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689A - 폐수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689A
KR20090029689A KR1020087025696A KR20087025696A KR20090029689A KR 20090029689 A KR20090029689 A KR 20090029689A KR 1020087025696 A KR1020087025696 A KR 1020087025696A KR 20087025696 A KR20087025696 A KR 20087025696A KR 20090029689 A KR20090029689 A KR 2009002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ention tank
tank
waste water
retention
pu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로슬로우 스주스터
라팔 뵈치에호프스키
Original Assignee
미로슬로우 스주스터
라팔 뵈치에호프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L379265A external-priority patent/PL208195B1/pl
Application filed by 미로슬로우 스주스터, 라팔 뵈치에호프스키 filed Critical 미로슬로우 스주스터
Priority claimed from PL382032A external-priority patent/PL209282B1/pl
Publication of KR2009002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 F04F1/06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the fluid medium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to be pum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187Plural tanks or compartments connected for serial flow
    • Y10T137/86196Separable with valved-connecting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리텐션 탱크(7)는 외측 리텐션 탱크(10)에 접속된 분배챔버를 구성하고, 외측 리텐션탱크(10)는 중력흐름 채널(11)의 일부분을 이루며, 그 단면은 계산식에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 단면 보다 크고, 외측 리텐션 탱크(10)는 리텐션 탱크(7)의 폐수 유입의 라인에 위치한다. 한편, 리텐션 탱크(7)의 수용능력은 중력흐름 채널(11)을 구성하는 외측 리텐션탱크(10)의 수용능력 보다 2배 이하로 작으며, 그 단면은 계산상으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에 대한 중력흐름 채널(11)의 요구 단면 보다 크다.

Description

폐수 펌핑장치{WASTE WATER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주로 폐수 펌핑설비(faecal waste water pumping installation)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또한 다른 펌핑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폐수 탱크 펌핑설비의 현대화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기존의 폐수 탱크 펌핑시설들(classical waste water tank pumping stations)은 침지식 하수 펌프들(immersed sewage pumps)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하수 펌프는 그 자신에 의해 펌핑된 폐수 내에 잠겨진 커플링 풋팅(coupling footing)에 고정된다. 개선된 펌핑시설 탱크들은 주로 원추 또는 구 형상의 바닥들(beds)을 가지고, 이는 펌핑시설 내의 위생상태를 어느 정도 향상시킨다. 게다가, 그들은 펌프 성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펌프성능을 지지하는 자동헹굼밸브를 구비하고, 펌프 성능을 제어하는 장치는 부유물들을 제거한 후에 침지식 펌프의 입구에서 수위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동 헹굼밸브는 바닥 침전물(bed sediments)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폐수 펌핑시설에서 폐수는 침지식 펌프와 탱크 내에 동일한 보유 분배량으로 담겨지고(In such waste water pumping stations the retention share of wast water is contained in the same tank as the immersed pump), 작업자는 그 탱크 내에 진입할 때 폐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다. 이러한 탱크는 습식 탱크 또는 습식 챔버라고 불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선된 펌핑시설의 서비스 및 작동 상태는 현저하게 향상되지 못하였으며, 그 생산비용은 대폭 증가하였다.
좀더 일반적으로 건조 탱크 내에 위치한 펌핑장치들이 공지되고 사용된다. 이들은 임펠러 펌프를 채용한 폐수 펌핑장치 및 공기압축기를 포함한다. 탱크 펌핑시설과 비교하여 그들은 대상물의 실질적이고 기밀한 밀봉을 제공하고, 보다 깨끗한 환경에서 그 작동이 진행된다. 이러한 펌핑시스템에서, 폐수의 보유 분배량(retention share)은 리텐션탱크(retention tank)에 담겨지고, 이러한 리텐션탱크는 대부분 건조 탱크 또는 이웃하는 건조탱크의 바닥에 위치하며, 그 결과 작업자는 그 탱크 내에 진입할 때 폐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탱크는 건조챔버라 불린다. 건조챔버가 침수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 범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수냉식 엔진을 가진 밀폐형 임펠러 펌프 또는 침지식 임펠러 펌프는 외부 작동을 건조시키도록 조절된다(the hermetic impeller pumps with engine cooled by the passing liquid or immersed impeller pumps adjusted also to dry outdoor operation). 펌프 교체 또는 시스템 점검 중에 이러한 리텐션 탱크로부터 범람한 폐수를 비우기 위한 용도로 수동 펌프 또는 이동식 침지 펌프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장치의 큰 단점으로는 폐수 채널의 입구에 비해 깊게 형성된 펌프 케이싱 뿐만 아니라 기밀하게 포장된 수직 탱크, 펌프들, 피팅(fittings) 등을 작동시키기 어렵다는 데 있고, 이에 새로운 폐수 펌핑장치의 생산비용이 증대된다.
점점 증가하는 환경 보호에 관한 높은 규제, 펌핑시스템의 성능 신뢰도, 구 입 및 유지비용의 절감 등은 물 관리 분야(in the branch of water management) 및 그 문제점들에 대한 폐수 처리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폐수 펌핑시설 특히, 고형입자를 함유한 폐수 펌핑시설에 관한 새로운 해결책을 도모하는 데 자극이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하수처리시스템의 기밀화 및 그 개선된 성능 및 신뢰도 등을 통해 불쾌하고 위험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의도한 위생적인 하수처리 설비 및 시설에 근접한 거주 영역에서의 환경보호에 관한 엄격한 규제는 물관리 및 폐수처리 회사의 기대를 지지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expectations of the water management and waste water disposal companies supported by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s with regard to environment protection in residential areas, human prescence near to sewage plants and provision of possibly hygienic conditions for their operation aim towards elimination of unpleasant and dangerous odours, for example by tightening of the sewage systems and their improve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이에 따라, 상기 요소들 중에서, 특히 폐수분야에서의 노동력 감소가 현대 펌핑시설의 특수한 해결책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수처리시설에 근접한 거주지의 환경보호에 관한 엄격한 규제 및 최적의 위생적인 작동 등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물관리 및 폐수처리회사의 기대에 부응하는 펌핑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요구들은 맨홀 구덩이 형태의 건조탱크 내에 위치한 폐수 펌핑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건조 탱크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한 리텐션탱크(tight retention tank) 내에 위치한 리텐션부(retention part)가 위치하며, 이 장치는 유저-친화적(user-friendly)이고, 리텐션부의 바닥에 있는 고형 입자의 오염에 의한 어떠한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반면에 전체 비용이 개선된 탱크 펌핑설비의 전체 비용 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텐션탱크는 외측 리텐션탱크에 접속된 분배챔버를 구성하고, 외측 리텐션탱크는 중력흐름 채널의 일부분을 이루며, 그 단면은 계산상으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 이송 단면 보다 크고, 외측 리텐션탱크는 리텐션탱크의 폐수 유입 라인 상에 위치한다(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etention tank constitutes a distributing cha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retention tank being a segment of a gravity-flow channel with its cross-section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 of gravity waste water transfer required in the calculations, located on the line of waster water inflow to the retention tank). 한편, 리텐션탱크의 수용능력은 중력흐름 채널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외측 리텐션탱크의 수용능력 보다 2배 이하로 작으며, 그 단면은 계산식에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에 대한 중력흐름 채널의 요구 단면 보다 크다(whereas the capacity of the external retention tank constituting a segment of the gravity-flow channel with its cross-section greater than the required cross-section greater than the required cross-section of the gravity-flow channel for gravity waste water transfer required in the calculations).
리텐션탱크의 수용능력이 외측 리텐션탱크의 수용능력 보다 3~15배 이하로 작은 것이 최적으로 적합하다.
리텐션탱크의 작동 수용능력이 외측 리텐션탱크의 수용능력 보다 4~20배 이하로 작은 것이 최적으로 적합하다.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 리텐션탱크는 그 바닥면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가진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이고, 상기 흡입채널은 리텐션탱크와 함께 균일 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리텐션탱크는 상기 흡입채널 상에 위치한 임펠러 펌프의 입구에 연결된다.
공압 용적형 펌프를 이용하는 변형 실시예로서, 리텐션탱크는 그 바닥영역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가진 직사각형 프리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압 용적형 펌프의 작동 탱크의 입구는 상기 리텐션탱크에 연결된다.
공압 용적형 펌프를 이용하는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서, 리텐션탱크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이고, 리텐션탱크는 그 바닥영역에 베이스 엘보우 형태로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가지며, 이 엘보우 상의 임펠러 펌프 입구는 리텐션탱크에 연결되며, 그 전체 구조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공압 용적형 펌프를 이용하는 변형실시예로서, 리텐션탱크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이고, 리텐션탱크는 그 바닥영역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가지며, 상기 공압 용적형 펌프의 작동 탱크의 입구는 상기 리텐션탱크에 연결된다.
리텐션탱크의 적절한 에어 벤팅을 위하여, 건조탱크 내에 위치한 중력흐름 파이프로부터 메인 벤팅파이프가 소통되고, 메인 벤팅파이프는 리텐션탱크의 상부영역에 측방향 벤팅도관을 통해 연결된다.
보다 안전한 리텐션 탱크의 검사 및 해체를 위하여, 중력흐름 파이프 상의 임펠러펌프 설치와 같이(as well as installation of a impeller pump on the grvity-flow pipe), 메인 벤팅파이프 및 리텐션탱크 사이에 게이트가 설치되고, 리텐션탱크는 그 상부 영역 또는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검사홀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펌프에 대한 적절한 성능 제어를 위하여, 리텐션탱크는 그 상부 또는 측면에 고정된 컨트롤유닛을 가지고, 컨트롤유닛은 리텐션탱크의 수위에 따라 공압 용적형 펌프의 작동탱크 또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펌프를 제어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력파이프 상에 차단오르간 및 엘보우 형태의 밸브 또는 블레이드 게이트와 일체인 엘보우 형태의 논-리턴밸브가 설치된다.
외측 리텐션탱크의 검사를 위하여, 중력흐름 채널 상에서 리텐션탱크 전에는 캐스케이드 챔버가 설치되고, 캐스케이드 챔버는 그 입구가 그 출구 보다 높게 위치한다.
공압 용적형 펌프를 이용하는 변형실시예로서, 공압 용적형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 상의 리텐션탱크 사이에는 논-리턴 유입밸브가 설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장점은, 리텐션부가 2개의 탱크로 분리되고, 그 중에서 보다 작은 리텐션탱크, 분배챔버로서 건조탱크 내에 위치하며, 보다 큰 외측 리텐션탱크는 중력흐름 채널의 일부가 되고, 그 단면은 계산식에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 단면 보다 크다. 부가적으로, 이미 시공된 장소에서 외측 리텐션탱크를 단축 또는 연장시킴으로써 전체 리텐션 수용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탱크의 폐수 유입에 관한 추정치가 변경되거나 다른 성능을 가진 펌프로 교체될 때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는 구조물이 아닌 폐수 채널의 요소인 탱크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에서 구조적인 예시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펌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펌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펌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2방향의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외장 리텐션탱크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3은 도 1 및 도 3의 펌핑장치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나타난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4는 도 11 및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제1실시예에 도시된 폐수 펌핑장치(1)는 공냉식 엔진을 가진 2개의 임펠라 펌프(2)를 가지고, 이는 맨홀 챔버와 같이 평탄한 바닥면(4)을 가진 건조탱크(3) 내에 설치된다. 폐수의 유입(waste water inflow)은 폐수 펌핑장치(1)에 연결된 중력흐름 파이프(5, gravity-flow pipe)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배출(the oulet)은 압력파이프(6)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폐수 펌핑장치(1)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의 리텐션 탱크(7)를 가지고, 리텐션 탱크(7)는 중력흐름 파이프(5)를 통해 폐수의 유입(the waste water inflow)에 연결된다. 리텐션 탱크(7)의 바닥면에서 2개의 흡입채널들이 소통되고(are conducted), 이 2개의 흡입채널은 리텐션탱크(7)와 함께 균일한 구조를 구성하며, 흡입채널 상에 위치한 임펠러 펌프(2)의 입구는 리텐션탱크(7)에 연결된다. 임펠러 펌프(2)의 압력출구에는 리텐션 탱크(7)로부터 폐수를 이송시키는 압력파이프(6)들이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의 제2실시예에 도시된 폐수 펌핑장치(1)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의 폐수 리텐션 탱크(7)를 가지고, 리텐션탱크(7)는 2개의 흡입채널(8)을 가지며, 2개의 흡입채널(8)은 리텐션탱크(7)의 바닥부분에서 베이스 엘보우(base elbow) 형태로 연결(conducted)되며, 그 전체 구조는 프레임(9)에 고정된다. 도 5및 도 6에 제3실시예의 폐수 펌핑장치(1)가 도시되고, 이 제3실시예는 임펠러(2)의 엔진이 펌핑된 액체에 의해 냉각되지 않으며 대기 상태에서 작동하는 건식 침지식 펌프로서 전도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In fig.5 and fig. 6 in the third variant, a waste water pumping device 1 has been presented, as in fig. 3 and 4,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engines of the impeller pumps 2 are not cooled with the pumped liquid but are delivered as dry immersed pumps operating in air environment). 한편 압력파이프(6)는 맨홀 챔버(4)의 좁은 바닥면 위에 있는 폐수 펌핑장치(1)의 기밀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는 S-벤드(S-bends)를 가진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은 맨홀챔버에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구성된 건조탱크(3) 내에 설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폐수 펌핑장치(1)를 2방향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중력흐름 채널(11)의 일 부분을 구성하는 외장 리텐션탱크(10)와 제1실시예의 폐수 펌핑장치(1)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중력흐름 채널(11) 상에서 외장 리텐션 탱크(10)의 입구 전에는 캐스케이드 검사 챔버(12, cascade inspection chamber)가 위치한다. 캐스케이드 검사 챔버(12)의 입구는 그 출구 보다 높게 위치하고, 반면에 그 출구의 홀은 그 입구의 홀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도 10은 중력흐름 채널(11) 부분을 구성하는 외장 리텐션탱크(10)와 제2실 시예의 폐수 펌핑장치(1)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외장 리텐션 탱크(10)의 입구 전에는 중력흐름 채널(11)의 후방 출구가 외장 리텐션탱크(10)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전도되는(delivered) 중력흐름 채널(11)의 단층(斷層, fault)이 있으며, 외장 리텐션탱크(10)는 중력흐름 채널(11) 보다 낮게 위치한다. 캐스케이드 챔버(12) 및 중력흐름 채널(11)의 단층(fault) 양자 모두는 중력흐름 채널(11) 내에 있는 폐수의 역류 또는 반전(backwater or reversing)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외장 리텐션탱크(10)의 수용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임펠러 펌프(2)의 교체 가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건식 탱크(3)의 중력흐름 파이프(5)에는 게이트(13)가 설치된다. 건식탱크(3) 내측에 위치한 중력흐름 파이프(5)로부터 메인 벤팅파이프(14)가 소통되고(conducted), 메인 벤팅파이프(14)는 측방향 벤팅 도관(15)을 통해 리텐션탱크(7)의 상부영역에 연결되는 한편, 게이트(13)는 메인 벤팅파이프(14) 및 리텐션탱크(7) 사이에 설치된다. 이는 탱크와 중력흐름 파이프(5) 내의 압력 균형 및 리텐션 탱크(7)의 벤팅을 적절히 부여한다. 리텐션탱크(7)는 중력흐름 파이프(5)의 축선 상부 영역 또는 그 측면에 기밀하게 근접한 검사홀(16, a tightly closed inspection hole)을 가진다.
외장 리텐션탱크(10)에서 중력흐름 채널(11)의 입구는 중력흐름 파이프(5) 보다 높게 위치하고, 이는 그 입구 방향으로 외장 리텐션탱크(10)의 완전한 벤팅을 부여할 수 있다.
리텐션탱크의 낮은 수용능력 때문에, 임펠러펌프(2)는 그 입구와 흡입채널(8) 사이에 예컨대, 블레이드 게이트의 형태와 같은 차단(isolation)이 필수적으 로 요구되지 않는다. 흡입채널(8)로부터 펌프를 분리할 경우, 게이트(13)의 예비적인 폐쇄 후에, 그 개방 홀을 완전히 막을 수 있고(the open hole can be plugged with a full flange) 게이트(13)를 개방 시킨후에 단지 하나의 펌프만을 시동시킨다.
이러한 폐수 펌핑장치(1)의 성능은, 펌프성능 제어가 리텐션탱크(7)에만 적용되고 외측 리텐션탱크(10)는 중력흐름 채널(11)을 통한 폐수 이송의 축적에 한정적으로 이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런 타입의 다른 펌핑장치의 성능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임펠러 펌프(2)의 시동 및 정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는 리텐션탱크(7) 내의 액면 수위 변화에 반응하는 컨트롤유닛(17)을 통해 진행된다. 컨트롤 유닛(17)은 리텐션탱크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한편 리텐션 탱크(7) 내의 수위 변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수 디플렉터(마스크)가 중력흐름 파이프(5)의 출구에 이용될 수 있다. 장치의 높은 성능 신뢰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단 오르간(18, isolation organ) 및 엘보 형상의 논-리턴 밸브(19, non-return elbow-shaped valve)가 압력파이프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이는 폐수의 최저 유속에서 완전히 개방된다. 설치 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블레이드 게이트(20)와 일체로 형성된 엘보 형상의 논-리턴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공압식 용적형 펌프(21, pneumatic positive-displacement pump)를 이용한 폐수 펌핑장치(1)의 변형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 상의 리텐션탱크(7) 사 이에는 논-리턴 유입 밸브(22, non-return inflow valve)가 설치되며, 펌프(21)의 작동탱크(2')의 입구는 리텐션탱크(7)에 연결된다(between the retention tank 7 on at least one suction channel 8 to which is connected the inlet of the operating tank 2' of the pneumatic positive-displacement pump 21, a non-return inflow valve is installed 22). 용적형 펌프(21)는 공기압축기(23), 차단 밸브(24) 및 벤팅밸브(25)를 가지고, 차단밸브(24)는 공기압축기(23)와 작동탱크(2') 사이의 공압링크(pneumatic link)를 차단할 수 있으며, 벤팅밸브(25)는 작동탱크(2')를 벤팅시킬 수 있도록 공압링크의 측면 연결부(side junction)에 위치한다. 도 11의 변형실시예는 공기 압축기(23) 및 차단밸브(24) 사이의 공압링크 라인 상에 위치한 공기압축기 탱크(26)를 부가적으로 구비한다.
공압식 용적형 펌프(21)를 이용한 본 폐수 펌핑장치(1)의 상기 변형실시예들의 성능은 다른 폐수 펌핑장치의 성능과 다르지 않다. 다만, 공압식 용적형 펌프(21)의 성능 제어는 리텐션탱크(7)에만 적용되고, 외측 리텐션 탱크(10)는 중력흐름 채널(11)을 통한 폐수 이송의 축적에만 한정적으로 이용된다는 점은 제외한다. 시동 및 정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는 리텐션탱크(7) 내의 액체 수위 변화에 반응하는 컨트롤유닛(17)을 통해 진행된다. 컨트롤유닛(17)은 리텐션탱크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한편 리텐션 탱크(7) 내의 수위 변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수 디플렉터(마스크)가 중력흐름 파이프(5)의 출구에 이용될 수 있다. 차단 밸브(24)가 폐쇄되고, 벤팅 밸브(25)가 개방되면, 이에 의해 리텐션탱크(7)로부터 폐수가 흡입채널(8) 및 논-리턴 유입밸브(22)를 경유하여 작동탱크(2')로 흐르고, 폐 수는 작동탱크(2') 내에서 완전히 충만될 때까지 축적된다. 그 후, 컨트롤유닛(17)이 벤팅밸브(25)를 폐쇄시키고 차단밸브(24)를 개방시키면, 그 결과 압축공기는 작동탱크(2')로부터 폐수를 엘보 형상의 논-리턴 밸브(19) 및 압력파이프(6)로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항상 개방상태로 작동하는 논-리턴 유입밸브(22)를 자동으로 폐쇄시킨다. 작동탱크(2')를 비운 후에, 컨트롤유닛(17)은 차단밸브(24)를 폐쇄하고 벤팅밸브(25)를 개방시키면, 역류방지 유입밸브(22)가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써 폐수는 작동탱크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사이클들은 폐수 유입의 세기에 따른 주기로 교대 반복된다(These cycles are repeated alternately at a frequency dependant from the intensity of waste water inflow). 차단밸브(24)가 개방되고 벤팅밸브(25)가 폐쇄되는 경우, 또는 공기압축기 탱크(26) 내의 압력이 컨트롤유닛(17)의 설정된 작동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공기압축기가 시동된다.
예컨대 다른 특성 및 작동원리를 가진 컨트롤유닛과 같이, 도면은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특정 해결수단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제1항 내지 14항에서 지정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응용예 및 변형물을 모두 표시하지는 않았다.

Claims (14)

  1. 공압 용적형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탱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펌프를 구성하고, 작동탱크 또는 임펠러펌프는 건조탱크의 바닥 또는 그 근처 바닥에 설치되며, 건조탱크는 중력흐름 파이프의 폐수 입구(gravity-flow waste water pipe inlet) 및 압력 폐수 출구(pressure waste water outlet)를 가지고, 중력흐름 파이프의 폐수 입구(gravity waste water inlet pipe)에 연결된 리텐션탱크를 구성하고, 리텐션탱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이 공압 용적형 펌프의 작동탱크 또는 임펠러펌프의 입구에 연결되며, 그 출구에 부착된 펌핑장치를 통해 리텐션탱크로부터 폐수를 이송시키는 폐수펌핑장치에 있어서,
    리텐션 탱크(7)는 외측 리텐션 탱크(10)에 접속된 분배챔버를 구성하고, 외측 리텐션 탱크(10)는 중력흐름 채널(11)의 일부분을 이루며, 그 단면은 계산식에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 단면 보다 크고, 외측 리텐션 탱크(10)는 리텐션 탱크(7)의 폐수 유입의 라인에 위치하고, 리텐션 탱크(7)의 수용능력은 중력흐름 채널(11)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외측 리텐션 탱크(10)의 수용능력 보다 2배 이하로 작으며, 그 단면은 계산식에서 요구되는 폐수의 중력이송에 대한 요구 단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의 수용능력이 외측 리텐션탱크(10)의 수용능력 보다 3~15배 이하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의 작동 수용능력이 외측 리텐션탱크(10)의 수용능력 보다 4~20배 이하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그 바닥면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을 가진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이고, 상기 흡입채널(8)은 리텐션탱크(7)와 함께 균일 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리텐션탱크(7)는 상기 흡입채널(8) 상에 위치한 임펠러 펌프(2)의 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그 바닥영역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을 가진 직사각형 프리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압 용적형 펌프(21)의 작동 탱크(2')의 입구는 상기 리텐션탱크(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이고, 상기 리텐션탱 크(7)는 그 바닥영역에 베이스 엘보우 형태로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을 가지며, 이 엘보우 형태의 임펠러 펌프(2) 입구는 리텐션탱크에 연결되며, 그 전체 구조는 프레임(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이고, 리텐션탱크(7)는 그 바닥영역에 소통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을 가지며, 상기 공압 용적형 펌프(21)의 작동 탱크(2')의 입구는 상기 리텐션탱크(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건조탱크(3) 내에 위치한 중력흐름 파이프(5)로부터 메인 벤팅파이프(14)가 소통되고, 메인 벤팅파이프(14)는 리텐션탱크(7)의 상부영역에 측방향 벤팅도관(1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중력흐름 파이프(5) 상에서 메인 벤팅파이프(14) 및 리텐션탱크(7) 사이에 게이트(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중력흐름 파이프(5)의 상부 영역 또는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검사홀(1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탱크(7)는 그 상부 또는 측면에 고정된 컨트롤유닛(17)을 가지고, 상기 컨트롤유닛(17)은 리텐션탱크(7)의 수위에 따라 공압 용적형 펌프(21)의 작동탱크(2') 또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펌프(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파이프(6) 상에는 차단오르간(18) 및 엘보우 형태의 밸브(19) 또는 블레이드 게이트(20)와 일체인 엘보우 형태의 논-리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흐름 채널(11) 상에서 외측 리텐션탱크(10) 전에는 캐스케이드 챔버(12)가 설치되고, 캐스케이드 챔버(12)는 그 입구가 그 출구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용적형 펌프(21)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8) 상에서 리텐션탱크(7) 사이에는 논-리턴 유입밸브(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펌핑장치.
KR1020087025696A 2006-03-22 2007-03-22 폐수 펌핑장치 KR20090029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379265A PL208195B1 (pl) 2006-03-22 2006-03-22 Urządzenie pompowe ścieków
PLP-379265 2006-03-22
PL382032A PL209282B1 (pl) 2007-03-22 2007-03-22 Urządzenie pompowe ścieków
PLP-382032 2007-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689A true KR20090029689A (ko) 2009-03-23

Family

ID=3819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696A KR20090029689A (ko) 2006-03-22 2007-03-22 폐수 펌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47912B2 (ko)
EP (1) EP2024577B1 (ko)
JP (1) JP5269759B2 (ko)
KR (1) KR20090029689A (ko)
PL (1) PL2024577T3 (ko)
WO (1) WO2007108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15041B1 (pl) 2008-11-21 2013-10-31 Ekowodrol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i urzadzenie do pompowania cieczy z zastosowaniem pneumatycznej pompy wyporowej
US20140083533A1 (en) * 2012-09-27 2014-03-27 Donald B. Gorshing Columnar submersible pump system
ITFI20120192A1 (it) * 2012-10-01 2014-04-02 Carlo Lencioni "sistema di controllo di pompe di sollevamento in un pozzo fognario o simile"
DE102013221065A1 (de) * 2013-10-17 2015-04-23 Ksb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Abwasserhebeanlage in einem Abwasserschacht sowie zugehörige Abwasserhebeanlage
US9469962B1 (en) 2015-01-30 2016-10-18 Denis LeBlanc Prefab lift station
CN107530633A (zh) * 2015-04-30 2018-01-02 林蔡勇 节约型ro滤芯设计
CN105317616A (zh) * 2015-11-10 2016-02-10 西华大学 一种贯流式水轮机检修排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4483A (en) * 1925-12-19 1926-08-03 Yeomans Brothers Co Sewage-ejector system
US3461803A (en) * 1967-10-27 1969-08-19 Wilsco Sales & Eng Co Inc Underground pumping station
US4049013A (en) * 1976-10-22 1977-09-20 William Shenk Sewage system
DE2809431C2 (de) * 1978-03-04 1984-10-25 Electrolux Gmbh, 2000 Hamburg Unterdruck-Entwässerungsanlage
FR2578000B1 (fr) * 1985-02-22 1987-04-10 Soterkenos Installation de refoulement de liquides, notamment des eaux usees
US4693271A (en) * 1985-10-21 1987-09-15 Hargrove Benjamin F Horizontally mounted submersible pump assembly
US4758133A (en) * 1986-05-19 1988-07-19 The Gorman-Rupp Company Pumping system
US5030346A (en) * 1988-01-15 1991-07-09 Henry Filters, Inc. Pump for filtration system
US4900438A (en) * 1988-01-15 1990-02-13 Henry Filters, Inc. Pump mounting for a filtration system
JP3306461B2 (ja) * 1993-11-30 2002-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下水ポンプシステム
FR2822484B1 (fr) * 2001-03-22 2003-09-05 Seardi Pompage Dispositif de relevement d'eaux usees
JP3696565B2 (ja) * 2002-03-28 2005-09-21 株式会社東洋電機工業所 マンホールポンプ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0101A (ja) 2009-08-27
JP5269759B2 (ja) 2013-08-21
EP2024577B1 (en) 2018-12-19
WO2007108711A1 (en) 2007-09-27
US8347912B2 (en) 2013-01-08
US20100224271A1 (en) 2010-09-09
EP2024577A1 (en) 2009-02-18
PL2024577T3 (pl)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689A (ko) 폐수 펌핑장치
JP5528562B2 (ja) 低圧ガス配管の安全バルブ
CN110431367B (zh) 积聚和排泄来自制冷和冷却装置的除霜水和冷凝水的装置
KR100824810B1 (ko) 진공 하수수집 시스템용 매설형 진공펌프장
JP2018105045A (ja) ポンプシステム、悪臭防止型排水設備、ポンプ
US20150240467A1 (en) Cistern for flushing a toilet with potable and gray water
CA2789624A1 (en) Wastewater pumping system
WO2013119130A1 (en) Sewage lifting station
CN212835837U (zh) 一种雨水调蓄池的排水系统及调蓄池系统
JP2005264585A (ja) マンホール装置
FI77911C (fi) Foerfarande foer stoetvis transport av vaetska.
JPH1018394A (ja) 真空式下水道の水路橋及び注水方法
PL209282B1 (pl) Urządzenie pompowe ścieków
CN217079079U (zh) 一种污水提升设备的管道排空装置
JP2566698B2 (ja) 真空式下水道の非常時汚水排出口
CN215406481U (zh) 一体化预制泵站
CN215253160U (zh) 一种带溢流和排污装置的泵房
JP2891285B2 (ja) 真空式汚水収集装置
SU1323651A1 (ru) Вод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ытой оросительной сети
KR0118152Y1 (ko) 침전지의 슬러지 자동 배출장치
KR0131678Y1 (ko) 분뇨 정화조
PL208195B1 (pl) Urządzenie pompowe ścieków
KR0171537B1 (ko) 무동력 폐수 자동배출 장치
JP2023169756A (ja) 真空ステーション及び真空ポンプ封水処理方法
KR101672515B1 (ko) 오수 배출용 진공 흡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