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770B1 -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770B1
KR100735770B1 KR1020060003395A KR20060003395A KR100735770B1 KR 100735770 B1 KR100735770 B1 KR 100735770B1 KR 1020060003395 A KR1020060003395 A KR 1020060003395A KR 20060003395 A KR20060003395 A KR 20060003395A KR 100735770 B1 KR100735770 B1 KR 10073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oking
deodorizing
roaster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812A (ko
Inventor
가즈나리 이마모또
마사유끼 아오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6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90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50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379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8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24C15/205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with means for oxidation of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가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탈취 촉매에 전하고, 그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어 탈취 촉매의 교환이 용이하고, 또한 탈취 촉매의 교환에 의한 탈취, 탈연 성능의 저하가 없는 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로스터 장치(107)의 조리실(152)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121)의 내부에 탈취 촉매(124, 125)를 배치하여 폐쇄 공간(126)을 구성하여, 그 폐쇄 공간(126)의 내부에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를 배치한다. 탈취 촉매(226)는 배기 덕트(221)에 제공한 개구부(223)로부터 출입한다.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로스터 장치, 배기 덕트, 탈취 촉매, 냉각 팬

Description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ROASTER AND HEATING COOKER}
도1은 본 발명의 제A1 실시예를 적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는 도1의 유도 가열 조리기를 조립한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탑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의 (a)는 도1의 유도 가열 조리기를 그 커버 부재를 제거하고 도시하는 평면도, (b)는 그 로스터 장치의 전방 부분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4는 도2의 유도 가열 조리기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5는 로스터 장치에 관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
도6은 로스터 장치의 그 제어 회로에 의한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로스터 장치의 조리 운전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8은 본 발명의 제A2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A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B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11은 제A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2는 제A3 실시예의 가열 조리 시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도13은 본 발명의 제B2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B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5는 제1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16은 제2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17은 제3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유도 가열 조리기
107 : 로스터 장치
109, 110 : 유도 가열 코일
111 : 복사식 히터
118a : 냉각 팬
124, 125, 226, 243, 244 : 탈취 촉매
126 : 폐쇄 공간
127, 227, 242 :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128 : 탈취 히터 온도 센서
133 : 제어 회로
134 : 로스터 온도 센서
139 : 통지 표시부
140 : 통지 부저
156 : 상부 히터
157 : 하부 히터
201 : 조리실
221 : 배기 덕트
221a : 횡연장부
221b : 종연장부
223, 251 : 개구부
230, 231 : 단열재
234, 241, 252 : 유닛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2521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208359호 공보
본 발명은 가열을 행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ventilation duct)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로스터(roaster) 및 그 로스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 덕트에 탈취 촉매를 설치한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15는 조리실 내에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악취 물질의 분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로스터의 일 종래예(제1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즉, 도면 중 좌측에 로스터의 도어(151)가 있어, 조리실(152)에 조리 물(153)을 출입한다. 조리실(152)의 후방측 천정면에는 탈취 촉매(154) 및 상기 촉매(154)를 활성화하기 위한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heater)(15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실(15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리 가열 히터 중 그 상부 히터(upper heater)(156) 및 하부 히터(lower heater)(157)에 의해 석쇠(158)에 적재된 조리물(153)의 가열을 행하면, 자연 대류에 의해 도어(151)측으로부터 흡기된 외기는 조리실(152)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와 함께 탈취 촉매(154)를 경유하여 배기 덕트(159)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하부 히터(157)의 하방에는 로스터 용기(18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히터(156)의 상방에는 2매의 차열판(160a, 160b)이 배치되어 있고, 배기 덕트(159)의 상방에도 차열판(16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55)에 의해 조리물(153)의 후단부측의 일부가 가열될 우려가 있어, 그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차열판(162)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실(152)의 천정판부(152b)의 최후부에는 배기구(19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기구(190)에 배기 덕트(159)가 연속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152)에서의 피조리물(153)을 가열 조리함으로써 발생한 연기 등을 그 배기구(190)로부터 배기 덕트(159)를 통해 외부로 배출(배기)한다. 또한, 배기 덕트(159)의 수평 덕트는 하부판(159a), 상부판(159b) 및 좌우의 측판으로 구성되어 그 상부판(159b)을 고정하고 있는 부착 나사(159c)를 떼어냄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덕트(159)의 배기구(190) 근방의 내부에는 탈취 촉매(1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탈취 촉매(154)에 의해 배기구(190)로부터 배기 덕트(159)를 통과하는 배기 중으로부터 냄새, 연기를 제거한다. 또한, 탈취 촉매(154)의 바로 아래에는 탈취 촉매(154)를 활성화하기 위한 상부 히터(15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부 히터(156)의 바로 아래에는 차열판(162)이 설치되어 상부 히터(156)의 열로 피조리물(153)을 과열하는 것을 그 차열판(162)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15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25210호 공보
또한, 도16은 조리실(152)의 배면측에 팬(fan)(163)이 배치되는 수평 덕트(164)를 설치하여 팬(163)으로부터 흡기한 연기를 배기 덕트(165)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로스터의 별도의 종래예(제2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수평 덕트(164) 내에 있어서의 팬(163)의 전방에는 탈취 촉매(166)가, 예를 들어 3매 중첩되어 상하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고, 그 탈취 촉매(166)의 전방에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6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실(152)과 수평 덕트(164) 사이는 마찬가지로 차열판(168)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또한, 차열판(168)이 수평 덕트(164)의 입구를 밀폐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임]. 수평 덕트(164)의 상방에는 단열재(169)와, 수평 덕트(164) 및 배기 덕트(165)에 걸쳐서 차열판(17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7은 도16에 나타내는 제2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조리실(152)의 배면측에 팬(171)이 배치되는 수평 덕트(172)를 설치하여 팬(171)으로부터 흡기한 연기 를 배기 덕트(173)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로스터의 또 다른 종래예(제3 종래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팬(171)의 전방에는 탈취 촉매(174) 및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75)가 배치되어 있지만,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75)는 탈취 촉매(174)의 전방측과 후방측(각각 도17 중 좌방측, 우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탈취 촉매(174)는 이들 사이에 협지되도록 하여 상하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 덕트(172)의 상방에도 단열재(176)와 차열판(17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16이나 도17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208359호 공보
그러나, 도16에 나타내는 제2 종래예에서는 탈취 촉매(166)가 3매 중첩되어 있으므로, 후방측의 탈취 촉매(166)에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67)의 열이 전해 지기 어려워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 그로 인해, 후방측의 탈취 촉매(166)가 막힘을 일으키기 쉽고, 막힘이 발생하면 배기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17에 나타내는 제3 종래예에서는 탈취 촉매(174)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75)가 발생한 열의 일부는 탈취 촉매(174)의 활성화에 기여하지 않고 방산되므로, 마찬가지로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가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탈취 촉매에 전하고, 그 활성화를 충분히 도 모할 수 있는 로스터 및 그 로스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로스터에서 사용하는 탈취 촉매(155)는 로스터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냄새, 연기 등을 계속해서 제거하는 관계상, 교환 빈도가 높다. 이 탈취 촉매(155)를 교환할 때,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배기 덕트(159)의 상측부(159b)를 제거하는 대규모의 작업을 행하고 그것을 행해야만 해 수고가 많이 들었다.
또한, 교환한 새로운 탈취 촉매(155)를 장착하였을 때, 그것과 상부 히터(156)의 관계 위치가 변화되는 일이 있고, 그것에 의해 상부 히터(156)에 의한 탈취 촉매(155)의 활성화도가 변화되어 탈취 촉매(155)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로스터는 피조리물을 수용하여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조리실과, 이 조리실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에 탈취 촉매와, 상기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히터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탈취 촉매는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에 있어서 폐쇄 공간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활성화 히터 중 적어도 발열부는 상기 폐쇄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활성화 히터가 발생한 열이 조리실 내의 조리물을 가열하는 일이 없어, 조리실측에 대해 차열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폐쇄 공간 의 내측에 면하고 있는 탈취 촉매는 활성화 히터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가열되게 되어 충분히 활성화된다. 또한, 탈취 촉매를 거쳐서 폐쇄 공간 내로 진입한 연기 등은 일단 그 폐쇄 공간 내에 있어서 확산된 후 다른 탈취 촉매에 도달하기 때문에, 상기 탈취 촉매가 연기 등을 탈취 분해하는 작용이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해 행해진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폐쇄 공간」이라 함은, 배기 덕트의 내벽과, 탈취 촉매에 의해 폐색된 공간이고, 탈취 촉매 자체는 통상 통풍성을 갖는 것이므로, 기밀성을 갖도록 폐쇄된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로스터에 있어서는 가열 조리를 행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로부터 외부로 배기를 하는 배기 덕트와, 이 배기 덕트에 설치된 탈취 촉매와, 이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에 개구부를 제공하여 상기 탈취 촉매와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를 유닛화(unitize)하고, 이 유닛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1의 발명).
또한,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상기 구성을 갖는 로스터와, 그 밖의 전기적 가열 수단을 구비하여 본체의 배면측으로부터 흡기한 외기를 상기 로스터를 구성하는 조리실 내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실내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면측으로부터 흡기된 외기는 조리기의 내부를 경유함으로써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한 단계에서 상기 조리실 내로 도입되므로, 도어를 사이에 둔 외기와의 온도차가 작아져 도어의 내면측에 있어서 결로가 발생하기 어 려워진다.
(제A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유도 가열 조리기에 적용한 제A1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5 내지 도1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도2에는, 예를 들어 시스템 키친(custom kitchen)의 카운터 탑(counter-top)(102)에 유도 가열 조리기(101)를 조립한 상태의 주로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그 조리기(103)는 상면을 개방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하우징(104)과, 그 상면에 장착된 탑 플레이트(top-plate)(105)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우징(104) 부분이 카운터 탑(102)의 개구로부터 아래로 넣어지고, 탑 플레이트(105)의 이면측의 주연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조리기(103)의 하우징(104)의 전방면 우측에는 조작 패널부(operation panel)(106)가 설치되고, 조리를 위한 조건 설정을 조작하는 다이얼(dial)이나 조작 표시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에는 시드형 히터(sheathed heater)로 이루어지는 조리 가열 히터를 내장한 로스터 장치(10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리기(103)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 플레이트(105)는, 예를 들어 투명한 강화 내열 글래스(tempered heat-resistant glass)제로 평탄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예를 들어 도면 중 원형 프레임선으로 나타내는 3군데에 냄비(108) 등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데 적절한 적재부이기도 한 가열부(109a, 110a, 111a)를 인쇄 표시하고 있다. 그 중, 전방 좌우 2군데의 가열부 (109a, 110a)는 하우징(104) 내에 설치된 유도 가열 장치를 기초로 하여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고, 후방 중앙에 위치하는 가열부(111a)는 조리 가열 히터를 구성하는 전기 히터(electric fire), 예를 들어 복사식 히터(radiant heater)(111)(도2 참조)에 의해 조리 용기 혹은 조리 대상을 복사 가열한다.
그런데, 조리 용기를 적재하는 3군데의 가열부(109a, 110a, 111a)를 갖는 탑 플레이트(105)의 상면은 그 후방의 일부를 제외하고 평탄한 적재면(112)으로서 주위보다 낮은 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109a, 110a, 111a)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적재면(112)이 형성되고, 이 적재면(11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약간 높게 돌출된 프레임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적재면(112)의 전방 부위에는 상기 가열부(109a, 110a, 111a)에 대응한 출력 표시부(109b, 110b, 111b)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106)의 다이얼 조작에 응답한 출력(화력)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105)의 후방부인 적재면(112)의 후방 부위에는 좌우 2군데에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114a, 114b)를 형성하고 있고, 이들 상면을 덮도록 다수의 통풍 구멍(115a)을 갖는 커버 부재(cover member)(115)가 착탈 가능하게 피착되고, 예를 들어 적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개구부(114a, 114b)는 조리기(103)의 내외를 통과시켜 흡배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계속해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조리기(103) 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의 (a)는 상기 커버 부재(115)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3의 (b)는 로스터 장치(107) 전방 부분의 확대 횡단 평면도, 도4는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105) 상면의 좌우 2군데의 가열부(109a 및 110a)에 대향하는 하우징(104)의 내측에는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induction heating coil)(109 및 110)이 코일 지지 부재(coil supporting member)(116)(도4에만 도시함)를 거쳐서 배치되고, 또한 후방 중앙의 가열부(111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3 중에 파선만으로 나타내는 니크롬선(nichrome wire)으로 이루어져 조리 가열 히터를 구성하는 복사식 히터(1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가열 수단의 하방의 공간에는 상기 가열 수단을 구동하여 제어하는 수단을 장비하고 있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109 및 11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117)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inverter mounted board)이나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를 주로 한 제어 회로 기판 등을 내장하고 있다. 그 중, 구동 수단인 상기 인버터(117)는 그 메인 회로를 구성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발열성의 스위칭 소자(switching element)를 구비하고, 이 인버터(117)와 상기 유도 가열 코일(109 및 110)에 의해 상기 유도 가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장치에서는 인버터(117)의 발열성의 스위칭 소자나 유도 가열 코일(109, 110)을 냉각하기 위한 공랭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랭 수단으로서, 냉각 팬(cooling fan)(118a) 및 모터(motor)(118b)(도3 참조)로 이루어지는 송풍 유닛(blower unit)(118)이 설치되어 공랭에 의한 냉각 작용을 행한다. 이로 인해, 필요한 흡배기는 상기한 개구부(114a, 114b)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하,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송풍 유닛(118)의 흡기측에는 외기를 흡기하 는 흡기 덕트(air intake duct)(119)가 설치되고, 그 흡기구(119a)는 탑 플레이트(105)의 상기 개구부(114a)(도시 우측)를 거쳐서 외측에 면하고 있다. 한편, 송풍 유닛(118)의 토출측인 하류측은 조리기(103)의 인버터(117)를 갖는 내부 공간이 폐쇄 공간(R1)으로서 송풍되고, 그 배기는 하우징(104)에 형성된 배기구(104a)를 도2에 도시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105)의 개구부(114b)에 면하여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코일(109 및 110)에 대해서는 송풍의 일부를 유도하여 공랭해야 할 수평 덕트(horizontal duct)(12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109, 110)에 대응하는 측에 개구된 관통 구멍(120a)으로부터 불어 내어진 바람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도2에 있어서 하우징(104)의 내측 좌측에 설치한 상기 로스터 장치(107)에 대해서는 조리에서 발생한 연기 등을 배출하는 독립된 배기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폐쇄 공간(SA1)을 형성하는 하우징(104) 내에 있어서, 로스터 장치(107)를 덮는 별도의 폐쇄 공간(R2)을 구획 형성하고, 이 폐쇄 공간(R2)에 연통한 배기구(121a)를 상기 개구부(114b)(도시 좌측)를 거쳐서 외부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한 배기 덕트(12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구이 요리 조리시 등에 발생한 따뜻한 연기는 폐쇄 공간(R2)으로부터 배기 덕트(121)로 상승하여 상단부의 배기구(121a)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흡기 작용은 로스터 장치(107)의 전방면측의 적절한 간극으로부터 흡입된다. 즉,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4)의 좌측벽(104L)과, 조리실(152)을 이격하기 위한 내부 격벽(12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로를 경유한 냉각풍은 내부 격벽(122)의 전단부와 로스터 장치(107)의 도어(151)와의 간극을 거쳐서 조리실(152) 내로 도입된다. 이렇게 하여, 탑 플레이트(105)의 좌측의 개구부(114b)로부터는 유도 가열 장치의 냉각 후의 배기와, 로스터 장치(107)로부터의 연기 등의 배기의 양쪽을 배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1은 도15 내지 도17과 마찬가지로 로스터 장치(107)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또한, 로스터 장치(107) 자체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배기 덕트(121) 내에 배치되는 탈취 기구 부분과 그 제어에 관한 구성이 다르다. 즉, 도1 및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덕트(121)의 내부에는 2매의 탈취 촉매(124, 12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탈취 촉매(124, 125)에 있어서 이격된 폐쇄 공간(126) 내에 평면 형상이 U자형인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 중 적어도 발열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예를 들어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외형에 맞추어 30 ㎜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양단부가 탈취 촉매(124, 125)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탈취 촉매(124, 125)는 각각 종류가 다른 것으로, 탈취 촉매(124)는 활성화 온도가 비교적 낮은(250℃ 정도) 백금으로 구성되고, 탈취 촉매(125)는 활성화 온도가 비교적 높은(300℃ 정도) 팔라듐(palladium)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쇄 공간(126) 내의 하방측에 있는 배기 덕트(121)의 내벽면에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서미스터(thermistor) 등으로 구성되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온도 센서(deodorizing heater temperature sensor)(128)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폐쇄 공간(126)은 배기 덕트(121)의 내벽과 탈취 촉매(124, 125)에 의해 폐색된 공간이고, 탈취 촉매(124, 125)는 통풍성을 갖는 것이므로, 기밀성을 갖도록 폐쇄된 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탈취 촉매(124, 125)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에 의해 폐쇄 공간(126)의 내부측보다 뜨겁게 해야하므로, 보다 균일하게 가열되어 전체가 활성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조리실(152) 내에서 발생한 연기 등은 탈취 촉매(124)를 거쳐서 폐쇄 공간(126) 내로 침입하면, 탈취 촉매(125)를 거쳐서 배기된다. 따라서, 탈취 촉매(124)를 경유함으로써 한번 탈취 분해된 연기 등은 폐쇄 공간(126) 내에서 일단 확산된 후, 탈취 촉매(125)를 통과한다.
도5는 유도 가열 조리기(101)에 있어서의 로스터 장치(107)에 관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functional block diagram)이다. 상용 교류 전원(131)은 강압 트랜스(stepdown transformer)(132)를 거쳐서 통전 제어 및 활성화 히터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133)에 부여되어 있다. 제어 회로(133)는 직류 전원 회로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133)에 대해서는 조작 패널부(106)로부터 사용자(user)에 의한 조작 신호가 부여되는 동시에,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온도 센서(128) 및 조리실(15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로스터 온도 센서(134)(단, 도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센서 신호가 부여된다.
또한, 제어 회로(133)는 로스터 장치(107)의 복사 가열을 행하기 위한 조리 가열 히터를 구성하는 상부 히터(156) 및 하부 히터(157),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 팬 모터(fan motor)(118b)에 대해 상용 교류 전원(131)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35 내지 138)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시에, 탈취 기구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에 의해 통지를 행하기 위한 통지 표시부(139) 및 부저음(buzzer noise)에 의해 통지를 행하기 위한 통지 부저(alarm buzzer)(140)의 구동 제어도 행한다. 또한, 통지 표시부(139)는, 도2 및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105)의 우측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133)는 유도 가열 조리기(101)의 유도 가열 장치 등 그 밖의 가열 수단에 관한 제어에 대해서도 공통으로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도6 및 도7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제어 회로(133)가 로스터 장치(107)에 관하여 행하는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chart)이다. 유도 가열 조리기(101)에 상용 교류 전원(131)이 투입되면 유도 가열 장치의 운전이 개시되고, 제어 회로(133)는, 우선 조작 패널부(106)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조리 형태에 따라서[단계(step) S1], 조리 시간을 설정한다(단계 S2).
여기서, 조리 형태에는 크게 나누어「자동 조리」와「수동 조리」가 있다. 「자동 조리」는, 예를 들어「한마리」,「토막」,「말림」등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리 코스(cooking course)를 선택하고, 그 밖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굽기 가감 등에 따라서 조리 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수동 조리」는 사용자가 화력의 대소를 설정하고, 조리의 종료는 사용자 자신이 행하거나 혹은 타이머 (timer)에 의해 조리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계 S2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선택 결과에 따른 조리 시간을 설정한다.
다음에, 제어 회로(133)는 스위치(137)를 닫아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를 온(ON)으로 하는 동시에(단계 S3), 스위치(138)를 닫아 팬 모터(118b)에 통전을 행하여 냉각 팬(118a)을 회전 구동한다(단계 S4). 그 후, 스위치(135)를 닫고 우선 상부 히터(156)만을 온으로 한다(단계 S5). 즉, 조리물(103)이 생선 등인 경우, 하부 히터(157)를 온으로 하면 기름이 나와 연기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상부 히터(156)는 탈취 촉매(124)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최초에 상부 히터(156)로부터 통전을 행함으로써 탈취 촉매(124)에 의해 큰 열량을 가하여 연기가 발생하기 전에 탈취 촉매(124)의 활성화를 재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 회로(133)는 상부 히터(156)/하부 히터(157)의 통전 절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단계 S6,「아니오」)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온도 센서(128)에 의해 폐쇄 공간(126)의 온도를 검출하여(단계 S9), 그 검출 온도가 정상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검출 온도가 정상 범위 내이면(「예」), 계속해서 폐쇄 공간(126)의 온도가 적절 온도로 유지되도록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에 대한 통전을 제어하고(단계 S11), 단계 S6으로 복귀된다.
단계 S6에 있어서 통전 절환 시간이 경과하면(「예」), 제어 회로(133)는 단계 S2에서 설정된 조리 시간이 종료되었거나, 혹은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 가열 조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조리 종료가 아니면(「아니오」), 여기서는 스위치(135)를 오프(OFF), 스위치(136)를 온으로 하여 하부 히터 (157)측에 통전하도록 절환하고(단계 S8), 단계 S5로 복귀된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스터 장치(107)의 조리 개시로부터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 및 모터(118b)는 상시 온이 되고,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는 최초에 전자가 온이 되어 이후에는 교대로 통전이 행해진다.
단계 S7에 있어서 조리 종료가 되면(「예」), 제어 회로(133)는 그 시점에서 통전하고 있던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 중 어느 하나를 오프로 하는 동시에(단계 S14),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 및 모터(118b)도 각각 오프로 하여(단계 S15, S16)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4와 S15 사이에는 소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판단 스텝을 배치해도 된다.
한편, 가열 조리 중에 단계 S10에 있어서 폐쇄 공간(126)의 온도가 정상 범위를 넘었다고 판단하면(「아니오」), 제어 회로(133)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 및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를 모두 오프로 한다(단계 S12). 그리고, 통지 표시부(139) 및 통지 부저(140)를 구동하여 탈취 기구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표시 및 부저음에 의해 통지하면(단계 S13), 단계 S16으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스터 장치(107)의 조리실(152)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121)의 내부에 탈취 촉매(124, 125)를 배치하여 폐쇄 공간(126)을 구성하고, 그 폐쇄 공간(126)의 내부에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가 발생한 열이 조리실 내(152)의 조리물(153)을 가열하는 일이 없어, 종래 구성과는 달리 차열판(162, 168)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탈취 촉매(124, 125)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에 의해 폐쇄 공간(126)의 내측으로부터 보다 균일하게 가열되게 되어 충분히 활성화된다. 또한, 탈취 촉매(124)를 거쳐서 폐쇄 공간 내로 진입한 연기 등은 일단 그 폐쇄 공간(126) 내에 있어서 확산된 후 탈취 촉매(125)에 도달하므로, 탈취 촉매(125)가 연기 등을 탈취 분해하는 작용이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해 행해진다. 따라서, 조리실(152)의 탈취를 행하는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탈취 촉매(124, 125)의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탈취 촉매(124, 125)를 각각 백금, 팔라듐으로 하였으므로, 활성화 온도가 낮은 탈취 촉매(124)측을 보다 빠르게 활성화시켜 탈취 작용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52) 내에는 상하 2개의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를 배치하여, 제어 회로(133)는 이들 2개의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를 교대로 통전하는 동시에, 최초에 상부 히터(156)를 통전하도록 제어하므로, 조리실(152) 내에 있어서 연기 등이 발생하기 전에 탈취 촉매(124)를 활성화시키고, 연기 등이 발생하는 동시에 탈취 작용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폐쇄 공간(126)의 내부에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온도 센서(128)를 배치하였으므로, 조리실(152) 내의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의 영향을 받지 않고, 탈취 촉매(124, 125)의 가온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133)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 온도 센서(128)에 의해 검지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로의 통전을 정지하므로, 탈취 촉매(124, 125)가 이상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33)는 그 경우, 통지 표시부(139) 및 통지 부저(140)에 의해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이상의 발생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촉매(124, 125)의 배치 간격을 30 ㎜ 정도로 설정하여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양단부가 각각 탈취 촉매(124, 125)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였으므로, 탈취 촉매(124, 125)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팬(118a)에 의해 유도 가열 조리기(101)의 본체(103)의 배면측으로부터 외기를 흡기하여 본체(103) 내부에 배치된 수평 덕트(120)를 경유하여 로스터 장치(107)의 전방측으로부터 조리실(152)의 내부로 도입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배면측으로부터 흡기한 외기는 조리기(103)의 내부를 경유하는 것일수록 온도가 상승한 단계에서 조리실(152) 내로 도입되므로, 도어(151)를 사이에 둔 외기와의 온도차가 작아져 도어(151) 내면측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A2, 제A3 실시예)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A2, 제A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배기 덕트(121) 부분만을 도시한다. 이들 제A2, 제A3 실시예는 모두 배기 덕트(121) 내부에 있어서의 탈취 촉매(124, 125) 및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배치가 제A1 실시예와 다르다. 즉, 도8에 나타내는 제A2 실시예에서는 탈취 촉매(124, 125)의 배치 간격이 제A1 실시예보다도 약간 넓게 되어 있고,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후단부는 탈취 촉매(125)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나타내는 제A3 실시예에서는 탈취 촉매(124, 125)의 배치 간격이 제A1 실시예보다도 좁게 되어 있고,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127)의 양단부는 모두 탈취 촉매(124, 125)의 양방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A2 또는 제A3 실시예도 제A1 실시예와 대략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기재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6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10에서「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2를 실행한 후 단계 S6으로 복귀되어 탈취 기능을 정지한 상태에서 가열 조리를 계속해도 된다. 이 경우, 이후에 단계 S6에 있어서「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9 이후의 처리를 바이패스(bypass)하여 단계 S6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탈취 촉매(124, 125)를 각각 백금, 팔라듐으로 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예이고, 전자는 활성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 후자는 활성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좋다.
탈취 촉매는 복수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탈취 촉매의 배치 간격은 7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즉,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로서 사용되는 밀봉 히터 등의 최소 직경이 7 ㎜ 정도이고, 또한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에 의해 탈취 촉매의 가열 효율 및 실제적인 배치 간격의 제약으로부터 50 ㎜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조리 가열 히터를 구성하는 상부 히터(156), 하부 히터(157)는 동시에 통전 해도 좋다.
또한, 단계 S13에 있어서의 통지 동작은 통지 표시부(139), 통지 부저(140)의 어느 한쪽에서만 행해도 좋다. 혹은, 단계 S13 자체를 삭제해도 좋다.
탈취 촉매는 3개 이상이라도 좋고, 폐쇄 공간이 2개 이상 직렬로 배열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로스터 장치(107)에 외기를 도입하는 구성은 냉각 팬(118a)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로스터 장치(107) 전용의 냉각 팬을 별도 설치해도 좋다.
조립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거치형의 유도 가열 조리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유도 가열 조리기(101)에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일 부재의 로스터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다음에,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B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B1 실시예)
본 실시예는, 배기 덕트를 제외한 구성 부분은 도1 내지 도6에 나타내는 제A1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의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10 내지 도11에는 도1 내지 도6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들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이하에 서술한다.
도10에 도시하는 조리실(201)의 후방 판부(201c)의 상부에는 전술한 배기구(210) 대신에 배기구(220)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에 전술한 배기 덕트(211) 대신에 배기 덕트(221)를 연속 설치하고 있다. 이 배기 덕트(221)는 금속판을 절곡 및 접합하여, 예를 들어 수평 형상의 횡연장부(221a)와, 예를 들어 수직 형상의 종연장 부(221b)를 갖도록 형성하고 있고, 그 횡연장부(221a)의 종연장부(221b)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배기구(220)에 접합하여 종연장부(221b)를 출구에 연속되는 출구측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종연장부(221b)의 바로 아래 바닥부에는 이물질 모음용 오목부(22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배기 덕트(211), 특히 그 횡연장부(221a)의 중간부의 상벽부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개구부(223)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개구부(223)의 조리실(201)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의 양측에는 각각 나사 구멍(22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이외에 횡연장부(221a)의 중간부의 한쪽의 측벽부에는 U자 형상의 단자구(225)를 개구부(223)에 연속해서 형성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 도11에 있어서, 개구부(223)의 상방에 도시하는 탈취 촉매(226)는, 예를 들어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또한, 히터(227)는, 예를 들어 밀봉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횡방향의 U자 형상으로 곡성되어 있고, 양단부에 각각 단자(227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유닛 본체(unit body)(228)는 금속판을 상향의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것의 한쪽의 측벽부(228a)에 상하 2개의 단자 삽입 관통 구멍(229)을 형성하고, 이 단자 삽입 관통 구멍(229)에 상기 히터(227)의 단자(227a)를 각각 삽입 관통하여 고정하고, 히터(227)의 지지를 하고 있다.
유닛 본체(228)에는 또한 주위부인 바닥부와 다른 쪽 측벽부(228b)의 내면부에 각각 단열재(230, 231)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 단열재(230, 231)는, 예를 들어 세라믹(ceramics)제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것을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고, 탄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단열재(230, 231)의 내면에 접촉시켜 탈취 촉매(226)를 유닛 본체(228)의 양 측벽부(228a, 228b) 사이, 특히 이들 조리실(201)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모서리부에 끼워 설치하고 있고, 따라서 탈취 촉매(226)는 바닥변부가 바닥부의 단열재(230)에 접촉하고, 한쪽 측변부가 한쪽 측벽부(228a)의 내면부에 접촉하고, 다른 쪽 측변부가 측부의 단열재(231)에 접촉하고, 이들 단열재(230, 23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부호 232는 유닛 본체(228)의 절곡 모서리부를 나타내고, 233은 그 절곡 모서리부(232)에서 탈취 촉매(226)의 고정에 기여한 유닛 본체(228)의 수직 절곡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하여, 히터(227)와 탈취 촉매(226)를 유닛 본체(228)로 유닛화하고 있고, 부호 234는 그 유닛의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유닛(234)은 상기 배기 덕트(221)의 상방으로부터 개구부(223)를 통해 배기 덕트(221), 특히 그것의 횡연장부(221a)의 내부에 수납하여 장착하고 있고(도10 참조), 그 장착 상태에서는 히터(227)가 조리실(201)측에 위치하고, 탈취 촉매(226)가 조리실(201)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자구(225)에는 유닛 본체(228)로부터 돌출된 히터(227)의 단자(227a)를 끼워 넣고 있다.
게다가, 유닛(234)에 대해서는 상방에도 단열재(235)를 배치하고 있고, 이 단열재(235)도, 예를 들어 세라믹제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것을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고, 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단열재(235)의 상방에는 유닛 덮개(236)를 갖고 있고, 이 유닛 덮개(236)에 의해 단열재(235)를 탈취 촉매(226) 및 단열재(231)의 상변부에 압박하고, 이 상태에서 유닛 덮개(236)가 가 진 나사 삽입 관통 구멍(237)으로부터 상기 배기 덕트(221)의 나사 구멍(224)으로 각각 나사(238)를 삽입하여 체결 부착함으로써 유닛 덮개(236)를 배기 덕트(221)에 부착하고, 개구부(223)를 폐색하고 있다. 또한, 그 결과, 탈취 촉매(226)는 단열재(235)에 의해서도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착 상태로부터 배기 덕트(221)의 상방으로부터 유닛 덮개(236)를 제거하여 단열재(235)를 제거하고, 유닛(234)을 개구부(223)를 통해 들어올리면, 유닛(234)을 자유자재로 취출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하여 유닛(234)을 배기 덕트(221)의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12는 가열 조리 시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고, 상부 히터(205)와 하부 히터(203)를 교대로 발열시켜 탈취 촉매(226)를 활성화하는 히터(227)는 연속해서 발열한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의 것은 배기 덕트(221)에 개구부(223)를 제공하여 탈취 촉매(226)와 이를 활성화시키는 히터(227)를 유닛(234)화하고, 그 유닛(234)을 상기 개구부(223)로부터 배기 덕트(22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 것으로, 이에 의해 탈취 촉매(226)는 종래의 것과 같이 배기 덕트(221)의 대부분을 제거할 필요도 없고, 개구부(223)로부터 출입하는 만큼의 용이함으로 그 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촉매(226)를 활성화하는 히터(227)는 유닛(234)으로 탈취 촉매(226)와 함께 출입되므로, 이들의 관계 위치가 그 출입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히터(227)에 의한 탈취 촉매(226)의 활성화도도 변화되지 않아, 탈취 촉매(226)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구성의 것인 경우, 배기 덕트(221)는 횡연장부(221a)와 종연장부(221b)를 갖고, 유닛(234)을 그 횡연장부(221a)에 장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기 덕트(221)에는 이물질이 선단부의 출구로부터 종연장부(221b)로 떨어지고, 횡연장부(221a)에는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으므로, 유닛(234)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탈취 촉매(226)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이 이물질의 걸림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덕트(221)의 종연장부(221b)의 바로 아래 바닥부에는 이물질 모음용 오목부(222)를 형성하고 있고, 이에 의해 그 종연장부(221b)에 떨어진 이물질을 종연장부(221b)의 바로 아래 바닥부에 모아 둘 수 있고, 횡연장부(221a)로의 이물질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닛(234)에 이물질이 한층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탈취 촉매(226)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이 이물질의 걸림에 의해 한층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것인 경우, 유닛(234)은 배기 덕트(221)의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고, 이에 의해 유닛(234)의 착탈이 측방 혹은 하방으로부터 행해지는 것 등에 비해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것인 경우, 유닛(234)은 단열재(230, 231, 234)를 주위부에 갖고 있고, 이에 의해, 히터(227)의 열이 탈취 촉매(226)에 효율적으로 미치도록 할 수 있고, 탈취 촉매(226)의 활성화를 효율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유닛(234) 밖으로의 열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 단열재(230, 231, 234)는 탄성을 갖고, 탈취 촉매(226)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탈취 촉매(226)를 느슨함 없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탈취 촉매(226) 주위의 밀봉성을 좋게 할 수 있고, 조리실(201)로부터의 배기를 최대한 누설하지 않고 탈취 촉매(226)에 접촉시킬 수 있어, 탈취 촉매(226)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을 보다 높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 대해,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제B2 실시예 및 제B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B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제B2 실시예)
도13에 나타내는 제B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유닛(234) 대신에 유닛(241)을 하나의 히터(242)와, 이를 협지하여 그것의 조리실(201)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탈취 촉매(243, 244)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리실(201)로부터의 배기에 포함되는 냄새, 연기를 조리실(201)측의 탈취 촉매(243)로 제거한 후, 또한 다음 탈취 촉매(244)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탈취, 탈연의 성능을 보다 높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2개)의 탈취 촉매(243, 244)를 활성화시키는 데 반해, 히터(242)는 1개로 그것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게다가, 이 경우, 히터(242)로부터 조리실(201)측의 탈취 촉매(243)는, 예를 들어 백금으로 이루어지고, 히터(242)를 경유함으로써 배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보다 배기 덕트(21) 출구측의 탈취 촉매(244)는 조리실(201) 측의 탈취 촉매(243)보다도 활성화 온도가 높은 팔라듐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2개의 탈취 촉매 (243, 244)의 활성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 경우, 유닛(241)에 있어서는 전술한 유닛 덮개(236)를 설치하지 않고, 상부의 단열재(235)로 배기 덕트(221)의 개구부(223)의 폐색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 부품수를 적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B3 실시예)
도14에 나타내는 제B3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기 덕트(221), 특히 그것의 횡연장부(221a)의 측벽부에 상술한 개구부(223) 대신에 개구부(25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유닛(234) 및 상술한 유닛(241)을 대신하는 유닛(252)으로서, 횡방향 역ㄷ자형의 유닛 본체(253)와 단부판(254)으로 유닛 본체(253)의 내주위부에 붙인 횡방향 역ㄷ자형의 단열재(255)를 거쳐서 탈취 촉매(226) 및 히터(227)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유닛(252)을 상기 개구부(251)로부터 배기 덕트(221), 특히 그 횡방향 연장부(221a)의 내부에 수납하고 장착하여 단부판(254)을 나사(256)로 배기 덕트(221)에 고정 부착하여 개구부(251)를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해도 주로 배기 덕트(221)에 대한 유닛(252)의 착탈 방향이 다른 이외에, 제B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유닛(252)에는 제B2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스터에 따르면, 조리실의 탈취를 행하는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탈취 촉매의 활성화를 충분히 도모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에 따르면, 로스터의 도어 내면측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 따르면, 탈취 촉매는 배기 덕트의 대부분을 제거할 필요도 없고, 배기 덕트에 제공한 개구부로부터 출입하여 그 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는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는 탈취 촉매와 유닛화되어 탈취 촉매와 함께 출입되므로, 이들 관계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탈취 촉매 활성화 히터에 의한 탈취 촉매의 활성화도도 변화되지 않게 하여 탈취 촉매에 의한 탈취, 탈연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6)

  1. 피조리물을 수용하여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조리실과, 이 조리실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에 각각 활성화 온도가 다른 복수의 탈취 촉매와, 상기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히터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탈취 촉매는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에 있어서 폐쇄 공간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활성화 히터 중 적어도 발열부는 상기 폐쇄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는 활성화 온도가 낮은 탈취 촉매가 활성화 온도가 높은 탈취 촉매보다도 상기 폐쇄 공간 내의 조리실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에는 적어도 백금과 팔라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에는 상하 2개의 조리 가열 히터가 배치되어 있고,
    조리 개시시에 상방의 조리 가열 히터를 통전 제어하고, 그 후, 상하의 조리 가열 히터를 교대로 통전 제어하는 조리 가열 히터 제어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공간의 내부에 온도 검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활성화 히터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검지되면, 상기 활성화 히터 제어 수단이 활성화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활성화 히터 제어 수단은 상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검지되면 상기 통지 수단을 거쳐서 통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는 7 ㎜ 이상 50 ㎜ 이하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활성화 히터가 적어도 한쪽의 탈취 촉매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9. 삭제
  10. 삭제
  11. 가열 조리를 행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로부터 외부로 배기를 하는 배기 덕트와,
    이 배기 덕트에 설치된, 각각 활성화 온도가 다른 복수의 탈취 촉매와,
    이들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히터를 구비하는 로스터이며,
    상기 배기 덕트에 개구부를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와 활성화 히터를 유닛화하고, 이 유닛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는 활성화 온도가 낮은 탈취 촉매가 활성화 온도가 높은 탈취 촉매보다도 상기 폐쇄 공간 내의 조리실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2. 제11항에 있어서, 배기 덕트가 횡연장부와 종연장부를 갖고, 유닛을 그 횡연 장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유닛을 배기 덕트의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유닛이 탄성을 갖는 단열재를 주위부에 갖고, 그 단열재에 의해 탈취 촉매를 탄성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탈취 촉매가 하나의 활성화 히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6. 피조리물을 수용하여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조리 가열 히터로 상기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과, 이 조리실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의 내부에 있어서 폐쇄 공간을 구성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활성화 온도가 다른 복수의 탈취 촉매와, 적어도 발열부가 상기 폐쇄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취 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히터를 구비하는 로스터의 가열 조리 방법이며,
    조리 개시시에 상방의 조리 가열 히터가 통전되고,
    그 후, 2개의 조리 가열 히터가 교대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의 가열 조리 방법.
KR1020060003395A 2005-01-13 2006-01-12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KR100735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6330 2005-01-13
JP2005006330A JP4459063B2 (ja) 2005-01-13 2005-01-13 加熱調理器
JP2005150017A JP4533798B2 (ja) 2005-05-23 2005-05-23 ロースター
JPJP-P-2005-00150017 2005-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812A KR20060082812A (ko) 2006-07-19
KR100735770B1 true KR100735770B1 (ko) 2007-07-04

Family

ID=3717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95A KR100735770B1 (ko) 2005-01-13 2006-01-12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5770B1 (ko)
CN (1) CN1803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9B1 (ko) * 2018-10-23 2019-06-12 코박스 주식회사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496000Y1 (ko) * 2021-07-14 2022-10-12 (주)사이이 독립적으로 온도제어가 가능한 이중 열선을 갖는 조리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26A (ko) * 1990-12-27 1992-07-27 이헌조 가스레인지의 가스그릴
KR940008149U (ko) * 1992-09-05 1994-04-18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의 냄새 탈취장치
KR980008991U (ko) * 1996-07-30 1998-04-30 김광호 그릴레인지의 냉각장치
KR100627038B1 (ko) * 2003-08-05 2006-09-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열조리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26A (ko) * 1990-12-27 1992-07-27 이헌조 가스레인지의 가스그릴
KR940008149U (ko) * 1992-09-05 1994-04-18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의 냄새 탈취장치
KR980008991U (ko) * 1996-07-30 1998-04-30 김광호 그릴레인지의 냉각장치
KR100627038B1 (ko) * 2003-08-05 2006-09-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열조리기
KR20190000920U (ko) * 2017-10-11 2019-04-19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812A (ko) 2006-07-19
CN1803077B (zh) 2012-11-28
CN1803077A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8458T3 (es) Horno de impacto/convección/microondas y método
JP4654096B2 (ja) 加熱調理器
US6297047B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of CO2 cell-culture incubator internal environments
KR100789027B1 (ko) 로스터
JP4459063B2 (ja) 加熱調理器
KR100735770B1 (ko) 로스터 및 가열 조리기
JP4986554B2 (ja) グリル装置
JP4533798B2 (ja) ロースター
JP2002263006A (ja) 加熱調理器
JP2008075915A (ja) グリル装置
JP201004040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89149B2 (ja) 加熱調理器
JP2002317947A (ja) 加熱調理器
JP2000023856A (ja) 電気調理器
JP41278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22858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3199822A (ja) 加熱調理装置
JP411010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103089B2 (ja) 加熱調理器
KR20100009857A (ko) 오븐
JP3749560B2 (ja) 脱臭装置
KR102334300B1 (ko) 열, 냄새, 연기의 분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구
JP200602959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6075310A (ja) 加熱調理器
JP2010213849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