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871B1 -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 Google Patents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871B1
KR100428871B1 KR10-2001-0068837A KR20010068837A KR100428871B1 KR 100428871 B1 KR100428871 B1 KR 100428871B1 KR 20010068837 A KR20010068837 A KR 20010068837A KR 100428871 B1 KR100428871 B1 KR 10042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rolling
conveyor
flour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585A (ko
Inventor
이선재
Original Assignee
이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재 filed Critical 이선재
Priority to KR10-2001-006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8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동, 국수, 라면 등의 면발을 뽑는 데 적합한 밀가루 반죽물을 압연하는 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갠 밀가루 덩어리를 복수의 요철로울러와 평로울러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다지고 숙성하여 면발을 뽑기에 최적상태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형의 밀가루 반죽물을 압연되도록 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는, 호퍼(11)에 내장된 모터 구동식 교반 스크류(12)에 의해 밀가루 덩어리가 되도록 버무려서 컨베이어(13)로 이송하는 배합부(1)와; 배합부(1)에서 컨베이어(13)로 이송돼 온 밀가루 덩어리를 2조의 요철로울러(21a)(21b)에서 각각 요철 형태로 다져서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A)로 압연한 후, 각각의 밀가루 반죽물(A)을 2겹으로 겹친 상태로 평로울러(22)를 통과시켜 꼭꼭 다져진 밀가루 반죽물(A)을 일정 두께로 평탄하게 눌려 펴서 1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하여 컨베이어(23)로 이송하는 1차 압연부(2)와; 1차 압연부(2)에서 이송되어온 밀가루 반죽물(A)을 상하로 단차를 두고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게 설치한 복수의 숙성 컨베이어(33)에서 계단을 내려가듯이 낙하, 이송시키면서 온도가 24∼26℃이고 습도가 80% 이상의 분위기 하에서 숙성되는 동안 원적외선 방사구(33)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노출시켜 숙성을 촉진시키는 엘리베이터(31) 및 컨베이어(34)를 포함하는 숙성부(3)와; 숙성부(3)에서 이송돼 온 숙성된 밀가루 반죽물(A')을 전후로 배치되고 상기 요철로울러(21a)(21b)와는 요철부를 어긋나게형성한 요철로울러(41a)(41b)를 재차 통과시켜 요철을 대치 형태로 압연한 후, 대형 평로울러(42)를 통과시켜 재차 강하게 다져지도록 평탄하게 눌려 펴서 2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하는 2차 압연부(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Rolling apparatus of wheat flour dough}
본 발명은 우동, 국수, 라면 등의 면발을 뽑는 데 적합한 밀가루 반죽물을 압연하는 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갠 밀가루 덩어리를 복수의 요철로울러와 평로울러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다지고 숙성하여 면발을 뽑기에 최적상태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형의 밀가루 반죽물을 압연되도록 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동, 국수, 라면 등의 면이 갖추어야 할 최상의 조건은 윤기가 나고 매끄러우며, 부드러우면서 쫄깃쫄깃하고 잘 붙지 않아야 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면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물에 밀가루를 타고 버무릴 때 별도의 첨가제를 넣어으나, 이 경우는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면이 변질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손반죽 기법을 적용시켜 기계화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로서 실용신안공보 제95-5170호로 알려진 것도 있다.
이 압연장치는 밀가루 반죽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로울러를 배치하여 반죽한 밀가루 덩어리를 다진 후 마지막에 평로울러에서 납작하게 눌려 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몇 차례에 걸친 요철다짐과 단 한번의 평다짐만으로는 인장력을 사방으로 형성하지 못하므로 면의 특성을 살리는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을 얻기가 어렵다.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이 사방으로 인장력을 가지게 할려면 밀가루의 주성분인 글루텐(Gluten)이 사방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밀가루 반죽물을 양손으로 주물러 이기듯이 꼭꼭 다져야만 힘을 가하는 쪽으로 생성되는 글루텐의 사방 형성이 가능하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다짐만으로는 글루텐의 사방 형성을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또, 밀가루 반죽물은 면발을 뽑기 전에 숙성시켜야 제 맛을 낼 수 있는 데, 상기 선행기술로는 밀가루 반죽물의 숙성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면과 같이 면을 삶아서 살균을 할 때는 강도가 물러서 잘 불고 퍼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면발을 뽑았을 때 윤기가 나고 매끄러우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하면서 잘 붙지 않는 식미감이 우수한 면발용 밀가루 반죽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압연하는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는, 배합부에서 물에 개어 버무린 밀가루 덩어리를 이송하여 1차 압연부에서 2조로 된 요철로울러를 각각 통과시키고 상기 요철로울러를 통과해 나온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을 2겹으로 겹쳐서 평로울러를 통과시킴으로써 1차 사방 압연이 이루지게 한 후, 복수의 컨베이어가 계단식으로 층층이 설치된 온도가 24∼26℃이고 습도가 80% 이상인 숙성부를 통과하는 동안 원적외선에 노출시켜 숙성을 촉진되게 하고, 숙성을 거친 밀가루 반죽물을 2차 압연부에서 상기 요철로울러와 요철이 어긋나게 형성한 요철로울러를 통과시킨 후 면의 강도 보강을 위해 대형 평로울러에서 재차 강하게 다져지게 압연하여 면선절출기에서 면을 뽑을 때 면발이 단단해 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이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며,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의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숙성부의 원적외선 방사구의 일부분 단면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합부 2 : 1차 압연부
3 : 숙성부 4 : 2차 압연부
21a,21b,41a,41b: 요철로울러 22,42 : 평로울러
32 : 숙성 컨베이어 33 : 원적외선 방사구
33a : 다공관 33b : 세라믹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는, 배합부(1)와 1차 압연부(2), 숙성부(3) 및 2차 압연부(4)로 구성되어 있다.
배합부(1)는 적량의 물에 밀가루를 타서 다지면 밀가루 덩어리가 될 수 있게 버무리는 것으로, 호퍼(11)에 버무림날개가 부착된 모터 구동식 교반 스크류(12)를 내장한 것이다.
배합부(1)는 호퍼(11)에서 버무려진 밀가루 덩어리를 1차 압연부(2)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3)를 포함한다.
1차 압연부(2)는 배합부(1)의 컨베이어(13) 말단에 위치하여 버무린 밀가루 덩어리를 1차로 압연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2조의 요철로울러(21a)(21b)가 전후로 배치되어 있고, 요철로울러(21a)(21b)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평로울러(22)가 배치되어 있다.
요철로울러(21a)(21b)는 컨베이어(13)로 이송되어 온 밀가루 덩어리를 양손으로 주물러 이기듯이 요철 형태로 꼭꼭 다져서 시트형의 밀가루 반죽물(A)로 압연하고, 평로울러(22)는 상기 요철로울러(21a)(21b)를 각각 통과해 온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A)을 2겹으로 겹친 상태로 통과시켜 꼭꼭 다져진 밀가루 반죽물(A)을 일정 두께로 평탄하게 눌려 펴서 1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글루텐을 사방으로 형성시켜 인장력을 사방으로 갖도록 한다.
상기 요철로울러(21a)(21b)와 평로울러(22)는 하나같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1차 압연부(2)는 1차 사방 압연과정을 거치게 한 밀가루 반죽물(A)을 숙성부(3)로 이송하는 컨베이어(23)를 포함한다.
숙성부(3)는 1차 압연부(2)에서 1차 사방 압연과정을 거친 후 이송돼 오는 밀가루 반죽물(A)을 엘리베이터(31)에 실어 올려 가지고 하단으로 내리면서 숙성을 병행하는 장치이다.
숙성부(3)는 복수의 무한궤도형 숙성 컨베이어(32)를 상하로 단차를 두고 지그재그상으로 배치하여 윗층 컨베이어에 실리는 밀가루 반죽물(A)을 아래층 컨베이어로 마치 계단을 내려가듯이 자연 낙하시키면서 온도가 24∼26℃이고 습도가 80% 이상의 분위기 하에서 숙성하고, 이 과정에서 숙성 컨베이어(32)용 프레임 저면에 부착한 원적외선 방사구(33)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노출시켜 숙성을 촉진되게 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구(33)는 도 2에서 보듯이, 스테인레스 타공관(33a)의 표면에 세라믹(33b)을 코팅한 것으로, 밀가루 반죽물(A)에 원적외선을 쬐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숙성되도록 한 것이다.
숙성부(3)의 최하단 숙성 컨베이어(32)의 직후에는 2차 압연부(4)로 숙성된 밀가루 반죽물(A')을 이송하는 컨베이어(34)를 설치한다.
2차 압연부(4)는 숙성부(3)를 거쳐 나온 숙성된 밀가루 반죽물(A')을 재차 압연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34)에 인접한 곳에는 1차 압연부(2)에 배치된 요철로울러(21a)(21b)와 요철부를 어긋나게 형성시킨 2조의 요철로울러(41a)(41b)가 전후로 배치되어 있고, 후측 요철로울러(41b)의 뒤쪽으로는 대형 평로울러(42)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로울러(21a)(21b)와 요철로울러(41a)(41b)의 요철부를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하는 것은 1차 압연부(2)와는 대치 형태로 압연함으로써, 마치 양손으로 주물러 이기듯이 골고루 꼭꼭 다져지게 한 것이며, 평로울러(42)를 1차 압연부(2)의 평로울러(22)에 비해 대형화한 것은 사방 압연 시에 더욱 강하게 다져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요철로울러(41a)(41b)는 숙성된 밀가루 반죽물(A')을 재차 대치 형태로 다져서 요철형으로 압연하고, 요철로울러(41a)(41b) 후측의 대형 평로울러(42)는 요철형으로 꼭꼭 다져진 밀가루 반죽물(A')을 재차 일정 두께로 강하게 눌러 펴서 시트형으로 압연한다.
이때, 2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면서 재차 글루텐을 사방으로 형성시켜 더욱 강한 인장력을 사방으로 갖게 된다.
여기서도 요철로울러(41a)(41b)와 평로울러(42)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동력적으로 연결한다.
이렇게 2차 압연부(4)에서 재차 요철상으로 다진 후에 평탄하게 다져서 압연한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A')을 통상의 면선절출기(5)에서 면발로 뽑으면, 윤기가 나고 매끄러우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하면서 잘 붙지 않는 식미감이 우수한 면발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는 물에 개어 버무린 밀가루 덩어리를 1차 압연부에서 1차로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다져 시트형으로 압연한 밀가루 반죽물을 숙성부의 일정 온도와 습도 하에서 계단식 컨베이어에 실어 통과시키면서 숙성하는 동안 원적외선에 노출시켜 숙성을 촉진시키고 2차 압연부에서 재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강하게 다져 압연함으로써, 면발을 뽑았을 때 면발에서 윤기가 나고 매끄러우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하면서 잘 붙지 않는 식미감이 우수한 면식품에 제공되는 밀가루 반죽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배합부(1)의 호퍼(11)에 내장된 모터 구동식 교반 스크류(12)에 의해 밀가루 덩어리가 되도록 버무려서 컨베이어(13)로 이송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배합부(1)에서 컨베이어(13)로 이송돼 온 밀가루 덩어리를 2조의 요철로울러(21a)(21b)에서 각각 요철 형태로 다져서 시트형 밀가루 반죽물(A)로 압연한 후, 각각의 밀가루 반죽물(A)을 2겹으로 겹친 상태로 평로울러(22)를 통과시켜 꼭꼭 다져진 밀가루 반죽물(A)을 일정 두께로 평탄하게 눌려 펴서 1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하여 컨베이어(23)로 이송하는 1차 압연부(2)와;
    상기 1차 압연부(2)에서 이송되어온 밀가루 반죽물(A)을 상하로 단차를 두고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게 설치한 복수의 숙성 컨베이어(32)에서 계단을 내려가듯이 낙하, 이송시키면서 온도가 24∼26℃이고 습도가 80% 이상의 분위기 하에서 숙성되는 동안 원적외선 방사구(33)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노출시켜 숙성을 촉진시키는 엘리베이터(31) 및 컨베이어(34)를 포함하는 숙성부(3)와;
    상기 숙성부(3)에서 이송돼 온 숙성된 밀가루 반죽물(A')을 전후로 배치되고 상기 요철로울러(21a)(21b)와는 요철부를 어긋나게 형성한 요철로울러(41a)(41b)를 재차 통과시켜 요철을 대치 형태로 압연한 후, 대형 평로울러(42)를 통과시켜 재차 강하게 다져지도록 평탄하게 눌려 펴서 2차 사방 압연이 이루어지게 하는 2차 압연부(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KR10-2001-0068837A 2001-11-06 2001-11-06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KR10042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837A KR100428871B1 (ko) 2001-11-06 2001-11-06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837A KR100428871B1 (ko) 2001-11-06 2001-11-06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85A KR20030037585A (ko) 2003-05-14
KR100428871B1 true KR100428871B1 (ko) 2004-04-29

Family

ID=2956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837A KR100428871B1 (ko) 2001-11-06 2001-11-06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6B1 (ko) 2005-05-03 2007-04-09 주식회사 아워홈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제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015A (ko) * 2002-01-25 2003-07-31 김종욱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전구를 이용한 활성수 제조방법과주류 제조방법 그리고 발효 및 숙성 식음료품 제조방법
US20060034988A1 (en) * 2004-08-16 2006-02-16 Bresnahan Steven A Method for sheeting and processing dough
KR102029592B1 (ko) * 2018-07-25 2019-11-08 이주현 진공챔버 및 탈기수 등을 이용한 숙성면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177A (en) * 1978-03-29 1979-10-06 Tokyo Shibaura Electric Co Noodle making machine
JPS6421939A (en) * 1987-07-17 1989-01-2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Wafer cassette
JPH02303454A (ja) * 1989-05-17 1990-12-17 Sanuki Menki Kk 製麺方法とその装置
JPH0638698A (ja) * 1992-07-21 1994-02-15 Ikeda Shokuhin Kogyo Kk 多加水麺の製造方法
JPH07213217A (ja) * 1994-02-07 1995-08-15 Takata Syst:Kk 麺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191655A (ja) * 1995-01-18 1996-07-30 Toukiyouya Shokuhin Kk 麺線、麺線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23613A (ja) * 1998-07-13 2000-01-25 Sanuki Menki Kk 麺生地熟成装置および麺生地熟成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177A (en) * 1978-03-29 1979-10-06 Tokyo Shibaura Electric Co Noodle making machine
JPS6421939A (en) * 1987-07-17 1989-01-2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Wafer cassette
JPH02303454A (ja) * 1989-05-17 1990-12-17 Sanuki Menki Kk 製麺方法とその装置
JPH0638698A (ja) * 1992-07-21 1994-02-15 Ikeda Shokuhin Kogyo Kk 多加水麺の製造方法
JPH07213217A (ja) * 1994-02-07 1995-08-15 Takata Syst:Kk 麺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191655A (ja) * 1995-01-18 1996-07-30 Toukiyouya Shokuhin Kk 麺線、麺線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23613A (ja) * 1998-07-13 2000-01-25 Sanuki Menki Kk 麺生地熟成装置および麺生地熟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6B1 (ko) 2005-05-03 2007-04-09 주식회사 아워홈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제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85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0861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f dough particularly of dough products
EP2255663A3 (en) High fiber and high protein baked goods production
RU2414128C1 (ru) Закусочные чипсы, содержащие шелуху гречихи
CN102960391A (zh) 一种酥韧双层饼生产设备及生产工艺
US9210941B2 (en) Continuous process for making a pita chip
KR100428871B1 (ko)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CN107594338A (zh) 一种制作营养面条的方法及面条机
CN202958617U (zh) 一种酥韧双层饼生产设备
CH684775A5 (fr) Pâtes de riz.
US6322345B1 (en) Apparatus for forming edible bakery paste
JP6526960B2 (ja) 冷凍麺の製造方法
US2009010433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nack, a Snack, and Food Like a Snack
CN104770451A (zh) 一种山麦冬玉米芯养阴饼及其制备方法
WO200507959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gwaren, danach erhältliche teigwaren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2010046451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ig
JP3165889U (ja) 筋状食品加工機
CN104757075A (zh) 一种松子虾仁玉米芯润燥饼及其制备方法
KR200484677Y1 (ko) 제면기
KR20210055345A (ko) 압축롤러(트리플롤러)를 이용한 3층 면대 제면법으로 식감 및 조리편리성이 우수한 건냉면의 제조방법
JPS6156051A (ja) 麺類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JP2566367B2 (ja) 両面に印刷したビ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101931983B1 (ko) 작업성이 개선된 또띠아 제조용 오븐기
KR100491555B1 (ko) 국수 제조방법
RU78037U1 (ru) Питатель для пельменного автомата
JPS6098944A (ja) リボン型スナツク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