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470B1 - 식물 액자 - Google Patents

식물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470B1
KR101465470B1 KR1020130038920A KR20130038920A KR101465470B1 KR 101465470 B1 KR101465470 B1 KR 101465470B1 KR 1020130038920 A KR1020130038920 A KR 1020130038920A KR 20130038920 A KR20130038920 A KR 20130038920A KR 101465470 B1 KR101465470 B1 KR 10146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ct
water
water supply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377A (ko
Inventor
한태환
유택주
강노성
Original Assignee
한태환
강노성
(주) 플레이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환, 강노성, (주) 플레이잼 filed Critical 한태환
Priority to KR102013003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이 고정되는 흙이 수용되는 액자틀; 액자틀 내부에 배치되며, 액자틀에 수용된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 가지는 물공급관; 및 접촉에 의해 삽입되어 물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물 공급 장치가 액자틀에 장착되면, 액자틀의 일측과 접촉된 접촉 돌기가 삽입되어 물 공급 장치는 물공급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식물 액자가 벽에 걸린 상태에서도 식물 액자의 흙 전체에 물을 골고루 줄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PLANT FRAME AND DEVICE FOR SUPPLYING WATER OF THE PLANT FRAME}
본 발명은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 따위의 무생물을 넣어 벽에 걸어 감상 또는 실내 장식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공개특허 "식물 액자(대한민국공개특허 KR10-2010-0111636)"에서는 살아있는 식물을 액자에 고정하여 식물을 벽에 걸어 키울 수 있도록 한 식물 액자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물 액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식물 액자는, 케이스(7)에 액자틀(1)을 고정하고 케이스(7) 내에 꽃(4) 등의 식물을 심어 생동감과 일체감 그리고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대(미도시)가 고정된 케이스(7) 전면에 액자틀(1)을 고정하고, 이 지지대(5) 위에 야자나무껍질(6)을 부착하며, 야자나무껍질(6)에 꽃(4)의 뿌리를 위치시키고 이 뿌리를 이끼류(미도시)로 덮은 상태에서 이끼류 위에 고정대를 대고 피스로 고정한 후 그 위에 마감재로 해고(2)(또는 굴피)를 고정하여 흙이나 뿌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면서 수분증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식물 액자는 액자 내부에 위치하는 흙 전체에 물을 골고루 주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식물 액자가 벽에 걸린 상태에서는 물을 주는 경우, 물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식물 액자 주변의 벽으로 흘러 바닥 및 벽지가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식물의 뿌리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0-0111636 A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물 액자의 흙 전체에 물을 충분히 줄 수 있는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식물 액자가 벽에 걸린 상태에서도 식물 액자의 주변으로 물이 비산하여 식물 액자 주변이 더러워지는 일 없이 식물 액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이 고정되는 흙이 수용되는 액자틀; 상기 액자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 가지는 물공급관; 및 접촉에 의해 삽입되어 물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가 상기 액자틀에 장착되면, 상기 액자틀의 일측과 접촉된 접촉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공급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에는 중공을 갖는 차단벽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중공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가 접촉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중공을 개방하고, 상기 접촉 돌기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중공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는, 외부로 돌출되어 접촉에 의해 삽입되는 접촉부; 상기 중공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접촉부 및 차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중공을 가로지르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 및 차단벽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 가지는 타공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의 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및 타공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접촉부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 및 수용부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는 유동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 내부에는 흡습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흡습 부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관 내부에는 흡습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자틀은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이 고정되는 흙이 수용되는 액자틀; 및 접촉에 의해 삽입되어 물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의 접촉 돌기가 상기 액자틀의 일측과 접촉되어 삽입되면,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흙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식물 액자의 흙 전체에 물을 골고루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액자가 벽에 걸려있는 상태로 식물 액자의 흙에 물을 줄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물 액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에 배치된 타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타공관, 수용부, 및 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을 하기 위해 식물 액자에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에 배치된 타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타공관, 수용부, 및 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식물 액자는 액자틀(100)을 포함한다. 액자틀(100)은 내부에 식물(10)이 고정될 수 있는 흙(20)이 수용된다. 여기서, 액자틀(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은 흙(20)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10)이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물질도 가능하다. 또한, 흙(20)에 고정되는 식물(10)은 꽃을 피우는 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류에 상관없이 어떠한 식물도 식물 액자에 수용되어 생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식물 액자는, 일례로서 액자틀(100), 물공급관(110), 및 가이드홈(120)을 포함한다.
액자틀(100) 내부에는 살핀 바와 같이 흙(20)이 수용된다.
물공급관(110)은, 액자틀(100) 내부에 배치되며 액자틀(100)에 수용된 흙(20)에 물(30)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도 4의 113a 참조)을 가진다. 일례로서, 물공급관(110)의 수용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틀(100)의 측벽(101)으로부터 함몰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홈(120)은, 후술할 물 공급 장치(도 5의 200 참조)의 가이드 돌기(도 5의 220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틀(100)의 측벽(101)으로부터 함몰되어 구비된다. 다만, 가이드홈(12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돌기(220)와 결합되어 액자틀(100)에 물 공급 장치(200)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돕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물공급관(110)은, 수용부(111), 목부(112), 타공관(113), 및 흡습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1)는, 후술할 물 공급 장치(200)의 연장부(도 5의 206 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액자틀(100)의 측벽(101)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수용부(111)는, 물 공급 장치(200)의 연장부(206)가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206)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접촉부(도 5의 211 참조)를 가압하는 접촉면(111a), 및 접촉면(111a)에 형성되어 물 공급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물(30)의 유동 통로 역할을 하는 중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목부(112)는, 수용부(111) 및 후술할 타공관(113)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목부(112)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11)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211)를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접촉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타공관(113)은, 액자틀(100)에 수용된 흙(20)에 물(30)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113a)을 가진다.
배출공(113a)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과 하방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공관(113) 내부의 물(30)을 타공관(113) 외부에 위치하는 흙(20)으로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배치될 수 있다. 배출공(113a)의 지름과 배치 형태는 타공관(113) 내부로 흙(20)이 유입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타공관(113)의 주변에는 흙(20)이 아닌 자갈 등과 같이 입자가 큰 물질을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타공관(113)의 외주면을 부직포(미도시) 등로 감싸 흙(20)이 타공관 내부로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타공관(113)의 내부에는, 흡습 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목부(112)를 통해 타공관(113)으로 유입되는 물(30)이 흡습 부재(114)에 흡수되어 흡습 부재(114) 전체로 퍼져 타공관(113)의 다수의 배출공(113a)을 통해 골고루 물(30)이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공관(113)은, 타공관(113)의 배출공(113a)을 통해 배출된 물(30)이 흙(20) 전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액자틀(100) 내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 공급 장치(200)는, 케이스(201), 유동관(202), 흡습 부재(203), 배출구(204), 차단벽(205), 연장부(206), 및 실링부재(20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물 공급 장치(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저장부(201a)를 형성한다. 케이스(201)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액자틀(100)의 측벽(101)의 폭 및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201a)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30)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케이스(201)에는 외부로부터 저장부(201a)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유동관(202)은, 저장부(201a)에 저장된 물(30)을 후술할 배출구(204)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동관(202) 내부에는 흡습 부재(203)가 구비될 수 있다.
흡습 부재(203)는, 저장부(201a)에 저장된 물(30)을 흡수하여 흡습 부재(203) 전체로 물을 퍼뜨린다. 이 경우, 후술할 누름부(214)가 흡습 부재(203)의 일측을 가압하면 물(30)이 천천히 공급될 수 있다. 타공관(113) 내부에 구비되는 흡습 부재(114)를 "제 1 흡습 부재"라 하고, 물 공급 장치(200)에 구비되는 흡습 부재(203)를 "제 2 흡습 부재"라 이름할 수 있다.
배출구(204)는, 물 공급 장치(200)의 물(30)이 액자틀(100) 내부에 위치하는 물공급관(110)에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차단벽(205)은, 배출구(204) 상에 구비되며 중공(205a)을 포함한다. 중공(205a)의 지름은 후술할 차단부(213) 및 탄성부재(215)의 지름 보다는 작고 목부(212)의 지름 보다는 클 수 있다.
연장부(206)는, 케이스(201)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연장부(206)는, 케이스(20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연장부(206)의 적어도 일부는 액자틀(100)의 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111)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실링부재(207)는, 연장부(206)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어 연장부(206)가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장부(206) 및 수용부(111)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물 공급 장치(200)는, 접촉 돌기(210) 및 가이드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돌기(210)는, 접촉에 의해 삽입되어 물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 돌기(210)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이드 돌기(220)는, 액자틀(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케이스(20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20)는 가이드홈(120)에 삽입되어 액자틀(100)에 물 공급 장치(20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 돌기(210)는, 접촉부(211), 목부(212), 차단부(213), 누름부(214), 및 탄성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11)는, 외부로 톨출되어 접촉에 의해 삽입되는 부분이다. 특히, 접촉부(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06) 보다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211)는, 일례로서 십자모양이 내삽된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211)를 통해 물(30)이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접촉부(211)는, 접촉에 의해 유동관(202) 방향으로 삽입된다(도 6의 a 참조). 또한, 접촉부(211)는 접촉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도 6의 b 참조).
목부(212)는, 접촉부(211)와 후술할 차단부(21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목부(212)는, 차단벽(205)의 중공(205a)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차단부(213)는, 차단벽(205)의 중공(205a)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중공(205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부(213)는, 접촉부(211)가 접촉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서는 중공(205a)을 개방하고, 접촉부(211)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공(205a)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누름부(214)는, 차단부(21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유동관(202)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203)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누름부(214)는 일례로서 십자형상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흡습 부재(203)를 가압하여 흡습 부재(203)로부터 물(30)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탄성부재(215)는, 접촉부(211) 및 차단벽(205) 사이에 구비되어 접촉부(211)를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215)는 접촉부(211)를 누르는 다른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접촉부(21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을 하기 위해 식물 액자에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자틀(100)이 벽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물 공급 장치(200)가 액자틀(100)의 측면에 장착된다. 액자틀(100)에 물 공급 장치(200)가 견고히 장착되기 위해 물 공급 장치(200)로부터 돌출형성된 연장부(206)는 액자틀(100)에 함몰형성된 수용부(111)에 삽입되고, 물 공급 장치(200)로부터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220)는 액자틀(100)에 함몰형성된 가이드홈(110)에 삽입된다.
이 경우, 연장부(206) 보다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된 접촉부(211)가 수용부(111)의 접촉면(111a)과 접촉하여 연장부(206) 방향으로 삽입된다(도 6의 a 참조). 접촉부(211)가 삽입되면 접촉부(211)와 목부(2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차단부(213)도 유동관(202) 내부 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렇게 차단부(213)가 후퇴하면 차단벽(205)에 구비된 중공(205a)이 개방된다. 또한, 차단부(213)로부터 연장형성된 누름부(214)는 유동관(202)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203)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부(201a)에 저장된 물(30)은 유동관(202)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203)에 의해 흡수되었다가 누름부(214)의 가압에 의해 흡습 부재(203) 외부로 배출되어 개방된 중공(205a)을 통해 유동한다. 이와 같이 중공(205a)을 통과한 물(30)은 배출구(204)를 거쳐 물공급관(110)의 수용부(111)의 중공(111b)을 유동하여 타공관(113)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114)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흡습 부재(114)로 공급된 물(30)은 흡습 부재(114) 전체로 퍼져나가 흡습 부재(114) 전체가 충분히 젖은 이후부터는 타공관(113)에 구비된 다수의 배출공(113a)을 따라 골고루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공(113a)을 통해 배출된 물(30)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하여 액자틀(100) 내부에 수용된 흙(20) 전체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액자틀
110 : 물공급관
120 : 가이드홈
200 : 물 공급 장치
210 : 접촉 돌기
220 : 가이드 돌기

Claims (13)

  1. 내부에 식물이 고정되는 흙이 수용되는 액자틀;
    상기 액자틀 내부에 배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수하는 제 1 흡습 부재와, 상기 제 1 흡습 부재에 흡수된 물을 상기 액자틀에 수용된 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구비되는 물공급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접촉 돌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수하는 제 2 흡습 부재가 구비되는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제 2 흡습 부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 장치가 상기 액자틀에 장착되면,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접촉 돌기를 가압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 2 흡습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물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물공급관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에는 중공을 갖는 차단벽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중공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수용부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중공을 개방하고,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수용부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중공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물 공급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중공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접촉부 및 차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중공을 가로지르는 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및 차단벽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은,
    외주면에 상기 배출공이 구비되는 타공관; 및
    상기 수용부 및 타공관을 연통시키며, 상기 접촉부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자틀의 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 및 수용부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는 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관에는 상기 제 2 흡습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관에는 상기 제 1 흡습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액자.
  13. 삭제
KR1020130038920A 2013-04-10 2013-04-10 식물 액자 KR10146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20A KR101465470B1 (ko) 2013-04-10 2013-04-10 식물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20A KR101465470B1 (ko) 2013-04-10 2013-04-10 식물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77A KR20140122377A (ko) 2014-10-20
KR101465470B1 true KR101465470B1 (ko) 2014-11-26

Family

ID=5199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20A KR101465470B1 (ko) 2013-04-10 2013-04-10 식물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418B1 (ko) * 2020-12-28 2022-05-30 식스팜 원예복지협동조합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39B1 (ko) * 2007-01-02 2008-07-01 송재섭 벽부착 화분.
KR20080006304U (ko) * 2007-06-13 2008-12-17 오영학 벽걸이형 화분
KR20120001995U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하이드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39B1 (ko) * 2007-01-02 2008-07-01 송재섭 벽부착 화분.
KR20080006304U (ko) * 2007-06-13 2008-12-17 오영학 벽걸이형 화분
KR20120001995U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하이드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켓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77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2023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AU2018327371B2 (en) Autonomous irrigation system
KR101006707B1 (ko) 칠판용 지우개 세척기
KR101465470B1 (ko) 식물 액자
CN105830895A (zh) 植物种植装置
KR102285512B1 (ko)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US20120066971A1 (en) Water Supply Device for Planting Container
JP7231938B2 (ja)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に用いられる水検出ユニット、本体ケース、水検出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の製造方法
CN209655608U (zh) 一种太阳能热水器用防水防潮控制器
US9591813B2 (en) Multi-purpose plant water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CN209063740U (zh) 一种火电站设计图纸存放装置
CN207843801U (zh) 定量取用流体的流体瓶
KR101040501B1 (ko) 식물 액자
KR101380361B1 (ko) 토양 수분의 건조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CN206938277U (zh) 一种储液式书写笔
JP3884419B2 (ja) 自動給水器
CN208300440U (zh) 一种自动吸水花盆
JP3144407U (ja) ペットボトルを再利用した植物栽培容器に用いられる吸水具
CN214157178U (zh) 一种生活用纸存取装置
CN213153571U (zh) 一种自动按需加水装置及其捕蝇笼
KR20150057073A (ko) 화분
CN221083383U (zh) 一种连栋温室分区隔离脚垫
TWM354327U (en) Structure of flowerpot
CN203692044U (zh) 一种方便加注营养液的盆
KR200491118Y1 (ko) 양봉의 여왕벌 사육용 왕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