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717B1 -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 Google Patents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717B1
KR100713717B1 KR1020050101609A KR20050101609A KR100713717B1 KR 100713717 B1 KR100713717 B1 KR 100713717B1 KR 1020050101609 A KR1020050101609 A KR 1020050101609A KR 20050101609 A KR20050101609 A KR 20050101609A KR 100713717 B1 KR100713717 B1 KR 10071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driving
swing
drive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84A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05010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7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4Stilts or the like with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출원(보행식 비클, 출원번호10-2003-036549)와 관련하여, 상기 보행식 비클을 편하게 고속추진하여 스피드를 내거나 강한 힘을 내게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omitted}
도 1 간략도 (가)요동수단 좌우측을 요동시킬 수 있음; (나)본 출원인 출원의 보행식 비클
도 2 확대도 (가)래크를 결치하여 지나며 피니언 회동(마찰차의 경우 접촉하여 지남); (나)구동풀리를 요동하는 벨트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종동풀리 회동하는 원리에 의한 구동수단
도 3 간략도 (가)본 발명의 간략한 표시; (나)좌우측 륜 동작; (다)요동추진수단에 일방향회전수단을 구비한 경우
도 4 큰확대도, (가)일방향회전수단을 구비한 기어수단의 실시례; (나)기어수단 또는 벨트&풀리수단(체인&스프라킷수단)을 일방향으로만 힘을 받게 구성한 레칫과 같은 이의 모양;
확대도, (다)전달수단에 일방향회전수단 구비; (라)축 구동을 벨트 구동으로 전환 또는 그 역으로 전환; (마)슬라이더에 의한 축이음으로 점선의 단면을; 큰확대도(바)에서 보여줌; 확대도, (사) 유니버셜조인트수단; (아) 흙받이를한 휠어셈블리(wa)를 구비하는 풋보드와 상기 휠어셈블리의 조향축과 전달수단의 구동축이 다른 경우 굴절수단에 의한 연결
도 5 확대도(가) 직접수단의 일 실시례; 간략도(나) 조립한 정면모습
도 6 확대도(가) 직접수단의 다른 실시례; 간략도(나) 조립한 정면모습
도 7 확대도, 안정수단을 구비한 직접수단의 일 실시례로서 좌측은 측면도; 우측은 정면도
도 8 확대도(가) 간접수단 일 실시례; (나) 정면도; 큰확대도(다) 벨트&풀리; 확대도(라) 안정수단을 구비한 경우 간접수단의 일 실시례
도 9 확대도, (가)륜구동수단 일 실시례로서 위는 평면도 아래는 정면도; (나)풋패드(3100)를 밟아 주행방향을 조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제2베벨기어 회동축이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요동수단 저면에 핀조인트(pn)되어 조향축을 겸함; (다)륜구동수단의 다른 실시례로서 풀리수단을 사용함, 아래는 정면도 위는 아래 정면도의 점선부분에서 본 평면도; (라)종동회동축과 종동기어수단 회동축을 유니버셜조인트수단으로 연결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출원(보행식 비클, 등 )와 관련하여 상기 보행식 비클 추진방식은 우선, 스케이트 타는 식의 보행식 방법이 있는데 스케이트를 못타는 사람도 즐길 수 있게 하기위해, 일반 보행하는 것과 같이 추진하기 위하여 일방향회전휠(륜)을 구비하여 일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되어 있는바, 상기 스케이트식 추진방법은 일반 보행식 추진방법보다 고속추진에는 유리하나 숙련이 요구되고 상기 일방향회전휠로 지면을 밀어서 추진하는 상기 일반보행식 추진 방법은 탑승자의 주력 능력 이상의 고속추진은 힘이 들므로 자전거와 같이 쉽고 편하게 발동작을 하여 약간의 동작으로도 많은 거리를 갈 수 있게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요구에 부흥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 자전거의 크랭크 페달처럼 (상기 보행식 비클의) 요동수단 좌우측의 상호 요동동작을 기계적으로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기어비 등에 의하여) 편하게 고속추진하여 스피드를 내거나 강한 힘을 내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 (가)에서 륜(輸 wl)이 장착된 휠어셉블리를 포함하는 풋보드(3000)와 상기 풋보드는 요동수단(1000) 좌우측 각 측단에 각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굴절수단(1100)에 의해 ∩ 형태로 좌우 양측(L, R)이 상호 요동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요동을 제한할 수 있는 요동각제한수단(2000)을 구비할 수 있는 비클에 있어서, (나)와 같은 본 출원인 출원(보행식 비클, 출원번호10-2003-0036549)의 상기 양 풋보드는 요동수단 각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굴절수단에 의해 ∩ 형태로 지면에 입상하여 양 하측이 요동 가능한 보행식 비클을 위주로 이하 설명하고, 상기 보행식 비클은 선택적으로 본 출원인 출원(핸들바 보행식 비클, 출원번호10-2003-0038082)의 핸들바수단(120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클상에는 요동추진수단(40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을 구동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다시말해 요동운동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력을 상기 륜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3 (가)에서 처럼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L, R)에는 각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과 전달수단(4300)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L)의 구동수단(4100)이 상기 우측(R)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고 상기 우측의 구동수단(4100)이 상기 좌측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여 상기 전달수단(4300)을 통해 상기 좌우측 각 륜을 구동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사이에 본 출원인 출원(명칭:안정수단 보행식 비클, 출원일:2003.06.13, 접수번호:1-1-2003-5115245-77)에서와 같은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에 흔들리지 않는 도7과 도8 (라)에서처럼 안정수단(1300)이 구비되고,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상기 안정수단에 구동수단(4100)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에 각 종동수단(4200)과 전달수단(4200)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4100)이 상기 각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여 상기 전달수단(4300)을 통해 상기 좌우측 각 륜을 구동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은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는 직접수단의 일 실시례로서 기어(마찰차를 포함) 수단 등으로 구동력을 얻는 구동기어수단(4110)/종동기어수단(4210)을 사용하거나,
상기 구동력을 간접 발생시키는 간접수단의 실시례로서 벨트&풀리(bt&pl)--체인&스프라킷을 포함--수단 등으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구동풀리수단(4120)/종동벨트수단(4220)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풀리 수단에 의한 구동력 발생원리를 설명하면 도2 (나)에서 상 기 벨트수단이 전방(F)에서 후방(B)으로 요동하면 상기 벨트 상측의 풀리수단(회동없이 고정되거나 역회동하는 풀리수단인 경우)을 감고 펴고를 반복하여 상기 벨트가 정/역회동을 반복하는 결과가 되고,
상기 전달수단(4300)은 베벨기어수단(bg) 또는 풀리수단(pl) 또는 유니버셜조인트(un) 또는 상기 각 수단의 조합 등으로 상기 구동력을 그대로 또는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변속하여 상기 륜축을 직간접적으로 구동시키고 또한, 킥스쿠터 페달구동수단(IPC분류 B62K15/00) 등 공지된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직접수단에서,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요동축(1000A)을 각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측에 각 (고정되어)구비되거나; 상기 요동수단 요동축을 회동축의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안정수단상에 (고정되어)구비되는 원(circle) 또는 반원의 아치(arch)와 같은 호형태의 기어로서,
베벨기어 또는 도2 (가)처럼 레크&피니언기어(R&P)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각 요동축의 회동(또는 요동)을 따라 상기 레크(rc)에 해당하는 구동기어수단(4110)에 결치(結齒, 기어의 이가 맞물림)하여 지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pg)에 해당하는 하기 종동기어수단(4210)이 회동하여 구동력으로 전환되는 기어이고,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요동수단의 좌우측에 각 구비되어서 일측(상측)은 상대측 구동기어수단(4110) 또는 상기 안정수단상의 구동기어수단(4110)과 결치하여 구동력을 얻고 타측(하측)은 자신측 전달수단(4300)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각 기어의 결치방법은 직접 양 기어의 이를 맞물려 결치하거나 간접적으로 결치할 수 있는데 상기 간접적으로 결치한다는 것은 변속수단이나 도4(가, 나, 다)에서처럼 일방향회전수단(ODM)이나 동력단락(斷絡)수단이나 회동/역회동 방향전환수단이나 도4 (라, 사)에서처럼 회동각 방향전환수단{베벨기어(bg) 또는 유니버셜조인트(un) 등} 등을 사이에 두고 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고,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과 종동기어수단(4210)의 실시례들을 설명하면,
상기 요동수단 좌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일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내에서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와 결치하고; 상기 타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밖에서 상기 일측의 구동기어와 결치하게 구성하고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5는 상기 요동축(100A)을 {또는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 회동축(4110A)을} 원 중심으로하는 원형태(도면에서는 반달형의 호형태)의 구동기어수단(4110)이 상기 요동수단상에 구비되는데{상기 요동축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상에서 상기 요동수단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따로 만들어져 고정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요동축의 밑에 반원형의 호형태로 좌우측의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을 각 고정(fx)하여 구비하고}, 우측의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이 좌측의 구동기어수단(4110)보다 반경이 크므로 상기 좌측의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 밖에서 상기 우측의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과 상기 좌측의 종동기어수단 (4210)이 (레크&피니언기어 원리로) 결치가능하고; 상기 우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우측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내에 진입시켜서 상기 좌측구동기어수단(4110)에 (레크&피니언기어 원리로) 결치가능하게 하고 상기 각 종동기어수단(4210) 회동축(4210A) 축받이(4210AS)는 상기 요동수단상에 또는 상기 구동기어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의 반경차이는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의 반경크기로 적응시키고 상기 중동기어수단(4210) 회동축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210A')는 크게 봐서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 회동축으로 보고 이하 다른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상기 요동수단 좌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축 밑에서 상기 타측의 종동기어수단(4210)과 결치하고;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축 위에서 상기 일측의 종동기어수단(4210)과 결치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도6에서 상기 요동축을{또는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 회동축을} 원 중심으로하는 호형태의 구동기어수단(4110)을 상기 요동수단상에 고정(fx)하여 구비하되, 우측은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을 요동축(1000A) 밑으로 구비하고 좌측은 상기 요동축(1000A) 위로 구비하고; 상기 우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좌측의 구동기어수단(4110)과 결치할 수 있게 상기 요동축(1000A)의 위로 구비하고 축받이하는데, 도면에서 상기 우측 구동기어수단(4110) 회동축 뒤에 상기 우측 종동기어수단(4210) 회동축의 축받이를 하였고; 좌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우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에 결치할 수 있게 상기 요동축(1000A)의 밑에 구비하여 상기 요동수단(1000)상에 상기 좌측 종동기어수단(4210) 회동축의 축받이를 하였고,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을 상기 안정수단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수단 요동축(1000A)을 회동축의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안정수단에 (고정되어) 직간접적으로 외접하는 호형태(원 포함)로서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요동수단의 좌우측에 각 구비되어 상기 안정수단상의 구동기어수단(4110)과 각 결치시킬수 있는데,
도7에서 안정수단 좌우측에 좌우측 요동축(1000A)이 구비되어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이 요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되고;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안정수단 전, 후, 좌, 우, 상, 하, 대각선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호 형태의 드럼판(dr) 좌우측에 기어이가 형성된 구동기어수단(4110)이 상기 안정수단 중앙 하측에 고정(fx)되어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에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이 축받이{종동기어수단(4210) 회동축 축받이}되어 각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간접수단에서,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요동축(1000A)을 각 회동축으로 하여 구성(구비)되는 풀리수단이고,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상에 각 구비되어 상대측 구동풀리에 감기게 구성하는데, 도8 (가, 나)에서 상기 요동수단 우측의 구동풀리수단(R 4120)은 상기 좌측의 종동벨트수단(L 4220)에 감기게되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풀리수단으로, 상기 중공에 좌측의 구동풀리수단(L 4120)를 끼워 핀조인트(pn)하여 우측 회동축(R 1000A)을 구성하고, 상기 좌측의 구동풀리수단(L 4120)를 감는 우측 종동벨트수단(R 422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막대수단(br)으로 우측 요동수단(R 1000)측에 도면처럼 거리를 두고 연결 고정(fx)하고; 좌측의 구동풀리수단(L 4120)은 상기 우측의 구동풀리수단(R 4120) 중공을 끼워져 통과하여서 상기 우측의 종동벨트수단(R 4220)에 감기게되며, 끝부분이 우측의 요동수단에 핀조인트(pn)되어 좌측 회동축(L 1000A)을 구성하고 이 때, 상기 각 풀리수단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일방향회전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이 상기 안정수단(13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은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축(1000A)을 회동축의 중심으로 상기 안정수단상에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방향회전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구비되는 풀리수단이고;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상에 각 구비되어 상기 안정수단(1300)상의 구동풀리수단(4120)에 감기게 구성하고,
도8 (라)에서 각 구동풀리수단(4120)은 상기 안정수단(1300)에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 포함)되어 상기 안정수단 좌우측에 구동풀리수단(4120)이 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에는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이 감기고(편의상 우측만 도시); 상기 안정수단(1300)에서 뻗어나온 좌우 요동축(1000A)은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을 관통하여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과 각 고정(fx) 결합되어 상기 요동수단을 상호 요동시키고,
도8 (다)에서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은(체인&스프라킷수단을 포함하지만 순수히 벨트수단만인 경우에는)체인처럼 확실한 동력전달을 하기위해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에 일측을 핀 등으로 고정(fx)할 수 있는데 이때는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은 상기 요동을 따라 왕복회동만 하는 전제가 있어야하고, 상기 벨트의 느슨 함을 막기위하거나 차후 상기 풋보드를 좌우 조향시에 일정한 탄력 또는 유격을 주기위해 자전거 디레일류어 변속장치에 쓰이는 것과 같은 조임수단(tg)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수단(4300)은 상기 종동수단(42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상기 륜을 구동하기 알맞은 형태로 적응시키는 적응수단(4310)과; 상기 적응수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륜을 구동하는 륜구동수단(4320)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수단(4200)에서 바로 상기 륜구동수단(4320)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적응수단은 가상적인 의미만 남고 실질적으로는 생략되게 된다.
도4에서 상기 적응수단(4310)은 (상기 직접수단의 경우) 상기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에서 전달받은 구동력을 (다)와 같이 일방향회전수단(ODM)을 통하여 하부로 전달하게 할 수 있는데(상기 구동력은 상기 요동을 따라 계속 정회전/역회전의 방향이 바뀌므로); 상기 기어수단들 자체가 (가, 나)에서처럼 일방향회전수단이 구비된 기어수단들이거나 또는 상기 좌우측 륜들 자체가 상기 일방향회전수단이 구비된 경우이면 (다)와 같은 수단은 필요없게 되고; (라)와 같이 베벨기어(bg) 수단으로 회동축의 방향을 꺽어 바꾸고 벨트&풀리수단(bt&pl)을 사용하여 상기 륜구동수단(43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벨트수단은 편의상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으로 명칭하고; 역으로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에서 상기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 편의상 명칭함)으로 전환하여 상기 륜구동수단(432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처럼 상기 요동 수단 좌우측이 변형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요동수단(1000)의 변형에 적응시키는 수단으로 (마)처럼 (상기 적응수단에는)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더(sl) 수단을 구비하여 이음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구동력을 슬립없이 전달하기 위해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수단(sl)의 내경/외경에 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이 어느정도 굴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변형하는 경우에는 이에 적응하기 위해 (사)와 같은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가능하며; 상기 각 수단들은 혼합하여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륜구동수단(4320)은 상기 구동력을 진달받아 상기 륜축을 직간접적으로 구동하게하는데 이때, 상기 륜축을 종동회동축(4320A)으로 정하고; 상기 종동회동축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에서 전달받는 경우에는, 베벨기어수단(bg/4321)이나 유니버셜조인트(un/4322)수단 등을 사용하여 방향을 바꾸어 전달할 수 있으며,
도9 (가)에서 상기 베벨기어수단(4321)은 상기 종동회동축(4320A)상에 제2베벨기어(4321-2)이 형성되고 그에 짝을 맞추어 각을 전환하여 상기 제2베벨기어를 구동하는 제1베벨기어(432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 회동축(4321A)은 휠프레임(3200)상에 형성된 회동축받이에 지지받아서(도면에서는 휠프레임 상측) 상기 종동수단의 상기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게 구성되는데, 상기 요동수단 저면에 조향 방향을 틀기 위한 핀조인트(pn)하는 조향축의 위치와 상기 제1베벨기어 회동축(4321A)의 위치가 다르면 도4 (아)와 같이 상기 적응수단상에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등의 굴절수단으로 이음을 하여야하고; (나)처럼 아예 상기 조향의 축이 되는 핀조인트를 상기 제1베벨기어 회동축(4321A)이 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라)에서는 상기 휠프레임 륜(wl)의 종동회동축(4320A)에 직접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수단(4322)을 연결하여 상기 풋보드를 자유로 조향방향을 틀면서 상기 종동기어수단 회동축(4210A)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게 구성한 실시례이고, 도9 (다)는 도8(나, 다)를 참조로 하고, 상기 륜에 구동력을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회동축(4320A)을 축으로하는 륜 풀리수단(pl)을 구비하여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에 감기게 해서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일방향회전수단(ODM)을 구비한 기어수단이나 륜처럼, 상기 각종 풀리수단에도 주행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시키고 역방향은 슬립하게 장치하는 일방향 회전수단(ODM, one-way driving mechanism)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 (나)에서 상기 요동은 왕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구동력 또한 전후로 왕복 회동하게 되므로 가령, 우측 륜(R wl)이 지면에 접촉하여 주행방향(Dr)으로 회동할 때 좌측 륜(L wl)은 역주행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지면에서 들어 올려 접촉을 끊어야 하고(본 발명은 보행식 비클이므로 가능하다), 상기 좌측 륜(L wl)이 진방으로 내딛어져 지면과 접촉시에 상기 우측 륜(R wl)을 지면에서 재빨리 들어올려 접촉을 끊어야 하는 동작이 필요하여 숙달이 요구되므로, 전술하였듯이 상기 일방향회전수단(ODM)을 상기 각 기어수단, 풀리수단, 전달수단 또는 륜 등의 상기 요동추진수단에 구비하면 상기 역주행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 받는 좌측 륜(L wl)은 상기 전달받는 구동력을 슬립하여 없애고 오히려 상기 지면과 접촉을 따라 정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3 (다)처럼 지면과 상기 접촉을 유지하면서도 주행할 수 있고,
상기 각 일방향회전수단은 도4 (가)처럼 레칫&역전방지폴을 사용하거나 도4 (나)처럼 기어의 이를 레칫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드릴 또는 렌치와 같은 공구처럼 일방향회전 잠금수단 또는 방향전환 수단을 구비한 일방향회전수단 등 기타 공지의 일방향회전수단을 이용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하게 그리고 천천히 발을 전후로 동작하는 것만으로도 자전거(크랭크 페달)처럼 적은 동작으로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 고속 스피드를 낼 수 있으므로, 스케이트타는 방법 등에 익숙치않은 사람도 스피드를 즐길 수 있고 단순한 유희구를 넘어서 근거리 교통수단으로도 충분하며 또한, 상기 요동수단은 포개지므로 부피가 적어 항상 소지할 수 있다.

Claims (35)

  1. 삭제
  2. 륜이 장착된 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풋보드(3000)와 상기 풋보드는 요동수단(1000) 좌우측의 각 측단에 각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굴절수단(1100)에 의해 ∩ 형태로 좌우 양측이 상호 요동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요동을 제한할 수 있는 요동각제한수단(2000)을 구비할 수 있는 비클에 있어서,
    상기 비클에는 요동추진수단(4000)이 구비되고,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을 구동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구동력을 상기 륜에 전달하여 추진하되,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에 각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과 전달수단(4300)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의 구동구단(4100)이 상기 우측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고 상기 우측의 구동수단(4100)이 상기 좌측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여 상기 전달수단(4300)을 통해 상기 좌우측 각 륜을 구동하게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3. 삭제
  4. 삭제
  5. 륜이 장착된 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풋보드(3000)와 상기 풋보드는 요동수단(1000)의 좌우측 각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굴절수단(1100)에 의해 상기 좌우측이 상호 요동 가능한 수단인 보행식 비클에 있어서,
    상기 비클상에는 요동추진수단(4000)이 구비되고,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운동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륜을 구동하여 추진하되,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과 전달수단(4300)을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에 각 구비하고, 상기 좌측의 구동수단(4100)이 상기 우측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고 상기 우측의 구동수단(4100)이 상기 좌측의 종동수단(4200)을 구동하고 상기 전달수단(4300)을 통해 상기 좌우측 각 륜에 전달하여 구동하게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은 직접수단인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은 간접수단인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수단은 구동기어수단(4110)과 종동기어수단(421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요동축(1000A)을 각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측에 각 구성되는 기어수단이고,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상에 각 구비되어 상대측 구동기어수단(4110)과 결치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수단은 구동풀리수단(4120)과 종동벨트수단(422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풀리수단(412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요동축(1000A)을 각 회동축으로 하여 구성되는 풀리수단이고, 상기 종동벨트수단(4220)은 상기 요동수단 좌 우측상에 각 구비되어 상대측 구동풀리에 감기게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4. 삭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좌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일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내에서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와 결치하고 상기 타측의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 반경밖에서 상기 일측의 구동기어와 결치하게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좌우 일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축(1000A) 밑에서 상기 타측의 종동기어수단(4210)과 결치하고 상기 타측의 구동기어수단(4110)은 상기 요동축(1000A) 위에서 상기 일측의 종동기어수단(4210)과 결치하게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7. 륜이 장착된 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풋보드(3000)와 상기 풋보드는 요동수단(1000)의 좌우측 각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굴절수단(1100)에 의해 상기 좌우측이 상호 요동 가능한 수단인 보행식 비클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운동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륜을 구동하여 추진하는 요동추진수단(4000)이 구비되되,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 사이에 안정수단(1300)이 구비되고,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상기 안정수단(1300)에 구동수단(4100)을 구비하고, 종동수단(4200)과 전달수단(4300)을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에 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4100)에 의해 상기 종동수단(4200)이 구동되고 상기 전달수단(4300)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좌우측 각 륜을 구동하게 구성하고, 상기 구동수단(4100)과 종동수단(4200)은 직접수단으로서 상기 직접수단은 구동기어수단(4110)과 종동기어수단(421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은 호형태로서 상기 요동수단 요동축(1000A)을 회동축의 중심으로 상기 안정수단(1300)상에 직간접적으로 외접하며 구비되고, 상기 종동기어수단(421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상에 각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수단(4110)과 결치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 우측 구동풀리수단(R 4120)은 상기 좌측 종동벨트수단(L 4220)에 감기게되는 중공이 형성된 풀리수단으로서 상기 중공에 좌측 구동풀리수단(L 4120)를 끼워 핀조인트(pn)하여 우측 회동축(R 1000A)을 구성하고, 상기 좌측 구동풀리수단(L 4120)를 감는 우측 종동벨트수단(R 422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막대수단(br)으로 우측 요동수단(R 1000)측에 거리를 두고 연결고정(fx)하고, 좌측 구동풀리수단(L 4120)은 상기 좌측 요동수단(L 1000)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 구동풀리수단(R 4120) 중공에 끼워져 통과하여서 상기 우측 종동벨트수단(R 4220)에 감기게되며, 그 끝부분이 우측 요동수단(R 1000)에 핀조인트(pn)되어 좌측 회동축(L 1000A)을 구성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19. 삭제
  20. 제2항, 제5항, 제7항, 제9항, 제11항, 제13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4300)은 상기 종동수단(42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륜(wl)을 구동하기 알맞은 형태로 적응시키고; 상기 요동수단(1000)의 변형에 적응시키고; 상기 풋보드(3000)의 주행방향 조향에 적응시키는 적응수단(4310)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수단(43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륜을 구동하는 륜구동수단(4320)을 포함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21. 삭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륜구동수단(4320)은 베벨기어수단(4321)수단으로, 종동회동축(4320A)에 제2베벨기어가 구비되고 그에 짝을 맞춰 제1베벨기어가 상기 종동수단으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베벨기어를 구동하게 구비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23. 삭제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륜구동수단(4320)은 유니버셜조인트수단(4322)으로, 종동회동축(4320A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25. 삭제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륜구동수단(4320)은 륜 풀리수단(pl)으로, 상기 륜 풀리수단은 종동회동축(4320A)을 축으로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27. 삭제
  28. 삭제
  29.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주행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일방향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30. 삭제
  31. 삭제
  32. 제2항, 제5항, 제7항, 제9항, 제11항, 제13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4300)은 상기 종동수단(42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륜을 구동하는 륜구동수단(4320)을 포함하고,
    상기 륜구동수단(4320)은 유니버셜조인트수단(4322)으로, 종동회동축(4320A)에 연결되며,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주행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일방향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33.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주행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일방향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34. 삭제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추진수단(4000)은 주행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일방향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1020050101609A 2005-10-25 2005-10-25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10071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09A KR100713717B1 (ko) 2005-10-25 2005-10-25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09A KR100713717B1 (ko) 2005-10-25 2005-10-25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84A KR20060119684A (ko) 2006-11-24
KR100713717B1 true KR100713717B1 (ko) 2007-05-11

Family

ID=3770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09A KR100713717B1 (ko) 2005-10-25 2005-10-25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74A (en)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KR20050032456A (ko) * 2003-10-01 2005-04-07 박경희 크랭크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20190000830U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74A (en)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KR20050032456A (ko) * 2003-10-01 2005-04-07 박경희 크랭크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KR20190000830U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20190000850U (ko) * 2017-09-27 2019-04-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분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84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244B1 (en) Propelling scooter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US6419251B1 (en) Propelling scooter
US20130270792A1 (en) Bicycle
US20090212524A1 (en)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JP3101174U (ja) 自転車
US7914028B2 (en) Occupant propelled vehicle
EP3412549A1 (en) Dual pedal-driven scooter
RU2514949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риводимое в движение вручную
US20120267871A1 (en) Manually propelled scooter
JPH1053186A (ja) 両手駆動機構を有する自転車
WO2008006292A1 (fr) Cyclorameur entraîné par levier à va-et-vient
US4592563A (en) Recreational vehicle
KR100713717B1 (ko) 요동추진수단 보행식 비클
US20110031714A1 (en) Hand driven scooter
KR100968689B1 (ko) 인력 구동형 동력전달장치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100625647B1 (ko) 무동력 미니 바이크
EP1225124A1 (en) Propelling scooter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KR100779301B1 (ko) 다기능 자전거
JPWO2004092003A1 (ja) クランク装置、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クランクペダル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乗り物
KR100840262B1 (ko)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KR101449346B1 (ko) 회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것
KR100588807B1 (ko) 레버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