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423Y1 - 간이 천막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간이 천막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423Y1
KR200404423Y1 KR20-2005-0027907U KR20050027907U KR200404423Y1 KR 200404423 Y1 KR200404423 Y1 KR 200404423Y1 KR 20050027907 U KR20050027907 U KR 20050027907U KR 200404423 Y1 KR200404423 Y1 KR 200404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nt
length
frames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관
Original Assignee
권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관 filed Critical 권혁관
Priority to KR20-2005-0027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압출품을 잘라 뒤집어 끼우면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여 이를 길이 가변식 지주 또는 살대로 활용토록 한 간이 천막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천막지와, 천막지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과, 각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해주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은 제 1골조와 이보다는 큰 크기를 갖는 제 2골조로 구성되어 제 1골조와 제 2골조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 이루어진 간이 천막에 있어서, 제 2골조의 내부 둘레 크기는 제 1골조의 외부 둘레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하며, 제 1골조는 제 2골조보다 위에 위치되면서 각 골조의 중앙부가 일치되게 하여 연결대에 의해 상하로 연결하되, 연결대는 각 골조의 중앙위치에서 일측으로 편심 위치하며, 연결대로부터 반대측으로 그 편심거리 만큼 제 2골조를 개방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압출된 프레임의 중간부를 잘라 일측 프레임을 뒤집으면 각각의 프레임의 제 1골조가 제 2골조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어 하나의 압출 프레임을 가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압출 금형만으로도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을 양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천막의 프레임{Frame of simple tent}
본 고안은 간이 천막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압출품을 잘라 뒤집어 끼우면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여 이를 길이 가변식 지주 또는 살대로 활용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야외에서 체육회, 야유회 등의 행사를 주최할 경우 본부석으로 이용하거나, 햇빛 차단 및 방풍을 위해 간이 천막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간이 천막의 경우 대부분 천막지와, 천막지를 지지하는 살대와 지주로 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살대와 지주의 사이 또는 살대와 살대의 사이에는 각 살대 또는 지주를 연결해주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행사의 종류에 따라 여기에 설치되는 천막의 형태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일반적인 간이 천막은 살대와 지주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간이 천막 역시 일정한 크기 및 형태로 고정될 수밖에 없어 여러 가지 모양의 천막을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386285 호에서 야외 설치용으로서 프레임과 커넥터를 통해 천막지를 지지하는 통상의 간이 천막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조절구를 통해 복수개의 결합으로 구성하되, 그 복수개의 프레임은 서로 엇갈린 결합을 통해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골조로 구성하고, 상기 커넥터는 프레임의 탈부착을 안내하는 고정커넥터와, 그 고정커넥터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대칭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에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절첩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또 다른 프레임의 결합을 안내하는 절첩부재를 연결 구성함으로써 천막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프레임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 여러 가지 모양의 천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 386285 호에 따른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은 서로 엇갈린 결합을 통해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골조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일측 프레임의 제 1 및 제 2골조와 여기에 끼워지는 타측 프레임의 제 1 및 제 2골조의 사이즈가 다를 경우 이를 각각 별개로 제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각 프레임이 서로 끼워져 최대한 신장되었을 때 즉, 각 프레임의 지지부위가 최소가 되었을 때에도 강한 지지력을 유지해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며, 각 프레임의 길이를 조정한 후 이들 사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다양한 장치도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프레임을 서로 크기가 다른 제 1골조와 제 2골조로 구성하되, 제 2골조의 내부 둘레 크기는 제 1골조의 외부 둘레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하며, 제 1골조와 제 2골조의 중앙부가 수직상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제 1골조와 제 2골조를 연결하는 연결대는 일측으로 편심 위치시키며, 연결대로부터 반대측으로 그 편심거리 만큼 제 2골조를 개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구조의 압출 프레임을 잘라 둘 중 하나를 180°회전시키면 일측 프레임의 제 1골조 및 제 2골조가 타측 프레임의 제 2골조 및 제 1골조에 미끄럼접촉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어 하나의 프레임으로 된 길이가변식 프레임을 이룰 수 있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간이 천막은 천막지(미도시)와, 천막지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100)과, 각 프레임(100)의 사이를 연결해주는 커넥터(미도시)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0)은 제 1골조(110)와 이보다는 큰 크기를 갖는 제 2골조(120)로 구성되어 제 1골조(110)와 제 2골조(120)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프레임(100)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골조(120)의 내부 둘레 크기는 제 1골조(110)의 외부 둘레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하며, 제 1골조(110)는 제 2골조(120)보다 위에 위치되면서 각 골조(110)(120)의 중앙부가 일치되게 하여 연결대(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하되, 연결대(130)는 각 골조(110)(120)의 중앙위치에서 일측으로 편심 위치하며, 연결대(130)로부터 반대측으로 그 편심거리 만큼 제 2골조(120)를 개방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연결대(130)의 중간에는 제 2골조(120)의 외벽과 밀착되는 접촉돌기(140)를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천막의 프레임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압출하여 구성하게 되며, 제 1골조(110)의 외부둘레 크기보다 제 2골조(120)의 내부둘레 크기가 크거나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출된 프레임(100)의 중간부를 잘라 일측 프레임(100)을 뒤집으면 각각의 프레임(100)의 제 1골조(110)가 제 2골조(120)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어 하나의 프레임(100)만을 사용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골조(110)가 제 2골조(120)의 안쪽으로 삽입될 때 연결대(13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140)가 제 2골조(120)의 외벽과 밀착되므로 각 프레임(100)간 접촉부위가 많아짐은 물론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서로 끼워진 각 프레임(100)을 신장시켜 이들 사이의 접촉부위가 작아지더라도 각 프레임(100)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원활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나의 프레임(100)을 잘라 뒤집어 끼워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100)을 형성할 때에는 각각의 골조(110)(120) 사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는 잠금장치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잠금장치로 도 4a와 같이 볼트(150)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4b와 같이 편심레버(160)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c와 같이 제 2골조(120)에는 다수의 고정홀(121)을 형성하며, 제 1골조(110)에는 하나의 고정홀(111)을 형성하고, 제 1골조(111) 내측에서부터 제 2골조(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고정편(170)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제 1골조(110)와 제 2골조(120)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가변식 프레임(100)은 견고함을 갖춘 것이므로 간이 천막의 지주 또는 살대에 적용하게 되면 천막지를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것이며, 또 길이조절이 자유로워 어떠한 모양의 천막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제 1골조(110)와 제 2골조(120)의 형상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감안하여 각이 진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한데,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제 1골조(110)가 제 2골조(120)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골조의 외부둘레 크기보다 제 2골조의 내부둘레 크기가 크거나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압출된 프레임의 중간부를 잘라 일측 프레임을 뒤집으면 각각의 프레임의 제 1골조가 제 2골조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어 하나의 압출 프레임을 가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압출 금형만으로도 길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을 양산할 수 있는 것이고, 각 프레임을 서로 삽입할 때 접촉돌기가 제 2골조의 외벽과 밀착되어 각 프레임간 접촉부위가 늘어나게 되므로 각 프레임을 서로 신장시켜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다소 작아지더라도 각 프레임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길이가변이 자유로우면서도 보다 견고한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천막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천막용 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천막용 프레임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천막용 프레임의 잠금장치 설명도로서,
도 4a는 잠금장치로서 볼트가 사용된 경우.
도 4b는 잠금장치로서 편심레버가 사용된 경우.
도 4c는 잠금장치로서 탄성 고정편이 사용된 경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110 : 제 1골조
111,121 : 고정홀 120 : 제 2골조
130 : 연결대 140 : 접촉돌기
150 : 볼트 160 : 편심레버
170 : 탄성 고정편

Claims (2)

  1. 천막지와, 상기 천막지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100)과, 상기 각 프레임(100)의 사이를 연결해주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은 제 1골조(110)와 이보다는 큰 크기를 갖는 제 2골조(12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골조(110)와 상기 제 2골조(120)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 이루어진 간이 천막에 있어서,
    상기 제 2골조(120)의 내부 둘레 크기는 상기 제 1골조(110)의 외부 둘레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골조(110)는 상기 제 2골조(120)보다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각 골조(110)(120)의 중앙부가 일치되게 하여 연결대(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대(130)는 상기 각 골조(110)(120)의 중앙위치에서 일측으로 편심 위치하며, 상기 연결대(130)로부터 반대측으로 그 편심거리 만큼 상기 제 2골조(120)를 개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30)의 중간에는 상기 제 2골조(120)의 외벽과 밀착되는 접촉돌기(14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KR20-2005-0027907U 2005-09-29 2005-09-29 간이 천막의 프레임 KR200404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07U KR200404423Y1 (ko) 2005-09-29 2005-09-29 간이 천막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07U KR200404423Y1 (ko) 2005-09-29 2005-09-29 간이 천막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423Y1 true KR200404423Y1 (ko) 2005-12-22

Family

ID=3900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07U KR200404423Y1 (ko) 2005-09-29 2005-09-29 간이 천막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4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02B1 (ko) * 2010-05-17 2010-11-09 권혁관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KR101222385B1 (ko) * 2010-11-02 2013-01-15 권혁관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KR101272887B1 (ko) * 2011-10-19 2013-06-11 이상수 낙하물 방지망 및 방지공 설치 브라켓
KR101443555B1 (ko) * 2014-01-06 2014-09-22 허완규 이동식 초소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8-06-12 이건영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02B1 (ko) * 2010-05-17 2010-11-09 권혁관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WO2011145845A2 (ko) * 2010-05-17 2011-11-24 Kwon Hyuk Kwan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WO2011145845A3 (ko) * 2010-05-17 2012-03-22 Kwon Hyuk Kwan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KR101222385B1 (ko) * 2010-11-02 2013-01-15 권혁관 조립식 건물의 벽면구조
KR101272887B1 (ko) * 2011-10-19 2013-06-11 이상수 낙하물 방지망 및 방지공 설치 브라켓
KR101443555B1 (ko) * 2014-01-06 2014-09-22 허완규 이동식 초소
KR20180063555A (ko) 2016-12-02 2018-06-12 이건영 간이행사장용 천막 설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423Y1 (ko) 간이 천막의 프레임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JP4052247B2 (ja) キャノピーの構造
CA2895981A1 (en) High-ceiling tent frame
US4966178A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5002112A (en) Suspension and actuation systems for specialty window shades
US8186369B2 (en) Collapsible shelter
CN104932619B (zh) 平板电子设备的保护支撑装置
US9273484B2 (en) Collapsible enclosure with outer shell
MX2019012063A (es) Carpa hexagonal plegable.
CA2704291A1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foldable tent or awning
CA2220716A1 (en) Arched venetian blind with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slats
US20140360125A1 (en) Truss Hinge with Angular Variability
JP2006316499A (ja) パーティション
CN204645822U (zh) 可折叠帐篷架及可折叠帐篷
KR101555705B1 (ko) 차양 장치
KR102024632B1 (ko) 관절형 이동통신 안테나 고정용 브라켓
KR200389739Y1 (ko) 파라솔용 지주의 각도조정장치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CN210672981U (zh) 一种可调式三角托架
CN209443881U (zh) 一种帐篷顶杆调节机构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289419Y1 (ko) 천막용 차양막
US20180163448A1 (en) Folding apparatus of folding door with three sides
CN210621251U (zh) 晾晒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