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65Y1 - 꽃병 - Google Patents

꽃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65Y1
KR200469965Y1 KR2020110010347U KR20110010347U KR200469965Y1 KR 200469965 Y1 KR200469965 Y1 KR 200469965Y1 KR 2020110010347 U KR2020110010347 U KR 2020110010347U KR 20110010347 U KR20110010347 U KR 20110010347U KR 200469965 Y1 KR200469965 Y1 KR 200469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se
hole
stopper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203U (ko
Inventor
정순진
이영란
유은하
이재욱
문지혜
권순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10010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6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63Flower vas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실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적은 수의 절화(折花)로도 효과적인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일반 가정의 관상용 절화 소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꽃병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꽃병{a vase}
본 고안은 꽃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적은 수의 절화(折花)로도 효과적인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꽃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화는 기념일 등 경조사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많지만, 가정에서 단순한 관상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정용 절화의 소비량이 증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먼저 도시민들의 생활공간이 협소해진데 따른 문제가 있다. 즉 최근 급격한 도시화에 의해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도 도시민들의 생활공간은 소형 아파트와 같은 형태로 점점 작아지고 있는데, 이처럼 생활공간이 좁아진 상태에서도 꽃병 등을 놓아 둘 장소가 마땅치 않아 관상용으로 절화를 사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또한 통상 꽃병은 상부로 개방된 단순한 용기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만 비교적 큰 개구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일반 꽃병의 경우 다발 형태의 절화를 꽂기에는 무리가 없지만, 낱개의 절화를 꽂아 장식효과를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상부에만 비교적 큰 개구를 구비하는 꽃병에 낱개의 절화를 꽂게 되면, 절화가 꽃병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게 되어 꽃이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조절하기 어렵게 되며, 이와 같이 낱개의 절화를 통해 효과적인 꽃장식이 어렵도록 마련된 기존 꽃병의 형태 역시 절화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요인 중에 하나가 되고 있다.
또 일반적인 꽃병은 유리로 제조되어 최초 제조된 용기모양 그대로 형태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꽃병은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도 공간차지율이 높기 때문에, 가정에서 쉽게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꽃병의 재질 및 형태도 절화의 사용량이 증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용 절화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마련된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적은 수의 절화로도 효과적인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 우려가 적으면서도 보관이 편리한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꽃병은 접힘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로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유닛과,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마련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두꺼운 종이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내면에는 방수막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걸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후면에는 상기 자석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관통구멍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구멍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마개 외주와 관통구멍 내주 사이에는 상기 마개와 관통구멍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마개에 외력을 가할 경우 절단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편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꽃병은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유닛과,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상기 각 관통구멍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마련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꽃병은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유닛과,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꽃병은 접힘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로 마련된 본체와, 본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유닛과,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마련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꽃병은 본체가 접힘이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어 보관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에도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게 되어 가정에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유닛을 통해 벽면에 설치되는 꽃병은 실질적으로 별도의 실내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또 상기 관통구멍은 낱개의 절화의 방향을 이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꽃장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은 수의 절화를 통해서도 꽃병의 장식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파손 우려가 적고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적은 수의 절화를 통해서도 꽃장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본 고안의 꽃병은 도시민 등 일반 가정의 절화 소비량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을 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꽃병이 사용상태가 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을 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꽃병이 보관 상태가 되도록 접혀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을 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자석이 분리되고 일부 관통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병의 요부를 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고정유닛으로서 양면테이프가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의 활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꽃병의 전면 쪽 관통구멍에 절화가 꽂아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의 활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꽃병의 측면 쪽 관통구멍에 절화가 꽂아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꽃병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꽃병은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의 본체(10)와, 본체(10)를 벽(a)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0) 후면에 마련된 고정유닛(20)과, 절화(f)를 꽂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에 마련된 관통구멍(3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일반 봉투와 같이 접힐 수 있도록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를 통해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본체(10)가 접힘이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는 꽃병은 접은 상태로 보관할 경우 보관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에도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게 되어 가정에서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본체(10) 상부의 개구(10a)의 경우 기본적으로 다발 형태의 절화(f)를 한꺼번에 꽂을 수 있도록 관통구멍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다.
봉투 형태로 접힘이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로 개방된 용기형태를 이룰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본체(10)는 본 실시예와 달리 종이재질을 통해서도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이로는 두꺼운 종이나 복겹의 종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본체(10)가 물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없도록 본체(10) 내면에는 방수막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은 본체(10) 후면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걸이공(21)과, 걸이공(21) 하부의 본체(10) 후면에 일체로 고정된 자석(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꽃병은 걸이공(21)을 벽(a)의 못(s) 등에 걸거나 상기 자석(22)의 자력에 의해 본체(10)를 냉장고 등의 벽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실내공간의 다양한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실내 벽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꽃병은 실질적으로 별도의 실내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자석(22)의 설치를 위해 본체(10) 후면에는 자석(22)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40)가 본체(10)와 동일한 재질을 통해 일체로 마련된다.
물론 고정유닛(20)은 상기 걸이공(21)과 자석(22) 중 어느 하나만을 통해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와 같이, 본 고안에서 고정유닛(20)은 양면테이프(23)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10)는 양면테이프(23)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며, 사용 전 상태에서 상기 양면테이프(23)의 접착층은 이형지(23a)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30)은 소수의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에 상기 개구(10a)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마련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꽃병은 이러한 관통구멍(30)을 통해 적은 수의 절화만을 이용해서도 충분한 장식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에만 비교적 큰 개구를 구비하는 종래 꽃병의 경우 상부 개구에 낱개의 절화를 꽂게 되면, 절화가 꽃병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게 되어 꽃이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조절하기 어렵게 되는데, 상기 개구(10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관통구멍(30)을 전면이나 측면에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꽃병의 경우 관통구멍(30)에 꽂아진 절화의 방향을 이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용이하게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유리하여 적은 수의 절화를 통해서도 장식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30)에 절화를 꽂게 되면, 경사진 절화 상부의 머리 쪽이 전방이나 측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꽃병에 꽂아진 절화의 수에 비해 꽃들의 입체감을 상대적으로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구멍(30)은 본체(10) 상부 쪽 전면과 상부 쪽 측면에 각각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본체(10) 상부의 전면과 측면 중 어느 한 쪽에만 마련되도록 하거나, 본체(10) 전면이나 측면에 하나 씩 형성되도록 하는 등 꽃병은 이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숫자의 관통구멍(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벽면 설치용으로 마련되는 본체(10)의 설치 위치를 고려했을 때, 가장 바람직한 관통구멍(30)의 위치는 실내 공간으로 노출이 가장 용이한 본체(10) 상부의 전면 쪽이 될 수 있겠다.
또한 관통구멍(30)을 필요시에만 개방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꽃병은 상기 관통구멍(30)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마련된 마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개(50)는 본체와 동일한 재질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50)는 관통구멍(30)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관통구멍(30) 안쪽에 본체(10) 전면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되고, 마개(50) 외주와 관통구멍(30) 내주 사이에는 마개(50)와 관통구멍(30)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마개(50)에 관통구멍(30)의 개방방향 쪽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절단되어 마개(5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편(51)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마개(50)는 본체(10)의 성형시 본체(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도록 본체(10)와 동일한 재질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10)의 관통구멍(30)이 마개(50)에 의해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혀진 꽃병은 이용자가 관통구멍(30)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관통구멍(30)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관통구멍(3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본체(10)의 미관이 관통구멍(30)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마개(50)는 복수개 관통구멍(30) 중 일부 관통구멍(30) 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된 꽃병의 이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 전 상태에서 꽃병 본체(10)는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접혀진 상태가 되며, 이때 각 관통구멍(30)은 마개(50)에 의해 막혀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꽃병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본체(10)를 도 1의 상태가 되도록 펼친 상태에서 마개(50)를 절단하여 원하는 위치의 관통구멍(30)이 개방되도록 한다. 물론 관통구멍(30)이 하나인 경우에는 관통구멍(30)의 사용 예정 여부에 따라 마개(50)를 절단해 내게 된다.
다음에는 고정유닛(20)을 이용하여 본체(10)를 실내 공간의 벽면에 고정시키고 본체(10) 안쪽 저부에 소정량의 물(b)을 채우게 된다. 접힘 가능한 본체(10)는 이 상태에서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의해 다시 접혀지지 않고 용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절화(f)의 가지가 본체(10)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관통구멍(30)에 절화를 꽂게 되면, 꽃병을 이용한 절화의 장식작업은 간단히 완료된다.
10: 본체 10a: 개구
20: 고정유닛 21: 걸이공
22: 자석 30: 관통구멍
50: 마개

Claims (12)

  1. 접힘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로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유닛과, 절화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과 상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꽃병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막도록 마련된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는 상기 관통구멍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구멍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마개 외주와 관통구멍 내주 사이에는 상기 마개와 관통구멍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마개에 외력을 가할 경우 절단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편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두꺼운 종이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면에는 방수막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걸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에 일체로 마련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는 상기 자석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병.
  11. 삭제
  12. 삭제
KR2020110010347U 2011-11-22 2011-11-22 꽃병 KR200469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47U KR200469965Y1 (ko) 2011-11-22 2011-11-22 꽃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47U KR200469965Y1 (ko) 2011-11-22 2011-11-22 꽃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03U KR20130003203U (ko) 2013-05-30
KR200469965Y1 true KR200469965Y1 (ko) 2013-11-15

Family

ID=5074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47U KR200469965Y1 (ko) 2011-11-22 2011-11-22 꽃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47B1 (ko) * 2014-11-06 2015-04-28 허주영 걸이화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614A (ja) * 1993-10-15 1995-04-25 Akira Yamamoto 容器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によりなる容器
JP2001340193A (ja) * 2000-05-30 2001-12-11 Masaru Shigeta 折り畳み式花瓶
JP2005253542A (ja) 2004-03-09 2005-09-22 Nagoya Mourudo:Kk 花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614A (ja) * 1993-10-15 1995-04-25 Akira Yamamoto 容器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によりなる容器
JP2001340193A (ja) * 2000-05-30 2001-12-11 Masaru Shigeta 折り畳み式花瓶
JP2005253542A (ja) 2004-03-09 2005-09-22 Nagoya Mourudo:Kk 花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03U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965Y1 (ko) 꽃병
USD549502S1 (en) Keepsake wall hanging
US20080302792A1 (en) Decorative container
JP3121019U (ja) 鍋蓋収納ラック
US6402341B1 (en) Decorative ornamental assembly
JP5913088B2 (ja) 水中観賞物支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体
KR200474274Y1 (ko) 꽃꽂이대
US4149632A (en) Record album and mobile
USD603952S1 (en) Tower fan with an upper holder
US8821164B2 (en) Decorative canister
CN210015612U (zh) 一种室内设计用的功能模型挂件
JP3773251B1 (ja) 生花保持具
JP3215757U (ja) 壁掛け用剣山
JP3212119U (ja) ランドリーハンガー用収納ボックス
JP3115098U (ja) テーブル用装飾台
JP3106803U (ja) 装飾花瓶
JP3091838U (ja) 花用包装材及び包装具
JP3092192U (ja) 生花飾り
JP3120837U (ja) 壁掛用花盛篭
CN202425369U (zh) 贴于室内墙壁上的花盆
JP3166775U (ja) 吊下形履物カバー
JP3090224U (ja) 釣用疑似餌などの収納ケース
JP3188750U (ja) 園芸容器、園芸容器の内部構造およびインナーポット付外鉢
JP3194860U (ja) 収納室用棚板
KR20120001995U (ko)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