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55A -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55A
KR20180063555A KR1020160163433A KR20160163433A KR20180063555A KR 20180063555 A KR20180063555 A KR 20180063555A KR 1020160163433 A KR1020160163433 A KR 1020160163433A KR 20160163433 A KR20160163433 A KR 20160163433A KR 20180063555 A KR20180063555 A KR 2018006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parallel
ba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이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영 filed Critical 이건영
Priority to KR102016016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555A/ko
Publication of KR2018006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중심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중심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1 섹터')와, 상기 병렬 프레임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2 섹터')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섹터 및 상기 제2 섹터에 각각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들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시공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AWN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SIMPLICITY CEREMONY PLACE}
본 발명은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시공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공연과 집회 등 다양한 행사가 실외에서 열리는 경우에, 이러한 행사에 운집하는 인원들이 강한 직사일광 및 강설, 강우를 피하여 모일 수 있는 임시적인 장소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천막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행사시 설치하거나 절첩 수납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대중화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779941호의 "천막골조"(이하 '선행1')와, 등록실용 제20-0404423호의 "간이 천막의 프레임"(이하 '선행2')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1은 지지기둥과 절첩간과 상부골조 및 상부 연결대와 중간연결대로 구성되는 것이며, 선행2는 천막지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내부 둘레 및 외부 둘레 크기를 적절히 설계한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모두 불필요하게 많은 부품 갯수와 복잡한 금형 설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립 및 체결 등의 시공 일체가 숙련도없는 일반 작업자에게는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779941호 등록실용 제20-04044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시공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중심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중심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1 섹터')와, 상기 병렬 프레임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2 섹터')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섹터 및 상기 제2 섹터에 각각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들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중 상기 중심 프레임은, 상기 지면과 수직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제1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와, 상기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받침 지지하는 몰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이 안착되는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에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제1 바 중 일측의 제1 바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병렬 프레임은 상기 중심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 중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양측 내, 외부에 구비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병렬 프레임의 배열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수용 소켓과,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 소켓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메시 망체와,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걸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몰딩 베이스부에 매설되어 상기 몰딩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지지 기둥과, 상기 한 쌍의 지지 기둥의 상부에 위치하고, 볼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 조절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를 상호 연결하는 사각 기둥 형상인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연결 소켓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 각각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 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과 각각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단부까지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들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링과,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링 중 한 개소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후크와,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와 상기 와이어 후크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중심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중심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1 섹터')와, 상기 병렬 프레임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2 섹터')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섹터 및 상기 제2 섹터에 각각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들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갯수를 최소화하고 복잡한 체결 구조를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 및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유닛중 상기 중심 프레임을, 상기 지면과 수직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제1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와, 상기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받침 지지하는 몰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이 안착되는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에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제1 바 중 일측의 제1 바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병렬 프레임은 상기 중심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복잡한 구조 설계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유닛을, 상기 제1 유닛 중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양측 내, 외부에 구비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병렬 프레임의 배열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수용 소켓과,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 소켓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숙련도가 없는 일반인이나 작업자라도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3 유닛을,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메시 망체와,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걸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도 안정적인 안착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숙련도가 없는 일반인이나 작업자라도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몰딩 베이스부에 매설되어 상기 몰딩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지지 기둥과, 볼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 조절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를 상호 연결하는 사각 기둥 형상인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안정적이며 중량감있는 지지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고, 몰딩 베이스부가 위치하는 하부 지면의 높낮이가 다르더라도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유닛 상호간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출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연결 소켓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 각각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정확한 체결 상태의 육안 파악이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이며 확실한 체결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과 각각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게 하며,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단부까지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차양막 설치후 비가 내리는 경우에 경사진 차양막의 구조로부터 빗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들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링과,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링 중 한 개소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후크와,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와 상기 와이어 후크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중심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양막 설치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에 의하여 차양막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차양막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차양막이 설치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중심 프레임 또는 병렬 프레임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측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정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에 의하여 차양막(500)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차양막(500)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차양막(500)이 설치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중심 프레임(101) 또는 병렬 프레임(102)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정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과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101)과, 중심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중심 프레임(101)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세로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중심 프레임(101)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102) 사이(이하 '제1 섹터(S1)')와, 병렬 프레임(102)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102) 사이(이하 '제2 섹터(S2)')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로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유닛(300)은 제1 섹터(S1) 및 제2 섹터(S2)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301)을 포함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차양막(500)을 설치하거나 걷는 등 일련의 작업을 수행함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400)들의 상측에 도 1(b)와 같이 차양막(500)이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이 일렬로 배열된 제1 유닛(100)의 제1 어레이(A1)에 대하여, 제1 유닛(100)과 별개로 구비되어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이 일렬로 배열된 제1 유닛(100)의 제2 어레이(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레이(A1)와 제2 어레이(A2)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와이어(400)들 각각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어레이(A1)와 제2 어레이(A2)에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닛(100)중 중심 프레임(101)은, 도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중심 프레임(101)은, 지면과 수직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제1 바(110, 110)와, 한 쌍의 제1 바(110, 110)를 서로 연결하며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120)와, 지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바(110, 110)를 받침 지지하는 몰딩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유닛(300)이 안착되는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제1 바(110, 110)에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와이어(400)는 한 쌍의 제1 바(110, 110) 중 일측의 제1 바(110, 110) 상부측에 연결되며, 병렬 프레임(102)은 중심 프레임(10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설치 및 시공에 편리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수용 소켓(210)과 체결편(220)을 더 구비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수용 소켓(210)은 제1 유닛(100) 중 중심 프레임(101) 및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양측 내, 외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내, 외측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의 배열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체결편(220)은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수용 소켓(2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을 설치 방향이나 설치 위치를 구별하여 조립 체결할 필요없이, 단순하게 복수의 수용 소켓(210)에 대응되게 체결편(220)이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안착되게 내리누르는 작업만으로도 용이한 조립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수용 소켓(210)은 제2 바(120)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전체적으로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 발판 프레임(301)의 내측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메시 망체(310)와, 작업 발판 프레임(30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걸림 프레임(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안정적인 받침 지지 구조의 제공 및 높이 조절을 위하여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 높이 조절부(190, 190) 및 연결 소켓(150, 1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은 몰딩 베이스부(130)에 매설되어 몰딩 베이스부(1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높이 조절부(190, 190)는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과 연결 소켓(150, 15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조정핀(197)을 삽입할 수 있도록 둘레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사용자 조작부(191), 사용자 조작부(191)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부 볼트(192), 사용자 조작부(191)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부 볼트(193), 상부 볼트(192)와 결합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승강 몸체(196)를 포함한다.
승강 몸체(196)의 상부 내측에는 연결 소켓(150)이 결합되며, 승강 몸체(196)의 하부는 상부 볼트(192)와 결합되도록 오른 나사 너트(194)가 구비된다. 이와 반대로 지지 기둥(140)의 상부는 하부 볼트(193)와 결합되도록 왼 나사 너트(195)가 구비된다. 물론, 오늘 나사 너트(194)와 왼 나사 너트(195)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예들 들면, 작업자가 조정핀(197)을 사용자 조작부(191)의 어느 하나의 홀에 끼운 후 사용자 조작부(191)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볼트(192)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승강 몸체(196)는 점점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하부 볼트(193)의 높이도 점점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 프레임(101)과 병렬 프레임(102)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작업자가 사용자 조작부(191)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볼트(192)가 왼쪽으로 회전하며 승강 몸체(196)는 점점 위로 올라가게 된다. 하부 볼트(193)의 높이도 점점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 프레임(101)과 병렬 프레임(102)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각각의 중심 프레임(101)과 병렬 프레임(102)이 위치하는 하부의 지면은 높, 낮이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높이 조절부(190, 190)를 이용하여 제1 유닛(100) 상호간의 높이를 맞출 수가 있는 것이다.
연결 소켓(150, 150)은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하단부와 한 쌍의 승강 몸체(196, 196)를 상호 연결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 각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몰딩 베이스부(130)에 매설되고, 일정 면적을 지니는 고정편(160, 160)과, 고정편(160, 160)의 양단부에 관통 체결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몰딩 베이스부(130)에 매설되고, 절곡되는 갈퀴부(171, 171)를 말단에 구비한 앵커 후크(170, 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몰딩 베이스부(130)는 사각통 형상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전술한 고정편(160, 160)에 앵커 후크(170, 170)를 체결한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을 투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연결 소켓(150, 15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하단부와 한 쌍의 승강 몸체(196, 196) 각각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격 리브(151, 1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중심 프레임(101)과 연결된 와이어(400) 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과 각각 연결된 와이어(400) 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으며, 중심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와이어(400) 단부까지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는 중심으로부터 좌우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양막(5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이러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양막(500) 설치를 위하여 걸림링(180)과 와이어 후크(410) 및 턴버클(42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의 걸림링(180)은 중심 프레임(101) 및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와이어(400)들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와이어 후크(410)는 와이어(400)들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걸림링(180) 중 한 개소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턴버클(420)은 와이어(400)들 각각의 단부와 와이어 후크(410)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작용 및 효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101)과, 중심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중심 프레임(101)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제1 유닛(100); 중심 프레임(101)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102) 사이(이하 '제1 섹터(S1)')와, 병렬 프레임(102)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102) 사이(이하 '제2 섹터(S2)')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제1 섹터(S1) 및 제2 섹터(S2)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301)을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며,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400)들의 상측에 차양막(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갯수를 최소화하고 복잡한 체결 구조를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 및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중 중심 프레임(101)을, 지면과 수직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제1 바(110, 110)와, 한 쌍의 제1 바(110, 110)를 서로 연결하며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120)와, 지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바(110, 110)를 받침 지지하는 몰딩 베이스부(130)를 포함하며, 제3 유닛(300)이 안착되는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제1 바(110, 110)에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와이어(400)는 한 쌍의 제1 바(110, 110) 중 일측의 제1 바(110, 110) 상부측에 연결되며, 병렬 프레임(102)은 중심 프레임(101)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복잡한 구조 설계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유닛(200)을, 제1 유닛(100) 중 중심 프레임(101) 및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양측 내, 외부에 구비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중심 프레임(101)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의 배열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수용 소켓(210)과,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수용 소켓(2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체결편(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숙련도가 없는 일반인이나 작업자라도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3 유닛(300)을, 작업 발판 프레임(301)의 내측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메시 망체(310)와, 작업 발판 프레임(30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1, 201) 각각의 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걸림 프레임(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도 안정적인 안착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숙련도가 없는 일반인이나 작업자라도 직관적으로 부품을 파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을, 몰딩 베이스부(130)에 매설되어 몰딩 베이스부(1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지지 기둥(140, 140)과, 볼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한 쌍의 제1 바(110, 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 조절부(190, 190)와,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하단부와 한 쌍의 높이 조절부(190, 190)를 상호 연결하는 사각 기둥 형상인 연결 소켓(150, 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안정적이며 중량감있는 지지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고, 몰딩 베이스부가 위치하는 하부 지면의 높낮이가 다르더라도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유닛 상호간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출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을, 연결 소켓(150, 15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제1 바(110, 110) 각각의 하단부와 한 쌍의 높이 조절부(190, 190) 각각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격 리브(151, 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정확한 체결 상태의 육안 파악이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이며 확실한 체결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심 프레임(101)과 연결된 와이어(400) 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복수의 병렬 프레임(102)과 각각 연결된 와이어(400) 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게 하며, 중심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와이어(400) 단부까지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차양막(500) 설치후 비가 내리는 경우에 경사진 차양막(500)의 구조로부터 빗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 프레임(101) 및 병렬 프레임(102)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와이어(400)들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링(180)과, 와이어(400)들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걸림링(180) 중 한 개소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후크(410)와, 와이어(400)들 각각의 단부와 와이어 후크(410)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턴버클(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중심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양막(500) 설치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시공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중심 프레임
102...병렬 프레임
110, 110...제1 바
120...제2 바
130...몰딩 베이스부
140, 140...지지 기둥
150, 150...연결 소켓
151, 151...이격 리브
160, 160...고정편
170, 170...앵커 후크
171, 171...갈퀴부
180...걸림링
190...높이 조절부
191...사용자 조작부
192...상부 볼트
193...하부 볼트
194...오른 나사 너트
195...왼 나사 너트
196...승강 몸체
197...조정핀
200...제2 유닛
201, 201...연결 프레임
210...수용 소켓
220...체결편
300...제3 유닛
301...작업 발판 프레임
310...메시 망체
320...걸림 프레임
400...와이어
410...와이어 후크
420...턴버클
500...차양막
A1...제1 어레이
A2...제2 어레이
S1...제1 섹터
S2...제2 섹터

Claims (8)

  1.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중심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중심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1 섹터')와, 상기 병렬 프레임과 이웃한 병렬 프레임 사이(이하 '제2 섹터')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섹터 및 상기 제2 섹터에 각각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부터 안착 고정되는 작업 발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들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중 상기 중심 프레임은,
    상기 지면과 수직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제1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와,
    상기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를 받침 지지하는 몰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이 안착되는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에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제1 바 중 일측의 제1 바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병렬 프레임은 상기 중심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 중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양측 내, 외부에 구비되어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중심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병렬 프레임의 배열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수용 소켓과,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 소켓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메시 망체와,
    상기 작업 발판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걸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몰딩 베이스부에 매설되어 상기 몰딩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인 한 쌍의 지지 기둥과,
    상기 한 쌍의 지지 기둥의 상부에 위치하고, 볼트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높이 조절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를 상호 연결하는 사각 기둥 형상인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연결 소켓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부 각각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병렬 프레임과 각각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중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단부까지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프레임 및 상기 병렬 프레임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들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링과,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링 중 한 개소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후크와,
    상기 와이어들 각각의 단부와 상기 와이어 후크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KR1020160163433A 2016-12-02 2016-12-02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KR20180063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33A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6-12-02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33A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6-12-02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55A true KR20180063555A (ko) 2018-06-12

Family

ID=6262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433A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6-12-02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5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23Y1 (ko) 2005-09-29 2005-12-22 권혁관 간이 천막의 프레임
KR100779941B1 (ko)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23Y1 (ko) 2005-09-29 2005-12-22 권혁관 간이 천막의 프레임
KR100779941B1 (ko) 2005-11-25 2007-11-28 윤건식 천막골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9873B2 (ja)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US20190338552A1 (en) Folding hexagonal tent
US20100108113A1 (en) Aeroelastic canopy with solar panels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1605469B1 (ko) 천막구조물
JP3225238U (ja) ガゼボテント
KR20180063555A (ko)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KR100780461B1 (ko) 아치형 캐노피
KR200386284Y1 (ko)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KR101742476B1 (ko) 몽골텐트형 조립식 천막
KR100893107B1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US5327927A (en) Tents for screening the sunlight
EP4139531B1 (en) Terrace canopy
JP5984034B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RU98455U1 (ru) Павильон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тентовый (варианты)
GB2209548A (en) Building unit with polygonal floor
KR20030096200A (ko) 경량형 안락 캐노피 하우스의 구조
US11933064B2 (en) Portable wind-resistant shade structure
EP4123109A1 (en) Portable wind resistant shade structure
KR101630431B1 (ko) 대형 차양 구조물
KR20190115816A (ko) 규격화 된 블록을 이용한 비닐 하우스 구조물과 시공법
CN204206843U (zh) 可移动遮阴结构的温室
KR200262067Y1 (ko) 이동식 차양
KR200390337Y1 (ko) 우산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KR100588983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