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15Y1 -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15Y1
KR200482315Y1 KR2020160002655U KR20160002655U KR200482315Y1 KR 200482315 Y1 KR200482315 Y1 KR 200482315Y1 KR 2020160002655 U KR2020160002655 U KR 2020160002655U KR 20160002655 U KR20160002655 U KR 20160002655U KR 200482315 Y1 KR200482315 Y1 KR 200482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ntrance
storage space
parti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2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12)의 루프(13)에 마련된 개구부(50)와; 루프(13) 상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02)이 마련되며, 바닥에 개구부(50)와 연통하는 출입구(104)가 형성되고,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단턱(106)을 가진 스포일러(100)와; 출입구(104)를 여닫는 개폐커버(200)를 포함하는,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STORAGE DEVICE FOR TRUCK USING AIR SPOILER}
본 고안의 실시예는 화물차량에 적용되는 에어 스포일러(air spoiler)를 이용하여 각종 물건을 보관할 수 있게 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물차량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차량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전방에 운전실을 제공하는 캡(cap, 2)이 배치되고, 후방에 화물 적재를 위한 적재함(carrying box, 4)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화물차량은 캡(2)의 크기에 따라 일반 캡과 수퍼 캡(super cap) 타입으로 구분된다. 일반 캡 타입은, 수퍼 캡 타입과 비교하여 볼 때, 캡(2)의 전후방향 길이가 더 짧아서 캡(2)의 내부공간(운전실을 포함한다)이 비좁으므로 캡(2)의 내부에 각종 물건(차량 정비공구 등)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어렵지만, 캡(2)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만큼 적재함(4)의 길이가 더 길어서 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반면에, 킹 캡(king cap) 타입이라고도 칭하는 수퍼 캡 타입은, 캡(2)의 내부공간이 전후방향으로 더 커서 캡(2)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지만, 적재함(4)이 축소되는 점을 감수하여야 한다.
화물 대량운송이라는 목적 면에서는 일반 캡 타입의 화물차량이 더 부합되지만, 사용자는 캡(2)의 내부공간을 여유 있게 이용할 수 있는 수퍼 캡 타입의 화물차량을 더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캡(2)의 내부공간을 점유함이 없고 적재함(4)을 축소함이 없이 충분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캡(2)의 루프(roof) 상에 수납장치를 장착하여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공간 제공방안은, 캡(2)의 루프(roof) 상에 에어 스포일러(6)가 장착된 경우, 수납장치를 장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수납장치와 에어 스포일러(6)가 결합된 타입도 있으나, 수납장치와 에어 스포일러(6)가 결합된 타입이든 수납장치 단독으로 구성된 타입이든 모두 수납장치에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캡(2)의 외부에서 캡(2)의 루프 쪽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캡(2)의 루프가 높아서 접근이 어렵고 힘든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6548호(2006.10.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731호(2012.03.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5527호(2014.10.01.)
본 고안의 실시예는, 캡의 내부에서 에어 스포일러의 내부에 물건을 직접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물건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차량을 구성하는 캡(cap, 12)의 루프(roof, 13)에 마련된 개구부(50)와; 상기 루프(13)의 상부에 장착된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연장된 상판(120),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상판(120) 사이의 양쪽 측방 및 후방 영역을 각각 차폐하는 두 측판(130) 및 뒤판(140)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바닥판(110), 상기 상판(120), 상기 두 측판(130) 및 상기 뒤판(140)에 의하여 한정된 수납공간(102)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개구부(50)와 연통하는 출입구(104)가 형성되어 상기 캡(12)의 내부에서 상기 수납공간(102)에 연통하는 상기 개구부(50)와 상기 출입구(104)를 통하여 물건의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상기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진 단턱(106)을 가져 상기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의 이동이 상기 단턱(106)에 의하여 제한되는 에어 스포일러(air spoiler, 100)와; 상기 출입구(104)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20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수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턱(106)은 사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어느 두 턱부의 내면에 양쪽 단부가 상기 어느 두 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부재(210)와;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두 턱부의 내면 중 하나에는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210)에는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주름식의 개폐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차량을 구성하는 캡(12)의 루프(13)에 마련된 개구부(50)와; 상기 루프(13) 상에 장착된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연장된 상판(120),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상판(120) 사이의 양쪽 측방 및 후방 영역을 각각 차폐하는 두 측판(130) 및 뒤판(140)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바닥판(110), 상기 상판(120), 상기 두 측판(130) 및 상기 뒤판(140)에 의하여 한정된 수납공간(102)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개구부(50)와 직접적으로 연통하는 출입구(104)가 형성되어 상기 캡(12)의 내부에서 상기 수납공간(102)에 서로 연통하는 상기 개구부(50)와 상기 출입구(104)를 통하여 물건(예를 들면, 차량 정비공구 등)의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상기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의 높이로 세워진 단턱(106)을 가져 상기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는 것이 상기 단턱(106)에 의하여 제한되는 에어 스포일러(100)와; 상기 출입구(104)를 여닫는 개폐커버(200)와; 상기 수납공간(102)에 세워져 상기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칸막이(30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수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턱(106)은 사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300)는,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어느 두 턱부의 외면에 각각 상기 어느 두 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슬라이더(slider, 310)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310)를 연결하며 상기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320)는 상기 출입구(104)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출입구(10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104)와 상기 구획부재(320)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상기 개구부(50)와 상기 출입구(104)를 통하여 상기 캡(12)의 내부에서 상기 칸막이(300)를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공간(302)이 마련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휴공간인 에어 스포일러(100)의 내부를 수납공간(102)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캡(12)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수납공간(102)에 각종 물건을 바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102)에 물건을 넣거나 꺼내는 작업을 언제든지 간단, 신속하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캡(12)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단턱(106)의 걸림작용 및 출입구(104)에 대한 개폐커버(200)의 폐쇄작용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이동식 칸막이(300)에 의하면,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을 체계적으로 정리정돈할 수 있고,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이동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300)의 위치가 위치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이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차량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수납장치가 적용된 화물차량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수납장치가 적용된 화물차량은, 전방에는 운전실을 제공하는 캡(12)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화물 적재를 위한 적재함(14)이 배치되며, 캡(12)의 루프(13) 상에는 주행 중 화물차량이 받는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에어 스포일러(100)가 적용된다.
에어 스포일러(100)는 적재함(14)의 자체 높이 또는 적재함(14)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가 캡(12)에 비하여 높아 화물차량이 주행 중 공기로부터 받는 저항이 크게 상승되면서 따라 화물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스포일러(100)의 내부에는 각종 물건(차량 정비공구 등)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102)이 마련되고, 캡(12)의 루프(13)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50)가 마련되며, 수납공간(102)의 바닥에는 개구부(50)와 연통하는 출입구(104)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캡(12)의 내부공간과 수납공간(102)은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운전자)는 캡(12)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수납공간(102)에 각종 물건을 넣거나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을 꺼낼 수 있다. 즉, 수납공간(102)에 물건을 간단, 신속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개구부(50)와 에어 스포일러(100)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수납장치를 구성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스포일러(100)는, 루프(13)의 상부에 견고하게 장착된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높이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연장된 유선형의 상판(120), 바닥판(110)과 상판(120) 사이의 양쪽 측방 영역을 각각 차폐하는 두 측판(130) 및 바닥판(110)과 상판(120) 사이의 후방 영역을 차폐하는 뒤판(14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102)은 바닥판(110), 상판(120), 두 측판(130) 및 뒤판(140)에 의하여 한정되고 외부와 차단된 구조를 가진다.
바닥판(110)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구(104)는 바닥판(110)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두 쌍의 변을 가진 사각 구조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예를 들어, 약 5㎝ 높이)로 세워진 단턱(106)이 형성된다. 이렇게 출입구(104)를 둘러싸는 구조의 단턱(106)에 의하면, 수납공간(102)에서 출입구(104)의 주위에 보관된 물건이 화물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관성 등으로 인하여 바닥판(11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출입구(104) 상에 위치되는 것을 걸림작용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100)를 이용한 수납장치는, 출입구(104)를 여닫는 개폐커버(200)를 더 포함한다. 개폐커버(200)를 이용하여 출입구(104)를 닫으면,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캡(12)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커버(200)는, 출입구(104) 상에서 단턱(10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210) 및 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출입구(104)를 여닫는 주름식 개폐부재(220)를 포함한다.
단턱(106)은 출입구(104)가 사각 구조를 가짐에 따라 마찬가지로 사각 구조를 가진다. 이동부재(210)는 단턱(106)의 전후방향(또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턱부의 내면에 양쪽 단부가 좌우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이동부재(210)의 원활한 슬라이드 왕복운동을 위하여, 단턱(106)과 이동부재(210)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드 홈이 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고, 단턱(106)과 이동부재(210)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주름식 개폐부재(220)는, 길이방향 한쪽 단부는 단턱(106)의 좌우방향(또는, 전후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턱부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다른 쪽 단부는 이동부재(210)에 연결되며, 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복수의 주름을 가진다.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에어 스포일러(100)의 내부에 수납공간(102)이 마련되기 때문에, 유휴공간인 에어 스포일러(100)의 내부를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캡(12)의 내부공간과 수납공간(102)이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서로 연통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주행 도중에도 캡(12)의 내부에서 수납공간(102)에 간단, 신속하고 편리하게 물건을 넣거나 보관된 물건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캡(12)의 내부공간으로 낙하하는 것을,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단턱(106)의 걸림작용 및 출입구(104)에 대한 개폐커버(200)의 폐쇄작용에 의하여 2단에 걸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단턱(106)에 의하면,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수납공간(102)에 세워져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이동식 칸막이(300)를 더 포함하는 점 등이 상이하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식 칸막이(300)는, 단턱(106)의 전후방향(또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턱부의 외면에 각각 좌우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슬라이더(310) 및 한 쌍의 슬라이더(310)를 연결하며 수납공간(102)을 좌우(또는, 전후)로 구획하는 구획부재(3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더(310)의 원활한 슬라이드 왕복운동을 위하여, 단턱(106)과 슬라이더(310)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드 홈이 슬라이더(31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고, 단턱(106)과 슬라이더(310)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재(320)는 출입구(104)와 대향하여 출입구(104)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출입구(104)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이격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출입구(104)와 구획부재(320) 사이에는 캡(12)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50)와 출입구(104)를 통하여 칸막이(300)를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빈 조작공간(302)이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운전자)는 캡(12)의 내부에서 조작공간(302)을 통하여 구획부재(32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구획부재(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구획부재(3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슬라이더(310)는 구획부재(32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이동식 칸막이(300)는 위치가 단수 또는 복수의 위치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일례로, 위치고정기구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310)에 나사결합이 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단턱(106)에 대하여 전진되거나 후진되며 전진 시 단턱(106)에 선단이 밀착되면서 슬라이더(3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볼트일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을 칸막이(300)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데다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이동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300)의 위치를 위치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시키면,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물건이 이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2 : 캡
13 : 루프
14 : 적재함
50 : 개구부
100 : 에어 스포일러
102 : 수납공간
104 : 출입구
106 : 단턱
200 : 개폐커버
210 : 이동부재
220 : 주름식 개폐부재
300 : 이동식 칸막이
302 : 조작공간
310 : 슬라이더
320 : 구획부재

Claims (4)

  1. 화물차량을 구성하는 캡(12)의 루프(13)에 마련된 개구부(50)와;
    상기 루프(13) 상에 장착된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높이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연장된 상판(120) 및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상판(120) 사이의 양 측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각각 차폐하는 두 측판(130)과 뒤판(140)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바닥판(110), 상기 상판(120), 상기 두 측판(130) 및 상기 뒤판(140)에 의하여 한정된 수납공간(102)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개구부(50)와 연통하는 출입구(104)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된 상기 개구부(50)와 상기 출입구(104)를 통하여 상기 캡(12)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수납공간(102)에 물건의 투입,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상기 출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의 높이로 세워진 단턱(106)을 가져 상기 수납공간(102)에 보관한 물건의 이동이 상기 단턱(106)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제한되는, 에어 스포일러(100)와;
    상기 출입구(104)를 여닫는 개폐커버(200)와;
    상기 수납공간(102)에 세워져 상기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칸막이(300)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106)은 사각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300)는,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어느 두 턱부의 외면에 각각 상기 어느 두 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슬라이더(310)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310)를 연결하며 상기 수납공간(102)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10)는 위치고정기구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구획부재(320)는 상기 출입구(104)의 상측에 위치한 하단 쪽 부분이 상기 출입구(10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104)와 상기 구획부재(320)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상기 개구부(50)와 상기 출입구(104)를 통하여 상기 캡(12)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칸막이(300)를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공간(302)이 마련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어느 두 턱부의 내면에 양쪽 단부가 상기 어느 두 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210)와;
    상기 단턱(106)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두 턱부의 내면 중 하나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210)에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주름식 개폐부재(22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2655U 2016-05-17 2016-05-17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KR200482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55U KR200482315Y1 (ko) 2016-05-17 2016-05-17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55U KR200482315Y1 (ko) 2016-05-17 2016-05-17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15Y1 true KR200482315Y1 (ko) 2017-01-10

Family

ID=5779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55U KR200482315Y1 (ko) 2016-05-17 2016-05-17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1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9040U (ja) * 1982-10-30 1984-05-1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載荷物収納容器
JPH08238975A (ja) * 1995-03-03 1996-09-17 Koichi Shibata 大型トラックの寝室
KR970038483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형성되는 동전 케이스
KR100636548B1 (ko) 2005-07-07 2006-10-19 김 천 식 화물차량용 루프캐리어
KR200458731Y1 (ko) 2011-04-26 2012-03-07 박순만 화물차량의 지붕 수납장치
KR101445527B1 (ko) 2014-05-26 2014-10-01 한득범 화물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9040U (ja) * 1982-10-30 1984-05-1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載荷物収納容器
JPH08238975A (ja) * 1995-03-03 1996-09-17 Koichi Shibata 大型トラックの寝室
KR970038483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형성되는 동전 케이스
KR100636548B1 (ko) 2005-07-07 2006-10-19 김 천 식 화물차량용 루프캐리어
KR200458731Y1 (ko) 2011-04-26 2012-03-07 박순만 화물차량의 지붕 수납장치
KR101445527B1 (ko) 2014-05-26 2014-10-01 한득범 화물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553A (en) Device for variable subdivision of a storage area
US8757695B2 (en) Flat floor cargo management system
CN102059985B (zh) 用于汽车内的导轨系统的可伸缩式安全盖板
CN207565483U (zh) 车辆
US20040105744A1 (en) Moveable load floor convenience center in automotive applications
CN107618444B (zh) 车辆的货物管理系统
RU2020121202A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11927046B2 (en) Multi-access liftgate
CN104875659A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CN107867339B (zh) 用于轻型客货两用车货箱的存储装置
US8075035B1 (en) Cover assembly
US20020000456A1 (en)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objects in a motor vehicle
KR101936997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화물 적재장치
KR200482315Y1 (ko) 에어 스포일러를 이용한 화물차량용 수납장치
US20170136957A1 (en) Vehicle toolbox
DE102011057126A1 (de)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20180154835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CN112693400B (zh) 用于车辆的可重构存储组件
CN113386650A (zh) 货车
US11511676B2 (en) Vehicle storage system
KR101065010B1 (ko) 트럭 적재함 커버구조
KR101371472B1 (ko) 트럭의 사이드 수납장치
JPH1059482A (ja) 箱型荷箱の仕切り装置
JP2006282126A (ja) 車両用ラゲージフロア構造
KR102597634B1 (ko) 차량용 적재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