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77Y1 - 제면기 - Google Patents

제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77Y1
KR200484677Y1 KR2020150005840U KR20150005840U KR200484677Y1 KR 200484677 Y1 KR200484677 Y1 KR 200484677Y1 KR 2020150005840 U KR2020150005840 U KR 2020150005840U KR 20150005840 U KR20150005840 U KR 20150005840U KR 200484677 Y1 KR200484677 Y1 KR 200484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lade
dough
drying plat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906U (ko
Inventor
신용문
Original Assignee
신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문 filed Critical 신용문
Priority to KR2020150005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7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부와 거치부가 회동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칼날이 마련된 칼날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정면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부가 빈 제면기로서,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는 받침판과 건조판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받침판과 상기 건조판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판은 테두리부 내부가 그물망으로 형성된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A)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부(A)를 포함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고, 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거치부의 길이방향의 상단에 놓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거치부접촉단부가 각각 형성된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칼날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기계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제면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우려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성이 떨어지는 반죽의 경우에도 반죽을 펼친 상태에서 다수개의 칼날로 절단을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면발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면기{APPARATUS FOR MAKING NOODLES}
본 고안은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작이 간편하고 글루텐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콩과 같은 곡물가루로 면을 만드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면발을 만들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고장의 위험을 방지한 제면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면류를 이용하는 음식은 먼저 밀가루와 곡물들을 제분하고 이것들을 이용하여 반죽 과정을 거치고 면으로 형성한 후에 여러 재료를 첨가하여 함께 조리하는 제조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면류는 요리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따라 면의 굵기와 모양, 쫄깃한 정도 등에 있어 각기 목적에 맞게 제조한다.
면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통상 기계를 이용하는 기계면과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 제조되는 수타면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 수타면은, 일반적으로, 제분된 밀가루나 이외 곡물을 사람의 손으로 반죽한 후 연신과 때리기, 치대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져 면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형상을 가진 면을 지칭한다.
한편, 종래의 제면기는 밀가루나 우동가루, 메밀가루 등 생면을 제조하는 원료인 곡물 가루를 제면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투입된 가루를 계량하여서 교반장치에 투입하여 가루와 간수를 혼합, 교반하여 충분히 반죽시킨 다음, 직하방에 설치된 롤러부에 가루반죽을 통과시켜서 다짐질을 하고, 상기한 다짐질 후 가루반죽을 직하방의 절단부 커터에 통과시켜서 일정한 두께의 면발로 된 생면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종래 제면기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299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압연롤러(20)(20')와 한 쌍의 절단롤러(30)(30')가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압연롤러(20)(20')의 각 회전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피동기어가, 한 쌍의 절단롤러(30)(30')의 각 회전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피동기어 중 일 측 피동기어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상기 종동기어 중 일 측 종동기어의 회전축에는 전달기어가 각기 장착되며, 본체(10)의 일정위치 설치되는 원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원동기어가 장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전달기어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구비되어 구동기어 및 전달기어에 동시에 맞물리게 한 통상의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 일정 위치에 워엄휠(52)을 장착하고, 상기 워엄휠(52)을 모터(60)의 축에 형성되는 워엄(61)에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에 의해, 제면기의 원동축에 모터의 동력이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의 신뢰성, 생산원가 절감, 생산의 용이성, 소형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면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면기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고장시 수리 및 교체가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가루뿐만 아니라 글루텐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콩과 같은 곡물가루로 면을 만들 경우에는 밀가루처럼 반죽을 얇게 펴기가 어렵고, 점성부족으로 잘 끊어지기 때문에 얇게 펴진 반죽을 돌돌 말아 자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시 수리 및 교체가 원활하며, 밀가루뿐만 아니라 글루텐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곡물가루로 면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덮개부와 거치부가 회동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칼날이 마련된 칼날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정면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부가 빈 제면기로서,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는 받침판과 건조판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받침판과 상기 건조판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판은 테두리부 내부가 그물망으로 형성된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A)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부(A)를 포함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고, 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거치부의 길이방향의 상단에 놓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거치부접촉단부가 각각 형성된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칼날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면기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기계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제면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우려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성이 떨어지는 반죽의 경우에도 반죽을 펼친 상태에서 다수개의 칼날로 절단을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면발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제면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면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면기는, 덮개부(100)와 거치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00)와 거치부(200)는 회동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0)와 거치부(200)가 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만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00)는 그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칼날이 마련된 칼날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110)를 형성하는 칼날은 종래 공지된 여러 형태의 칼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칼날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면이 삼각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칼날은 후술할 받침판(220)에 놓인 반죽을 절단하여 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면의 굵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인접하는 칼날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부(200)는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상면이 개구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고, 정면에는 삽입용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용 개구부(210)를 통해 받침판(220)과 건조판(230)이 상기 거치부(200) 내부로 삽입되어 받침판(220)과 건조판(230)이 상기 거치부(20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면기는, 개구부의 폭(A)과 동일한 길이(A)로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부(310)를 포함하는 롤러(3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300)의 양단에는 상기 거치부(200)의 길이방향의 상단(205)에 놓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거치부접촉단부(320)가 상기 몸체부(310)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롤러(300)는 반죽을 받침판(220)에 놓고 반죽을 평평하게 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접촉단부(320)가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길이가 개구부의 폭과 A로 동일하므로 상기 롤러(300)로 반죽을 밀 때, 몸체부(310)가 개구부를 따라 이동되어 거치부(20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거치부접촉단부(320)가 거치부(200)의 길이방향의 상단(205)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330은 롤러(300)의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230)은 테두리부 내부가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절단된 면들이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의 편의를 위해 덮개부(100), 받침판(220), 및 건조판(230)에는 각각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면기에 의해 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판(220)을 상부에, 건조판(230)을 하부에 위치시켜 삽입용 개구부(210)에 삽입하여 거치부(200)에 받침판(220) 및 건조판(230)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반죽을 받침판(220)에 올려놓고 롤러(300)로 밀어 반죽을 받침판(220) 위에 평평하게 만든다.
다음으로, 덮개부(100)를 덮어 칼날부(110)의 칼날이 반죽을 절단하여 면발을 만들도록 하고, 1차적으로, 삽입용 개구부(210)를 통해 받침판(220)을 빼낸다.
상기 받침판(220)을 빼내는 경우, 받침판(220) 상부에 있던 면발은 받침판(220) 하부에 위치된 건조판(230)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2차적으로 건조판(230)을 삽입용 개구부(210)를 통해 거치부(200)로부터 빼내어 건조장소로 이동해 면발을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기계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제면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우려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점성이 떨어지는 반죽의 경우에도 반죽을 펼친 상태에서 다수개의 칼날로 절단을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면발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100 : 덮개부 110 : 칼날부
200 : 거치부 210 : 삽입용개구부
220 : 받침판 230 : 건조판
300 : 롤러 310 : 몸체부
320 : 거치부접촉단부 330 : 손잡이부
A : 개구부의 폭, 롤러의 몸체부의 길이

Claims (5)

  1. 덮개부와 거치부가 회동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칼날이 마련된 칼날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정면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부가 빈 제면기로서,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는 받침판과 건조판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받침판과 상기 건조판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판은 테두리부 내부가 그물망으로 형성된 제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A)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부(A)를 포함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고, 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거치부의 길이방향의 상단에 놓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거치부접촉단부가 각각 형성된 제면기.
  3. 제2항에 있어서, 칼날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면기.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5840U 2015-09-01 2015-09-01 제면기 KR200484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40U KR200484677Y1 (ko) 2015-09-01 2015-09-01 제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40U KR200484677Y1 (ko) 2015-09-01 2015-09-01 제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06U KR20170000906U (ko) 2017-03-09
KR200484677Y1 true KR200484677Y1 (ko) 2017-10-16

Family

ID=5841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40U KR200484677Y1 (ko) 2015-09-01 2015-09-01 제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24B1 (ko) 2019-10-25 2022-02-08 신용문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073B2 (ja) * 1991-08-09 2000-10-23 東レ株式会社 中空繊維を用いた培養器
KR200207472Y1 (ko) * 2000-06-30 2000-12-15 유승일 알약 절단 장치
KR200227093Y1 (ko) 2001-01-02 2001-06-15 이승필 마늘 절단기
JP2005253397A (ja) 2004-03-12 2005-09-22 Ando:Kk 麺生地切断器具、これを用いた麺製造方法、および麺棒
KR200464299Y1 (ko) 2010-03-29 2013-01-09 박재식 제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073U (ja) * 2003-12-04 2004-07-02 隆弘 富澤 製麺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073B2 (ja) * 1991-08-09 2000-10-23 東レ株式会社 中空繊維を用いた培養器
KR200207472Y1 (ko) * 2000-06-30 2000-12-15 유승일 알약 절단 장치
KR200227093Y1 (ko) 2001-01-02 2001-06-15 이승필 마늘 절단기
JP2005253397A (ja) 2004-03-12 2005-09-22 Ando:Kk 麺生地切断器具、これを用いた麺製造方法、および麺棒
KR200464299Y1 (ko) 2010-03-29 2013-01-09 박재식 제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06U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8845B (zh) 一种宽面自动成型机
KR200484677Y1 (ko) 제면기
CN112655729A (zh) 一种食品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397613A (zh) 一种山芋粉制粉一体设备
JP6526960B2 (ja) 冷凍麺の製造方法
JP3189551U (ja) 製麺機のスクリュー混合機用接続具
CN202738691U (zh) 自动压面方馒头机
KR20200102296A (ko) 압출 제면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면
CN202364751U (zh) 一种面食自动加工机
JP3189550U (ja) 製麺機用麺抽出機
CN108782653A (zh) 一种高效新型面食加工设备
KR101959984B1 (ko)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CN210492454U (zh) 一种绿茶自动揉捻装置
CN209812403U (zh) 一种食品加工用切片装置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CN113578131A (zh) 一种无硫魔芋粉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EP2727467B1 (en) Ravioli making machine
CN206821852U (zh) 一种葛根面条成型机
KR100428871B1 (ko)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CN112265034B (zh) 一种食品加工用素鸡制作装置
CN219813047U (zh) 一种面团切粒装置
RU279299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еллет для чипсов
CN217910776U (zh) 一种花生酱生产用研磨装置
RU214877U1 (ru) Установка производства пеллет для чипсов
CN216906613U (zh) 新型压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