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82B1 -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82B1
KR101352582B1 KR1020110070053A KR20110070053A KR101352582B1 KR 101352582 B1 KR101352582 B1 KR 101352582B1 KR 1020110070053 A KR1020110070053 A KR 1020110070053A KR 20110070053 A KR20110070053 A KR 20110070053A KR 101352582 B1 KR101352582 B1 KR 10135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supply pipe
main body
discharg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157A (ko
Inventor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진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용환 filed Critical 진용환
Priority to KR102011007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에 장착되어 공용 급수관의 세척작업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유입되는 스케일 잔해가 함유된 오염된 물을 배수시켜 깨끗한 물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계량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탱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은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200)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5)가 부착되며 하부에 안착부(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8)에 배출구(10)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끝단에는 상기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된 분지관(110)과 결합되는 소켓 또는 플랜지로 된 제1체결부(7)가 형성된 유입관체(2); 상기 본체(1)의 타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200)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13)가 형성된 유출관체(3); 상기 본체(1)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지상의 소화전밸브(11)와 연결되는 분지관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에 장착되어 공용 급수관의 세척작업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유입되는 스케일 잔해가 함유된 오염된 물을 배수시켜 깨끗한 물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계량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탱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 관로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관로세척장치가 설치된다.
관로 세척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로에 연결되는 플랜지가 양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투입구(20) 또는 배출구(22)가 형성된 관체(10), 상기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되는 피그(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투입구(20)에는 뚜껑(23)이 결합되고 배출구(22)에는 배출관이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12는 관체(10)와 관로(100)를 연결하는 플렌지이다.
이와 같은 관로세척장치(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측에 마련된 투입구(20)에 포탄 형태로 된 피그(2)를 삽입한 후, 관로(100)를 통해 압축공기 또는 고압의 가압수를 공급하여 상기 피그(2)를 발사시켜 소정거리 이격된 다른 세척장치(1)의 배출구(22)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이렇게 피그(2)가 관로(100)를 지나가는 동안 내벽에 퇴적된 이물질 또는 스케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로세척장치는 도로에 매설된 공용 급수관에 주로 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 공용 급수관은 관경이 크지만 이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연결되는 급수관 또는 아파트의 공동급수 인입관은 이보다 관경이 작은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피그를 발사하여 관로 내벽을 세척하는 작업 중 이물질 또는 스케일이 함유된 오염된 물이 분기된 급수관 또는 인입관으로 유입될 우려가 크다.
이렇게 급수관 또는 인입관으로 이물질이나 스케일이 유입되는 경우 스트레나가 막히게 되고, 계량기에 누적되어 고장을 유발하며, 심지어 급수탱크까지 유입되어 퇴적됨으로써 아파트는 해마다 2차례 이상 의무적으로 급수탱크 청소작업을 실시해야하므로 제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에 장착되어 공용 급수관의 세척작업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급수관 또는 공동급수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스케일 잔해를 포집한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계량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질 악화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에 장착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포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가 부착되며 하부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끝단에는 상기 공용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된 분지관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된 유입관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유출관체; 상기 본체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지상의 소화전밸브와 연결되는 분지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체는 상부에 투시부가 형성되어 이송되는 물의 탁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에는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도록 배기장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지관체는 압력계가 부착되고, 드레인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체의 제1체결부는 소켓 또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급수관의 세척작업과정에서 발생되어 세대로 연결되는 급수관 또는 아파트로 연결되는 공동급수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스케일 잔해 및 흙이 함유된 오염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고, 관 내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어 계량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탱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관로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의 시공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의 시공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은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200)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 이후에 스트레나(300)와 계량기(400)가 장착되고, 급수관(200)의 말단부는 급수탱크(50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5)가 부착되며 하부에 안착부(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8)에 배출구(10)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끝단에는 상기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된 분지관(11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7)가 형성된 유입관체(2); 상기 본체(1)의 타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200)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13)가 형성된 유출관체(3); 상기 본체(1)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지상의 소화전밸브(11)와 연결되는 분지관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원통형상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폐가능하도록 덮개(5)가 부착되며 하부에는 평평한 면으로 된 안착부(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8)에 배출구(1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체(2)는 본체(1)의 일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끝단에는 상기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된 분지관(11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7)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체(2)는 상부에 투시부(6)가 형성되어 내부에 흐르는 물의 탁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투시부(6)는 유입관체(2)의 상부에 부착된 원통관과, 이 원통관의 상부에 부착된 판에 장착된 투명의 유리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7)는 통상의 배관 연결 조립에 적용되는 소켓 또는 플랜지가 바람직하다.
즉 소켓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나사결합되도록 분지관(110)에도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방식에 적용된다.
상기 플랜지는 링형상이며 다수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분지관(110)과 유입관체(2)의 단부에 각기 형성되어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관 연결수단이다.
상기 덮개(5)는 판형이며 일측에 회전되도록 경첩이 형성되고, 본체(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덮힌 후 다수의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덮개(5)의 상부에는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도록 배기장치(12)가 부착된다.
상기 배기장치(12)는 통상의 에어벤트가 바람직하며, 배관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분지관체(4)는 본체(1)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지상의 소화전밸브(11)와 연결되며, 상부에는 압력계가 부착되고, 하부에는 드레인밸브(9)가 장착된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된 소화전밸브(11)가 분지관체(4)에 연결됨으로써 소화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의 안착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의 측면 하부에 배출구(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각 세대 또는 아파트로 공급되어지는 급수관(200)의 연결 부위에 본 발명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이 설치된다.
즉 공용 급수관(100)에 연결된 분지관(110)과 유입관체(2)의 제1체결부(7)를 연결시키고, 유출관체(3)의 제2체결부(13)에 급수관(200)을 연결하고, 그 말단부는 급수탱크(5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200)에는 본 발명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 스트레나(300)와 계량기(400)가 장착되고, 상기 본 발명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와 스트레나(300) 사이에는 밸브(600)가 부착되어 시공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 공용 급수관(100)에 장착된 관로세척장치(120)를 이용하여 내부 스케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실시한다.
이렇게 세척작업을 하는 동안 스케일 및 이물질이 분지관(110)을 통해 본 발명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로 유입되므로 밸브(600)를 잠그고, 드레인밸브(9) 및 배출구(10)를 열어 스케일 및 이물질이 배수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수시키면서 투시부(6)를 통해 내부에 흐르는 물의 탁도를 관찰하여 맑은 물이 흐를때까지 배수시킨다.
이후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이 관찰되면 드레인밸브(9)를 잠그고, 상기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A)와 스트레나(300) 사이의 밸브(600)를 열어 물이 계량기(400)를 통해 급수탱크(500)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물이 계량기(400) 및 급수탱크(5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맑은 물이 흐를때까지 배수시킴으로써 계량기(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급수탱크(5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잦은 청소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소화전밸브(11)에 연결된 소화관 내부에 충진된 물은 오랜시간 정체되어 있으므로 침전물이 생겨서 관 내벽에 스케일이 형성되어 오염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얼게 되는 문제점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지관체(4)의 드레인밸브(9)를 주기적으로 개방시켜 내부에 정체된 물을 제거하여 수시로 교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2 : 유입관체
3 : 유출관체 4 : 분지관체
5 : 덮개 6 : 투시부
7 : 제1체결부 8 : 안착부
9 : 드레인밸브 10 : 배출구
11 : 소화전밸브 12 : 배기장치

Claims (4)

  1. 도로에 매설된 대관경의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소관경의 급수관(200)에 장착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5)가 부착되며 하부에 안착부(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8)에 배출구(10)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끝단에는 상기 공용 급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된 분지관(110)과 결합되는 소켓 또는 플랜지로 된 제1체결부(7)가 형성된 유입관체(2);
    상기 본체(1)의 타측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200)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13)가 형성된 유출관체(3) 및
    상기 본체(1)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지상의 소화전밸브(11)와 연결되는 분지관체(4)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관체(4)는 본체(1)의 측부에 통하도록 연결되고 지상의 소화전밸브(11)와 연결되며,
    상기 분지관체(4)의 상부에는 압력계가 부착되고,
    상기 분지관체(4)의 하부에는 드레인밸브(9)가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밸브(9)는 상기 소관경의 급수관(200) 또는 분지관체(4) 내부의 세척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체(2)는 상부에 투시부(6)가 형성되어 내부에 흐르는 물의 탁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상부에는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도록 배기장치(1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4. 삭제
KR1020110070053A 2011-07-14 2011-07-14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KR10135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53A KR101352582B1 (ko) 2011-07-14 2011-07-14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53A KR101352582B1 (ko) 2011-07-14 2011-07-14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57A KR20130009157A (ko) 2013-01-23
KR101352582B1 true KR101352582B1 (ko) 2014-01-20

Family

ID=4783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53A KR101352582B1 (ko) 2011-07-14 2011-07-14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81Y1 (ko) * 2022-08-16 2022-12-19 황동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893A (ko) * 2002-08-22 2004-03-02 금호엔지니어링(주)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 선별기
KR101045111B1 (ko) * 2010-05-27 2011-06-30 (주)경동기술공사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893A (ko) * 2002-08-22 2004-03-02 금호엔지니어링(주)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 선별기
KR101045111B1 (ko) * 2010-05-27 2011-06-30 (주)경동기술공사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57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0670B2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US7624756B1 (en) Refrigeration condensate line assembly
US7363878B2 (en) Waste extraction system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US7374669B2 (en) Vacuum waste removal system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CN202909528U (zh) 一种排泥过滤器
KR200424679Y1 (ko) 다기능 관로 세척장치
WO2014025246A1 (en) A steam condensate drainer
KR101763885B1 (ko)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JP2007138561A (ja) 管内濁質除去装置
KR101254066B1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20110005582A (ko) 관로에 흐르는 수질을 계측하기 위한 안정적인 장치
KR20120129034A (ko) 세정탑
US10130977B1 (en) Elevated potable water tank and tower rotary cleaning system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CN201006371Y (zh) 一种供水过滤器
KR101039255B1 (ko)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KR20110091095A (ko)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용 여과장치
AU2009253848B2 (en) A wastewater valve arrangement
KR20150002691U (ko) 빗물집수장치
KR100809647B1 (ko)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