 등이 적당하다. 이 식물종자(140) 역시 비닐팩(142) 등으로 포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부직포(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부직포(150)는 접이식 화분(110)의 바닥에 깔아서 습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축인공토양(13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기에 물이 빨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부직포(15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부직포 대신 스펀지나 부직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다른 여러 소재의 천조각이나 종이재질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스티커(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스티커(160)는 펼쳐진 접이식 화분(110)에 압축인공토양(130)을 넣은 후 물을 부었을 때 물이 접이식 화분에서 빨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이식 화분(110)의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스티커(160) 역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은 편지봉투 형태의 포장재(170)를 구비한다. 이 포장재(170)는 앞에서 설명한 평판형태로 접힌 접이식 화분(110)과 얇게 펼쳐진 상태로 압축된 압축인공토양(130)과 식물종자(140) 등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평판형태로 접혀진 접이식 화분(110)과 얇은 판형태로 압축되어 만들어진 압축인공토양(130)과 비닐팩(142) 등에 포장된 식물종자(140)를 편지봉투 형태의 포장재(170)에 넣고 그 입구를 봉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이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은 별도의 부품을 더 준비하지 않고도 식물종자를 접이식 화분에 뿌려 식물을 발아시켜 키울 수 있도록 해주고, 부피가 작아 보관하기에 편하고, 필요한 경우 포장재(170)의 표면에 발신인과 수신인 및 주소를 표시하여 필요한 사람에게 우편 발송할 수 있어 선물하기에도 편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원예용품(100a)은 앞에서 설명한 압축인공토양(130)과 식물종자(140) 등을 접이식 화분(110)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접이식 화분(110)의 양측을 테이프나 스티커(172)로 부착하여 놓은 것으로, 여기서는 스티커(172)가 포장재의 역할을 한다. 나머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100)의 구성과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구성과 한 번 동작으로 펼쳐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110)은 폐단면 모양으로 연결되어 소정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측벽부(111)는 4개의 측벽(112)들이 폐단면으로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4각단면모양을 하고 있다. 측벽부(111)의 각 측벽(112)과 측벽(112)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 1접선(113)들이 형성되어 있어 측벽부(111)는 평판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110)은 이웃하는 두 측벽(112)들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제 1접선(113)과 대응되는 제 2접선(117)을 갖는 바닥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부(116)는 측벽부(111)의 절첩정도에 따라 측벽부(111)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111)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진다. 이 바닥부(116)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구(118)를 형성해 둘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110)은 접혀진 상태에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번의 동작만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화분(110)이 완성된다. 즉, 접혀진 상태의 접이식 화분(110)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각 측벽(112)들은 제 1접선(113)을 기준으로 펼쳐져 4각 단면모양을 형성하고, 바닥부(116)는 그 연결된 측벽(112)들의 하단이 벌어짐에 따라 제 2접선(117)을 기준으로 좌우로 펼쳐져 최종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바닥부(116)의 두 변은 측벽(112)에 연결되지 않았지만, 압축인공토양(130)이 가볍기 때문에 바닥부(116)의 두께 조절만으로 압축인공토양(13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이식 화분을 펼친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부직포(150)를 바닥부(116)에 깔고, 그 위에 압축인공토양(130)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치한 다음 접이식 화분(110)에 물을 가하면 압축인공토양(130)은 부풀어 올라 접이식 화분(110)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그런 다음 식물종자(140)를 충분히 부풀어 오른 압축인공토양(130)에 뿌리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앞에서 설명한 스티커(160)를 바닥부(116) 저면과 측벽부(111)에 부착하여 초기에 접이식 화분(110) 속의 물이 빨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접이식 화분(110)은 폐단면을 형성하는 4개의 측벽(112)들 사이에 제 1접선(113)이 상하로 형성된 측벽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벽부(111)는 앞실시예에서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이웃한 두 측벽(112)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두 측벽(112) 사이의 제 1접선(113)에 대응되는 제 2접선(117)을 구비하여 측벽부(111)의 절첩 정도에 따라 측벽부(111)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측벽부(111)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제 1바닥판(116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바닥판(116a)은 도 4와 도 5에서의 바닥부(116)와 같은 크기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제 1바닥판(116a)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 2바닥판(116b)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크다. 이 제 1바닥판(116a)은 우측의 두 측벽(112)이 접혀지는 정도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도 6의 접이식 화분(110)은 타측, 즉 좌측의 이웃하는 두 측벽(112)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좌측 두 측벽(112) 사이의 제 1접선(113)에 대응되는 제 2접선(117)을 구비하여 측벽부(111)의 절첩 정도에 따라 측벽부(111)에 평행하게 접혀지거나 측벽부(111)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제 2바닥판(116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바닥판(116b)은 측벽(112)과 연결되지 않은 두 변 부근의 제 1바닥판(116a)의 저면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도 6에서 측벽부(111)의 양측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측벽부(111)는 제 1접선(113)을 기준으로 각 측벽(112)들이 4각 단면모양으로 펼쳐지고, 이웃하는 두 측벽(112)들의 하단에 연결된 제 1, 제 2바닥판(116a, 116b)은 이웃하는 두 측벽(112)이 펼쳐짐에 따라 측벽(112)에 각각 연결된 양변이 바깥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제 2바닥판(116a, 116b)도 측벽(112)에 수직한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제 2접선(117)을 중심으로 좌우로도 펼쳐져 4각 기둥 모양의 접이식 화분(110)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접이식 화분(110)은 제 2바닥판(116b)이 제 1바닥판(116a)의 일측을 받쳐주기 때문에서 도 4와 도 5에서 설명한 접이식 화분(110)에서보다 내부에 담겨지는 압축인공토양(130)을 받쳐주는 힘이 크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 이용될 수 있는 접이식 화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116)를 제 1바닥판(116c)과 제 2바닥판(116d)으로 구성하되, 제 1, 제 2바닥판(116c, 116d)의 각 제 2접선(117)을 기준으로 그 일측을 타측보다 길게 형성하여 길게 돌출된 부분이 타측 바닥판(116d, 116c)의 내측으로 들어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접이식 화분(110)을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 제 1접선(113)들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측벽(112)들과 접을 수 있게 연결된 측벽부(111)의 구성은 앞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 이용될 수 있는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121)를 제 1접선(123)들을 통해 구분되는 6개의 측벽(122)을 폐단면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바닥부(126)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접선(127)을 기준으로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돌출되게 형성한 형태의 제 1바닥판(126a)과 제 2바닥판(126b) 및 두 바닥판(126a, 126b) 사이에 설치된 보조판(128)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접이식 화분(120) 역시 접혀진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한 번 가압하는 동작만으로도 펼쳐진다. 도 8에 나타낸 접이식 화분(120)은 펼쳐진 상태에서 6각 단면모양을 갖는 접이식 화분(120)이 된다.
이상 도 4∼도 6을 통해 설명한 접이식 화분은 그 전개도 형태의 판을 만든 다음 접착제를 이용해 필요한 부위를 접착하여 만들거나 금형 등을 이용해 만들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한 번 동작으로 펼칠 수 있는 접이식 화분 외에도, 실용신안 등록번호 0309919호의 등록공보에 게시된 “접는 접이식 화분”과 같은 기존에 알려진 접이식 화분도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 접이식 화분의 전개도, 도 11은 도 9접이식 화분의 테두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9 받침의 전개도이다.
도 9∼도 11을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도 4∼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접이식 화분의 각 측벽(112) 상단에 절곡부(119)를 형성하여 완성된 상태에서 테두리(119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접이식 화분(110)의 측벽(112)들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되게 1차 절곡된 후 그 끝단 일부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119)를 형성하고, 각 절곡부(119)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 슬롯(119b) 또는 슬롯에(119b) 삽입될 수 있는 절단삽입부(119c)를 각각 형성하여 일측 절단삽입부(119c)가 이웃하는 절곡부(119)에 형성된 슬롯(119b)에 삽입되도록 하여 테두리(119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테두리(119a)는 접이식 화분(110)의 상단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접이식 화분(110)의 강도와 견고성을 증가시켜준다. 여기에서, 마주보고 배치되는 두 절곡부(119)의 양단에 슬롯(119b)을 각각 형성하고, 나머지 두 절곡부(119)의 양단 부근에 절단삽입부(119c)를 각각 형성하여 절단삽입부(119c)가 이웃하는 절곡부(119)에 형성된 슬롯(119b)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각 절곡부(119)의 일단에는 슬롯(119b)을 타단에는 절단삽입부(119c)를 각각 형성하여 각 절단삽입부(119c)가 이웃하는 절곡부(119)의 각 슬롯(119b)에 결합되도록 하는 등 슬롯(119b)과 절단삽입부(119c)의 위치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 접이식 화분(110)의 측벽부(111) 하단 모서리에 끼움홈(111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접이식 화분(110)의 아래쪽에는 접이식 화분 받침(18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접이식 화분 받침(180)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이식 화분(110)보다 넓은 면적의 4각판지(181)의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 3접선(182)과 모서리를 중심으로 좌우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제 4접선(183)을 형성하여, 제 3접선(182)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부근이 위쪽으로 접혀져 벽(184)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제 4접선(183)을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185)들이 끼움홈(111a)들에 삽입되어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평판형태의 4각판지(181)가 접이식 화분 받침(180)이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 접이식 화분의 전개도, 도 15는 도 13접이식 화분의 조립과정을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3 받침의 전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육각기둥 모양의 접이식 화분(120)의 측벽(122)들 상단에 절곡부(129)를 각각 형성하고, 각 절곡부(129)의 양단 부근에 슬롯(129b) 또는 절단삽입부(129c)를 각각 형성하여 접이식 화분(120)의 상단에 테두리(129a)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슬롯(129b)과 슬롯(129b)에 삽입되는 절단삽입부(129c)의 배치순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접이식 화분(120)의 하단 부근 측벽부(121)를 구성하는 각 측벽(122)들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끼움홈(121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홈(121a)들은 중앙부위가 낮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설명되는 접이식 화분 받침(180a)의 끝단(185a)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육각 접이식 화분(120)의 아래쪽에는 6각 모양의 접이식 화분 받침(180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육각 접이식 화분 받침(180a)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이식 화분(120)의 면적보다 넓은 6각판지(181a)의 가장자리 부근과 모서리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3접선(182a)들과 제 4접선(183a)들을 형성하여 제 3접선(182a)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부근이 위쪽으로 접혀져 벽(184a)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모서리의 제 4접선(183a)을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185a)들이 끼움홈(121a)들에 각각 삽입되어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판형태의 6각판지(181a)가 접이식 화분 받침(180a)이 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 원예용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서 설명한 편지 봉투 형태의 포장재(170) 대신에 엽서 케이스 형태의 포장재(170a)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포장재(170a)는 내용물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 1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화분(110)의 일측 측벽(122)에 흡착판(1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흡착판(190)은 창문의 유리창이나 거울 등에 접이식 화분(110)을 부착하여 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햇빛이 잘 들지 않은 가정에서는, 흡착판(190)을 이용하여 햇빛이 잘 드는 창문의 바깥쪽 면에 접이식 화분(110) 부착하여 접이식 화분(11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이 충분한 시간동안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또는 사각의 폐단면을 이루며 상하로 2이상의 접선(213)들이 형성된 측벽부(211)와 이 측벽부(211)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벽부(211)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15)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216)과 측벽부(211)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벽부(21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17)이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부재(218)로 접이식 화분(210)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측벽부(211)는 양측 접선(213)들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에서 평판형태를 이루며,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의 형태로 펼쳐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판(216)가 테두리 부재(218)가 결합되어 화분형상을 유지한다.
이러한 접이식 화분(210)의 형태는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것으로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 것, 상하의 단면적이 같게된 것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으로는 도 19∼도 21에 나타낸 것 외에, 오각이상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인들이 접이식 화분에 식물종자를 이용해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꽃가게 등에서 식물종자를 구입하고 별도로 접이식 화분을 구입해야하며 흙을 주변에서 구하거나 구입해야 하는데 평판 형태로 접힌 접이식 화분, 압축인공토양, 식물종자를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어 별도로 여러 부품들을 구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기존접이식 화분의 개념을 깨뜨린 접이식 화분으로서 일반인들이 접이식 화분에서 식물을 편리하고 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식물이 심어져 있는 접이식 화분은 부피가 크고 기르기 까다로워 일반인들이 부담을 느껴 쉽게 구매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 상품은 사용과 재배법이 간편하기 때문에 연령에 상관없이 가정이나 사무실의 탁자나 책상 등 좁은 공간에서도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식물이 심어져 있는 접이식화분은 살아있는 생물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유통기한이 짧아 판매자의 입장에서 재고부담이 크며, 판매 전까지 접이식 화분에 계속적으로 물을 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고 소비자가 구입 시 운반이나 배송의 경우 물이 흐르고 접이식 화분이 엎질러지는 경우가 있어 판매관리, 유통에 문제점이 많고, 꽃가게와 같은 한정된 장소에서만 판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원예상품은 편지봉투 정도의 크기와 무게로 작고 가볍기 때문에 보관, 진열, 운송, 배송 등이 편리하여 팬시용품점, 문구점, 서점 등 공간의 제약이 없이 다양한 장소에서 판매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원예상품을 일상에서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데, 꽃가게에 가지 않더라도 원예상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상품은 재배기간을 생략할 수 있고 계절에 상관없이 연중생산이 가능하며 수출 시 뿌리에 흙이 묻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식물이 거치는 식물검역을 생략할 수 있어 검역비용절감, 운송기간단축 등 수출상품으로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식물이 아니라 식물종자를 포함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원예상품은 유통기한이 매우 길고 기존의 접이식 화분에서와 같은 파손의 위험이 없어 어린이에게 안전하며 재료비가 저렴하므로 낮은 가격대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은 크기와 부피가 작기 때문에 어린이 교육용, 판촉용, 기념품, 잡지의 부록과 같은 보너스 상품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판매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품은 포장봉투에 우편번호, 주소란을 인쇄하여 친구, 가족, 연인에게 편지와 함께 보낼 수 있어 선물용으로 매우 적합하여 인기 있는 팬시용품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은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소비자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하고, 상단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견고성이 뛰어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화분은 4각판지 또는 6각판지로도 접이식 화분 받침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접이식 화분 측벽에 구비되는 흡착판은 필요한 위치에 접이식 화분을 부착하여 둘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7)

  1. 평판형태로 접혀진 접이식 화분과 판 형태의 압축인공토양과 식물종자가 포장재에 의해 평판형태로 포장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은 소정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 폐단면을 형성하고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1접선들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측벽들로 이루어져 평판형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상기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절첩정도에 따라 상기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상기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바닥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의 측벽들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내측으로 1차 절곡된 후 그 끝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슬롯 또는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절단삽입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상단에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은 폐단면을 이루며 적어도 2이상의 상하로 형성된 접선을 구비하여 평판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편지봉투와 엽서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되고, 상기 압축인공토양은 피트모스라는 건조이끼의 분말, 코코피트라는 야자껍질분말, 비료나 커피찌꺼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 고압으로 압축되어서 만들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인공토양에는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단홈이 형성되고, 펼쳐진 상태의 상기 접이식 화분 저면에 부착하여 물이 상기 접이식 화분에서 빠르게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스티커와 상기 접이식 화분의 내부 바닥에 깔기 위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상기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분 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품.
  8. 접이식 화분에 있어서,
    소정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 폐단면을 형성하고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1접선들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측벽들로 이루어져 평판형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상기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절첩정도에 따라 상기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상기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판을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내측으로 1차 절곡된 후 그 끝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슬롯 또는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절단삽입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상단에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4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사각단면을 이루고, 상기 바닥부는 일측의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절첩 정도에 따라 상기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접혀지거나 상기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제 1바닥판과 타측의 두 측벽의 하단에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타측의 두 측벽 사이의 제 1접선에 대응되는 제 2접선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절첩 정도에 따라 상기 측벽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해 접혀지거나 상기 측벽부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바닥판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여주는 제 2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고 펼쳐진 상태에서 안쪽으로 배치되는 제 1바닥판과 상기 제 1바닥판과 마주보고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바닥판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바닥판의 끝단부근을 지지하여주는 제 2바닥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6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육각단면을 이루고, 상기 바닥부는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바닥판과 두 바닥판 사이에서 마주보고 배치된 두 개의 보조판을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3.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상기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각형 접이식 화분 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화분의 측벽부에는 상기 접이식 화분을 창문에 부착하여 둘 수 있도록 해주는 흡착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분.
  15. 측벽부 하단 모서리 부근에 끼움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화분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찌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이식 화분 받침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 3접선들과 모서리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제 4접선을 구비하여, 가장자리가 제 3접선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 4접선을 기준으로 접혀진 끝단들이 상기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화분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다각형 접이식 화분 받침.
  16. 폐단면을 이루며 적어도 2이상의 상하로 형성된 접선을 구비하여 평판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을 보강하여주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2003-0036449U 2003-09-29 2003-11-21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KR2003436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0677 2003-09-29
KR2020030030677 2003-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56Y1 true KR200343656Y1 (ko) 2004-03-05

Family

ID=4942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449U KR200343656Y1 (ko) 2003-09-29 2003-11-21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908A (en) Bouquet presentation device
CN101304652A (zh) 栽培植物或花卉的容器及其平面展开物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US6016912A (en) Shipping device
US20090199472A1 (en) Plant culturing tool
JP2000312534A (ja) 鉢植え植物用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60112624A1 (en) Flower bouquet holder and kit
KR100810241B1 (ko)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200343656Y1 (ko) 원예용품, 이에 이용되는 화분과 화분 받침
GB2304624A (en) A greetings card with plant seeds and soil
WO2003015496A2 (en) Bulb container and method of planting
KR100709720B1 (ko)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RU2555586C2 (ru) Гибкая биоразлагаем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цветочных луковиц
JPH03191909A (ja) 折畳み式花器
JPS6314643A (ja) 立体花壇の形成方法
JP6757534B2 (ja) 鉢植蘭用箱及び箱入り鉢植蘭
KR200359141Y1 (ko) 식물재배세트 및 이를 위한 식물재배용기
US5570785A (en) Combined floral display and keepsake container
AU711582B2 (en) Disposable plant and flower container
KR101436460B1 (ko) 화분 겸용 야채 포장 케이스
KR20050095323A (ko) 식물재배세트 및 이를 위한 식물재배용기
RU2809780C1 (ru) Быстросборн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букета
KR20220001435U (ko) 패키지를 이용한 화분
KR200334016Y1 (ko) 관상식물용 화분
JP3008632U (ja) 植木類販売用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