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418B1 -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 Google Patents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418B1
KR102403418B1 KR1020200184936A KR20200184936A KR102403418B1 KR 102403418 B1 KR102403418 B1 KR 102403418B1 KR 1020200184936 A KR1020200184936 A KR 1020200184936A KR 20200184936 A KR20200184936 A KR 20200184936A KR 102403418 B1 KR102403418 B1 KR 10240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topiary
moss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해
Original Assignee
식스팜 원예복지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식스팜 원예복지협동조합 filed Critical 식스팜 원예복지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18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용의 물을 충진할 수 있는 급수베이스(1)와, 상기 급수베이스(1)와 분리되며 생육용의 이끼를 생육공간(I)에 내장한 토피어리바디(5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단속가능한 면접촉으로 수행되는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더 구비하여 급수를 행하도록;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가 단속되어 면접촉하면서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상기 급수수단으로서; 상기 급수베이스(1)는, 수공급을 위하여 개폐가능한 캡을 가지는 수조부(10)와, 상기 수조부(10)와 유체적으로 분리되고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인 된 급수안치부(20)를 구획으로 일체로 가지고, 상기 수조부(10)와 급수안치부(20) 사이의 연통하는 1개 이상의 수공급공(11), 상기 수공급공(11)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기 급수안치부(20)에 배설되는 고흡습성의 스트립형의 급수패드(30)를 가지고,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액자 형상체로서 그 내방 생육공간(I)에 이끼(M)를 수용하고, 그 하방벽부(50-1)의 천공부인 흡습공(53)으로 그 돌출부(55')가 연장돌출하여 노출되는 고흡습성의 흡수패드(55)를 내장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급수용의 물이 상기 수조부(10) - 상기 수공급공(11) - 상기 급수패드(30) - 상기 흡수패드(55)를 통한 삼투압작용으로써 유체연결되어 상기 이끼(M)로 물을 급송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FRAME TYPED TOPIARY FOR PLANTING MOSS}
본 발명은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끼식물을 생육시키되, 액자형상의 수용용기에 수납하여 생육하기에 적합한 토피어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이끼(Moss)를 생육시키는 장치로서 유리트레이, 유리병 등에 이끼를 수납하여 구성한 것이 토피어리(Topiary)이다.
토피어리는 실내조경 원예식물재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통상적인 구성은 유리재의 트레이에 이끼를 장식배설하여 수납시키고 수시로 물을 분무하거나 물을 공급하여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이끼를 주제로 하는 토피어리는 이끼의 특성 상, 빈번한 물공급이 불요하여 재배가 극히 용이하고 실내환경으로의 적용이 용이하여 널리 재배되고 있다. 특히 유아나 저학령생 들의 경우, 이끼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것(예를 들면 인형)을 재배함으로써 식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이끼류는 액자형상의 수용용기에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응용성이 높고 근래에는 이러한 액자형의 토피어리가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비록 이끼를 주제로 하는 토피어리가 급수의 비교적 빈번하지 않아도 되나,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성장하고, 나아가 건조상태에 방치되어 사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급수를 행하는 행위는 대단히 번거롭고 이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당기간 급수를 행하지 않아도 되는 자동급수의 이끼생육용의 테피어리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선원기술분야에서 발견되는 관련 기술로는 한국 특허 제10-2014700호가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양측면에 팬홀(12)이 형성된 액자틀(10); 상기 액자틀(10) 내부에 고정되어 이끼가 서식하는 배지(20); 상기 액자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조(30); 상기 배지(20)의 이끼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기(40); 상기 팬홀(12)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팬(50) 및 상기 수조(30) 내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자(60)로 구성되고, 상기 배지(20)는 질석, 피트모스, 아교의 혼합물이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22)에 붙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60)를 구동하여 상기 액자틀(10) 내 수분량을 높인 후 상기 팬(50)으로 공기를 액자틀(10) 내부로 흡입하여 수분이 배지(20)의 기공으로 침투되도록 하여 이끼의 헛뿌리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60)를 구동하여 상기 액자틀(10) 내에 수분량을 높인 상태에서 좌우 어느 일측의 팬(50)은 공기를 흡입하고, 타측의 팬(50)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상기 액자틀(10) 내부에 발생된 물방울을 상기 액자틀(10) 외부로 방출하며,상기 초음파 진동자(60)의 구동 없이 상기 팬(50)으로 공기를 상기 액자틀(10)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배지(20)의 기공을 통해 이끼에서 발생된 산소가 실내 공기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60)의 구동 없이 상기 팬(50)으로 공기를 상기 액자틀(10) 외부로 방출하여 이끼의 탄소 고정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있고,
다른 선원으로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3098호의, 걸림고리(110)가 구비되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면 형태의 단열방수부재(100); 상기 단열방수부재(100)의 테두리에 구비된 수조통(200); 및 상기 수조통(200)이 구비된 단열방수부재(100)의 일면에 장착되고, 이끼류(410)가 자생되는 식생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통(200)에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물을 분무시켜 주기 위한 자동분무장치(210)가 더 구비되어 이끼류에 분무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있다.
한국 특허 제10-2014700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3098호
없슴.
위의 종래 선원의 구성은 모두 수조통을 제공하고,이 수조통으로부터 순환하여 상방에서 적하하는 물방울로 급수를 수행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순한구성을 위한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어 고가의 것이 되고 단일의 액자형의 테피어리에 적용하기에는 과도한 구성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장치의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거부감이 들고 별도의 전원연결 등 매우 번거로운 장치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는 별도의 동력장치의 구성없이 삼투압으로 급송하는 간결한 구성의 급수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생육이 가능하게 하는 토피어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렴한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를 제공함으로써 생육자가 물공급수단으로부터 이끼가 식재된 토피어리를 이탈시켜 별도로 관상하거나 장식할 있는 수 있는 등의 응용성이 높아 널리 보급이 가능한 장점도 가진다.
나아가, 저렴한 구성으로서 제공할 수 있고 장기간의 급수가 불요한 생육에 적합한 액자형상의 이끼식물용의 토피어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급수용의 물을 충진할 수 있는 급수베이스와, 상기 급수베이스와 분리되며 생육용의 이끼를 생육공간에 내장한 토피어리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베이스와 상기 토피어리바디는 단속가능한 면접촉으로 수행되는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더 구비하여 급수를 행하도록;
상기 급수베이스와 상기 토피어리바디가 단속되어 면접촉하면서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상기 급수수단으로서;
상기 급수베이스는,
수공급을 위하여 개폐가능한 캡을 가지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와 유체적으로 분리되고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인 된 급수안치부를 구획으로 일체로 가지고, 상기 수조부와 급수안치부 사이의 연통하는 1개 이상의 수공급공, 상기 수공급공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기 급수안치부에 배설되는 고흡습성의 스트립형의 급수패드를 가지고,
상기 토피어리바디는,
액자 형상체로서 그 내방 생육공간에 이끼를 수용하고, 그 하방벽부의 천공부인 흡습공으로 그 돌출부가 연장돌출하여 노출되는 고흡습성의 흡수패드를 내장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급수용의 물이 상기 수조부 - 상기 수공급공 - 상기 급수패드 - 상기 흡수패드를 통한 삼투압작용으로써 유체연결되어 상기 이끼로 물을 급송하는 것을 기본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는 간단한 구성으로써 액자 형상의 수용용기에 수납하여 다양한 이끼류의 생육을 가능하게 하면서 급수의 필용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그 구성이 대단히 간결하여 급수의 주기를 길게 하여 사용 상의 편리성도 제공하고 전체 토피어리의 가격 또한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일 실시예를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일 실시예인 도 1의 구성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A-A 선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방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종래 선원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일 실시예를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일 실시예인 도 1의 구성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이끼팩킹형의 식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A-A 선에 해당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후방에서 본 일부 사시도로서 순차적으로 함께 설명한다.
이하에서 위의 종래 선원과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나 동일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은 물론아니다.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는 다양한 형상체의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자형상의 용기가 적합하다.
도 1에서와 같이, 액자형토피어리(100)는 통형상의 급수베이스(1)와 이 급수베이스(1)와 협동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액자 형상으로 구성된 토피어리바디(5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급수베이스(1)와 토피어리베이스(50)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PP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크필판재를 절곡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급수베이스(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높이가 낮은 육각형상의 바디체를 구성하고, 대부분의 체적부가 수조부(10)를 형성하게 된다.
수조부(10)는 내방에 급수용의 물(W)을 보관할 수 있는 수조로서 상방에는 물을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물투입구(2) 및 이 물투입구(2)를 개폐할 수 있는 고무재 패킹형상의 개폐캡(3)이 제공된다.
수조부(10)는 밀폐된 구성으로서 그 내방에 급수용의 물을 수용하게 된다.
이 수조부(10)와 일측방으로 연결된 급수안치부(20)를 수조부(10)와 일체로 성형하여 가지게 되고 이 급수안치부(20)는 역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개략 "ㄷ" 형상의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으로서 그 내방에 별도로 구성되는 토피어리바디(50)를 안치하게 된다.
도 1과 2에서와 같이, 수조부(10)와 급수안치부(20) 사이에는 작은 수공급공(11)이 다수개 수조부(10)의 길이(L) 방향을 따라서 천공되어 있다. 이 수공급공(11)은 그 직경이 대단히 작은 급수공으로서 기능한다.
이 수공급공(11)인 개방공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급수패드(30)가 급수안치부(20) 하방에 압입되는 정도의 폭방향(B) 치수를 가지면서 길이가 긴 스트립형의 패드로서 제공된다. 급수패드(30)는 고흡수성의 소재, 예를 들면 발포성폴리우레탄, 면상부직포, 다중섬유사꼬임체 등으로 되어 흡수성을 증대한 패드(Pad)체로서 구성하여 공급되는 물을 삼투압으로 유체전달하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수조부(10)의 물은 수공급공(11)을 통하여 미소량씩 고흡습성의 급수패드(30)로 스며들게 된다.
상기의 급수안치부(20)의 급수패드(30)와 협동하는 부재로서의 토피어리바디(50)의 구성을 설명한다.
토피어리바디(50)는 통상의 다양한 형상과 규격의 액자형태로 디자인되고 역시 아크릴 ,PP 등의 합성수지재로서 일체로 성형되거나 판재로서 조립구성되는 판상의 바디체이고, 그 내방 생육공간(I)에 생육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이끼(M)가 미관이 수려하게 배설된다.
토피어리바디(50)는 그 내방에 생욕용의 다양한 종류의 이끼(M)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하 하프체(Half)로서 구성하여 상판(U)과 하판(R)이 분리되는 액자형상(도 1에 상,하하프체를 구성하기 위한 절단선(K)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도 1에서는 밀폐형상을 도시하지만 도 2의 토피어리바디(50)의 상방부에서와 같이 상방이 개방된 식재투입부(51)와 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캡(52)이 제공되는 구성일 수 있다.
토피어리바디(50)의 하방에는 역시 고흡습성 소재의 흡수패드(55)가 토피어리바디(50)의 길이(L)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스트립형상의 패드로서 제공되고, 흡수패드(55)의 돌출부(55')가 토피어리바디(50)의 하방벽부(50-1)에 천공되는 1개 이상의 개방공( 개방공의 경우는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설될 것이다.) 또는 길이가 긴 슬리트(도시하지 아니함) 형상의 흡습공(53)을 통하여 외방으로 약간 돌출하여 있게 된다.
필요하다면 흡수패드(55)의 상방에는 소량의 식재토(E)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10) 측방의 급수안치부(20)에 토피어리바디(50)를 안치하게 되면 토피어리바디(50) 하방의 흡수패드(55)의 돌출부(55')와 급수베이스(1)의 급수안치부(20)의 급수패드(30)가 면접촉하여 유체적으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수조부(10)의 급수용(W)의 물은 수조부(10) - 수공급공(11) - 급수패드(30) - 흡수패드(55)로 전체적으로 유체연결된다.
급수베이스(1)의 급수안치부(20) 개방부의 폭(B)은 토피어리바디(50)의 두께(T) 보다 크게 하여 토피어리바디(50)를 급수안치부(20)에 안치하는 경우, 일정한 각도 경사지게 하는 것이 심미적으로 외부에서 생육자가 관찰하기에 적합하다.
위에서 만일 토피어리바디(50)를 통상의 액자와 같이 후판(도시하지 아니함)을 개폐하게 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후판과 토피어리바디(50)의 후판이 끼워지는 부분에 고무패킹(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수밀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급수의 유체연결로써 생육자는 급수베이스(1)의 수조부(10)의 물투입구(2)를 개폐캡(3)을 개방하여 급수하고 급수베이스(1)의 급수안치부(20)에 토피어리바디(50)를 투입하여 세워두는 것만으로 위와 같은 급수순환이 이루어진다.
즉, 수조부(10)의 급수용의 물은 직경이 작은 수조부(10)의 수공급공(11)을 통하여 미소량 씩 급수안치부(20)의 급수패드(30)로 흡습되게 되고, 급수패드(30)와 토피어리바디(50)의 자중에 의하여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 흡수패드(55)의 돌출부(55')가 삼투압으로 물을 흡습하여 흡수패드(55)로까지 흡습되어 그 내방의 식재토(E: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는 이끼(M)로까지 서서히 물이 공급된다.
생육자는 필요한 경우, 토피어리바디(50)를 급수안치부(20)로부터 피탈시켜 관찰할 수 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다른 장소에 안치하여 둘 수 도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외기 환경으로 일부 노출된 급수안치부(20)의 급수패드(30)로부터의 증발량은 무시하여도 좋을 정도이다.
위의 단속되는 면접촉에 의한 흡습순환을 수행하여 급수를 행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과 4의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의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하여 설명한다.
액자형토피어리(100)는 역시 급수베이스(1)와 액자형상으로 구성된 토피어리바디(50)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급수베이스(1)와 토피어리베이스(50)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PP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동일하게 바람직하다.
급수베이스(1)는 대부분의 체적부가 수조부(10)를 형성하고, 수조부(10)는 내방에 급수용의 물(W)을 보관할 수 있는 수조로서 상방에는 물을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물투입구(2) 및 이 물투입구(2)를 개폐할 수 있는 고무재 패킹형상의 개폐캡(3)을 동일하게 가진다.
수조부(10)의 측방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거치안치부(200)를 수조부(10)와 일체로 성형하여 가지게 되고, 이 거치안치부(200)는 역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개략 "ㄷ" 형상의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으로서 그 내방에 별도로 하술하는 토피어리바디(50)를 안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거치안치부(200)와 수조부(10) 사이에는 어떠한 유체연결도 되어 있지 않고 급수안치부(20)는 단순히 상방으로부터 투입되는 토피어리바디(50)를 수용하는 거치대로서만 작용한다.
급수베이스(1)의 수조부(10)에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부인 급수공(11-1)과 연통되어 상방으로 연장하는 급수관(110)을 수조부(10)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조립되는 관체부로서 제공한다. 급수관(110)은 도면에서는 수조부(10)와 일체로 성형되는 부재로 하였지만 수조부(10)의 급수공(11-1)에 단부가 끼워지는 통상의 스트로우처럼 절곡되는 비닐재 또는 PP 재의 관체로 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급수관(11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토피어리바디(50)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으며 그 내방에는 역시 고흡습성의 급수심재(11)가 끼워지고 급수심재(111)는 수조부(10)의 내방 하단으로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타단은 일부 돌출되는 급수접촉부(112)를 구성한다.
이에 대하여 토피어리바디(50)의 후판(120)에 일체로 성형된 급수가이드관부(13)를 높이가 낮은 관부재로서 가지고, 이 급수가이드관부(13) 내방 저면에는 흡습공(14)이 천공되며, 이 흡습공(14)에 끼워져 토피어리바디(50)의 내방에서 후판(120) 외방으로 일부 돌출하여 장착되는 흡습패드(130)와 접촉한다.
흡습패드(130)는 토피어리바디(50)의 생육공간(I) 내방에 판상으로 패설되는 판상부재이며 역시 고흡습성의 소재이다.
상술에서 급수가이드관부(13)를 높이가 낮은 관부체로 구성한 것은, 수조부(10)의 급수관(110)의 삽입 시에 용이한 삽입을 위한 가이드수단과 급수심재(11)의 급수접촉부(112)로부터의 증발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흡습패드(130)의 후방으로 일부 돌출하는 흡습돌출부(131)가 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흡습패드(13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피어리바디(50)의 내방에서 면적이 넓은 판상재로서 생육공간(I) 내방에 투입,수용되는 이끼(M)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토피어리바디(50)의 급수가이드관부(13)는 흡습공(14)과, 수조부(10)에 천공되는 급수공(11-1)은 급수베이스(1)및 토피어리바디(50)의 길이(L) 방향을 따라서 1개 이상, 다수 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하는 구성으로서의 본 실시예의 액자형토피어리(100)의 급수의 공급을 설명한다.
생육자는 주기적으로 급수베이스(1)의 수조부(10)의 물투입구(2)로 물을 공급하여 충진시킨다.
이 상태에서 급수베이스(1)의 수조부(10)의 거치안치부(200)에 안치하면서, 토피어리바디(50)의 후면의 급수가이드관부(13)에 수조부(10)의 급수관(110)을 맞추어 안치하게 되면, 수조부(10)의 급수관(110) 내방에 삽입된 고흡습성의 급수심재(11)를 따라 물은 삼투압으로 상승하면서 공급되고,
이 흡습된 물은 토피어리바디(50)의 급수가이드관부(13) 내방에 흡습공(14)에 의하여 돌출 또는 노출된 흡습패드(130)와 면접촉함으로써 토피어리바디(50)의 생육공간(I)으로까지 전달되고 다시 흡습패드(130)와 접촉하는 이끼(M)에 서서히 또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생육이 이루어진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생육자는 자유롭게 토피어리바디(50)를 급수베이스(1)의 거치안치부(200)로부터 피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2 가지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액자형토피어리(100)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삼투압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는 급수베이스(1)와, 이와 분리되며 생육용의 이끼를 내장한 토피어리바디(50)가 면접촉에 의하여 급수가 수행(Flow on)되거나 단락(Flow out)되는 어떠한 구성과 형상의 액자형토피어리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00: 액자형 토피어리
1: 급수베이스
50: 토피어리바디
10: 수조부
20: 급수안치부
30: 급수패드
I: 생육공간
M: 이끼

Claims (2)

  1. 급수용의 물을 충진할 수 있는 급수베이스(1)와, 상기 급수베이스(1)와 분리되며 생육용의 이끼를 생육공간(I)에 내장한 토피어리바디(5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단속가능한 면접촉으로 수행되는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더 구비하여 급수를 행하도록;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가 단속되어 면접촉하면서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상기 급수수단으로서;
    상기 급수베이스(1)는,
    수공급을 위하여 개폐가능한 캡을 가지는 수조부(10)와, 상기 수조부(10)와 유체적으로 분리되고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인 된 급수안치부(20)를 구획으로 일체로 가지고, 상기 수조부(10)와 급수안치부(20) 사이의 연통하는 1개 이상의 수공급공(11), 상기 수공급공(11)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상기 급수안치부(20)에 배설되는 고흡습성의 스트립형의 급수패드(30)를 가지고,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액자 형상체로서 그 내방 생육공간(I)에 이끼(M)를 수용하고, 그 하방벽부(50-1)의 천공부인 흡습공(53)으로 그 돌출부(55')가 연장돌출하여 노출되는 고흡습성의 흡수패드(55)를 내장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급수용의 물이 상기 수조부(10) - 상기 수공급공(11) - 상기 급수패드(30) - 상기 흡수패드(55)를 통한 삼투압작용으로써 유체연결되어 상기 이끼(M)로 물을 급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2. 급수용의 물을 충진할 수 있는 급수베이스(1)와, 상기 급수베이스(1)와 분리되며 생육용의 이끼를 생육공간(I)에 내장한 토피어리바디(5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단속가능한 면접촉으로 수행되는 삼투압으로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더 구비하여 급수를 행하도록;
    상기 급수베이스(1)와 상기 토피어리바디(50)가 단속되는 면접촉에 의한 상기 급수수단으로서;
    상기 급수베이스(1)는,
    수공급이 가능한 수조부(10)와 일 측방에 일체로 성형되면서 상기 수조부(10)와 유체단절된 상방 개방의 수용공인 거치안치부(200), 상기 수조부(10)의 상방측의 급수공(11-1)과 유체연통하면서 상기 토피어리바디(50) 측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급수관(110), 상기 급수관(110)에 내방관체에 끼워지며 단부가 일부 노출되어 돌출되는 급수접촉부(112)를 가지는 급수심재(11)를 상기 수조부(10) 저면으로까지 연장하여 구비하고;
    상기 토피어리바디(50)는,
    상기 토피어리바디(50)의 후판(120)에 일체로 성형되고 흡습공(14)이 그 저면에 천공된 1 개 이상의 급수가이드관부(13) 및 상기 급수가이드관부(13) 내저면의 흡습공(14)에 노출 또는 돌출되어 상기 생육공간(I)의 생육 이끼(M)와 접촉하는 고흡습성의 흡습패드(130)를 구비하여;
    상기 급수베이스(1)의 수조부(10)의 거치안치부(200)에 상기 토피어리바디(50)의 후면의 상기 급수가이드관부(13)에 상기 수조부(10)의 상기 급수관(110)을 일치시켜 안치함으로써, 상기 수조부(10) - 상기 급수관(110)- 상기 급수심재(11) - 상기 흡습패드(130)와 면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삼투압에 의하여 급수용의 물이 단속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KR1020200184936A 2020-12-28 2020-12-28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KR10240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36A KR102403418B1 (ko) 2020-12-28 2020-12-28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36A KR102403418B1 (ko) 2020-12-28 2020-12-28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418B1 true KR102403418B1 (ko) 2022-05-30

Family

ID=8180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936A KR102403418B1 (ko) 2020-12-28 2020-12-28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4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098A (ko) 2011-07-27 2013-02-06 오석기 이끼를 이용한 액자
KR20140122377A (ko) * 2013-04-10 2014-10-20 한태환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
KR102014700B1 (ko) 2018-11-05 2019-08-27 주식회사 도우 실내 공기 개선용 이끼 액자
KR20200011805A (ko) * 2018-07-25 2020-02-04 이훈재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098A (ko) 2011-07-27 2013-02-06 오석기 이끼를 이용한 액자
KR20140122377A (ko) * 2013-04-10 2014-10-20 한태환 식물 액자 및 식물 액자의 물 공급 장치
KR20200011805A (ko) * 2018-07-25 2020-02-04 이훈재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102014700B1 (ko) 2018-11-05 2019-08-27 주식회사 도우 실내 공기 개선용 이끼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0857B2 (ja) 底面管水用植物栽培器
US2005024695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3271900A (en) Automatic pure cultivator
US6918207B2 (en) Moisturized, soilless, root-culture planter
KR102403418B1 (ko) 이끼식물 생육을 위한 액자형 토피어리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0405862Y1 (ko) 수경재배기
JPH1056892A (ja) 浮遊式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する水質浄化 装置
JPH01231826A (ja) 水耕栽培方法及び装置
JPH0937663A (ja) 植木鉢ユニット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JP2005040009A (ja) 底面給水式植物栽培容器
JPH05137469A (ja) 卓上型植物栽培用自動灌水装置
JPH06327366A (ja) 水耕栽培用装置
JPH089808A (ja) 簡易水栽培用具
JP3099005U (ja) 保湿型土無し植え込み式植物栽培容器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2222532B1 (ko) 심지를 이용한 관상용 수경식물 재배 키트
JP3102581U (ja) 植物栽培器具
JPH0837962A (ja) 植物栽培用容器
JP3011022U (ja) 水耕栽培装置
JPS6192516A (ja) 魚槽兼用水耕栽培装置
KR200214174Y1 (ko) 식물 재배용 화분용기
KR200284611Y1 (ko) 양수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