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55Y1 -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955Y1 KR200473955Y1 KR2020120003727U KR20120003727U KR200473955Y1 KR 200473955 Y1 KR200473955 Y1 KR 200473955Y1 KR 2020120003727 U KR2020120003727 U KR 2020120003727U KR 20120003727 U KR20120003727 U KR 20120003727U KR 200473955 Y1 KR200473955 Y1 KR 2004739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 hook
- operator
- bar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공사 현장에서 수로박스 등의 구조물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는, 고정 브래킷장치(100)에 구비된 고정부(150)의 조임부재(152)를 구조물의 양 측벽에 접촉되게 조여주어서 해당 조임 상태를 유지하여 복수의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에 종방향으로 안전대(200)를 설치한 후, 작업자와 상기 안전대(200) 사이를 연결로프(30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작업자(310)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연결로프(300)와 안전대(200), 그리고 고정 브래킷장치(100)로 붙잡아서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시설 설치를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는, 고정 브래킷장치(100)에 구비된 고정부(150)의 조임부재(152)를 구조물의 양 측벽에 접촉되게 조여주어서 해당 조임 상태를 유지하여 복수의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에 종방향으로 안전대(200)를 설치한 후, 작업자와 상기 안전대(200) 사이를 연결로프(30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작업자(310)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연결로프(300)와 안전대(200), 그리고 고정 브래킷장치(100)로 붙잡아서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시설 설치를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목공사 현장에서 수로박스(박스암거) 등의 구조물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로박스 등의 구조물의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로박스의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자칫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도 1에는 수로박스(10)의 측벽(17)과 상부 슬라브(15)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의 슬라브(15)와 일정한 높이의 측벽(17)을 갖도록 시공된 수로박스(10)의 슬라브(15) 상부에서 작업자가 슬라브 상부 면정리 및 신축 이음 실리콘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슬라브(15)의 상부에서 발을 헛딛는 등으로 인하여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박스의 측벽(17)을 따라서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로박스의 측벽(17)을 따라서 복수의 수직 바(20)를 설치하고, 아울러 슬라브(15)로부터의 일정 높이에서 상기 수직 바(20)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 바(25)를 설치한 후, 상기 수평 바(25)와 수로박스의 슬라브(15) 상부 사이에 안전망(3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망(30)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추락사고 안전시설은 설치에 많은 작업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므로 안전시설 설비의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수로박스 등의 구조물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조물 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안전장치로서,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구조물에 결합되고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장치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종방향의 안전대와; 상기 안전대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작업자와 결합되는 연결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작업자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함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의 일단이 상기 안전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상기 연결로프와 상기 안전대에 의해 작업자를 붙잡아서 작업자가 구조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는,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안전대 걸이부, 및 상기 안전대 걸이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를 구조물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대 걸이부는, 수평 바와, 상기 수평 바의 양단의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안전대 걸이부의 하단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상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측벽에 접촉되게 조여져서 상기 안전대 걸이부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추락방지 안전장치에서, 상기 안전대 걸이부의 수평 바는 그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안전대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져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체결 고리에 의해, 상기 안전대를 이루는 와이어로프가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시설 설치를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는 용이하게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추락 방지를 위한 조치로 인한 작업 방해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수로박스를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로박스 작업장에 추락방지 안전시설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로박스에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장치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작업자가 연결되어 작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안전대를 구조물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로박스 작업장에 추락방지 안전시설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로박스에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장치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작업자가 연결되어 작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안전대를 구조물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핵심적인 구성, 그리고 작용효과는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도면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일예로서 수로박스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가 설치되는 구조물이 수로박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수로박스(10)에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장치(100)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에 작업자가 연결되어 작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구조물에 결합되고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장치(100)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종방향의 안전대(200)와, 상기 안전대(200)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작업자와 결합되는 작업자 연결로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는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안전대 걸이부(130), 및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는, 구조물을 가로지르는 수평 바(131)와, 상기 수평 바(131)에 연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바(132)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직 바(132)는 상기 수평 바(131)의 양단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일체화되어 구비되어 있다.
구조물의 횡방향 폭은 본 고안의 추락방지 안전장치(1)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구조물의 횡방향 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안전대 걸이부(130)는 그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전대 걸이부(130)가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봉부재가 직경이 큰 봉부재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안전대 걸이부(13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50)는 안전대 걸이부(130)에 구비된 각각의 수직 바(132) 하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150)에는, 추락방지 안전장치(1)가 설치될 구조물의 측벽 방향으로 진퇴하는 조임부재(15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수직 바(132)의 하단부에 고정몸체(1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부재(152)는 봉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151)를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면에서 상기 고정몸체(151)는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고정몸체(151)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개의 조임부재(152)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작업자가 상기 조임부재(152)의 손잡이(156)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부재(152)가 구조물의 측벽방향으로 진출하여 조임부재(152)의 측벽 방향 단부가 구조물의 측벽을 가압하게 된다. 즉, 조임부재(152)는 작업자가 손잡이(156)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되, 구조물의 측벽 방향으로 전진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측벽에 접촉된 후 가압하여 조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구조물의 측벽 반대 방향으로 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조임 상태가 해제된다. 즉, 고정 브래킷장치(100)에 구비된 고정부(150)의 조임부재(152)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조물(10)의 양 측벽을 가압하도록 조임으로써, 조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152)의 측벽 방향 단부에는 접촉판(155)을 설치하여, 넓은 면적으로 구조물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판(155)은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안전대 걸이부(130)가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하고, 고정부(150)가 구조물의 측벽(17)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되, 이러한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복수개로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조물의 종방향(예시된 수로박스의 경우, 수로박스가 연속하여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안전대(200)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대(200)는, 후술하는 것처럼, 작업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00)를 종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대(200)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안전대(200)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3 및 도 6에 상세히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장치(100)의 안전대 걸이부(130)에 고리(133)를 설치하고,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안전대(200)의 양단을 각각 상기 고리(133)와 체결함으로써,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고정 브래킷장치(100)의 안전대 걸이부(130) 사이에 종방향으로 안전대(200)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안전대(200)를 편리하게 안전대 걸이부(13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카라비너(carabiner) 등과 같이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체결 고리(210)를 이용하여 안전대(200)의 단부를 안전대 걸이부(130)의 고리(133)에 결합하고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턴버클(220)을 통해, 상기 체결 고리(210)를 와이어로프에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전대(200)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안전대(200)를 안전대 걸이부(130)에 결합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안전대(200)는 와이어로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안전대(200)가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봉부재가 안전대 걸이부(1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작업자와 상기 안전대(200) 사이에는 연결로프(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로프(300)의 일단은 상기 안전대(200)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로프(300)의 일단이 상기 안전대(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 형태의 후크(370)가 상기 연결로프(3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370)가 상기 안전대(200)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후크(370)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상기 안전대(200)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후크(370)의 일예로는 카라비너(carabiner)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로프(300)의 타단은 작업자(310)와 연결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작업자(310)가 안전밸트(350)를 착용하고, 상기 연결로프(300)의 타단을 상기 안전밸트(350)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를 통해서 작업자(310)는 연결로프(300)에 의해 안전대(200)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안전대(200)에 연결로프(300)이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310)는 배치된 안전대(200)에 연결로프(300)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안전대(200)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310)가 수로박스 상에서 작업하는 중에 발을 헛 딛게 되더라도, 연결로프(300)가 안전대(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종방향으로 구조물의 일정 구간에 대해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작업 완료 구간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할 구간에 다시 설치하고,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에 안전대(200)를 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서, 본 고안의 추락방지 안전장치(1)를 이루는 각 부재들을 반복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대(200)가 구조물의 횡방향 폭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조물의 횡방향 폭이 큰 경우에는 안전대(200)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안전대(200)가 구조물의 횡방향 폭에서 어느 한쪽 방향에 치우쳐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브래킷장치(100) 의 안전대 걸이부(130)에서 복수개의 위치에 미리 고리(133)를 설치해두어서, 작업자가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는 고리(133)를 선택하여 와이어로프를 걸어서 안전대(200)를 설치할 수 있다. 안전대(200)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경우 이외에 안전대 걸이부(130)를 관통하는 봉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안전대(200)를 설치할 수 있는 관통공을 안전대 걸이부(130)에 미리 형성해두어서, 안전대(200)가 구조물의 중앙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주는 도 7의 경우 처럼, 작업자가 작업수행에 필요한 위치를 선택하여 안전대(2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고리(133)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1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 브래킷장치(100)만을 설치해두고, 한 쌍의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의 구간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2개의 고정 브래킷장치(100) 중 하나(도 7에서 화살표 K로 표시된 것)을 구조물로부터 분해한 후, 이미 설치되어 있던 고정 브래킷장치(100)(도 7에서 화살표 P로 표시된 것)의 앞쪽으로(작업의 진행방향 앞쪽으로) 간격을 두고 분해한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2개의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한 조로 하여 반복하여 작업진행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물에 설치하고 분해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므로, 적은 인력으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경제성 있게 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연결로프(300)와 안전대(200), 그리고 고정 브래킷장치(100)로 붙잡아서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수로박스 등의 구조물 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 시설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시설 설치를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10; 수로박스 17; 측벽
100; 고정 브래킷 장치 130; 안전대 걸이부
131; 수평 바 132; 수직 바
133; 고리 150; 고정부
151; 고정몸체 152; 조임부재
200; 안전대 210; 체결 고리
220; 턴버클 350; 안전밸트
360; 연결로프 370; 후크
100; 고정 브래킷 장치 130; 안전대 걸이부
131; 수평 바 132; 수직 바
133; 고리 150; 고정부
151; 고정몸체 152; 조임부재
200; 안전대 210; 체결 고리
220; 턴버클 350; 안전밸트
360; 연결로프 370; 후크
Claims (4)
-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구조물에 결합되고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장치(100)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종방향의 안전대(200)와;
일단에는 고리 형태의 후크(370)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370)가 안전대(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종방향으로 안전대(200)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타단은 작업자와 결합되는 연결로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프(300)의 타단에 연결된 작업자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함에 따라 연결로프(300)의 일단이 안전대(2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연결로프(300)와 안전대(200)에 의해 작업자를 붙잡아서 작업자가 구조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고정 브래킷장치(100)는,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안전대 걸이부(130), 및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 브래킷장치(100)를 구조물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는, 수평 바(131)와, 상기 수평 바(131)의 양단의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 바(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에는 복수개의 위치에 고리(1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50)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서 안전대 걸이부(130)의 수직 바(132) 하단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몸체(151)와, 봉 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몸체(151)를 관통하여 진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측벽에 접촉되게 조여져서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조임부재(152)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재(152)의 측벽 방향 단부에는 구조물의 측벽에 접축되는 탄성을 가진 접촉판(15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대 걸이부(130)의 수평 바(131)는 그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전대(200)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져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 고리(210)가 구비되어 있고, 체결 고리(210)가 안전대 걸이부(130)의 고리(133)에 결합됨으로써, 안전대(200)를 이루는 와이어로프(300)가 고정 브래킷장치(100)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727U KR200473955Y1 (ko) | 2012-05-04 | 2012-05-04 |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727U KR200473955Y1 (ko) | 2012-05-04 | 2012-05-04 |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566U KR20130006566U (ko) | 2013-11-13 |
KR200473955Y1 true KR200473955Y1 (ko) | 2014-08-11 |
Family
ID=5198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727U KR200473955Y1 (ko) | 2012-05-04 | 2012-05-04 |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95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8664A (ko) | 2020-06-24 | 2021-12-31 | 한국전력공사 | 고소 작업용 안전고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
KR20220043430A (ko) | 2020-09-29 | 2022-04-05 | 한국전력공사 | 추락 방지용 안전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작업 장치 |
KR20220116886A (ko) | 2021-02-16 | 2022-08-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전고리 걸이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42719A (zh) * | 2018-03-23 | 2018-08-24 |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地铁深基坑施工用安全带挂扣系统 |
CN110318549B (zh) * | 2019-07-29 | 2021-08-31 |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 斜屋面安全绳固定装置及其安装结构 |
CN114635576A (zh) * | 2022-04-27 | 2022-06-17 | 山东锦华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临边作业安全带固定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3411A (ja) * | 1998-04-17 | 1999-11-02 | Sekisui House Ltd | 墜転落防止用具の取付治具および墜転落防止用具の取付構造 |
KR20010001360U (ko) * | 1999-06-28 | 2001-01-15 | 최문호 | 건설현장용 안전 난간대 |
JP2008035953A (ja) * | 2006-08-02 | 2008-02-2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
JP2010196361A (ja) * | 2009-02-25 | 2010-09-09 | Kowa Giken:Kk |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
-
2012
- 2012-05-04 KR KR2020120003727U patent/KR20047395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3411A (ja) * | 1998-04-17 | 1999-11-02 | Sekisui House Ltd | 墜転落防止用具の取付治具および墜転落防止用具の取付構造 |
KR20010001360U (ko) * | 1999-06-28 | 2001-01-15 | 최문호 | 건설현장용 안전 난간대 |
JP2008035953A (ja) * | 2006-08-02 | 2008-02-2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
JP2010196361A (ja) * | 2009-02-25 | 2010-09-09 | Kowa Giken:Kk |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8664A (ko) | 2020-06-24 | 2021-12-31 | 한국전력공사 | 고소 작업용 안전고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
KR20220043430A (ko) | 2020-09-29 | 2022-04-05 | 한국전력공사 | 추락 방지용 안전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작업 장치 |
KR20220116886A (ko) | 2021-02-16 | 2022-08-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전고리 걸이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566U (ko) | 2013-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3955Y1 (ko) |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 |
US10060146B2 (en) |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 |
ATE392520T1 (de) | Sicherheitsvorrichtung für arbeitsvorgänge an horizontalen flächen auf baustellen | |
JP2016089445A (ja) | 安全ネットおよび足場の支持装置 | |
JP6723119B2 (ja) |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 |
KR100726445B1 (ko) |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 |
JP3171037U (ja) | 親綱支持装置 | |
KR20140005614U (ko) | 잠금장치를 구비한 앵커볼트 고정용 본체볼트 | |
JP2013055857A (ja) | 落下防止ネット | |
KR101897766B1 (ko) |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 |
JP3951234B2 (ja) | 命綱取付具 | |
KR100812130B1 (ko) | 구명줄 겸용 안전네트 | |
KR101435528B1 (ko) |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 |
JP2011219184A (ja) | 安全柵取付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柵並びに安全柵取付方法 | |
KR101112172B1 (ko) |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 |
KR200467302Y1 (ko) |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 |
JP5041581B2 (ja) | 隣接足場板間の離間規制用具 | |
KR101896955B1 (ko) |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CN201588397U (zh) | 一种钢结构工程施工用的防坠装置及其固定支架 | |
US7644894B1 (en) | Cable management and tie-off apparatus | |
JP2729365B2 (ja) | 建設現場に張り巡らす安全索の支持係留金具 | |
KR20210078822A (ko) | 안전벨트 걸이구가 구비된 서스펜션 핀 및 각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주 작업방법 | |
JP3185370U (ja) | 梯子(3) | |
KR200419382Y1 (ko) |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 |
KR101143422B1 (ko) |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