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95U -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 Google Patents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95U
KR20120001995U KR2020100009467U KR20100009467U KR20120001995U KR 20120001995 U KR20120001995 U KR 20120001995U KR 2020100009467 U KR2020100009467 U KR 2020100009467U KR 20100009467 U KR20100009467 U KR 20100009467U KR 20120001995 U KR20120001995 U KR 201200019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wall
supply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익
박장우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to KR2020100009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995U/ko
Publication of KR20120001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관상용 식물이 식재된 공간, 즉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 내부의 배면부는 동판화 등 장식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부재에는 식재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이 구비되며 그 포켓에 의해 형성된 내측의 식재 공간은 꽃이나 나무 등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여 화분의 기능으로 가지는데 식재 식물은 상기 배면부의 동판화와 포켓부의 문양과 더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나 포켓이 모두 액자의 내부에 부착되어 일반 액자와 같이 벽체에 걸 수 있도록 고안되어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액자나 벽걸이 화분의 고급화 및 차별화가 가능해져서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The wall-mounted type picture-frame in which pockets for planting ornamental plants is equipped}
본 고안의 관상용 식물이 식재된 공간, 즉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 내부의 배면부는 동판화 등 장식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부재에는 식재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이 구비되며 그 포켓에 의해 형성된 내측의 식재 공간은 꽃이나 나무 등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여 화분의 기능으로 가지는데 식재 식물은 상기 배면부와 포켓부의 동판화 문양과 더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벽걸이 화분 등은 주로 화분을 실내외 바닥에 놓고 감상하거나 단순히 벽에 걸고서 감상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거나 그 차지하는 공간이 콤팩트한 액자 형태가 아니라 대개 평판 위, 액자 등의 밖 혹은 전면으로 식재 공간을 추가로 덧붙인 형태들의 것이어서 실내외 인테리어 공간활용에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그런데, 유재만이 고안자로서 2007.11.29. 등록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7492),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및 2008.2.14. 등록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38549),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는 매우 진보된 식물 액자 형태를 보이고 있다. 전자는 액자 내부의 배면부의 전면으로 수분공급재가 형성되고 액자 내부의 상단에는 수분공급재의 전면으로 장식부재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식부재에는 식재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이 있고 액자 내부의 하단에는 식재 공간에 심는 꽃이나 나무등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담아 두는 급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이고 또한 상기 급수부는 관상용으로 수족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대해 후자는 전자와 거의 모두 유사하게 구성하지만 다만 급수부를 관상용 수족관으로 형성하지는 않는다.
위 각 고안에 의한 벽걸이형 액자는 비록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당히 진보된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액자내 장식부재의 소재가 특정하지 않고 있어 그것이 얼마나 인테리어 효과가 있는지 쉽게 판단하기 어려우며 액자 하단에 급수부를 두어 누수가 염려된다. 위 각 고안 공히 액자의 속성상 벽에 걸게 되면 물을 보충하거나 물을 주기가 매우 어렵고 급수부에 물을 많이 보유하게 되면 하중을 증가하게 되어 벽에 걸기 곤란해지면 급수부의 물의 오염, 부패로 악취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위와 같은 이유에서 전자의 수족관을 구비하는 화분은 벽에 거는 형태보다는 바닥과 벽에 밀착시키는 형태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위 각 고안에 의한 제품이 거의 상용화 출시되지 않고 있는 것도 위와 같은 내부적인 문제점에 의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에 본 고안은 동판화의 특유한 형상과 문양을 가진 배면부와 포켓부의 외측 동판화 장식부재에 의해 소정의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내측의 식재 공간에 의해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관상용으로 가꾸거나 키울 수 있는 포켓이 화분의 기능을 구비하여 기존의 단순한 액자보다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재 식물의 안정적 식생유지에 충분한 물을 확보하면서도 그 보유량을 최소화하고 물공급 방법을 간단하게 설계하고 누수 문제가 전혀 없도록 제작하여 본 고안의 액자를 벽에 걸어 특별한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오랫동안 안정적인 식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물공급과 누수 문제, 경량화 대책이 상당히 개선된 형태의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따른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의하면 장식부재에 형성된 동판화 특유의 문양을 갖는 포켓의 외측에 의해 소정의 장식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상기 포켓 내측의 식재 공간은 꽃이나 나무 등 관상용으로 키울 수 있는 화분의 기능을 구비하여 기존의 단순한 액자보다 매우 다양한 형태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또한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액자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자의 하중이 가볍고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공간활용의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의 입체로 투영된 입면도와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의 내면 배면부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구조 중 포켓 및 내면 배면부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입면 및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구조 중 수분공급부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입면 및 단면도이다.
도6은 적용 실시예 사진으로 본 고안의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를 실제로 구현해 본 결과의 사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자 내부 배면부의 전면을 동판화 등 장식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장식부재는 내측으로 하단부분이 막히고 상단부분이 열려있는 식재 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식재 공간에 꽃이나 나무 등 실내 관상용 식물을 심거나 조경 효과가 탁월한 자재로 장식을 하며 액자 내부 배면부의 장식부재와 후면의 PVC 패널(일명 크리스판. 이는 벽면과 천장의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는 속이 빈 PVC 경량 자재) 사이에 부직포, 스폰지 및 발포합성수지 등 수분 공급재를 구비하고 액자 바닥 부분 및 측면에는 물 공급을 하기 위한 급수 PE 투명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로 연결된 후면에 부착된 후면의 PVC패널의 각 빈 공간들 중에서 포켓의 식재 공간을 포함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물을 채우는데 상기 PVC 패널 내부의 공간으로 구멍을 뚫어 수분 공급부에 물을 적당량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투명 파이프는 물을 상기 PVC패널에 공급하기도 하고 자체 보유하는 수단도 되지만 측면의 파이프는 물의 수위를 나타내 물 보유 정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는 도1 내지 도5 및 사례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자(10)의 그 내부 배면부(20)의 전면으로 동판화 등 장식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장식부재에는 내측으로 하단부분이 막히고 위쪽이 열려 있는 식재 공간(40)이 형성되는데 특유한 형태의 포켓(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배면부(20)의 소재는 동판으로 하는 게 바람직한데 외표면은 동판화의 고유의 문양을 형성하여 장식 효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재공간(40)이 되는 포켓(30)의 리벳팅 부착 등 가공이 매우 용이하다.
포켓(30)의 소재는 상기 내부 배면부(2)와 동판으로 하는 게 바람직하며 외측에는 동판화의 문양을 하거나 포켓(30) 자체를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작은 바위나 나무 등 첨경물을 부착하거나 이끼 등 지피 식물을 부착하여 장식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데 주요 기능은 식재공간(40)의 구성으로서 밑부분은 리벳팅하여 막고 윗부분은 개방하여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40)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는 경우에는 상기 액자(10)의 내부 배면부(20)와 장식부재 사이에 상기 액자(10)의 바닥부 및 측면의 급수 PE 파이프(80)를 통해 수분공급재(50)로 공급에 공급된 물을 흡수하여 식재된 꽃이나 나무 등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 주는 수분공급재(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공급재(50)은 도3 내지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배면부(2)의 일부, 식재공간(4)이 되는 포켓(3)부분만 수분이 공급되도록 부착하는데 소재는 부직포, 스폰지 및 발포합성수지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자(10)의 후면 PVC 패널(60)에서 공급되는 물을 쉽게 흡수하여 상기 식재공간(40)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재의 상부와 측면의 가장자리에는 PE 파이프(51)를 구비하여 흡수된 수분이 다른 곳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방지하며 하부에는 물받이(70)을 설치하여 흡수된 물이 직접 액자(10)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액자 후면 PVC 패널(60)은 일명 크리스판으로 이는 벽면과 천장의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는 속이 빈 두께 10mm 내외의 PVC 경량 자재로서 본 고안의 액자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면서 후면에서 일부 선택된 칸에만 수분을 공급하고 그 칸에 구멍을 구비하여 수분공급재(50)의 흡수를 통해 식재공간(40)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형성하여, 본 고안의 액자가 종래의 액자 고안이 하단부의 저수조 혹은 급수부를 설치하여 단지 수분공급재의 흡수력이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상부에 설치된 식재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인 것에 비해 식재공간보다 상부에 구비된 구멍으로 수분공급재(50)에 점적 방식으로 물을 흡수시키고 방식으로 물공급이 안정적이며 물공급을 위한 급수 PE 파이프(80)는 물 공급뿐만이 아니라 공급된 물을 보유 정도를 보여주는 인디케이터 역활을 하도록 측면이 노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물공급 파이프에 대한 물공급은 주사기로 파이프 끝단부(81)에서 하고 적당량의 물을 공급한 후에는 파이프 끝단을 꺽어접어 집개로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고안에 의한 액자가 하단부에 저수조 혹은 급수부를 두고 수분공급재의 흡수력 혹은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액자가 기울지거나 뒤집어지는 경우에는 하부의 물이 누출될 개연성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여 상기 액자(10)의 내부의 수분공급재(50)의 밑부분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과잉될 경우에 일정량의 물을 보유할 수 있는 하는 물받이(70)를 형성하며 상기 수분공급재(50)의 가장자리에는 PE파이프(51)를 설치하여 본 고안의 액자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는 경우에도 공급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특징이 있다.
10 : 액자 20 : 액자의 내면 배면부
30 : 포켓 40 : 식재 공간
50 : 수분공급재 60 : 액자 후면 PVC 패널
70 : 물받이 80 : 급수 PE 파이프

Claims (3)

  1.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로서, 액자 내부 배면부와 후면 PVC 패널 사이에 하부에 구비된 급수 PE 파이프를 통해 상기 패널의 칸에 공급된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재가 형성되고;
    상기 수분공급재의 전면에는 장식부재로서 소재로는 동판화가 바람직한 상기 액자의 내부 배면부와 아랫쪽은 막히고 윗쪽은 열려 있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구비된 식물 식재용 벽걸이형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내부 배면부와 액자 후면 PVC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식재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재에 가 상기 PVC 패널의 빈칸 중에서 하부의 물공급 PE 파이프에서 지정하여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연결되어 상기 식재공간에 공급되는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구비된 식물 식재용 벽걸이형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내부 배면부와 액자 후면 PVC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식재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재 하단에는 물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수분공급재의 가장자리는 공기가 가득찬 PE 파이프를 구비한 후에 액자 조립시 눌러지게 하여 수분공급재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물공급 PE 파이프도 물공급을 한 이후에는 파이프을 꺽어접어 물의 누출을 방지하여 액자가 기울어지거나 엎어져도 공급된 물을 누출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구비된 식물 식재용 벽걸이형 액자.
KR2020100009467U 2010-09-09 2010-09-09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1200019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67U KR20120001995U (ko) 2010-09-09 2010-09-09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67U KR20120001995U (ko) 2010-09-09 2010-09-09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95U true KR20120001995U (ko) 2012-03-19

Family

ID=4617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467U KR20120001995U (ko) 2010-09-09 2010-09-09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9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70B1 (ko) * 2013-04-10 2014-11-26 한태환 식물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70B1 (ko) * 2013-04-10 2014-11-26 한태환 식물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833B2 (en) Live plant box
KR101414933B1 (ko)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CN203912696U (zh) 一种自动浇水花盆
KR200405109Y1 (ko) 다용도 어항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120001995U (ko)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JP2021023244A (ja) パーテーション
KR20140005582U (ko) 직물 화분
KR100758538B1 (ko) 관상식물의 식생 방법
KR101012174B1 (ko) 제단용 화환대
CN205794256U (zh) 一种立式拼接种植盆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N207135625U (zh) 一种石头花盆
KR200425493Y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탁상용 화분
CN205611317U (zh) 一种多功能方形立体组合植物盆
CN203618448U (zh) 挂壁相框式花架
KR101014627B1 (ko) 화분
KR20130007485U (ko) 액자화분
JP3055023U (ja) 植木鉢の給水具
KR102435788B1 (ko) 조립식 디자인 화분
CN205912625U (zh) 一种植物壁画装置
CN203353261U (zh) 鱼缸及盆栽养殖器
CN214383331U (zh) 多肉植物立体装饰画
CN215872804U (zh) 一种壁挂式种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