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647B1 -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 Google Patents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647B1
KR100809647B1 KR1020060073627A KR20060073627A KR100809647B1 KR 100809647 B1 KR100809647 B1 KR 100809647B1 KR 1020060073627 A KR1020060073627 A KR 1020060073627A KR 20060073627 A KR20060073627 A KR 20060073627A KR 100809647 B1 KR100809647 B1 KR 10080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alve
hole
fluid pipe
settled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591A (ko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06007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6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관 사이에 일단부가 상부측으로 구부러진 몸체부가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구부러진 일단부 사이에 볼밸브가 내포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가 조절캡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안치부의 일단부 내부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청소할 때 종래에는 밸브를 일정간격 이격해서 다수개 설치하여 청소 시 밸브를 분리하여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유체관 내부에 압축공기 또는 수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몸체부를 타고 안치부의 상부 관통홀을 통해 손쉽게 배출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청소시간과 인력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본 발명의 청소는 기간과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노후화가 촉진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오랜시간 청소를 하지 않아 오염된 식수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제수밸브, 볼밸브, 유체관, 상수도관, 청소용

Description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3-Way Ball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밸브가 회전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몸체부 20 : 안치부
30 : 볼밸브 40 : 덮개부
50 : 공기빼기밸브 100 : 제수밸브
본 발명은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관 사이에 일단부가 상부측으로 구부러진 몸체부가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 부의 구부러진 일단부 사이에 볼밸브가 내포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가 조절캡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안치부의 일단부 내부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청소할 때 종래에는 밸브를 일정간격 이격해서 다수개 설치하여 청소 시 밸브를 분리하여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유체관 내부에 압축공기 또는 수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몸체부를 타고 안치부의 상부 관통홀을 통해 손쉽게 배출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청소시간과 인력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본 발명의 청소는 기간과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노후화가 촉진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오랜시간 청소를 하지 않아 오염된 식수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방지하는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은 대용량의 상수를 장거리 이송시키는 대구경의 주관과, 상기 주관에서 분기되어 가정 및 사무실 등의 건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비교적 근거리 이송으로 사용되는 지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분기가 이루어진 관체에는 반드시 밸브를 설치하여 상수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노후화된 상수관의 교체 또는 밸브의 교체시 단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법은 교체지점의 상수관 또는 밸브에 공급되는 상수를 단수시키기위해 교체지점 주변에 설치된 밸브를 모두 잠근 후에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수의 범위가 넓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수도관의 제수변장치는 디스크로 개폐시키게 된 본체와 디스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커버와 스템으로 이루어진 조작부로 된 단일의 밸브를 상수도관의 사이에다 고정하게 됨으로 이는 수도물을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역활은 양호히 달성시킬 수 있다 하겠으나, 공사중에 발생되어 수도물에 함유된 흙,돌,금속조각등의 불순물은 전혀 제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수도관의 내면에는 불순물이 쌓여 노후화가 촉진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식수로 인한 위생적으로 많은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체관 사이에 일단부가 상부측으로 구부러진 몸체부가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구부러진 일단부 사이에 볼밸브가 내포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가 조절캡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안치부의 일단부 내부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청소할 때 종래에는 밸브를 일정간격 이격해서 다수개 설치하여 청소 시 밸브를 분리하여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유체관 내부에 압축공기 또는 수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몸체부를 타고 안치부의 상부 관통홀을 통해 손쉽게 배출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청소시간과 인력비용이 절감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는 기간과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유 체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노후화가 촉진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오랜시간 청소를 하지 않아 오염된 식수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유체관 내부 관로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 사이에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측방향 각도로 휘어져 플랜지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몸체부의 휘어진 타단부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부면에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일단부 내주면에 개스킷이 설치된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유체가 관통되도록 몸체부의 휘어진 일단부 각도에 맞춰 유로홀이 양단부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안치부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결합된 조절캡과 연결되고, 상기 조절캡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안치부의 일단부와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볼밸브와; 상기 안치부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볼밸브의 양단부에 형성된 유로홀은 조절캡에 의해 회전되면 일단부가 안치부의 일단부 내부 관로와는 일치하면서 상기 안치부의 타단부 내부 관로는 밀폐 차단하고, 상기 유로홀의 타단부는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일치되어 유체관 내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하단부에 볼밸브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시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밸브가 회전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100)는 상기 유체관 사이에 결합되는 두개의 몸체부(10,10')와, 상기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사이에 결합되는 안치부(20)와, 상기 안치부(20)의 내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볼밸브(30)와, 상기 안치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10')는 유체관 사이에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플랜지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몸체부의 일반부는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휘어진 각도는 수평에서 30°정도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10')의 휘어진 일단부를 통해 유체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상부로 배출할 때 수월하도록 상부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렇듯, 상기 몸체부(10,10')는 안치부(20)의 양단부에 설치되도록 안치부(2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치부(20)는 몸체부(10,10')의 상부로 휘어진 일단부에 양단부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안치부(20)의 양단부 일면은 몸체부(10,10')의 휘어진 일단부 일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20)의 상부면에는 몸체부(10,10')를 통해 이송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치부(20)의 일단부 내주면에는 개스킷(22)이 설치되어 안치부(20) 내부에 설치되는 볼밸브(30)를 고정하고, 상기 볼밸브(30)의 삽입 및 교체 시 개스킷(22)이 설치된 일단부를 통해 상기 개스킷(22)을 제거하고 볼밸브(30)를 삽입 및 교체를 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개스킷(22)이 설치된 안치부(20)의 내주면은 타측의 내주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볼밸브(30)가 수월하게 삽입, 교체되고, 상기 볼밸브(30)의 삽입 및 교체 후 볼밸브(30)가 안치부(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스킷(22)을 설치하며, 상기 개스킷(22)의 내주면은 안치부(20)의 타단부 내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22)과 안치부(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체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오링(23)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치부(20)의 정면부(도면상 정면이고, 후면부가 될 수도 있다.)에는 볼밸브(30)를 회전시키도록 조정하는 조절캡(32)이 연통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밸브(30)는 안치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관통되도록 몸체부(10,10')의 휘어진 일단부 각도에 맞추어 양단부에 유로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20)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결합된 조절캡(3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안치부(20)의 일단부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볼밸브(30)는 원형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볼밸브(30)의 양단부를 몸체부(10,10')의 휘어진 일단부의 내주면(관로)과 동일한 위치와 크기로 절단하여 유로홀(31)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볼밸브(30)는 단면상 부채꼴 형상으로 상부는 큰호가 형성되고 하부는 작은호가 형성된 형상이다.
이때, 상기 볼밸브(30)의 유로홀(31)은 안치부(20)의 양단부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수월하게 흐르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30)의 내부는 텅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30)의 외주면에는 안치부(20) 외주면에 형성되는 조절캡(32)과 연결되는 환봉이 안치부(20)의 외주면을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환봉의 끝단부에 조절캡(32)을 직접 연결하던가 환봉의 끝단부와 조절캡(32)의 일단부를 베벨기어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조절캡(32)의 회전력이 볼밸브(30)에 전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밸브(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유로홀(31)은 조절캡(32)에 의해 회전되면 일단부가 안치부(20)의 일단부 내부 관로와는 일치하면서 상기 안치부(20)의 타단부 내부 관로는 밀폐 차단하고, 상기 유로홀(31)의 타단부는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21)과 일치되어 유체관 내의 이물질을 압축공기 또는 수압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40)는 안치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21)을 개방하거나 차 단하기 위해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40)의 상측에는 안치부(20)나 유체관에 형성되는 공기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빼기밸브(Air Bant,50)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40)의 하단부에는 볼밸브(3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볼밸브(30)의 회전시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대(42)가 추가로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대(42)는 중앙부가 볼밸브(30)의 상측 큰호 부위에 접촉하기 수월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30)와 접촉되는 중앙부 홀 부위는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볼밸브(30)와의 접촉을 밀접하게 하고, 상기 볼밸브(30)의 회전시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는 유체관 사이에 일단부가 상부측으로 구부러진 몸체부가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구부러진 일단부 사이에 볼밸브가 내포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안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가 조절캡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안치부의 일단부 내부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청소할 때 종래에는 밸브를 일정간격 이격해서 다수개 설치하여 청소 시 밸브를 분리하여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유체관 내부에 압축공기 또는 수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몸체부를 타고 안치부의 상부 관통홀을 통해 손쉽게 배출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청소시간과 인력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는 기간과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유체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노후화가 촉진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오랜시간 청소를 하지 않아 오염된 식수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체관 내부 관로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수밸브(100)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 사이에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측방향 각도로 휘어져 플랜지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부(10,10')와;
    상기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휘어진 타단부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부면에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관통홀(21)이 형성되며, 일단부 내주면에 개스킷(22)이 설치된 안치부(20)와;
    상기 안치부(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유체가 관통되도록 몸체부(10,10')의 휘어진 일단부 각도에 맞춰 유로홀(31)이 양단부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안치부(20)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결합된 조절캡(32)과 연결되고, 상기 조절캡(3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안치부(20)의 일단부와 관통홀(21)을 연통시키는 볼밸브(30)와;
    상기 안치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21)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밸브(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유로홀(31)은 조절캡(32)에 의해 회전되면 일단부가 안치부(20)의 일단부 내부 관로와는 일치하면서 상기 안치부(20)의 타단부 내부 관로는 밀폐 차단하고, 상기 유로홀(31)의 타단부는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21)과 일치되어 유체관 내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는 하단부에 볼밸브(3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시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의 상측에는 안치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를 빼기 위한 공기빼기밸브(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4. 삭제
KR1020060073627A 2006-08-04 2006-08-04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KR10080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627A KR100809647B1 (ko) 2006-08-04 2006-08-04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627A KR100809647B1 (ko) 2006-08-04 2006-08-04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91A KR20080012591A (ko) 2008-02-12
KR100809647B1 true KR100809647B1 (ko) 2008-03-05

Family

ID=3934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627A KR100809647B1 (ko) 2006-08-04 2006-08-04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401A (zh) * 2012-10-12 2013-01-23 湖南中新设备制造有限公司 三通卸料球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29B1 (ko) * 2009-04-16 2011-07-06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소방용 분리형 경보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72A (ja) 1985-07-04 1987-01-17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ストレ−ナ付ボ−ルバルブ
JP2002228023A (ja) * 2001-01-30 2002-08-14 Teikoku Piston Ring Co Ltd 三方弁
KR100540390B1 (ko) 2005-09-23 2006-01-11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배출기능을 갖는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된 부식방지용제수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72A (ja) 1985-07-04 1987-01-17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ストレ−ナ付ボ−ルバルブ
JP2002228023A (ja) * 2001-01-30 2002-08-14 Teikoku Piston Ring Co Ltd 三方弁
KR100540390B1 (ko) 2005-09-23 2006-01-11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배출기능을 갖는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된 부식방지용제수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401A (zh) * 2012-10-12 2013-01-23 湖南中新设备制造有限公司 三通卸料球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91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8338B2 (en) Lift station flow dive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09647B1 (ko)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JP2015098765A (ja) 汚水排出システム
JP2015145583A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20090029689A (ko) 폐수 펌핑장치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JP2015145584A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101308906B1 (ko)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KR101254066B1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장치
US20140251441A1 (en) Flow isolation system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2236012B1 (ko)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JP2015078513A (ja) 汚水排出システム
JP5716122B2 (ja) 汚水排出システム
US72647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rain
JP4417280B2 (ja) 排水ドレン設備
JP5643908B1 (ja) 排水システム
KR200342643Y1 (ko) 급속공기밸브
KR100943937B1 (ko)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KR200447776Y1 (ko) 이중 제수 기능을 가진 관 세척 밸브
US9759344B2 (en) Flush valve seat
JP2009228319A (ja) 雨水の排水管路構造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KR20030071997A (ko) 상수도관의 제수변장치
KR101097385B1 (ko) 상수도용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