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12B1 -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12B1
KR102285512B1 KR1020190151760A KR20190151760A KR102285512B1 KR 102285512 B1 KR102285512 B1 KR 102285512B1 KR 1020190151760 A KR1020190151760 A KR 1020190151760A KR 20190151760 A KR20190151760 A KR 20190151760A KR 102285512 B1 KR102285512 B1 KR 10228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t
bulb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537A (ko
Inventor
양승환
손현식
김덕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01N25/6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by psychrometric means, e.g. wet-and-dry bulb therm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측정하는 건습구 온도계를 모듈화한 장치로서, 물통의 천 연결부를 밀폐 처리하여 물은 새지 않고 천을 통한 물 흡수만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치가 뒤집히거나 흔들리더라도 물이 새지 않으며, 수위 센서를 장착하여 물이 부족한 경우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빗물이나 농업용 관수를 공급 받아서 물통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Wet and dry bulb thermometer sensor apparatus without leakage}
본 발명은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측정하는 건습구 온도계를 모듈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의 천 연결부를 밀폐 처리하여 물은 새지 않고 천을 통한 물 흡수만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치가 뒤집히거나 흔들리더라도 물이 새지 않으며, 수위 센서를 장착하여 물이 부족한 경우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빗물이나 농업용 관수를 공급 받아서 물통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습구 온도계는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를 특정하여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저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기 환경 계측 수단이다.
건습구 온도계의 일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2606호(습구온도 연속측정에 의한 습도 및 온도조절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건습구 온도계는 습구 온도센서(4), 건구 온도센서(5), 물통(7), 예비 물통(8) 및, 수위조절장치(3)를 구비한다. 물통(7)의 물은 심지(천, 2)를 통해 습구 온도센서(4)에 공급되는데, 물이 증발함에 따라 습구 온도센서(4)에 의해 측정된 습구 온도는 건구 온도센서(5)에 의해 측정된 건구 온도 보다 낮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계산한다.
그런데, 습구 온도 측정을 위해서, 심지(천, 2)의 하단은 물통(7)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물통(7)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심지(천, 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건습구 온도계가 이동되거나 흔들릴 때 물통(7)의 물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설치, 관리시에는 물통의 물을 모두 빼고, 이동, 설치, 관리 작업 완료 후 물을 다시 채워 넣는 방법으로 하고 있으나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물통(7)의 물이 증발되는 문제점과,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외부의 이물질이 물통(7) 속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습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통(7)의 물이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데 물통(7)의 물이 고갈되면 잘못된 상대 습도와 이슬점이 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위를 잘 볼 수 있도록 물통(7)을 투명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물통(7)이 투명하면 물통 속에 이끼가 끼는 문제점이 생긴다.
나아가, 건습구 온도계의 개수가 많아지면 물통(7)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건습구 온도계는 예비 물통(8)을 구비하지만 그만큼 장치가 복잡해지고 제작 단가가 높아지며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물통의 천 연결부를 밀폐 처리하여 물은 새지 않고 천을 통한 물 흡수(물 이동)만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치가 뒤집히거나 흔들리더라도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위 센서를 장착하여 물이 부족한 경우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이나 농업용 관수를 공급 받아서 물통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물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100)(200)(300)(400)는, 내부 공간(S)을 갖는 하우징(10)(20); 내부 공간(S)에 설치된 물통(30); 및, 내부 공간(S)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30)은, 물통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천(52)이 통과하는 제1 관통부(41a)가 상기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돌출부(41); 돌출부(41)에 체결되되, 천(52)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관통부(43a)를 갖는 마개(43); 및, 돌출부(41)에 설치되고,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될 때 마개(43)에 의해서 압착되며, 천(52)이 통과할 수 있는 제3 관통부(45a)를 갖는 압착링(45);을 포함할 수 있다.
천(52)의 상단은 습구 온도센서(51)의 하단에 연결되고 천(52)의 하단은 제1,2,3 관통부(41a)(43a)(45a)를 관통하여 물통 내부에 위치한다. 천(52)이 제1,2,3 관통부(41a)(43a)(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마개(43)가 돌출부(41)에 설치될 때 압착링(45)과 천(52)이 마개(43)와 돌출부(41) 사이에서 압착되는 것에 의해 물통(3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새지 않게 되지만 천(52)을 따라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20)의 상면(14)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14)의 테두리에는 측벽(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가장 아랫 부분에는 물공급관(62)이 설치되고, 물공급관(62)은 상면(14)과 물통(3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면(14)에 떨어진 물은 물공급관(62)을 통해서 자동으로 물통(30)에 공급될 수 있다.
물공급관(62)의 하단은 물통(30)에 연결된다. 물공급관(62)에는 체크밸브(64)가 설치되어 물통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관(62)에서 분기된 우회 배수관(63)이 구비될 수 있다. 우회 배수관(63)은 물통(30)에 물이 가득찬 경우에 물공급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내부공간(S)의 상단에는 제어수단(70)이 설치될 수 있다. 물통(30)의 내부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 센서(31)가 구비되고, 수위 측정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낮은 경우에 제어수단(7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알람 경보를 울릴 수 있다.
천(52)이 제3 관통부(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이 돌출부(41)와 마개(43) 사이에 위치하고 이어서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되면 압착링(45)과 천(52)이 압착된다.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으며, 제2 관통부(43a)의 하부가 돌출부(41)와 결합되면 제2 관통부(43a)의 상부가 압착링(45)을 눌러서 압착하게 된다.
압착링(4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제3 관통부(45a)가 상기 원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천(52)이 제3 관통부(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의 하부는 제1 관통부(4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압착링(45)의 상부는 마개(43)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압착링(45)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압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찌그러지고 상기 압착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의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는 공기 흡입구(21)와 공기 배출구(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구(23)에는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복수 개의 케이스(11)가 소정 간격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케이스(1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고, 물통(30)은 하우징(10)의 하단에 구비되고, 물통(3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출 및 주입하기 위한 배수구(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물통의 천 연결부를 밀폐 처리하여 물은 새지 않고 천을 통한 물 흡수(물 이동)만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치가 뒤집히거나 흔들려도 물이 새지 않는다.
둘째, 수위 센서를 장착하여, 물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함으로써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빗물이나 농업용 관수를 공급 받아서 물통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물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습구 온도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의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에 구비된 물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V-IV'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상기 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장치에 구비된 물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100)는 내부 공간(S)을 갖는 하우징(10)과, 내부 공간(S)의 하단에 구비된 물통(3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 및, 제어수단(7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복수 개의 케이스(11)가 소정 간격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하단에는 칸막이 부재(13)가 두 개씩 설치되어 물통(30) 및 상부공간(72, 제어수단(70)이 설치되는 공간)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케이스(11)는 동일한 규격을 갖고 이에 따라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 부재(13)도 동일한 규격을 갖고 이에 따라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과 케이스(11) 및 칸막이 부재(13)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015133호(복합센서 하우징)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케이스(11) 사이의 간격은 간격유지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출된다. 이 때, 케이스(11)의 측면(11a)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외부 공기는 상기 경사진 부분을 따라 상승해야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며, 이물질과 먼지 등의 유입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풍기가 내부공간(S)에 설치될 수도 있다. 송풍기는 외부 공기의 유입과 내부 공기의 배출을 돕는다.
물통(30)은 최하단 케이스(11)의 위, 아래에 상,하부 칸막이 부재(13)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물통(30)은 돌출부(41)와, 마개(43)와,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될 때 마개(43)에 의해서 압착되는 압착링(45)과, 수위센서(31) 및,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33)를 포함한다.
하부 칸막이 부재(13)는 최하단 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물통(30)의 하부와 아랫면을 이루는데, 그 아랫면에는 배수구(33)가 형성되고 배수구(33)에는 배수구 마개(33a)가 설치된다. 배수구(33)는 물통 속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물통 속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천 연결부(천이 물통을 관통하는 부분)가 밀폐된 구조이므로, 배수구(33)를 통해 물을 주입하기 위해 장치(100)를 뒤집더라도 물이 새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부 칸막이 부재(13)는 최하단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어 물통(30)의 상부와 윗면을 이루는데, 윗면에는 제1 관통부(41a)와 수위센서 설치공이 형성된다. 제1 관통부(41a)는 천(52)을 물통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고, 수위센서 설치공은 수위센서(31)를 물통(30)에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수위센서(31)로는 링 형상의 부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 또는 볼 형태의 부력센서, 초음파 거리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돌출부(41)는 원통 형상으로 물통 상면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의 내부에는 제1 관통부(41a)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는 나사산(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마개(43)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다. 한편, 나사 결합을 대신하여, 돌출부(41)가 마개(4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관통부(41a)에는 천(52)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마개(43)는 돌출부(41)와 결합되어 제1 관통부(41a)를 밀폐하되, 천(52)을 통해서는 물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마개(43)의 내부에는 마개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제2 관통부(43a)가 형성된다. 제2 관통부(43a)의 하부에는 돌출부(41)와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으며, 이에 따라 제2 관통부(43a)의 하부가 돌출부(41)에 결합되면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압착링(45)을 가압하여 압착한다.
압착링(45)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압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찌그러지고 압착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착링(4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통의 내부에는 제3 관통부(45a)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천(52)은 습구 온도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그 하단은 물통 속의 물에 침지되고 그 상단은 습구 온도센서(51)의 하단에 연결된다. 압착링(45)이 압착되어 찌그러지면 천(52)도 그에 따라 압착 및 가압되어 찌그러지지만 물통(30) 속의 물은 천(52)을 타고 상승하여 습구 온도센서(51)의 하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천(52)이 제1,2,3 관통부(41a)(42a)(43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이 돌출부(41)와 마개(43) 사이에 위치하고, 이어서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되면 압착링(45)이 압착되어 찌그러지며, 이에 따라 물통(30)의 물이 제1 관통부(41a)를 통해 새지 않게 되지만 천(52)을 타고 상승할 수는 있게 된다. 특히,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은데, 이에 따라 제2 관통부(43a)의 하부가 돌출부(41)에 결합되면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압착링(45)을 가압하여 압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천(52)이 제1,2,3 관통부(41a)(42a)(43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의 하부는 제1 관통부(4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압착링(45)의 상부는 마개(43)에 의해 압착되어 찌그러질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단에는 제어수단(7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10)의 최상단 케이스(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칸막이 부재(13)가 각각 설치되어 제어수단(70)이 설치되는 공간(72)을 형성한다.
칸막이 부재(13)에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두 개의 관통공에는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의 상단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수단(70)으로 전달된다.
습구 온도센서(51)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천(52)이 연결된다. 따라서, 천(52)을 타고 올라온 물이 습구 온도센서(51)의 하단에서 증발하면서 열을 빼앗아 가므로 습구 온도센서(51)의 측정 온도(습구 온도)와 건구 온도센서(55)의 측정 온도(건구 온도)는 차이가 생기고, 이 차이를 이용하여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계산한다. 구체적인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아래 계산식에서 '*'는 곱하기를 나타내고, 'LN'은 자연로그를 나타내며, 'EXP'는 exponential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120698314-pat00001
제어 수단(70)은 습구 온도와 건구 온도를 입력받아서 상대 습도와 이슬점을 계산한 후 유,무선 송신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제어 수단(70)은 수위센서(31)로부터 수위를 입력받고, 수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수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이를 유,무선 송신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경보를 울린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6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4의 도면 참조후보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200)는 내부 공간(S)을 갖는 하우징(10)과, 내부 공간(S)에 구비된 물통(3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 및, 제어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장치(100)와 비교하여, 하우징(10)의 상면(14)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14)의 테두리에 측벽(15)이 형성되며, 상면(14)에 떨어진 물은 물 공급부를 통해 물통(30)으로 공급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돌출부(41), 마개(43) 및, 압착링(45)을 이용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52)을 통해 물이 상승하도록 하는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우징(10)의 상면(14)은 집수공(61)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14)에 떨어진 물은 하향 경사면을 따라 흐른 후 집수공(61)을 통해 물 공급관(6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치(200)가 실외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면(14)에 떨어진 빗물이 물공급관(62)을 통해 자동으로 물통(30)에 공급되고 장치(200)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면(14)에 떨어진 스프링클러 관수가 물공급관(62)을 통해 자동으로 물통(3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할 때에도 상면(14)에 물을 부으면 되므로 편리하다. 이에 비해, 기존의 건습구 온도센서 모듈에서는 물을 물통에 직접 공급해야 했으므로 물통 마개를 열고 닫는 작업이 필요하여 불편했다.
물 공급부는 집수공(61)에 연결된 물 공급관(62)과, 물 공급관(62)의 하단에 설치된 체크 밸브(64)와, 물 공급관(62)에 설치된 우회 배수관(63)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공(61)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면(14)을 덮는 철망(작은 눈을 가진 철망, 도면에 미도시)이 측벽(15)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 공급관(62)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물 공급관(62)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 공급관(62)이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체크 밸브(64)는 물 공급관(62)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통(30)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우회 배수관(63)은 물 공급관(62)에서 분기된 관으로서, 그 끝단은 하우징(10)의 외부와 연결된다. 우회 배수관(63)은 물통(30)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물통에 물이 가득 찬 경우에 물 공급관(6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우회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8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6의 도면 참조후보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300)는 내부 공간(S)을 갖는 하우징(2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물통(3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 및, 제어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300)는, 제1 실시예의 장치(100)와 비교하여, 하우징(2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육면체의 일측면에 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공기 배출구(23)가 형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구(23)에는 송풍기(25)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41), 마개(43) 및, 압착링(50)을 이용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52)을 통해 물이 상승하도록 하는 구성은 제1,2 실시예의 장치(100)(200)와 동일하다.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내부 공간(S)의 상단이 평판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공간(72)에 제어 수단(70)이 설치된다. 그리고, 내부 공간(S)의 하단이 평판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공간이 물통(30)을 이룬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장치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9~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8의 도면 참조후보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400)는 내부 공간(S)을 갖는 하우징(2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물통(30)과, 내부 공간(S)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55)와 습구 온도센서(51) 및, 제어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400)는, 제3 실시예의 장치(300)와 비교하여, 하우징(20)의 상면(14)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14)의 테두리에 측벽(15)이 형성되며, 상면(14)에 떨어진 물은 물 공급부를 통해 물통(30)으로 공급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돌출부(41), 마개(43) 및, 압착링(45)을 이용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52)을 통해 물이 상승하도록 하는 구성은 제1,2,3 실시예의 장치(100)(200)(300)와 동일하다.
하우징(20)의 상면(14)은 집수공(61)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14)에 떨어진 물은 하향 경사면을 따라 흐른 후 집수공(61)을 통해 물 공급관(62)으로 이동한다.
물 공급부는 집수공(61)에 연결된 물 공급관(62)과, 물 공급관(62)의 하단에 설치된 체크 밸브(64)와, 물 공급관(62)에 설치된 우회 배수관(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 공급관(62)은 하우징(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물 공급관(62)이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 공급관(62)이 하우징(2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체크 밸브(64)는 물 공급관(62)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통(30)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우회 배수관(63)은 물 공급관(62)에서 분기된 관으로서, 그 끝단은 하우징(20)의 외부와 연결된다. 우회 배수관(63)은 물통(30)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물통에 물이 가득 찬 경우에 물 공급관(6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우회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천(심지) 3 : 수위조절장치
4 : 습구 온도센서 5 : 건구 온도센서
7 : 물통 8 : 예비 물통
10 : 하우징 11 : 케이스
11a : 케이스의 측면 13 : 칸막이 부재
14 : 하우징의 상면 15 : 측벽
20 : 하우징 21 : 공기 흡입구
23 : 공기 배출구 25 : 송풍기
30 : 물통 31 : 수위센서
33 : 배수구 33a : 배수구 마개
41 : 돌출부 41a : 제1 관통부
43 : 마개 43a : 제2 관통부
45 : 압착링 45a : 제3 관통부
51 : 습구 온도센서 52 : 천
55 : 건구 온도센서 61 : 집수공
62 : 물공급관 63 : 우회 배수관
64 : 체크 밸브 70 : 제어수단
72 : 상부공간
100, 200, 300, 400 :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S : 내부공간

Claims (9)

  1.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된 물통; 및,
    내부 공간에 설치된 건구 온도센서와 습구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통은,
    물통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천이 통과하는 제1 관통부(41a)가 상기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돌출부(41);
    돌출부(41)에 체결되되, 천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관통부(43a)를 갖는 마개(43); 및,
    돌출부(41)에 설치되고,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될 때 마개(43)에 의해서 압착되며, 천이 통과할 수 있는 제3 관통부(45a)를 갖는 압착링(45);을 포함하고,
    천의 상단은 습구 온도센서의 하단에 연결되고 천의 하단은 제1,2,3 관통부(41a)(43a)(45a)를 관통하여 물통 내부에 위치하며,
    천이 제1,2,3 관통부(41a)(43a)(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마개(43)가 돌출부(41)에 설치될 때 압착링(45)이 마개(43)와 돌출부(41) 사이에서 압착되어 천이 가압되고 압착되어 찌그러지는 것에 의해 물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새지 않게 되지만 천을 따라 상승할 수는 있고,
    하우징은 복수 개의 케이스(11)가 소정 간격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물통은 최하단 케이스(11)의 위에 상부 칸막이 부재가 설치되고 최하단 케이스(11)의 아래에 하부 칸막이 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부 칸막이 부재는 물통의 상부와 윗면을 이루고 하부 칸막이 부재는 물통의 하부와 아랫면을 이루고, 돌출부(41)와 제1 관통부(41a)는 상부 칸막이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면(14)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14)의 테두리에는 측벽(1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가장 아랫 부분에는 물공급관(62)이 설치되고, 물공급관(62)은 상면(14)과 물통을 연결하며,
    상면(14)에 모인 물은 물공급관(62)을 통해서 물통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물공급관(62)의 하단은 물통에 연결되고, 물공급관(62)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물통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물공급관(62)에서 분기된 우회 배수관(63)이 구비되고, 우회 배수관(63)은 물통에 물이 가득찬 경우에 물공급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상단에는 제어수단이 설치되고,
    물통의 내부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 센서가 구비되며, 수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낮은 경우에 제어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천이 제3 관통부(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이 돌출부(41)와 마개(43) 사이에 위치하고 이어서 마개(43)가 돌출부(41)에 결합되면 압착링(45)이 압착되고,
    제2 관통부(43a)의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으며, 제2 관통부(43a)의 하부가 돌출부(41)와 결합되면 제2 관통부(43a)의 상부가 압착링(45)을 눌러서 압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압착링(4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제3 관통부(45a)가 상기 원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천이 제3 관통부(45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압착링(45)의 하부는 제1 관통부(4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압착링(45)의 상부는 마개(43)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압착링(45)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압착링(45)은 압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찌그러지며 상기 압착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케이스(1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KR1020190151760A 2019-11-23 2019-11-23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KR10228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60A KR102285512B1 (ko) 2019-11-23 2019-11-23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60A KR102285512B1 (ko) 2019-11-23 2019-11-23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37A KR20210063537A (ko) 2021-06-02
KR102285512B1 true KR102285512B1 (ko) 2021-08-04

Family

ID=7637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760A KR102285512B1 (ko) 2019-11-23 2019-11-23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705B1 (ko) * 2021-10-08 2023-08-24 에스티에이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매질의 상 변화 감지 센서
CN113791119A (zh) * 2021-10-14 2021-12-14 云南省烟草农业科学研究院 一种密集烤房干湿球温度传感器
KR20230116658A (ko)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베코스 건습구 온습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ict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7722A1 (en) 2011-08-29 2013-02-28 Az Instrument Corp. Dry and wet bulb psychrometer
CN108225586A (zh) * 2017-11-30 2018-06-29 中国计量科学研究院 野外干湿温测量系统
KR101984011B1 (ko) * 2018-03-30 2019-05-30 주식회사 두레텍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 우량계 및 이러한 우량계를 갖는 백엽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472A (en) * 1990-03-09 1991-05-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Dusty environment wet bulb indicator
JP3143168B2 (ja) * 1991-10-24 2001-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恒温高湿槽の給水装置
JP3144510B2 (ja) * 1992-12-17 2001-03-12 タバイエスペック株式会社 定湿度発生法及び装置
JP3021853U (ja) *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アイシー 乾湿球温度計
KR102015133B1 (ko) * 2017-06-30 2019-08-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복합센서 하우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7722A1 (en) 2011-08-29 2013-02-28 Az Instrument Corp. Dry and wet bulb psychrometer
CN108225586A (zh) * 2017-11-30 2018-06-29 中国计量科学研究院 野外干湿温测量系统
KR101984011B1 (ko) * 2018-03-30 2019-05-30 주식회사 두레텍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 우량계 및 이러한 우량계를 갖는 백엽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2185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37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512B1 (ko)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RU200815024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газа в буровой скважине
KR20130109513A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20100090871A (ko) 에어러솔 전처리 시스템
CN208621575U (zh) 用于检测有害物质的蒸发密闭室
NL1022844C2 (nl) Direct ingraafbaar membraan druksysteem voor buiten.
US20180216871A1 (en) Portable air conditioner condensate handling assembly
KR20140005142U (ko) 천장형 에어컨디셔너 청소용 가림막
KR101613974B1 (ko) 매립형 드레스룸 제습기
CA2979880C (en) Ventilating device
KR101910393B1 (ko) 집진장치
KR102347443B1 (ko) 습구포 건조에 대응 가능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JP2020085617A (ja) 貯湯式給湯機の漏水検知装置
KR20120129034A (ko) 세정탑
CN207815522U (zh) 一种安装结构、安装组件及除湿机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US20090119827A1 (en) Bathroom dehumidifier
CN216814641U (zh) 一种防烟气泄露水封装置及燃气采暖热水炉
CN205750608U (zh) 一种洁净动物房的节能温湿度检测控制设备
CN206247559U (zh) 过滤网清洗系统及空调器
KR20080075654A (ko) 빌트인 가습기
KR100984068B1 (ko) 항원 공급장치
CN220645396U (zh) 一种用于充气水池的贯通连接装置
CN105074788B (zh) 抽样点
CN103256407A (zh) 自动阀盖水封烟气止逆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