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24B1 -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 Google Patents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24B1
KR102359724B1 KR1020190133470A KR20190133470A KR102359724B1 KR 102359724 B1 KR102359724 B1 KR 102359724B1 KR 1020190133470 A KR1020190133470 A KR 1020190133470A KR 20190133470 A KR20190133470 A KR 20190133470A KR 102359724 B1 KR102359724 B1 KR 10235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soybean
bean
weight
bean spr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314A (ko
Inventor
신용문
Original Assignee
신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문 filed Critical 신용문
Priority to KR102019013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Noodl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으로 제조된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콩면 70~90 중량부에 대하여 콩나물 10~30 중량부를 배합하고,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치즈·해산물·또는 혈당지수 55 이하의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할 수 있으며, 국·볶음 형태·스파게티 형태· 건조 포장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조리된다.

Description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Hypoglycemic foods based on bean noodles and bean sprouts}
본 발명은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리 몸에 해로운 밀가루, 설탕 및 화학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콩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동양에서는 주식인 쌀과, 별식인 밀가루를 이용하는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으로 영양분을 섭취해 왔고, 서양에서도 육류와 함께 밀가루를 주식으로 섭취하는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 및 패스트푸드화되기 시작하면서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은 물론이고 성인들까지도 피자나 햄버거 등과 같은 서구 음식과 간편식인 라면류 등을 섭취하고 있어, 쌀·잡곡 등의 국산 곡류보다는 수입 밀가루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밀가루의 과다섭취 추세가 이어지고, 게다가 배로 수입해 올 수밖에 없는 밀가루에는 살충제 및 방부제가 첨가될 수밖에 없는 바, 현대인들은 밀가루로 만드는 빵과 칼국수, 라면 등 면류와 백미 등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와 더불어 수입되는 밀가루에 의한 각종 첨가제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피부병, 당뇨 및 성인병 등의 발병 증가 추세로 이어지고 있으며, 심지어는 어린아이들에게까지 당뇨병 및 성인병 등이 급격히 발병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콩은 우수한 단백질뿐만 아니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칼슘 및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완전식품으로서, 콩의 주요한 효능으로 체중 감량, 골밀도 증강, 유방암 발병률 감소, 이소플라본에 의한 항암 효과와 더불어, 콩 단백질에 의한 동맥경화, 심장병 및 혈관질환 예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콩의 풍부한 식이섬유가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탄수화물이 몸 안에서 당으로 바뀌어 피 속으로 들어가는 속도를 나타내는 혈당지수인 GI 지수(Glycemic index)가 30으로 아주 낮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이 풍부하여 당뇨병 예방은 물론 다이어트에도 적합하다.
또한, 콩나물은 콩을 재배한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맛도 좋으며 건강에 도움이 많이 되는 식재료로서, 그 효능은 다음과 같으며, 특히 GI 지수가 15~22로 알려져 있어 당뇨환자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식품재료이다.
첫째, 콩나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억제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혈관을 깨끗하게 만들어 주어 혈관을 건강하게 해주고, 칼륨 성분이 체내의 나트륨을 배출해 주어서 혈압을 낮춰주고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주어서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혈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된다.
둘째, 콩나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아스파라긴산 성분과 아스파르트산 성분이 알코올의 자연분해를 촉진해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고, 체내에 오래 남아있는 알코올의 독성을 빼주어 간을 보호해주는 작용을 한다.
셋째, 콩나물에 풍부한 비타민C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하여 체내의 유해산소를 없애주어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역할과 비타민B 성분이 피부를 탄력 있고 깨끗하게 만들어 주어서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
넷째, 콩나물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장 운동을 활발하게 도와주어 숙변제거 및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콩나물에는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이소플라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골밀도를 높이고 뼈를 단단하게 만들어 주어서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되고 골절의 위험을 줄여준다.
또한, 콩이 우리 몸에 좋다고 증명하는 자료로, 세계 장수촌 중 하나인 남미 에콰도르의 작은 마을 빌카밤바(Vilcabamba)는 질병이 없는 '면역의 섬'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이 장수 노인들의 건강 묘약은 콩인데, 단순히 콩을 주식으로 먹는 것만으로 주민들이 면역력이 강해서 질병 없이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원광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우리나라 장수마을을 조사한 결과, 콩과 마늘 수확량이 많은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오래 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콩이 이렇듯 우수하고도 탁월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콩가루는 밀가루에 비해 점성과 신축성이 부족하여 밀가루처럼 반죽을 얇게 펴기도 어렵고, 어느 정도 반죽을 폈다 하더라도 점성 부족으로 잘 끊어져서 밀가루 면발처럼 둘둘 말아 자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면발을 형성했다 하더라도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면발이 끊어지며, 생면을 끓이면 점성이 부족하여 콩가루가 상당량 국물에 녹게 되어 면발의 양이 줄어들고 국물의 맛이 변질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면 제조시 콩가루만을 이용한 콩면의 제조방법과, 점성이 떨어지는 반죽의 경우에도 반죽을 펼친 상태에서 다수개의 칼날로 절단하는 제면기를 고안하여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콩면을 이용한 요리가 활성화되지 못하여 혈당 강하용 식품으로서의 콩이 가진 우수하고도 탁월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당뇨환자 등 혈당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이 간단하게 한 끼를 해결하고자 하거나, 외출하여 매식을 하려 해도 알려진 저혈당 메뉴는 제한적이며, 집에서 만들어 먹는 저혈당 음식은 조리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96416(2016. 8. 16.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7-0000906(2017. 3. 9. 공개)
본 발명은 탄수화물의 과다섭취로 인한 당뇨병과 성인병의 발병이 증가추세로 이어지고 있으나, 혈당조절 등을 위한 마땅한 식사메뉴가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콩이 가진 우수하고도 탁월한 장점을 살려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여 저렴하고도 혈당을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에 좋지 않은 밀가루, 설탕 및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콩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콩면-콩나물(콩콩) 요리를 대중화시킬 수 있는 길을 열어, 우리 몸에 좋은 콩의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콩 주식화를 선도하고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콩으로 제조된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으로서, 콩면 70~90 중량부에 대하여 콩나물 10~30 중량부를 배합하고,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치즈·해산물·또는 혈당지수 55 이하의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하며, 국·볶음 형태·스파게티 형태· 건조 포장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조리되는 혈당 강하용 식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콩면은 백태(대두), 서목태 및 서리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분쇄한 콩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백기능을 가진 녹두가루, 건강 증진기능을 가진 현미가루 등의 기능성 성분재료의 하나 이상을 10~20 중량부 추가하며, 다시마 가루 1~5 중량부와, 식용소금 1~ 2 중량부를 배합한 혼합분말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상기 콩면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이 반죽물을 한 겹으로만 밀어낸 후, 칼질을 하여 면발을 형성한 후, 이를 건조시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은 몸에 좋은 식물성 단백질과 함께 아미노산과 비타민이 풍부한 콩면-콩나물(콩콩) 요리를 대중화하여 당뇨환자와 예비 당뇨환자에게 단비 같은 건강식을 제공함과 더불어 콩의 보급 및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질병이 없는 '면역의 섬'으로 알려져 있고, 세계 장수촌 중 하나인 남미 에콰도르의 작은 마을 빌카밤바(Vilcabamba)처럼 콩을 주식으로 하는 음식문화를 선도하여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은 콩면의 재료로 메주용 노랑콩과 쥐눈이콩 같은 검은콩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일정비율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주부들의 걱정거리인 GMO 콩에 대한 걱정을 불식시키고, 우리나라 신토불이 국산 콩의 소비를 늘림으로써 농촌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은 밀가루, 설탕 및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당뇨 및 성인병 걱정 없는 건강식일 뿐만 아니라 아토피 등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밀가루와 첨가제로부터 해방될 수 있어 주부들의 근심을 해소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은 물론 남녀노소 모든 계층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 및 그 조리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은 콩면 70~90 중량부에 대하여 콩나물 10~30 중량부로 배합하고,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치즈·해산물·또는 혈당지수 55 이하의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 중에서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으며, 국·볶음 형태·스파게티 형태· 건조 포장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조리된다.
콩면 70~90 중량부에 대하여 콩나물 10~3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은, 콩나물은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콩면과 콩나물의 중량비를 70:30에서 60:40, 50:50으로 콩면에 대한 콩나물의 상대적 중량을 크게 할 경우, 요리재료의 부피가 너무 커져 조리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콩면과 콩나물의 배합은 식감과 용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데, 후루룩 넘기는 면발의 부드러운 식감을 선호하거나 이소플라본에 의한 항암효과를 더 원하는 경우에는 콩나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콩면과 콩나물의 중량비를 90:10으로 할 수 있고, 콩나물의 씹는 식감을 좋아하거나 숙취해소 또는 숙변제거 등을 더 원하는 경우에는 콩나물의 양을 최대로 하기 위해 콩면과 콩나물의 중량비를 70:30으로 할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서는 상기 중량비에 구애받지 않고 그 중량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콩면 -콩나물(콩콩) 요리
가. 콩면-콩나물(콩콩) 국 만드는 법
1) 황태 대가리·손질된 멸치·다시마·표고버섯·홍합·대파뿌리·양파껍질·홍고추 또는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들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되, 각각 콩면 100 중량부 대비 2~5 중량부 넣고, 콩면 100 중량부 대비 1,000~1,500 중량부의 생수를 부어 강불에서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줄여 비릿한 냄새가 날아갈 때까지 푹 끓인 육수를 만든다.
2)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치즈·해산물·시금치를 추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육수 재료와 같이 넣어준다.
3) 준비된 콩면과 콩나물을 취향에 따라 70~90:10~30의 범위의 중량비율로 넣고 5분간 더 끓여준다. 이때 콩나물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려면, 뚜껑을 열지 않고 끓이면 되는데, 부득이 뚜껑을 열어야 할 경우에는 마늘과 소금을 약간 넣고 삶으면 비린내가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맛과 냄새도 좋아진다.
나, 콩면-콩나물(콩콩) 볶음 만드는 법
1) 콩면과 콩나물을 끓는 물에 70~90:10~30의 범위의 중량비율로 넣고 5분간 끓인 후, 체에 바쳐 물기를 빼준다.
2)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해산물·시금치 또는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들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되, 각각 콩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사전에 충분히 익히거나 조리해 둔다.
3) 달군 팬에 식용유나 참기름 한 수저 두른 후, 준비해 둔 콩면과 콩나물 그리고 상기 2)의 추가재료를 넣고 뒤적여 가며 볶아준다.
4) 콩나물이 투명해지기 시작하면, 마늘과 물 3 수저 넣고 다시 볶아 준다.
5) 불을 끄고 남은 열이 있을 때 파와 청양고추를 넣어주고, 마지막에 소금간을 해준다.
다, 콩면-콩나물(콩콩) 스파게티 만드는 법
1) 콩면과 콩나물을 끓는 물에 70~90:10~30의 범위의 중량비율로 넣고 5분간 끓인 후, 체에 바쳐 물기를 빼준다.
2) 양파·피망·당근·양송이 등 야채는 채 썰어서 준비한다.
3) 풍미와 영양을 위해 닭 가슴살·돈육·소고기·닭고기·계란·해산물·베이컨·햄·시금치 또는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들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되, 각각 콩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사전에 충분히 익히거나 조리해 둔다.
4) 달군 팬에 버터를 올리고 녹인 다음, 상기 2)와 3)의 추가재료를 넣고 뒤적여 가며 볶아 준다.
5) 상기 2)와 3)의 추가재료를 어느 정도 볶아준 후, 준비해 둔 콩나물과 콩면을 넣고 볶는다.
6) 준비된 소스를 넣고 잘 섞어가며 볶는다.
7) 계란을 스크램블하여 좋아하는 치즈와 함께 마무리 단계에서 올려준다.
라, 콩면-콩나물(콩콩) 건조 포장(콩 라면) 만드는 법
1) 콩면을 증기로 익히고 식용기름에 튀겨 라면 형태로 만든다.
2) 콩나물은 세척하여 40~60℃에서 4~8분 동안 원적외선 가열 또는 고주파 유전 가열하여,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수분이 남아있는 반면 비린내는 제거되도록 가공한 후, 상기 건조 포장되는 콩 라면 중량의 25% 중량을 별도 진공포장한다.
3) 고춧가루, 건조된 파 분쇄물, 천연 조미료 등의 분말형 건조재료로 라면 스프를 만들어 별도 진공포장한다.
4) 만들어진 콩 라면·가열가공 콩나물·라면 스프를 함께 포장하고, 조리시는 포장을 개봉하여 콩 라면·가열가공 콩나물·라면 스프를 조리용기에 넣고 면을 익힌 후 먹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용 식품의 주재료인 콩면의 제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B. 콩면 제조
콩의 분말 형태인 콩가루는 점탄성과 신축성이 거의 없어서 밀가루처럼 반죽을 얇게 펴기도 어렵지만, 어느 정도 반죽을 폈다 하더라도 칼국수 면발처럼 둘둘 말아서 자를 수 없다.
또한, 마르지 않은 상태의 생면을 끓이게 되면 점도가 없어서 상당량 국물에 녹게 되어 면발의 양이 줄어들고 의도했던 국물의 맛이 변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콩면 제조는, 콩가루에 물을 가미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이 콩가루 반죽물은 점도가 떨어지므로, 직접 손으로 반죽물을 한 겹으로만 밀어낸 후, 칼질을 하여 면발을 형성한 후,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면의 제조방법은 재료 혼합단계(S1), 반죽단계(S2), 면대 제조단계(S3), 면발 제조단계(S4) 및 건조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재료 혼합단계(S1)에서는, 콩가루, 물, 기능성 성분재료 및 소금이 콩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70~90 중량부, 기능성 성분재료 10~20 중량부, 소금 1~2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다.
콩가루는 콩을 미세하게 분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콩면의 조직감과 식감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콩을 다양한 입도를 갖는 콩가루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입도가 다른 콩가루들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콩가루는 백태(대두), 서목태 및 서리태를 포함한 국산 콩류와 렌틸콩, 리마콩을 포함하는 수입 콩류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콩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분쇄한 콩가루이다. 국산 콩으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백태(대두), 서목태 및 서리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콩가루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백태 또는 서목태를 사용한다.
또한, 기능적 목적에 따라 기능성 성분재료를 콩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 추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여성들의 화장독을 해독하거나 피부를 희고 매끄럽게 하는 미백 기능성 재료로서 알라닌과 아르기닌이 함유되어 있는 녹두가루를, 조직과 뼈 생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능성 재료로 비타민B 복합체 같은 핵심 비타민과 미네랄 및 필수 무기물질인 망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현미가루 등을 보조적으로 추가하면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이 되어 한층 더 효과적인 콩면 재료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성분재료를 10 중량부 이하로 투입할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적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고, 20 중량부 이상으로 투입할 경우에는 고유의 콩 풍미가 변질 될 수 있는 등, 콩면 본래의 취지를 희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소금은 식감을 좋게 하고, 면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제염, 천일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염이 사용될 수 있다.
소금은 콩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소금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쫄깃한 식감이 낮아지고 면이 쉽게 퍼지는 문제가 있으며, 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짜서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료 혼합단계(S1)는 콩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시마 가루 1~5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콩 섭취 시, 콩의 사포닌 성분이 체내 요오드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키지만, 요오드가 과다배출되는 경우에는 갑상선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시마 가루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다시마 가루는 칼슘, 요오드 및 미네랄 등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죽단계(S2)에서는 재료 혼합단계(S1)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반죽된다.
반죽에 소요되는 물은 콩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 중량부 혼합된다. 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반죽이 너무 껄끄럽고 뻣뻣하여 면으로 제조시 끊어지거나 쫀득한 질감이 줄어들 수 있고, 물이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반죽이 너무 질게 되어 면으로의 성형이 어렵게 된다.
반죽이 완성되면 표면이 마르지 않게 비닐 등으로 덮어두고, 15~30℃ 범위의 상온에서 20~30분 동안 숙성시킨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숙성 시간은 오래될수록 좋으므로, 시간이 충분한 경우 반죽이 좀 더 좋은 점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숙성 전 하루 전에 반죽하여 냉장고에서 0~10℃ 범위의 온도로 24시간 숙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면대 제조단계(S3)는 상기 반죽단계에서 제조된 반죽물을 압출성형하여 일정면적 및 두께를 갖는 면대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반죽물을 밀대 또는 압출기로, 면대를 한 겹으로만 압출성형함으로써, 일정 면적 및 두께를 갖는 면대를 제조할 수 있다. 콩가루를 이용한 면은 밀가루 면과 달리 점탄성이 없어서 면대를 넓게 그리고 얇게 펴기 어려우므로, 임의의 틀에 반죽물이 골고루 충전되도록 넣은 후 압출성형함으로써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 면대를 제조할 수 있다.
밀가루 반죽에서의 면대의 두께는, 냉면의 경우에 약 0.7~3.0mm, 쫄면의 경우에 약 1.0~3.5mm, 중화면의 경우에 약 1.0~2.0mm, 우동의 경우에 약 2.0~4.0mm 정도가 일반적이다. 콩면의 경우에는, 점탄성이 떨어져 끓는 물에서 밀가루 면(밀면)보다 면발이 쉽게 퍼지는 점을 고려하여 밀가루 면보다 굵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서는, 면대 제조단계에서 2.0~9.0mm 두께의 면대가 제조된다. 면대의 두께가 2.0mm 미만인 경우에는 면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면발의 굵기가 가늘어서 면발을 삶는 경우 쉽게 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대의 두께가 9.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면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면발의 굵기가 굵어져 면발을 삶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면발의 조직감과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면발 제조단계(S4)는 제조된 면대를 면발 형태로 절단시키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콩면은 밀가루 면과 달리 점탄성이 부족하여 면발을 형성하기 위해 면대를 이동시키거나, 면대를 펴거나 가압하여 늘리거나 하는 등의 추가 작업을 하면 쉽게 부러지는 등 결속력이 약한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상기 면대는 밀가루 면과 같이 둘둘 말아 절단하지 않고, 상기 면대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한 겹 상태 그대로 칼 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얇게 썰어 형성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글루텐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콩과 같은 곡물가루로 면을 만들 수 있는 제면기로서, 본 출원인이 고안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84677호(17.9.29)의 '제면기'를 이용하여 면발 형태로 절단시킬 수 있다.
콩가루는, 밀가루에 비해 점탄성이 떨어져 면발이 쉽게 끊어질 수 있으므로, 면발의 길이는 한 번에 입 안에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 예컨대 5~10cm로 짧게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S5)는 상기 제조된 면발을 자연 건조 또는 건조기에 의한 인공 건조를 통해 건조시킨다.
상기 면발을 건조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쫄깃쫄깃한 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자연 건조는 상온상태에서 3~5일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콩가루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면발은, 밀가루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면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탄성이 떨어져 면발이 쉽게 끊어지거나 끓는 물에 쉽게 녹는다.
그러나, 3~5일에 걸쳐 완전히 건조시키면 콩면의 조직이 강하게 결속되는 성질이 있어 국수와 같이 단단해진다.
또한, 한입 길이인 5~10cm로 짧게 절단하면, 일반국수처럼 보관 및 유통이 원활할 뿐 아니라 끓는 물에 콩면을 삶아도 면발이 유지되며 국물에 쉽게 녹지 않게 되어, 고소함과 더불어 콩의 고유한 영양분을 손쉽게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콩면은 국수 또는 냉면과 같이 물 및 육수에 잠기더라도 면 자체적인 탄력으로 일정 시간이 흐르더라도 부풀거나 퍼지지 않고 쫄깃쫄깃한 상태를 유지하며, 콩이 간직하고 있는 영양분의 섭취로 밀가루에 의한 불균일한 영양분의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면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콩면에는 밀가루, 설탕 및 화학 첨가물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밀가루, 설탕 및 화학 첨가물의 과다 섭취로 인한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콩가루를 이용하여 콩면을 제조함으로써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실시예와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으로서,
    1) 백태(대두), 서목태 및 서리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분쇄한 콩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두가루·현미가루 중 하나 이상을 10~20 중량부, 식용소금 1~2 중량부를 배합한 혼합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이 반죽물을 한 겹으로만 밀어낸 후, 칼질을 하여 면발을 형성한 후, 이를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콩면을 증기로 익히고 식용기름에 튀겨 라면형태로 만들고,
    2) 콩나물을 세척하여 40~60℃에서 4~8분 동안 원적외선 가열 또는 고주파 유전 가열한 후, 상기 라면형태의 콩면 중량의 25% 중량을 별도 진공포장하며,
    3) 고춧가루, 건조된 파 분쇄물, 천연 조미료 등의 분말형 건조재료로 이루어진 라면스프를 별도 진공포장하고,
    4) 상기 만들어진 라면형태의 콩면, 별도 진공포장된 가열가공 콩나물 및 라면스프를 함께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콩라면.
  2. 삭제
  3. 삭제
KR1020190133470A 2019-10-25 2019-10-25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KR10235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70A KR102359724B1 (ko) 2019-10-25 2019-10-25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70A KR102359724B1 (ko) 2019-10-25 2019-10-25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14A KR20210049314A (ko) 2021-05-06
KR102359724B1 true KR102359724B1 (ko) 2022-02-08

Family

ID=7591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470A KR102359724B1 (ko) 2019-10-25 2019-10-25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4490B2 (ja) * 1994-08-02 1999-09-27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レトルトラーメ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20160096416A (ko) 2015-02-05 2016-08-16 신용문 콩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콩면
KR200484677Y1 (ko) 2015-09-01 2017-10-16 신용문 제면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용인흥덕지구전문부동산 엔투공인) 콩나물과메밀국수를곁들였어요<한치야채볶음>, 2013.01.20)
블로그(다이어트 요리로 좋은 닭고기 비빔면 만들기, 2016.08.09.)(https://blog.naver.com/hide5241/220783291648, 1-6쪽) 사본 1부.*
블로그(음식에 따른 GI지수=혈당지수, 2017.03.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14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8295A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554246A (zh) 金珠五彩饼的制作方法
KR101497382B1 (ko) 황태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110072906A (ko) 오징어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8709A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JP5254573B2 (ja) 植物性加工食品
KR101848880B1 (ko) 흑우버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우버거 스테이크
KR101499066B1 (ko) 황태탕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9724B1 (ko)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KR101881672B1 (ko) 멸치탕수육 조리방법
KR101903716B1 (ko) 감자 탕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탕수
KR101695303B1 (ko)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21744B1 (ko) 콩 분말과 두부가 함유된 건강 햄버거
KR101972396B1 (ko)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0089A (ko) 영양누룽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2301B1 (ko) 전복밥의 제조방법
KR101663459B1 (ko) 어린이용 무우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101754320B1 (ko) 감자를 이용한 김말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김말이
KR101620686B1 (ko)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JP3596381B2 (ja) 新規ながんもどき及びその製造法
KR102633922B1 (ko) 톳에서 추출한 헴(Heme) 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떡갈비 제조방법
KR102319446B1 (ko) 오징어 순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