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937B1 -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937B1
KR100943937B1 KR1020080023822A KR20080023822A KR100943937B1 KR 100943937 B1 KR100943937 B1 KR 100943937B1 KR 1020080023822 A KR1020080023822 A KR 1020080023822A KR 20080023822 A KR20080023822 A KR 20080023822A KR 100943937 B1 KR100943937 B1 KR 10094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water
impurities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429A (ko
Inventor
황인중
Original Assignee
황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중 filed Critical 황인중
Priority to KR102008002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 내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적시켜 제거함으로서 상수도 관로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맑은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되어 급수설비를 이루는 상수도관, 상수도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접합 설치되어 불순물이 침적되도록 하는 침적관, 침적관에 설치되어 침적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개폐밸브, 및 상기 상수도관에는 내벽에 접합 설치되어 침적관의 인접한 위치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용수의 불순물을 침적관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수도관, 침적관, 유도관, 안내부재

Description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The waterworks tube leads and the impurities removalsystem}
본 발명은 상수도관을 통해 용수와 같이 흘러가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수도 관로 내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적시켜 상수도 관로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맑은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시설은 용수의 공급 방향에 따라 상수도관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 배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수도관의 파손 및 노후에 따른 교체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길이의 상수도관을 플랜지이음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고, 상수도관들 중 적소에 밸브들을 설치하였다.
이에 상수도관들 중 어느 한 곳이 파손되면 인근에 있는 밸브들을 차단하여 용수가 순간적으로 통수가 되지 않도록 한 다음 노후 및 파손된 상수도관을 분리하여 수선과 보수 또는 교체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수도관을 수선과 보수 또는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작업도구에 관련된 부재 등)이 유입되어 용수를 오염시키거나,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벽의 도장부분 등이 용수의 오염원이 되었다.
특히, 상수도관이 파열 및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 된 경우, 주변의 밸브를 차단하는 과정에서 균열된 상수도관 내의 내압이 발생하면서 주변의 오염된 흙과 같은 불순물이 유입되어 용수에 실려 각 가정에 공급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각 가정의 인접 부분만 스테인스재의 상수도관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용수를 오염시키는 불순물의 제거에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 관로 내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적시켜 제거함으로서 상수도 관로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맑은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되어 급수설비를 이루는 상수도관, 상수도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접합 설치되어 불순물이 침적되도록 하는 침적관, 침적관에 설치되어 침적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개폐밸브, 및 상기 상수도관에는 내벽에 접합 설치되어 침적관의 인접한 위치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용수의 불순물을 침적관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침적관에 대향되는 상수도관의 내벽에 설치하되, 끝단이 용수의 흐름 방향으로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상수도관과 침적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의 불순물을 침적관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을 접합 설치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수도관들의 적소에 침적관을 설치하여 상수도 관로 내의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적관에 침적방식으로 배출하여 불순물에 의한 용수의 오염을 줄임으로써, 상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에 맑은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의 내부구성 및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은 플랜지 이음으로 상호 연결되어 급수설비를 이루는 상수 도관(10), 상수도관(1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용접에 의해 접합 설치되어 불순물이 침적되도록 하는 침적관(30), 상기 상수도관(10)과 침적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수도관(10)의 불순물을 침적관(30)으로 유도하는 유도관(20), 침적관(30)에 설치되어 침적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개폐밸브(32)로 구성한다.
상기 상수도관(10)과, 상수도관(10)과 연통하는 침적관(30), 상수도관(10)과 침적관(30)을 연통시키는 유도관(20)은 상호 연통되도록 용융 접합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침적관(30)과 연통되는 상수관은 외부의 충격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대(40)가 양측에 양립하도록 용융 접합된다.
아울러 유도관(20)은 침적관(30)보다 그 길이를 짧게 하여, 상수도관(10)으로 흐르는 불순물을 침적관(30)으로 유도함과 더불어 침적관(30)으로 유입된 불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은 상수도관(10)과 침적관(30) 사이에 유도관(20)이 개재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도관(20)을 배제한 상태로 상수도관(10)과 침적관(30)을 직접 연통하도록 접합하여도 실시가 가능하다.
도 2와 도 3에서 상기 상수도관(10)에는 내벽에 접합 설치되어 침적관(30)의 인접한 위치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용수의 불순물을 침적관(3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12)를 갖추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12)는 일측을 침적관(30)에 대향되는 상수도관(10)의 상부 내벽에 설치하되, 끝단이 용수의 흐름 방향으로 낮은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수도관(10)로 내의 불순물이 용수에 실려 흐르는 과정에서 상수도 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도관(20)을 통해 침적관(30)으로 침적되고, 이때 안내부재(12)에 의해 용수가 유도관(20)의 인접한 위치로 안내됨으로써, 불순물의 침적이 촤적화된다.
아울러 침적관(30)에 갖추어진 개폐밸브(32)를 통해 불순물을 배출하게 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용수를 각 가정에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외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의 내부구성 및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는 측단면도, 도 3은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수도관 12 : 안내부재
20 : 유도관 30 : 침적관
32 : 개폐밸브 40 : 지지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상호 연결되어 급수설비를 이루는 상수도관(10), 상수도관(1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접합 설치되어 불순물이 침적되도록 하는 침적관(30), 침적관(30)에 설치되어 침적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개폐밸브(32), 및 상기 상수도관(10)에는 내벽에 접합 설치되어 침적관(30)의 인접한 위치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용수의 불순물을 침적관(3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12)로 구성한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10)과 침적관(30) 사이에 접합 설치되어 상수도관(10)의 불순물을 침적관(30)으로 유도하는 유도관(20)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KR1020080023822A 2008-03-14 2008-03-14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KR10094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22A KR100943937B1 (ko) 2008-03-14 2008-03-14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22A KR100943937B1 (ko) 2008-03-14 2008-03-14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29A KR20090098429A (ko) 2009-09-17
KR100943937B1 true KR100943937B1 (ko) 2010-02-24

Family

ID=4135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822A KR100943937B1 (ko) 2008-03-14 2008-03-14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297B1 (ko) * 2022-08-29 2023-10-2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상하수의 배수 활성화 구조를 갖는 상하수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725A (zh) * 2021-07-21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生活供水系统及邮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297A (ja) * 1990-10-24 1992-06-03 Kubota Corp 配管内の異物排出装置
JP2000140682A (ja) * 1998-11-12 2000-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配水管内残渣物処理装置
JP2004316744A (ja) 2003-04-15 2004-11-11 Suiken:Kk 夾雑物除去用管
KR20060020847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관내의 불순물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도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297A (ja) * 1990-10-24 1992-06-03 Kubota Corp 配管内の異物排出装置
JP2000140682A (ja) * 1998-11-12 2000-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配水管内残渣物処理装置
JP2004316744A (ja) 2003-04-15 2004-11-11 Suiken:Kk 夾雑物除去用管
KR20060020847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관내의 불순물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도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297B1 (ko) * 2022-08-29 2023-10-2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상하수의 배수 활성화 구조를 갖는 상하수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29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701B1 (ko)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JP6232650B1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JP4938479B2 (ja) ガス配管のガス遮断方法
KR100943937B1 (ko)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CN104438249B (zh) 煤气管道在线清洗装置及方法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KR102252710B1 (ko) 욕실 청소용 스프레이 건
JP5456811B2 (ja) 下水管の止水栓装置,下水管施設の作業用補助システム及び下水管施設の作業方法
US10982881B2 (en) Water heater fitting for draining a water heater
KR2016004840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809647B1 (ko)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KR101085573B1 (ko) 배출 차단 장치
KR101875796B1 (ko) 배관의 케미칼 클리닝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플랜지형 어셈블리
KR102520098B1 (ko) Wap 기술 기반 관로 세척 장치
KR200486870Y1 (ko) 스트레이너 장치
CA2630137C (en) Fitting for tanks to facilitate cleaning
CN105170578A (zh) 一种自动清除废液排放管路堵塞的装置
KR102556192B1 (ko) 복수개의 가압 펌프를 포함한 관로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JP3176728U (ja) 下水管の止水栓装置及び下水管施設の作業用補助システム
JP7243424B2 (ja) 配管システム
RU1930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з конденсатосборника
RU1914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з конденсатосборника
JP7333555B2 (ja) 接続継手及び接続継手を用いた排水配管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