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308B1 -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308B1
KR100730308B1 KR1020060076260A KR20060076260A KR100730308B1 KR 100730308 B1 KR100730308 B1 KR 100730308B1 KR 1020060076260 A KR1020060076260 A KR 1020060076260A KR 20060076260 A KR20060076260 A KR 20060076260A KR 100730308 B1 KR100730308 B1 KR 10073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neck
fastening
display unit
ind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관
조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06007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만입부에 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으로 제작되며 끝단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프레스물을 추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출력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니트 회전 시 부품 간의 마찰로 인한 부품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분해 공구 없이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와 네크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네크, 출력방향, 회전, 몰드, 분리

Description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neck for controlling display direction}
도 1은 종래 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회전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네크가 분리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유니트 110 : 만입부
112 : 관통구 114 : 체결홀
116 : 고정홈 118 : 걸림돌기
200 : 네크 210 : 체결부
212 : 개구부 213 : 체결편
214 : 체결돌기 215 : 고정편
216 : 고정돌기 218 : 걸림턱
220 : 돌출부
본 발명은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출력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네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분야의 전산화가 확산됨에 따라 정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통매장의 계산대와 같이 간단한 정보의 출력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일반적으로 구조가 간단한 폴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인가 및 정보 입력 시 숫자, 문자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가 상단에 조립되고 전원공급및 통신용 케이블(미도시)이 내장되는 일정길이의 폴부(20)와,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기판(미도시)을 구비하며 상기 폴부(20)의 하단에 조립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폴부(20)는 상기 케이블을 내장할 수 있도록 금속 및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중공원기둥형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의 화면 출력 방향이 베이스부(30)가 결합되는 면과 평행하도록,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30)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의 화면 출력 방향은 수평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눈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폴부(2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안된바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트 유니트(10)는 통상적으로 스크류 너트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니트(10)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요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판 스프링과 같은 프레스물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의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크류 너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스크류 너트를 풀고 조이기 위한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가 필요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판 스프링과 같은 프레스물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프레스물을 별도로 제작하여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프레스물과 몰드물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몰드물이 손상됨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S 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니트(1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분해 공구가 필요하며, 분해 작업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프레스물을 추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만입부에 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으로 제작되며 끝단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네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는 동일한 재질의 몰드물로 제작된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와 접촉되는 내벽이 입구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만입부에는 네크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개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 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에 간섭되는 걸림턱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 변으로 적용된다.
상기 네크는, 상기 만입부에 인입되는 체결부와, 상기 만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만입부는, 좌우측 내벽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과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끝단에 구비된 체결편이 좌우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편이 외주면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네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내부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관통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관통구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회전 가능 한 구조로 결합되는 네크(neck)(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네크(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결합되는 체결부(2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는 상기 체결부(2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만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10)의 좌우 내측벽에는 상기 체결부(21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210)의 회전을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수 개의 고정홈(116)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6)의 개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어느 정도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되는지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보다 넓은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홈(116)의 개수는 증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좁은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홈(116)의 개수는 감소된다.
상기 네크(200)의 체결부(210)는, 상기 만입부(110)에 인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좌우측 양단에 체결돌기(2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6)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돌기(216)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네크(200)를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216)는 고정홈(116)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어느 하나의 고정홈(116)에 인입되고, 이와 같이 고정돌기(216)가 고정홈(116)에 인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 사이의 결합 각도는 일정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16)는 고정홈(116)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홈(116)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는바, 상기 체결부(210)는 일단이 체결부(210) 외주면에 결합된 자유단 형상을 이루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고정편(21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돌기(216)는 상기 고정편(215)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홈(116)은 상기 체결부(210)가 회전되는 방향의 내벽 즉, 상기 고정돌기(216)가 슬라이딩되는 면이 입구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니트(1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고정돌기(216)가 상기 고정홈(116)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장비나 공구 없이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 간의 결합 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정보 출력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16)와 고정홈(116)은 동일한 재질의 몰드물로 제작되어 수회에 걸쳐 상호 마찰되더라도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10)가 만입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더라도 상기 고정돌기(216)가 상기 고정홈(116)의 경사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210)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10)는 내측면이 상기 체결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16)와 고정홈(116)이 체결부(21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면 상기 체결부(210)가 회전될 때 좌우 균형이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돌기(216)가 마련된 고정편(215)은 상기 체결부(210)의 외주면 양단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214)는 체결부(210)의 좌우측 양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210)를 만입부(110) 내에 인입시킬 때 상기 체결돌기(214)가 만입부(110)의 좌우 측단에 간섭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 간의 결합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14)는 상기 체결부(210)가 만입부(110) 내로 인입될 때 상기 체결부(210) 내측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인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부(210)의 양단에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의 체결편(21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14)는 상기 체결편(213)의 끝단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214)가 체결편(213)의 끝단에 형성되면, 체결부(210)를 만입부(110)에 인입시킬 때 체결돌기(214)가 만입부(110)의 좌우 측벽에 가압되어 상기 체결편(213)이 체결부(210)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214)는 상기 체결부(210) 내측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인입되므로, 상기 체결부(210)를 만입부(110) 내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회전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가 분리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만입부(110)에는 네크(200)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걸림돌기(118)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2)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 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118)에 간섭되는 걸림턱(218)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돌기(118)와 걸림턱(218)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아니하도록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 상호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분리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상단이 힘점이 되고 상기 걸림돌기(118)가 받침점이 되며 상기 체결돌기(214) 부위가 힘점이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118)로부터 체결돌기(214)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걸림돌기(118)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더 멀게 구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상단을 잡고 회전시키는 힘은 더 크게 증폭되어 상기 체결홀(114)로부터 체결돌기(214)를 이탈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분해 공구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와 네크(200)의 분리가 요구되는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턱(218)이 상기 개구부(212)의 일측 변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걸림턱(218)의 형상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218)은 상기 개구부(212)의 일측 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개구부(212)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2)는 상기 네크(200)를 관통하도록 즉, 상기 체결부(210)와 돌출부(220)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내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관통구(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구(112)와 개구부(212)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내부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네크(200) 내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프레스물을 추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니트 회전 시 부품 간의 마찰로 인한 부품 손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분해 공구 없이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와 네크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만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10)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116)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00); 및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만입부(110)에 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으로 제작되며 끝단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홈(116)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고정돌기(216)가 형성되는 고정편(215)을 구비하는 네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6)과 상기 고정돌기(216)는 동일한 재질의 몰드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6)은,
    상기 고정돌기(216)와 접촉되는 내벽이 입구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110)에는 네크(200)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걸림돌기(118)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개구부(212)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가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 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118)에 간섭되는 걸림턱(2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8)은 상기 개구부(212)의 일측 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200)는, 상기 만입부(110)에 인입되는 체결부(210)와, 상기 만입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110)는, 좌우측 내벽에 체결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10)는,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자유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114)과 결합되는 체결돌기(214)가 끝단에 구비된 체결편(213)이 좌우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10)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고정편(215)이 외주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12)는 상기 네크(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100)의 내부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관통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관통구(112)가 상기 개구부(212)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76260A 2006-08-11 2006-08-11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60A KR100730308B1 (ko) 2006-08-11 2006-08-11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60A KR100730308B1 (ko) 2006-08-11 2006-08-11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308B1 true KR100730308B1 (ko) 2007-06-19

Family

ID=3837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60A KR100730308B1 (ko) 2006-08-11 2006-08-11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3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72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피디피의 시청 방향 조절장치
KR20000004055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v화면부 방향조절장치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72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피디피의 시청 방향 조절장치
KR20000004055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v화면부 방향조절장치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4814B2 (e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ic/electronic device
KR10083174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 디스플레이
US7824041B2 (en) Adjusting apparatus for projector
CN104993312A (zh) 一种防脱落插头和防脱落充电器
EP1167916A3 (de) Gehäuse für Winkelmesseinrichtung
US7300188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 bulb holder with an outer shade
KR100730308B1 (ko) 출력방향 조절을 위한 네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149702B2 (ja) 柵ヒンジアセンブリ
US7967634B1 (en) Joint structure for a cable
JP5624241B1 (ja) 折り曲げ可能なドライバー
CN105945432A (zh) 一种便携式激光打标机
US8047661B2 (e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projector
CN101749314B (zh) 电子装置
US20070258242A1 (en) Lamp having angle adjustable socket
CN107871634B (zh) 电子装置及其音量调节机构
CN204390645U (zh) Led屏支撑架及led幕屏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KR200404523Y1 (ko) 단말기용 소형안테나의 쐐기형상 스토퍼기구
CN105999699B (zh) 一种按键和一种游戏手柄
CN205764447U (zh) 一种便携式激光打标机
US20060090613A1 (en) Pivotal retaining device of hand tool
KR200200158Y1 (ko) 스탠드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56459Y1 (ko) 액정모니터 고정장치
US20100085714A1 (en) Mounting apparatus for heat sink
CN213878936U (zh) 一种新型嵌墙暗装式低压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