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034A - 세정탑 - Google Patents

세정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034A
KR20120129034A KR1020110047045A KR20110047045A KR20120129034A KR 20120129034 A KR20120129034 A KR 20120129034A KR 1020110047045 A KR1020110047045 A KR 1020110047045A KR 20110047045 A KR20110047045 A KR 20110047045A KR 20120129034 A KR20120129034 A KR 20120129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ing
water
water supply
supply pump
washing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호
Original Assignee
장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호 filed Critical 장병호
Priority to KR102011004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034A/ko
Publication of KR2012012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펌프와 급수관에서 발생되는 누수에 의해 주변에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세정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펌프(20)가 수중펌프로 구성되어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급수펌프(20) 또는 급수관(40)에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물이 바디케이싱(10)의 내부로 회수되어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포함된 오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동파에 의한 시설관리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세정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탑{scrubber}
본 발명은 급수펌프와 급수관에서 발생되는 누수에 의해 주변에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특히 동파에 의한 시설관리의 불편함과 유지보수비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세정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나 악취가 많은 곳에 설치되는 배기덕트 또는 배기관에는 세정탑이 연결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정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물이 저장되는 바디케이싱(10)과, 상기 바디케이싱(10)의 외부에 구비되며 바디케이싱(10)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급수펌프(20)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30)과, 상기 급수펌프(20)와 분사노즐(30)을 연결하는 급수관(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케이싱(10)은 상기 배기덕트 또는 배기관이 연결되는 급기구(11)가 하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30)은 상하로 여러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급수관(40)의 선단부는 분기되어 각 분사노즐(30)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세정탑은 상기 급수펌프(20)를 작동시키면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40)을 통해 분사노즐(30)로 분사되며, 상기 급기구(11)를 통해 바디케이싱(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가 상부로 상승되면서 상기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이 상기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정탑은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상기 분사노즐(30)로 분사하므로, 물에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포함된다. 따라서, 급수펌프(20)와 급수관(40)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세정탑의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 상기 급수펌프(20)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펌프(20)에 별도의 보온설비를 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펌프와 급수관에서 발생되는 누수에 의해 주변에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세정탑을 제공하고, 특히 동절기 동파에 의한 시설관리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물이 저장되며 하단 일측에는 급기구(1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된 바디케이싱(10)과,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급수펌프(20)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30)과, 상기 급수펌프(20)와 분사노즐(30)을 연결하는 급수관(40)으로 구성된 세정탑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20)는 수중펌프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또는 바디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탱크(13)의 내부에는 히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케이싱(10) 또는 보조탱크(1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와, 상기 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히터(50)를 on-off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30)은 상하로 여러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 분사노즐(30)의 하측 또는 상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기공(81)이 형성된 배수방지패널(80)이 설치되어,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의 통기공(81) 내주면에 걸려 공기와 함께 배기구(12)로 배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은 급수펌프(20)가 수중펌프로 구성되어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급수펌프(20) 또는 급수관(40)에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물이 바디케이싱(10)의 내부로 회수되므로,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포함된 오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동절기 동파에 의한 시설보수 및 그에 따른 보수비용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정탑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세정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에 구비된 배수방지패널(8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물이 저장되며 하단 일측에는 급기구(1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된 바디케이싱(10)과,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급수펌프(20)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30)과, 상기 급수펌프(20)와 분사노즐(30)을 연결하는 급수관(4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바디케이싱(10)의 일측에는 보조탱크(13)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탱크(13)에는 단부에 플로트밸브(14a)가 구비된 용수보충관(14)이 연결되어, 바디케이싱(10) 내부의 수위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펌프(20)는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40)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중앙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후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펌프(20)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되는 수중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바닥면에는 상기 급수펌프(20)가 설치되는 받침대(15)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20)는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상기 받침대(15)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13)에는 히터(50)가 구비되어 보조탱크(13) 및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케이싱(10) 내부에는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60)에는 상기 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히터(50)를 on-off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30)은 상하로 여러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 분사노즐(30)의 하측과 상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기공(81)이 형성된 배수방지패널(8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통기공(8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은 상하로 충분히 두꺼워서, 상기 통기공(81)이 상하로 길게 형성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공(81)은 내부직경이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6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둘레부에 형성된 관찰창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세정탑은 급수펌프(20)가 수중펌프로 구성되어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급수펌프(20)와 급수관(40)이 바디케이싱(10)의 외부에 설치된 종래의 세정탑과 달리, 급수펌프(20) 또는 급수관(40)에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물이 바디케이싱(10)의 내부로 회수되므로,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포함된 오염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디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탱크(13)의 내부에 히터(50)가 구비되어,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므로써, 겨울에 물이 얼어 작동불량이나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급수펌프(20)가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바디케이싱(1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것만으로 급수펌프(20)가 함께 가열되어 얼지 않게 되므로, 급수펌프(20)에 별도의 단열설비를 할 필요가 없어서, 장치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종래 동파에 의한 시설관리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50)는 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의 온도를 감시하는 제어유닛(70)에 의해 on-off 되므로, 물의 온도를 항상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30)의 하측과 상측에는 상하방향의 통기공(81)이 다수개 형성된 배수방지패널(80)이 설치되어,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공기와 함께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방울은 매우 가벼운 반면, 공기는 급기구(11)를 통해 바디케이싱(10)의 내부로 공급된 후 빠른 속도로 상승되어 배기구(12)로 배출되므로, 가벼운 물방울이 공기와 함께 배기구(12)로 배출되어 공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이 저하되고, 분진이나 냄새성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은 다수개의 통기공(81)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은 상하로 두꺼워서 통기공(81)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바람과 함께 상승된 물방울이 통기공(81)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상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공기와 함께 배기구(12)로 배출되어 세정탑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같이 통기공(81)의 내부에 달라붙은 물방울에 의해 공기와 불방울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냄새성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효율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히터(50)는 상기 보조탱크(1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히터(50)를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의 통기공(81)은 6각형 이외에,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10. 바디케이싱 20. 받침대
30. 분사노즐 40. 급수관
50. 히터 60. 온도센서
70. 제어유닛 80. 배수방지패널

Claims (4)

  1.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물이 저장되며 하단 일측에는 급기구(1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된 바디케이싱(10)과,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급수펌프(20)와,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30)과, 상기 급수펌프(20)와 분사노즐(30)을 연결하는 급수관(40)으로 구성된 세정탑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20)는 수중펌프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케이싱(10)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케이싱(10)의 내부 또는 바디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탱크(13)의 내부에는 히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케이싱(10) 또는 보조탱크(1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와,
    상기 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히터(50)를 on-off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0)은 상하로 여러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 분사노즐(30)의 하측 또는 상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기공(81)이 형성된 배수방지패널(80)이 설치되어,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상기 배수방지패널(80)의 통기공(81) 내주면에 걸려 공기와 함께 배기구(12)로 배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KR1020110047045A 2011-05-18 2011-05-18 세정탑 KR20120129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045A KR20120129034A (ko) 2011-05-18 2011-05-18 세정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045A KR20120129034A (ko) 2011-05-18 2011-05-18 세정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55U Division KR20130002908U (ko) 2013-02-26 2013-02-26 세정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34A true KR20120129034A (ko) 2012-11-28

Family

ID=4751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045A KR20120129034A (ko) 2011-05-18 2011-05-18 세정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0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216A (zh) * 2013-06-27 2014-01-01 德州学院 一种引风机出口热量及植物蛋白粉尘回收装置
CN105749661A (zh) * 2016-01-30 2016-07-13 熊小宁 一种立式雾霾清洗器
KR101947488B1 (ko) * 2018-07-30 2019-05-02 가람환경기술 주식회사 중화제 자동 투입형 세정탑
CN110999643A (zh) * 2019-11-27 2020-04-14 盐城瑞嘉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农用秸秆粉碎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216A (zh) * 2013-06-27 2014-01-01 德州学院 一种引风机出口热量及植物蛋白粉尘回收装置
CN105749661A (zh) * 2016-01-30 2016-07-13 熊小宁 一种立式雾霾清洗器
KR101947488B1 (ko) * 2018-07-30 2019-05-02 가람환경기술 주식회사 중화제 자동 투입형 세정탑
CN110999643A (zh) * 2019-11-27 2020-04-14 盐城瑞嘉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农用秸秆粉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30845U (zh) 一种空调自动清洗装置
KR20120129034A (ko) 세정탑
CN107477790A (zh) 一种空调自动清洗装置
JP2008221175A (ja) 電気集塵機
KR101869750B1 (ko) 이물질 적층 방지용 에어노즐
US20150377294A1 (en) Bearing Grease
CN103732994A (zh) 抽油烟机
KR20130002908U (ko) 세정탑
CN106638399B (zh) 一种陆地油品回收装置及收集方法
KR101151630B1 (ko) 폐열회수형 히트펌프의 폐수순환 자동세척식 증발장치
CN204051300U (zh) 气体过滤器及气体过滤器的过滤元件清洗器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US9573077B2 (en) Solids maker cooling tower
CN206027324U (zh) 一种喷淋除尘罐
CN2872104Y (zh) 抽油烟机自动清洗装置用的蒸气发生器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CN216117587U (zh) 一种智能河道水质检测用监控装置
JP2016130651A (ja) 排気排液回収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腐食促進試験機
KR101646006B1 (ko) 압력 용기 구조의 고압 세척 장치
CN216317336U (zh) 一种建筑幕墙
JPH11198991A (ja) ステンレス製貯留タンクの腐食防止装置
KR101297923B1 (ko)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RU218778U1 (ru) Скруббер
CN214809774U (zh) 一种可补水排水的喷淋塔
KR200318954Y1 (ko) 터널내 오염 공기 정화용 순환세정식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