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06B1 -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 Google Patents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906B1
KR101308906B1 KR1020130022074A KR20130022074A KR101308906B1 KR 101308906 B1 KR101308906 B1 KR 101308906B1 KR 1020130022074 A KR1020130022074 A KR 1020130022074A KR 20130022074 A KR20130022074 A KR 20130022074A KR 101308906 B1 KR101308906 B1 KR 10130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ilter
water
main body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메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메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메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2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에 설치되어 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탈취수단을, 맨홀 링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관거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필터만 통과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중 물만 관거 내로 유입되게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성형된 필터 삽입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켜 주는 필터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필터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필터가 본체의 필터 삽입공 주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필터 삽입공과 필터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매홀 입구에 악취 탈취수단을 매우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맨홀 자체의 기능 및 외관상 문제가 전혀 없으며, 무동력 설비로 본체는 영구적이고 필터 내의 활성카본만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면 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고 경제성이 우수하며, 활성카본 입자들 사이 틈새로 처리가스가 자동 배출되어 압 손실이 적으면서도 각종 관거 내에서 맨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각종 악취를 자동으로 여과 및 탈취시킬 수 있어 악취로 인해 맨홀 인근 주민들이 입게 될 수 있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Manhold having a 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수관거 내에서 발생되어 맨홀을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맨홀 입구에서 탈취시켜 악취로 인해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맨홀 입구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와 분해 및 교체가 간편하고 안전하며, 악취 탈취장치로 인해 맨홀 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노면(路面) 상에 지하 하수관거 등으로 사람 또는 각종 설비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멍으로, 수관망 시스템에서 1개 이상의 관로 집합 지점, 관 구경의 확대 및 축소 지점, 관 바닥의 낙차 지점, 흐름 방향의 각도 변경지점, 유지 관리 및 개보수를 위한 점검 지점, 불명수 유입과 유량 측정 지점, 관 교환시에 시작 또는 종료 지점, 호우로 만간시에 빗물이 월류되는 지점에 시공되며, 통풍이나 관거의 연락에도 이용된다.
이와 같은 맨홀은 통상 누수나 불명수 유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히 밀페되며, 대다수는 시공이 편리한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밖에 사각, 타원형 등으로 시공되기도 한다.
한편, 맨홀의 입구는 주위를 철로 만든 틀이나 돌로 테두리를 두르고, 주철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인 원형 뚜껑이 덮어지며, 지하에 매설되는 본체는 콘크리트 또는 벽돌로 만들어지고, 바닥은 관로의 바닥과 같게 하거나 혹은 이보다 약간 하향시켜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맨홀을 살펴보면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은 용이할지 모르나 하수관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단순히 뚜껑만으로 차단하고 있어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하수관거 시스템을 통해 처리되는 오,폐수 및 하수에서 용존 산소 결핍으로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면 하수내의 유기 물질이 썩게 되고, 여기에 산업 폐수 등이 유입되면 악취 유발 물질이 동반하여 악취 가스가 생성되어 외부로 발산된다.
이와 같은 하수관거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 특히, 황화수소가스는 강한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접촉하는 사람의 인체에도 해가 되며, 부식성이 강해 하수관에 피해를 주는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종래에도 맨홀을 통해 배출되는 악취 가스를 제거 혹은 저감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2-0049676호와 10-2006-9918026호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775076호와 10-0706162호 등 다량으로 제시된 바 있으나, 본래의 목적보다는 그 효율이 떨어지고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고비용으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맨홀은 뚜껑을 덮어 질 수 있도록 본체부의 상판에 뚜껑 지지틀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틀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보울트 삽입을 위한 보리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맨홀은 대다수가 작업 현장에서 제작이 이루어지고, 유입 관로 및 배출 관로의 접합 부분을 관로 구경에 맞도록 망치로 때려 맞추거나 정확한 설계에 의해 제작되기 보다는 경험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맨홀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으며, 작업 시간 및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49676호(2012년 05월 17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9918026호(2006년 08월 28일)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75076호(2007년 11월 02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06162호(2007년 04월 04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수관거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맨홀 링 내에 소정형상을 갖는 본체 내에 활성카본이 교체 가능하게 충진된 필터로 구성되는 악취 탈취수단을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맨홀 자체의 기능 및 외관상 문제가 전혀 없으며, 무동력 설비로 본체는 영구적이고 필터 내의 활성카본만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면 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고 경제성이 우수하며, 활성카본 입자들 사이 틈새로 처리가스가 자동 배출되어 압 손실이 적으면서도 각종 관거 내에서 맨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각종 악취(특히 황화수소)가 원활히 통과되며 자동 여과 및 탈취되도록 함으로써 악취로 인해 맨홀 인근 주민들이 입게 될 수 있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 탈취수단의 본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포집/유도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을 형성하고,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의 바닥면에 천공한 드레인 공에는 악취의 역류는 방지하면서 물 및 이물질 포집홈에 고인 물은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드레인 호스를 설치하되, 상기 드레인 공에는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맨홀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곧바로 관거 내로 바이패스시키고,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에 걸린 각종 이물질은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각종 이물질로 인해 맨홀 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드레인 호스를 U트랩 형태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드레인 호스를 통한 악취의 역류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 탈취수단의 필터는 상면 개구형 몸체의 상부에 뚜껑체를 나사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상면 개구형 몸체의 상방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을 천공하고, 상기 뚜껑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본체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갓 모양으로 성형하되, 주연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본체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두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처마형 연장판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필터 내에 충진되는 활성카본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작업 및 그에 따른 보수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각종 이물질이 정화공기 배출공을 통해 상면 개구형 몸체 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본체의 필터 삽입공을 통해 관거 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악취 탈취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 관거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매설되는 맨홀 관과; 맨홀 뚜껑이 걸려지는 받침턱을 구비하고 상기 맨홀 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맨홀 링과; 상기 맨홀 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맨홀 뚜껑으로 구성된 맨홀에 악취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있어서, 상기 악취 탈취수단은 상기 맨홀 링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관거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필터만 통과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중 물만 관거 내로 유입되게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성형된 필터 삽입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켜 주는 필터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필터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필터가 본체의 필터 삽입공 주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필터 삽입공과 필터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의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악취 탈취수단의 본체는 상면 주연부에 상기 맨홀 링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원판형 걸림판이 일체로 형성된 대야 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면의 중앙에는 소정지름을 갖는 필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필터 삽입공과 측면 사이의 바닥면에는 단면이 "┗┛" 형상을 갖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포집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을 형성하며,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호스를 통해 고인 물을 관거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드레인 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드레인 공에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 호스는 관거 내 악취가 드레인 호스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를 이용하여 U트랩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은 드레인 공이 성형된 부분이 낮도록 경사지게 성형하여 물 및 이물질 포집홈 내로 유입된 물과 각종 이물질이 드레인 공 측으로 흘러내려 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공 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가 구비된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악취 탈취수단의 필터는 상기 본체의 필터 삽입공 내경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성형하되, 바닥면에는 활성카본의 입자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복수의 악취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방부에는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 상면 개구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뚜껑체와; 상기 몸체 내에 정해진 높이만큼 충진되어 관거에서 상기 몸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가 통과할 때 자체의 흡착특성을 통해 탈취시켜 주는 소정량의 활성카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정화공기 배출공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필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뚜껑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본체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갓 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갓 모양을 갖는 상기 뚜껑체의 주연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본체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모두 낙하되도록 하는 처마형 연장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의하면, 첫째 하수관거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맨홀 링 내에 소정형상을 갖는 본체 내에 활성카본이 교체 가능하게 충진된 필터로 구성되는 악취 탈취수단을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맨홀 자체의 기능 및 외관상 문제가 전혀 없으며, 무동력 설비로 본체는 영구적이고 필터 내의 활성카본만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면 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고 경제성이 우수하며, 활성카본 입자들 사이 틈새로 처리가스가 자동 배출되어 압 손실이 적으면서도 각종 관거 내에서 맨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각종 악취(특히 황화수소)가 원활히 통과되며 자동 여과 및 탈취되도록 함으로써 악취로 인해 맨홀 인근 주민들이 입게 될 수 있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악취 탈취수단의 본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포집/유도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을 형성하고,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의 바닥면에 천공한 드레인 공에는 악취의 역류는 방지하면서 물 및 이물질 포집홈에 고인 물은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드레인 호스를 설치하되, 상기 드레인 공에는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맨홀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곧바로 관거 내로 바이패스시키고,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에 걸린 각종 이물질은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각종 이물질로 인해 맨홀 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드레인 호스를 U트랩 형태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드레인 호스를 통한 악취의 역류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악취 탈취수단의 필터는 상면 개구형 몸체의 상부에 뚜껑체를 나사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상면 개구형 몸체의 상방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을 천공하고, 상기 뚜껑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본체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갓 모양으로 성형하되, 주연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본체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두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처마형 연장판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필터 내에 충진되는 활성카본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작업 및 그에 따른 보수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각종 이물질이 정화공기 배출공을 통해 상면 개구형 몸체 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본체의 필터 삽입공을 통해 관거 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악취 탈취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맨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악취 탈취수단의 본체에 대한 입부 절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 악취 탈취수단의 필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맨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악취 탈취수단의 본체에 대한 입부 절취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악취 탈취수단의 필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하 관거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매설되는 맨홀 관(1)과; 맨홀 뚜껑(3)이 걸려지는 받침턱(21)을 구비하고 상기 맨홀 관(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맨홀 링(2)과; 상기 맨홀 링(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맨홀 뚜껑(3)으로 구성된 맨홀에 악취 탈취수단(4)을 설치하여 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있어서,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은,
상기 맨홀 링(2)의 받침턱(21)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필터(4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관거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필터(42)만 통과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중 물만 관거 내로 유입되게 하는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중앙에 성형된 필터 삽입공(4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켜 주는 필터(42)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필터(42)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필터(42)가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주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과 필터(42)의 외주면 사이 틈새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의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본체(41)는,
상면 주연부에 상기 맨홀 링(2)의 받침턱(21)에 걸려지는 원판형 걸림판(411)이 일체로 형성된 세수용 대야 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면의 중앙에는 소정지름을 갖는 필터 삽입공(412)이 형성되고, 필터 삽입공(412)과 측면 사이의 바닥면에는 단면이 "┗┛" 형상을 갖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포집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을 형성하며,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고인 물을 관거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드레인 공(4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41)의 드레인 공(414)에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 호스(415)는 관거 내 악취가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416)를 이용하여 U트랩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4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은 드레인 공(414)이 성형된 부분이 낮도록 경사지게 성형하여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내로 유입된 물과 각종 이물질이 드레인 공(414) 측으로 흘러내려 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공(414) 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공(41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417a)가 구비된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417)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필터(42)는,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내경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성형하되, 바닥면에는 활성카본(423)의 입자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복수의 악취 통과공(421a)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면에는 나사산(421b)이 구비되며, 상방부에는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421c)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 상면 개구형 몸체(421)와;
상기 몸체(421)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뚜껑체(422)와;
상기 몸체(421) 내에 정해진 높이만큼 충진되어 관거에서 상기 몸체(4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가 통과할 때 자체의 흡착특성을 통해 탈취시켜 주는 소정량의 활성카본(42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421)의 정화공기 배출공(421c)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필터(42)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4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뚜껑체(422)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측으로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갓 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갓 모양을 갖는 상기 뚜껑체(422)의 주연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본체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412)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측으로 모두 낙하되도록 하는 처마형 연장판(422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맨홀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맨홀 관(1)과 맨홀 링(2) 및 맨홀 뚜껑(3)으로 구성된 맨홀에 설치된 공지의 맨홀에 본체(41)와 필터(42) 및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으로 구성되는 악취 탈취수단(4)을 설치하여, 하수관을 포함한 각종 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을 통해 정화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여 맨홀을 통해 배출되는 악취로 인한 맨홀 인근 주민들의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본체(41)는 상기 맨홀 링(2)에 형성된 받침턱(21)에 도 2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됨은 물론 바닥부에는 필터(4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각종 관거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가 필터(42)만 통과하도록 악취 차단기능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맨홀 뚜껑(3)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중 물만 관거 내로 유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본체(41)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대략 사람들이 세수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야의 형태를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면 주연부에는 맨홀 뚜껑(3)이 걸려지도록 상기 맨홀 링(2)에 형성된 받침턱(21)에 걸려지는 원판형 걸림판(411)이 일체로 성형하고, 바닥면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필터(42)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필터 삽입공(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필터 삽입공(412)과 원통 형상을 갖는 측면 사이의 바닥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을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고인 물을 관거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소정 개수(1∼4개)의 드레인 공(414)을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드레인 호스(415)를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에 성형된 드레인 공(414)에 단순히 설치할 경우, 상기 드레인 호스(415)가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늘어진 형태를 갖게 되어 관거의 내부와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사이가 상기 드레인 호스(415)와 드레인 공(414)을 통해 관통되는 형태를 나타나게 되어 관거 내 악취가 상기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본체(41)의 상방부로 역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41)의 드레인 공(414)에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 호스(415)는 고정구(416)을 이용하여 U트랩 형태로 설치하고,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을 맨홀의 맨홀 링(2)에 최초 설치할 때, 상기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에 별도로 물을 부어 줌으로써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에 부어진 물이 상기 드레인 호스(415)로 유입되어 U트랩 부분에서 정체되는 형태(즉, 드레인 호스(415)의 중간부분을 막아주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관거 내 악취가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이 설치되어 있는 맨홀의 맨홀 뚜껑(3)을 통해 외부에서 계속적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유입된 물의 자중에 의해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유입된 물이 관거 측으로 자동 배출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도 U트랩 부분에는 물이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악취의 역류 방지효과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본체(4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은 단순히 수형하게 성형할 경우,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내로 유입된 물과 각종 이물질이 드레인 공(414) 측으로 흘러가던 중 비교적 높게 쌓인 이물질 등에 의해 물마저 흘러가지 못하고 정체되어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 이물질 등이 부폐될 우려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4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을 드레인 공(414)이 성형된 부분이 낮도록 도 3과 같이 경사지게 성형하여, 즉, 드레인 공(414) 사이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형상을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해 줌으로써 상기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내로 유입된 물과 각종 이물질이 경사진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을 따라 드레인 공(414) 측으로 원활히 흘러내려 물은 드레인 공(414)과 드레인 호스(415)를 통해 관거 내로 자연스럽게 자동 배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레인 공(414) 내에 손잡이(417a)가 구비된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417)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된 각종 이물질이 상기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417)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에 형성된 드레인 공(414)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후 상기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에 쌓인 각종 이물질들을 수거 및 청소를 하고자 할 때, 상기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417)의 손잡이(417a)를 잡고 마개형 이물질 걸림망(417)과 함께 그 상면에 쌓인 이물질을 간단히 들어올리면 되므로 상기 본체(41)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맨홀 뚜껑(3)은 맨홀 링(2)에 형성된 받침턱(21)에 직접 올려지던 종래와 달리,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본체(41)에 형상되어 맨홀 링(2)의 받침턱(21)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원판형 걸림판(411)의 상면에 압착되어 맨홀 입구를 막아주는 기능과 더불어 상기 악취 탈취수단(4)의 본체(41)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병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악취 탈취수단(4) 중 필터(42)는 상면 개구형 몸체(421)와 뚜껑체(422) 및 소정 용량의 활성카본(423)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고, 상기 본체(41)의 중앙에 성형된 필터 삽입공(4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거에서 자생적으로 발생되는 압력 등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악취 탈취수단(4)의 필터(42)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상기 몸체(421)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면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컵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상면 개구형 몸체(421)의 외경은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성형(실제로는 약간 작을 외경을 갖도록 성형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하고, 바닥면에는 활성카본(423)의 입자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복수의 악취 통과공(421a)이 정해진 각도 및 간격을 갖도록 형성(예를 들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외면에는 뚜껑체(42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4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부(즉, 상기 나사산(421b)의 직하방부)에는 활성카본(423)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421c)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421)의 상부에서 정해진 간격과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421c)을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성형할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필터(42)의 본체(41) 내부로 유입되어 활성카본(423)의 탈취성능을 저해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421c)을 필터(42)의 몸체(421) 내부에 성형할 때, 상기 몸체(4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필터(42)의 몸체(42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뚜껑체(422)는 상기 몸체(421)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것으로, 내측 주연부에는 상기 몸체(421)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나산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421)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통상시에는 몸체(421) 내에 충진되는 활성카본(423)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맨홀 뚜껑(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물론 각종 이물질이 몸체(4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활성카본(423)의 탈취 기능이 다되었을 때 이를 원활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체(422)는 일반 용기들의 마개와 같이 평평하게 성형할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상기 뚜껑체(422) 상면에 쌓일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체(422)을 갓 모양을 갖게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갓 모양으로 경사진 상기 뚜껑체(422)의 상면을 따라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와 본체(41)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측으로 자동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체(422)를 단순히 갓 모양으로만 성형할 경우, 상기 뚜껑체(422)의 상면을 따라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오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몸체(421)의 외면을 따라 내려오던 중 비록 후술하는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이 설치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본체(41)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412)과 본체(4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 등을 통해 관거 측으로 곧바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갓 모양을 갖게 상기 뚜껑체(422)를 성형할 때, 상기 뚜껑체(422)의 주연부에 처마형 연장판(422a)을 더 성형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된 물 및 각종 이물질이 갓 모양을 갖는 상기 뚜껑체(422)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체(422)의 주연부에 연장 형성한 처마형 연장판(422a)을 거쳐 낙하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유입된 물 및 각종 이물질이 상기 본체(41)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412)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 및 이물질 포집홈(413) 측으로 모두 낙하하게 되어 상기 본체(41)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412)과 본체(4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 등을 통해 관거 측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활성카본(423)은 상기 몸체(421) 내에 정해진 높이(예를 들어 몸체(421)의 전체 높이 대비 2/3 또는 3/5 높이)만큼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421)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악취 통과공(421a)을 통해 관거로부터 몸체(421) 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자체의 흡착특성을 통해 탈취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활성카본(423)은 주로 야자껍질, 목재, 석탄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소성시킨 특수탄소로서 활성화 과정에서 형성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탄소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활성탄은 1g당 800∼1200㎥의 내부 표면적을 갖고 있는 흡착제로, 부분적인 화학흡착이 일어나지만, 대부분의 흡착은 활성카본 내부에 존재하는 탄소 원자의 관능기가 주위의 액체나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흡착질 분자를 포집하는 물리흡착이다.
따라서 활성탄은 온도, 압력, 농도, pH 등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서 그 흡착량이 여러 정도로 변화될 수 있으며, 활성카본의 넓은 내부 표면적을 바탕으로 한 흡착특성으로 물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흡착제거가 가능하며, 특히 잔류염소, 유기물흡착, 탈취성능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활성카본(423)의 교환주기는 관거에서 배출되는 악취 량과 오염 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경우 4-8개월마다 교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한 악취 탈취수단(4) 중 마지막 구성요소인 상기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은 고무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링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으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필터(42)의 몸체(421)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필터(42)가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주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과 필터(42)의 외주면 사이 틈새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관거에서 발생되어 자체의 압력으로 승강한 악취가 본체(41)에 의해 차단된 다음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과 필터(42)의 외주면 사이 틈새를 통해서는 전혀 올라가지 못하고, 상기 필터(42)의 몸체(421) 저면에 형성된 악취 통과공(421a)들을 통해 필터(42) 내로 유입되어 활성카본(423)을 통과하며 정화된 후 정화공기 배출공(421c)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42)의 몸체(421)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기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만으로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과 필터(42)의 외주면 사이 틈새에 대한 기밀유지가 불안정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내주면 또는 상기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의 저면과 맞닿는 상기 본체(41)의 필터 삽입공(412) 주위 상면에 별도의 고무링을 더 설치하면 보다 확실하게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맨홀 링(2) 내에 본체(41)와 필터(42) 및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43)으로 구성되는 악취 탈취수단(4)을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맨홀 자체의 기능 및 외관상 문제가 전혀 없으며, 무동력 설비로 본체(41)는 영구적이고 필터(42) 내의 활성카본(423)만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면 되므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고 경제성이 우수하며, 활성카본(423) 입자들 사이 틈새로 처리가스가 자동 배출되어 압 손실이 적으면서도 각종 관거 내에서 맨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각종 악취를 자동으로 여과 및 탈취시킬 수 있어 악취로 인해 맨홀 인근 주민들이 입게 될 수 있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맨홀 관
2 : 맨홀 링 21 : 받침턱
3 : 맨홀 뚜껑
4 : 악취 탈취수단
41 : 본체
411 : 걸림판 412 : 필터 삽입공
413 : 물 및 이물질 포집홈 414 : 드레인 공
415 : 드레인 호스 416 : 고정구
417 : 이물질 걸림망 417a : 손잡이
42 : 필터
421 : 몸체 421a : 악취 통과공
421b : 나사산 421c : 정화공기 배출공
422 : 뚜껑체 422a : 처마형 연장판
423 : 활성카본
43 :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

Claims (9)

  1. 지하 관거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매설되는 맨홀 관과; 맨홀 뚜껑이 걸려지는 받침턱을 구비하고 상기 맨홀 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맨홀 링과; 상기 맨홀 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맨홀 뚜껑으로 구성된 맨홀에 악취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에 있어서,
    상기 악취 탈취수단은,
    상기 맨홀 링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관거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필터만 통과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중 물만 관거 내로 유입되게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성형된 필터 삽입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관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시켜 주는 필터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필터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필터가 본체의 필터 삽입공 주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의 필터 삽입공과 필터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걸림구겸 기밀유지 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는,
    상면 주연부에 상기 맨홀 링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걸림판이 일체로 형성된 대야 형상으로 성형하되, 바닥면의 중앙에는 소정지름을 갖는 필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필터 삽입공과 측면 사이의 바닥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포집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을 형성하며, 상기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호스를 통해 고인 물을 관거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드레인 공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물 및 이물질 포집홈은,
    상기 드레인 공이 성형된 부분이 낮도록 경사지게 성형하여 물 및 이물질 포집홈 내로 유입된 물과 각종 이물질이 드레인 공 측으로 흘러내려 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관거 내 악취가 드레인 호스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트랩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공 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가 구비된 이물질 걸림망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본체의 필터 삽입공 내경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성형하되, 바닥면에는 활성카본의 입자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복수의 악취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방부에는 수개의 정화공기 배출공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뚜껑체와;
    상기 몸체 내에 정해진 높이만큼 충진되어 관거에서 상기 몸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가 통과할 때 자체의 흡착특성을 통해 탈취시켜 주는 활성카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정화공기 배출공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필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본체의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원활히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갓 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갓 모양을 갖는 상기 뚜껑체의 주연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및 각종 이물질이 본체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 및 이물질 포집홈 측으로 모두 낙하되도록 하는 처마형 연장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KR1020130022074A 2013-02-28 2013-02-28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KR10130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74A KR101308906B1 (ko) 2013-02-28 2013-02-28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74A KR101308906B1 (ko) 2013-02-28 2013-02-28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906B1 true KR101308906B1 (ko) 2013-09-23

Family

ID=4945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74A KR101308906B1 (ko) 2013-02-28 2013-02-28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68B1 (ko) * 2019-05-28 2019-11-28 주식회사 프로메드코리아 악취 제거가 가능한 배수로용 그레이팅 시스템
WO2020013782A3 (en) * 2018-04-02 2020-02-27 Catalca Koncagul Manhole cover filter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866Y2 (ja) 1991-12-02 1997-04-09 禎男 青山 雨水浸透桝
JP2005232836A (ja) * 2004-02-20 2005-09-02 Nihon Hels Industry Corp マンホール用脱臭装置
KR200409407Y1 (ko) 2005-11-25 2006-02-22 이상화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0775076B1 (ko) * 2005-04-14 2007-11-08 (주)상원이티씨 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866Y2 (ja) 1991-12-02 1997-04-09 禎男 青山 雨水浸透桝
JP2005232836A (ja) * 2004-02-20 2005-09-02 Nihon Hels Industry Corp マンホール用脱臭装置
KR100775076B1 (ko) * 2005-04-14 2007-11-08 (주)상원이티씨 맨홀
KR200409407Y1 (ko) 2005-11-25 2006-02-22 이상화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782A3 (en) * 2018-04-02 2020-02-27 Catalca Koncagul Manhole cover filter
KR102049268B1 (ko) * 2019-05-28 2019-11-28 주식회사 프로메드코리아 악취 제거가 가능한 배수로용 그레이팅 시스템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9838A1 (en) Floor drain
KR101226173B1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0937580B1 (ko) 유수 분리 장치
KR101308906B1 (ko)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05073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561807B1 (ko) 하수관로의 가스 배출장치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0775076B1 (ko) 맨홀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275298B1 (ko) 비점오염원 침투 도랑형 정화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035974B1 (ko)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RU143811U1 (ru) Жироуловитель
KR20190037467A (ko)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200166993Y1 (ko) 베란다용 하수관의 y형 연결구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