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834B1 -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834B1
KR102279834B1 KR1020210043759A KR20210043759A KR102279834B1 KR 102279834 B1 KR102279834 B1 KR 102279834B1 KR 1020210043759 A KR1020210043759 A KR 1020210043759A KR 20210043759 A KR20210043759 A KR 20210043759A KR 102279834 B1 KR102279834 B1 KR 10227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plasma
unit
hair car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주)이지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템 filed Critical (주)이지템
Priority to KR102021004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10Treatment of gases
    • H05H2245/15Ambient air; Ozoni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는,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 제1 프로브 또는 제2 프로브에 구비되어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가 동작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센서부가 미작동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Hair Care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세라믹 패드를 부착하고 해당 부분에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보습력을 강화하려는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데기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머리카락을 손질하여 가지런히 펼치거나 부분적인 웨이브를 형성하거나 컬(curl)을 형성하여 헤어스타일을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하여 미용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미용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고데기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형성하면서 집게 형상으로 배치되어 일측이 선택적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레버와, 이 레버의 내면상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고데기는 상, 하 가열판을 벌린 상태에서 이들 가열판 사이에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위치시킨 후 압착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당기면 머리카락이 열에 의해 변형되면서 소정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수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헤어 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고데기는 단순히 가열판을 가열하여 모발을 손질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은 가능하지만 모발의 윤기나 탄력을 보강하기 위한 용도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9041호(2013.02.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8571호(2017.07.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2183호(2016.07.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9947호(2020.07.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세라믹 패드를 부착하고 해당 부분에 DBD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보습력을 강화하려는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는,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 또는 상기 제2 프로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작동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로브 및 상기 제2 프로브는 DBD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세라믹 전극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어관리장치는, 상기 자동 제어 및 상기 수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센서부를 동작시켜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가 지정 거리에 있을 때 상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상기 지정 거리를 벗어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헤어관리장치는, 상기 제2 프로브의 일측으로 구성되는 앰플 토출부, 및 상기 앰플 토출부에서 앰플이 토출될 때 가동하는 팬(fan)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앰플 토출부 및 상기 팬을 함께 동작시켜 오존에 의한 유해 성분을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앰플 토출부는 상기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기 위한 피톤치드 물질이 담긴 피톤치드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극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프로브 또는 상기 제2 프로브에 구비되는 센서부가,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및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작동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생된 플라즈마가 모발을 둘러싸고 있는 지질과 단백질의 생체막을 분리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플라즈마로 야기된 산소 음이온이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도달되면 친수성이 되어 모발의 수분 함유가 증가되며, 이렇게 모발에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모발의 갈라짐이나 끊김의 현상이 예방되고 윤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혹은 레버, 프레임) 한쪽에 근접센서를 부착하여 프로브 부분이 서로 맞물림 상태가 되었을 때 자동으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형태의 앰플을 장착하여 자동으로 전극 사이에 토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DBD 플라즈마로 인해 발생되는 오존이 인체에 흡수되어 위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톤치드나 기타 전용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에 의한 독성을 분해하여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다른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0은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0017]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90)는 본체부(혹은 프레임)를 구성하는 제1 프로브(101) 및 제2 프로브(103),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센서부(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헤어관리장치(90)가 구성되거나, 센서부(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프로브(101, 103)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프로브(101) 및 제2 프로브(103)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집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벌어져 있는 제1 프로브(101) 및 제2 프로브(103)의 타측을 사용자가 오므리고 벌리면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집게 형태로 벌어졌다 붙었다 하는 일측면으로는 세라믹과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패드 즉 전극부(101a, 103a)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세라믹 이외에도 다양한 도전성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부(101a, 103a)는 구동부(120)의 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에 따라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게 된다. 세라믹 패드 표면의 한쪽에 DBD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서 그 발생된 플라즈마가 모발을 둘러싸고 있는 지질과 단백질의 생체막을 분리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한다. 또한 플라즈마로 야기된 산소 음이온이 머리카락과 피부에 도달되면 친수성이 되어 모발의 수분 함유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모발에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모발의 갈라짐이나 끊김의 현상이 예방되고 윤기를 유지할 수 있다.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 외의 제4의 물질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고전압 방전을 기반으로 아크(arc) 유도를 통해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도록 전류값을 수 mA 이하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피부 치료용 레이저와 유사한 작용으로 피부에 유도하게 되면 승화(sublimation) 작용에 의해 피부의 표피 부분의 치료 및 성형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발에 적용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보습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후에 좀더 다루겠지만,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는 외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부에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정확하게는 구동부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센서부(110)는 도 1에서 볼 때, 제2 프로브(103)의 프레임상에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12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느냐 혹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느냐에 따라 센서부(110)가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헤어관리장치(9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센서부(110)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동작한다. 반면 사용자가 자동으로 헤어관리장치(9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센서부(110)가 가동하여 감지 신호를 구동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제2 프로브(103) 즉 프레임상에 구성되므로 제1 프로브(101)가 근접해 볼 때 이를 감지한 감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로부터 광을 출력하고, 제1 프로브(101)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수광하는 광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사용하여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구동부(120)는 제1 프로브(101)나 제2 프로브(103)의 내부에 구성되는 PCB 등 다양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CPU, MPU, 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명령을 다양한 형태로 수신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생성하는 플라즈마 생성부나. 기생성된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구동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 동작을 수행하게 될 때 센서부(110)를 동작시켜 센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판단한다. 물론 구동부(120)는 자동 동작 요청이 있을 때 센서부(110)의 회로를 온(ON)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플라즈마 발생부를 제어하여 전극부(101a, 103a)로 고전압이 출력되어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부(110)의 감지 신호가 미감지되면 또는 감지 신호를 판단한 결과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발생부를 턴오프시켜 플라즈마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가 자동 동작할 때, 사용자가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를 가깝게 유지하여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게 되는 경우 플라즈마 발생되어 모발의 갈라짐이나 끊김을 막을 수 있고, 또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지게 되면 플라즈마 발생이 차단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센서부(110)의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가깝게 유지되는지 떨어지는지를 판단하여 이루어진다.
반면 수동 동작하는 경우에는 센서부(110)의 회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10)는 미동작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를 가깝게 유지한 상태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거나 하는 동작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 또는 수동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가깝게 유지되는지 아니면 떨어지든지에 관계없이 항시 플라즈마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 동작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구동부(12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버튼들을 제1 프로브(101)의 외부로 형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버튼(123a)이 구성될 수 있고, LED 지시등(12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버튼(123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버튼(123c)을 통해 자동이나 수동 동작의 제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도 2에서와 같은 헤어관리장치(90')의 세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바디(200a, 200b), 상부 커버(210a), 하부 내측 커버(210b), 상부 내측 커버(210c), 전원부 PCB(220), 포토 센서(송수신부)(221), 메인 PCB(230), 세라믹 패드(221, 231), 전원 버튼(232), 기능 버튼(233), 충전 배터리(234), LED 윈도우(235), 센서 윈도우(236), 상하부 스프링(237)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제1 프로브(101)는 도 2에서 볼 때, 상부 바디(200a)를 기준으로 일측에서는 메인 PCB(230), 세라믹 패드(231), 전원 버튼(232) 및 기능 버튼(233), 충전 배터리(234), 그리고 상부 내측 커버(210c)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디(200a)의 타측에서는 상부 커버(210a)와 LED 윈도우(235)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의 제1 프로브(101)의 조립이 완성된다. 여기서, 메인 PCB(230)는 헤어관리장치(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회로부로서 C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도 1에서의 제2 프로브(103)는 도 2에서 볼 때, 하부바디(200b), 그 하부바디(200b)의 내부로 실장되는 전원부 PCB(220), 또 그 일측에 구비되는 세라믹 패드(2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부 PCB(220)를 덮는 하부 내측 커버(210b)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포토센서(221)의 부위를 덮는 센서 윈도우(236)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서로 근접하고 떨어질 때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가령 사용자에 의해 프로브가 오므려질 때 가압이 없으면 자동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스프링(247)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 PCB(22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부(예: 생성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압은 메인 PCB(230)상의 전자 회로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메인 PCB(230)와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포토센서(22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성함으로써 발광부를 통해서는 광이 출력되도록 하고, 출력된 광은 제1 프로브(101)의 일측면에 반사되어 다시 수광부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시간 대비 입력 시간을 계산하여 즉 Δt를 계산하여 이를 근거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거리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면 속도가 계산되므로,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계산 결과를 근거로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2의 헤어관리장치(90')는 다양한 구성 및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기구적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면,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은 헤어관리장치(190)를 구성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발생부(300), 제어부(310), 헤어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헤어관리장치(190)가 구성되거나, 헤어관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플라즈마 발생부(30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부, 전극부로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출력하는 플라즈마 출력부, 그리고 플라즈마 출력부로 플라즈마 즉 고전압을 생성해 제공하는 즉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다만, 플라즈마 발생부(33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 프로브(101) 및 제2 프로브(103)에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헤어관리장치(190)를 구성하는 플라즈마 발생부(300), 헤어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헤어관리장치(190)의 자동 또는 수동 동작 요청이 있을 때 센서부(330)를 동작시키거나 미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부(330)가 동작하면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플라즈마 발생부(300)에서 플라즈마 발생되고 차단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지시는 헤어관리부(320)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제어부(310)는 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반면, 제어부(310)는 수동 동작 요청이 있을 때, 센서부(330)의 동작에 따른 감지 결과를 무시하거나, 해당 센서부(330)의 동작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센서부(330)로 연결되는 경로에 FET 소자와 같은 스위칭소자를 구성하고 이를 제어하여 온/오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동 동작에서 센서부(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제어부(310)의 외부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플라즈마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 버튼이 선택될 때 수동으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상시적으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헤어관리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이 해당 프로그램에 코딩 또는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도 3의 헤어관리장치(190)의 자동 동작과 수동 동작이 그 예이다. 사용자로부터 자동 동작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신호를 근거로 기설정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부(31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에 따라 센서부(330)를 턴온 동작시키고,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플라즈마 발생부(3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수동 동작 요청이 있으면 헤어관리부(320)는 이에 대한 요청을 근거로 제어부(310)에 요청하여 센서부(330)가 미동작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센서부(330)의 경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예: FET, TR 등)를 제어하여 경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이다. 이후 헤어관리부(32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버튼의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기능 버튼에 설정되어 있는 방식에 따라 플라즈마 발생부(300)가 동작하도록 제어부(310)에 동작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로서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이란 도 1에서 볼 때, 헤어관리장치(90)를 구성하는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근접하는가를 감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물론 그 거리는 기준값으로서 기설정될 수도 있다. 광센서의 경우에는 광량이나 광의 수신 여부를 근거로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 동작 요청시에만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도 1의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가 근접할 때는 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기준 거리를 벗어날 때는 감지 신호를 미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근접할 때와 기준 거리를 벗어날 때 모두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만 감지 신호의 센싱값은 다를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센서부(330)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저장부(340)에 저장한 후 출력하여 헤어관리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플라즈마 발생부(300), 제어부(310), 헤어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을,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해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헤어관리장치(19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에 헤어관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은 헤어관리장치(290)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크게 사용자의 헤어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브(400)와 프로브(4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400)는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는 일측을 고정하여 집게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프로브에는 제1 세라믹 전극(401)이 구성될 수 있고, 제2 프로브에는 제2 세라믹 전극(403)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로브에는 LED(407)가 구성되어 플라즈마 발생시에 이의 상태를 외부로 보여줄 수 있다. 나아가 제2 프로브에는 근접센서(405)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410)는 제1 프로브나 제2 프로브의 케이스 또는 커버 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10)는 프로브(400)에 구성되는 세라믹 전극(401, 403), 근접센서(405), 그리고 LED(407)를 동작시킨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410)는 플라즈마 출력부(411), 플라즈마 생성부(412), MCU(Micro Controller Unit)(413), 전원 제어부(414), 전원스위치(415), 충전배터리(416), 기능스위치(417) 및 충전 아답터(41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MCU(413)는 제어부로서 기능 스위치(417)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근접센서(405)를 자동 또는 수동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능 스위치(417)는 플라즈마 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근접센서(405)에서는 프로브 맞물림 상태를 감지한 뒤, 플라즈마를 자동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MCU(413)는 기능 스위치(417)의 신호에 따라 근접센서(40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생성부(412) 및 플라즈마 출력부(411)는 MCU(41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MCU(413)는 근접센서(405)의 감지 신호에 따라 플라즈마 생성부(412) 및 플라즈마 출력부(411)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 동작시킨다. MCU(413)는 근접센서(405)의 동작에 따라 프로브가 서로 맞물린다고 판단되면, 플라즈마가 출력되도록 하고, 떨어지면 플라즈마의 출력을 중단한다. 플라즈마 생성부(412)에서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DBD 플라즈마가 세라믹 전극에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DBD 플라즈마가 인가될 때 발생하는 유해성분인 오존은 피톤치드나 오존 분해 물질을 모발에 도포하여 유해성분을 분해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플라즈마 출력부(411)는 릴레이와 같은 고전압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 볼 때 지정된 플라즈마 세기로 설정되어 MCU(413) 즉 제어부의 기본 구동 펄스가 (풀 브리지) 드라이브 IC를 구동하게 되고, IC에 집적화된 FET 소자가 제어되어 고압 트랜스에 의해 고전압 펄스가 생성되게 된다.
LED(407)는 동작 상태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해 주며, 전원은 7.4V, 500mAh 용량의 리튬폴리머 충전 배터리(416)에 의해 공급되며, 전원 버튼이 눌려지면 FET 소자에 의해 전원이 투입 및 제어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4의 헤어관리장치(2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헤어관리장치(90)의 제1 프로브(101) 및 제2 프로브(103)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극(101a, 103a)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S500). 여기서 전극(101a, 103a)은 세라믹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헤어관리장치(90)는 제1 프로브(101) 또는 제2 프로브(103)에 구비되는 센서부(110)가 제1 프로브(101)와 제2 프로브(103)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다(S510). 여기서 센서부(110)는 근접 센서로서 광센서 등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센서부(110)가 동작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센서부(110)가 미작동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한다(S520). 다시 말해, 센서부(110)는 헤어관리장치(90)의 자동 및 수동 동작을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10)가 동작할 때는 자동 동작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센서부(110)의 동작에 따라 감지 신호를 근거로 플라즈마의 발생 여부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의 헤어관리장치의 다른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90)는 전원 스위치를 ON 하면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600).
또한, 헤어관리장치(90)는 근접 센서를 확인해서 헤어 스무더 즉 헤어관리장치(90)의 양단이 적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고전압을 인가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S610, S620, S630). 이때, 플라즈마의 발생 여부를 확인해주고 알려주는 LED가 ON 된다(S620).
나아가, 헤어관리장치(90)는 근접센서가 떨어지면 플라즈마 발생을 멈춘다(S615).
전원 스위치로 전원을 끄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OFF 된다(S611, S612, S613).
사용 도중이라도 전원버튼을 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원이 OFF 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관리장치(390)는 제1 프로브(701)와 제2 프로브(702), 카트리지(710), 벤트 홀 및 팬(FAN)(720) 등을 포함하며, 제1 프로브(701)와 제2 프로브(702)의 내부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다만 도 7에서는 카트리지(710)와 벤트 홀 및 팬(720)을 통해 오존을 억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1 프로브(701)와 제2 프로브(701)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극(701a), 가령 세라믹 패드 또는 전극을 통해 플라즈마가 발생될 때 카트리지(710)와 벤트 홀 및 팬(720)이 동작할 수 있다.
가령 카트리지(710)에는 피톤치드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피톤치드가 벤트 홀 및 팬(720)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지점, 가령 전극 사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전극 사이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이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어관리장치(390)는 DBD 플라즈마로 인해 발생되는 오존이 인체에 흡수되어 위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톤치드나 기타 전용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에 의한 독성을 분해하여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카트리지 형태의 앰플을 장착하여 자동으로 전극(701a) 사이에 토출되도록 한다.
도 7에서는 카트리지(710)가 제2 프로브(703)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카트리지 고정버튼(711)을 통해 카트리지 케이스를 외부로 돌출시켜 카트리지의 교환 후에는 다시 제2 프로브(703)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 등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의 제1 프로브(701)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 바디(800a), 상부 내측 커버(810a), 상부 패널(820a), 메인 PCB(840), 상부 세라믹 패드(850a), 충전 배터리(8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힌지캡(811, 815)), 상하부 힌지(813), 상하부 스프링(817), 전원버튼(821), LED 윈도우(822) 등을 포함한다. 상부 바디(800a)의 내부에는 메인 PCB(840)나 충전 배터리(860) 등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부 내측 커버(810a)에는 상측 세라믹 패드(850a)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PCB(840)는 도 8의 헤어관리장치(390')를 제어하기 위한 MPU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도 7의 제2 프로브(703)는 도 8에서와 같이 하부 바디(800b), 하부 내측 커버(810b), 하부 패널(820b), 전원부 PCB(830), 카트리지(870) 및 피톤치드 심재(8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세라믹 패드(850b)는 하부 내측커버(810b)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 PCB(830)는 일측으로 마이크로 팬(83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하부 바디(800b)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 패널(820b)은 카트리지(87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 PCB(830)는 광센서와 같은 근접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팬(831)에는 팬 필터(83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8의 헤어관리장치(390')는 다양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헤어관리장치(90) 및 도 2의 헤어관리장치(90')를 통해서도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9는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프로브와 구동부(9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를 포함하며, 제1 프로브에는 제1 세라믹 전극(901)을 구비하고 제2 프로브에는 제2 세라믹 전극(90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9의 헤어관리장치(490)는 제1 프로브(또는 제2 프로브)상에 카트리지(9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브에는 근접센서(90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910)는 LED(911), 팬(912), 앰플 감지센서(913), 플라즈마 출력부(914), 플라즈마 생성부(915), MCU(916), 전원제어부(917), 전원스위치(918), 충전배터리(919) 및 충전 아답터(9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앰플 감지센서(913)는 앰플 카트리지(900)가 장착되거나 교체될 때 이를 감지하여 가령 MCU(916) 등으로 통지할 수 있다. 전원은 7.4V, 500mAh 용량의 리튬폴리머 충전 배터리(919)에 의해 공급되며, 전원 버튼이 눌려지면 FET 소자에 의해 전원이 투입 및 제어된다. 피톤치드 등의 테르펜 계열의 오일을 카트리지 형태로 장착하면, 앰플 장착 감지센서(913)가 동작하여 카트리지 장착 여부를 확인한다. MCU(916)는 근접 센서(905)를 통해 프로브 맞물림 상태를 감지한 뒤, 팬(912)을 동작시켜 세라믹 전극(901, 903) 사이에 도포되도록 한다. 플라즈마 생성부(915)에서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DBD 플라즈마가 세라믹 전극(901, 903)에서 발생되도록 한다. LED(911)는 동작 상태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9의 헤어관리장치(4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도 4를 통해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자동 또는 수동 동작이 그 좋은 예이다.
도 10은 도 7의 헤어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을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전원 스위치를 ON 하면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1000).
또한, 헤어관리장치(390)는 근접 센서를 확인해서 적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팬을 구동해서 앰플을 자동으로 토출시킨다(S1010, S1020).
순차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S1030, S1040).
플라즈마의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LED 가 ON된다(S1030).
나아가, 헤어관리장치(390)는 근접센서가 떨어지면 플라즈마 발생과 팬 동작을 멈춘다(S1015).
전원 스위치로 전원을 끄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OFF된다(S1011 ~ S1013).
사용 도중이라도 전원버튼을 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원이 OFF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헤어관리장치(3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701: 제1 프로브 103, 703: 제2 프로브
101a, 103a: 전극부 110, 330: 센서부
120: 구동부 300: 플라즈마 발생부
310: 제어부 320: 헤어관리부
340: 저장부 710, 870, 900: (앰플) 카트리지
711: 고정버튼 720: 벤트 홀 및 팬

Claims (7)

  1.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 또는 상기 제2 프로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작동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2 프로브의 일측으로 구성되는 앰플 토출부; 및
    상기 앰플 토출부에서 앰플이 토출될 때 가동하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앰플 토출부 및 상기 팬을 함께 동작시켜 오존에 의한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는 헤어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브 및 상기 제2 프로브는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세라믹 전극을 각각 구비하는 헤어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 및 상기 수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센서부를 동작시켜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는 헤어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가 지정 거리에 있을 때 상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상기 지정 거리를 벗어날 때 플라즈마의 발생을 차단시키는 헤어관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토출부는 상기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기 위한 피톤치드 물질이 담긴 피톤치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헤어관리장치.
  7. 사용자의 헤어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극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프로브 또는 상기 제2 프로브에 구비되는 센서부가,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작동할 때 상기 플라즈마의 발생을 수동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가 동작할 때 상기 제2 프로브의 일측으로 구성되는 앰플 토출부 및 상기 앰플 토출부에서 앰플이 토출될 때 가동하는 팬을 함께 동작시켜 오존에 의한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043759A 2021-04-05 2021-04-05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7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59A KR102279834B1 (ko) 2021-04-05 2021-04-05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59A KR102279834B1 (ko) 2021-04-05 2021-04-05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834B1 true KR102279834B1 (ko) 2021-07-21

Family

ID=7714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759A KR102279834B1 (ko) 2021-04-05 2021-04-05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83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041A (ko) 2011-08-16 2013-02-26 정시출 플라즈마를 이용한 헤어드라이기
KR101642183B1 (ko) 2014-06-23 2016-07-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머리 빗
KR101657895B1 (ko) * 2015-05-14 2016-09-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패드
KR101758571B1 (ko) 2016-08-19 2017-07-14 주세현 스팀 헤어 고데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KR102139947B1 (ko) 2018-11-07 2020-07-31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두피 관리 장치
KR20210019231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지씨에스 두피 마사지기
KR20210035852A (ko) * 2018-07-31 2021-04-01 로레알 피부로부터 이격되어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과 연관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041A (ko) 2011-08-16 2013-02-26 정시출 플라즈마를 이용한 헤어드라이기
KR101642183B1 (ko) 2014-06-23 2016-07-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머리 빗
KR101657895B1 (ko) * 2015-05-14 2016-09-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패드
KR101758571B1 (ko) 2016-08-19 2017-07-14 주세현 스팀 헤어 고데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KR20210035852A (ko) * 2018-07-31 2021-04-01 로레알 피부로부터 이격되어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과 연관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139947B1 (ko) 2018-11-07 2020-07-31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두피 관리 장치
KR20210019231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지씨에스 두피 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1382B2 (ja) 高周波美容処理装置
KR102363337B1 (ko) 개량 헤어드라이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020958B2 (ja) 電動式体毛除去装置
US20150144610A1 (en) Hair iron controlled by usage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99516B1 (en) Skin treatment apparatus with adaptive motion feedback
KR102279834B1 (ko) 헤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14103412A1 (ja) 美容システム
EP2759316A2 (en) Apparatus for irradiating skin using light
JP2006527005A (ja) 超音波付与スキンケア装置
KR102287036B1 (ko) 피부 미용기기
US20140207211A1 (en) Apparatus for Irradiating Skin Using Light
KR20200002129A (ko)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TWI505793B (zh) 透過一皮膚壓力之偵測而操作的振動化妝品容器
KR20130012424A (ko) 헤어 미용기구
KR101662674B1 (ko) 동작 및 접촉에 의해 제어되는 헤어아이론 제어방법
CN116999691A (zh) 美容仪及其输出控制方法、美容装置及存储介质
KR101241513B1 (ko) 매니큐어 광택 건조기
KR20090037543A (ko) 휴대용 피부미백 노화개선을 위한 아이피엘 광선치료기
KR20110002760A (ko) 다기능 헤어장치
CN115400250A (zh) 消毒方法与消毒设备
KR101616913B1 (ko) 휴대전자기기 살균케이스
JP2001314473A (ja) 超音波美顔器
KR102406468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기기
KR101910861B1 (ko) 피부용 전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643331B1 (ko) 동작감지에 의해 제어되는 헤어아이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