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81B1 -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81B1
KR100906681B1 KR1020080050316A KR20080050316A KR100906681B1 KR 100906681 B1 KR100906681 B1 KR 100906681B1 KR 1020080050316 A KR1020080050316 A KR 1020080050316A KR 20080050316 A KR20080050316 A KR 20080050316A KR 100906681 B1 KR100906681 B1 KR 10090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g
main
fir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위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Priority to KR102008005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8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driven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46Launching or retrieval of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2209/055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2209/0553Pigs provided with de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크기를 줄여 세척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장치의 제작비용 및 시공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체 및 피그가 통과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주배관;상기 주배관의 양단부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과 공칭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피그발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피그발사관은,주배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관;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피그의 투입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투입관로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외부 압송수 공급관이 설치된 투입관;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연결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제1배수관 및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압력식 유송배관,세척,피그,슬러지,확관부,피그발사관,직경

Description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pressing drainage pipe system}
본 발명은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크기를 줄여 세척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장치의 제작비용 및 시공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하수도의 고품질화 정책에 따라 상,하수도 배관 설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엄격한 수질관리 및 효과적인 상,하수배관의 관리를 위한 유송 시스템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서 계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유송배관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이나 이물질 퇴적의 문제이다.
수질은 계속 향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송배관 내부에 형성된 물때 등의 퇴적으로 인한 슬라임(slime) 슬러지(sludge)와 악성 산화 스케일, 즉, 녹 덩어리의 형성을 저지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수도 배관의 경우 상기한 문제로 인해 깨끗하고 위생적인 음용수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근래에 와서는 상기한 문제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배관 내벽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피그발사관이 개발되었으며, 이 피그발사관을 유송배관에 상시 설치하여 언제라도 피그를 이용해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 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피그발사관을 이용한 종래의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은 피그발사관(10)과, 유송배관(20)과, 압송수 공급관(30)과, 펌프(40)로 구성된다.
상기 유송배관(20)으로 압송되어 유송배관(20)의 내부를 클리닝 하는 피그(P)는 압송수에 의해 확관부(reducer)를 통해 유송배관(20)의 내부를 지나가면서 상기 유송배관(20) 내부의 슬러지를 강제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피그(P)는 유송배관(20) 내부의 슬러지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유송배관(20)의 내경에 비해 일반적으로 5~10%정도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피그(P)의 재질은 발포 합성수지 또는 강관축과 합성수지 재질 복합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피그발사관(10)은 유송배관(20)으로의 피그(P) 투입을 위해 제공되며, 유송배관(2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피그발사관(10)은 피그(P)가 압송수에 의해 유송배관(20)으로 강제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피그(P)의 용이한 회수와 피그(P) 옆으로 압송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그(P)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피그발사관(10)의 직경은 유송배관(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피그발사관(10)과 유송배관(20) 사이에는 확관부(reducer)(11)가 형성된다.
상기 확관부(11)는 피그발사관(10)에 투입된 유송배관(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피그(P)가 유송배관(20)으로 압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피그발사관(10)으로부터 유송배관(20)으로 갈수록 그의 직경은 점점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피그발사관(10)은 피그(P)를 발사시키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반대편에서 발사된 피그(P)를 수취하는 피그수취관의 역할도 겸한다.
즉, 피그발사관(10)이 설치된 유송배관(20)의 반대편에도 동일한 형태의 피그발사관(10)이 설치되는데, 이는, 피그(P)를 발사시키기 위한 피그발사관(10)의 방향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유송배관(20)의 양단에 설치된 각각의 피그발사관(10)은 피그수취관의 역할도 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압송수 공급관(30)은 피그(P)를 유송배관(20)에 압송시키 위한 압송수가 지나가는 관로 또는 유송배관(20)의 일부이며, 피그발사관(10)에 연결된다.
이때, 압송수 공급관(30)에는 외부의 물을 피그발사관(10)으로 압송시키기 위한 펌프(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압송수 공급관(30)에는 그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V)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의 세척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피그발사관(10)의 내부로 피그(P)를 투입시킨다.
이때, 피그(P)는 피그발사관(10)의 내부에 큰 무리 없이 투입되다가 확관부(11) 내에서 압착된다.
이후, 압송수 공급관(30)에 설치된 밸브(V)를 열어 압송수 공급관(30)의 관로를 개방하면 외부의 물은 피그발사관(10) 내로 유입된다.
이후, 피그발사관(10)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확관부(11)에 배치된 피그(P)는 유송배관(20)의 내부를 향해 압송 주행된다.
이때, 피그(P)는 유송배관(20)의 내부에 형성된 슬러지를 밀어내면서 반대편에 설치된 피그발사관(10)까지 압송된다.
이후, 피그(P)는 확관부(11)를 지나 피그발사관(10)에 수취되며, 피그(P)에 의해 밀려난 슬러지는 피그발사관(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피그(P)의 후방을 압송하던 압송수는 피그(P)의 외주면과 피그발사관(10)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피그발사관(P)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피그발사관(10)과 유송배관(20) 사이에 설치된 확관부(11)로 인해 그의 길이만큼 피그발사관(10)의 길이에 대한 연장과 장치의 부피 및 크기의 증가는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즉, 피그발사관(10)의 크기와 형태는 클리닝 시스템의 설치 공사비와 피그(P)에 의한 클리닝 작업의 용이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클리닝 시스템을 복잡한 도심지 내의 비좁은 맨홀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 맨홀 내부의 배관 공사, 맨홀 내부의 공간 확장 내지 신설을 위한 공사의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사비용에 막대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장비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큰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시공비용이 많이 증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그발사관과 유송배관 사이에 형성된 확관부를 제거하여 장치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설치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공비용이 절약되도록 한 압력식 유송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체 및 피그가 통과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주배관;상기 주배관의 양단부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과 공칭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피그발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피그발사관은,주배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관;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피그의 투입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투입관로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외부 압송수 공급관이 설치된 투입관;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연결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제1배수관 및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피그발사관은 "T"형, 또는 "Y"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제2배수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피그발사관으로 피그를 가이드하는 피그 가이드 바(pig guide bar)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그 가이드바는 제2배수관의 플랜지에 결합된 가이드바 플랜지를 포함하되, 가이드바 플랜지는 제2배수관의 관로에 연통된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과 투입관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유체 및 피그가 통과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주배관;상기 주배관의 양단부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과 공칭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피그발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피그발사관은,주배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관;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외부 압송수 연결관과 배수관이 설치된 투입관:을 포함하며,상기 배수관은 피그가 피그 발사관에 수취되었을 때, 피그의 하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피그발사관과 유송배관 사이에 형성된 확관부(reducer)를 제거하고, 상기 피그발사의 직경과 유송배관의 직경을 동일하게 구성시킴으로써, 장치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그 장치가 설치되는 맨홀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높아짐에 따라 시공비용 역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즉, 장치의 크기 증가로 인한 맨홀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는 등의 공사 어려움 및 공사의 난이성 등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수도 배관의 경우에는 시공을 위한 단수시간이 크게 단축됨으로써, 단수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저렴한 설비 운영비와 용이한 작업성으로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수돗물 공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가 기간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유송배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압력식 유송배관은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시스템이다.
압력식 유송배관은 주배관(100)과, 피그발사관(200)과, 피그 가이드 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배관(100)은 피그(P) 및 유체가 유송되는 주관로이며, 상수배관 또는 하수배관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유체는 물을 비롯하여, 정유공장, 석유화학 공장에서 유송되는 화학제품을 포함한다.
이때, 주배관(10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배관(100)의 양단에는 피그발사관(200)이 설치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가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주배관(100)과 피그발사관(200)이 결합되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예컨대, 플랜지의 구성 없이 끼움 결합되는 소켓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플랜지와 소켓형태가 같이 구성되는 복합형태 또는 용접 결합형태 일 수도 있다.
상기 주배관(100)의 공칭직경(이하'직경'이라 함)은 피그(P)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그(P)로 하여금 주배관(100) 내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피그(P)는 강력한 압송수에 의해 주배관(100)을 통과 하게 된다.
이때, 피그(P)의 형태는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브러쉬가 설치된 피그(P)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그(P)가 주배관(10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더라도 상기 주배관(100) 내부로의 피그(P)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브러쉬의 유연함으로 인해 주배관(100)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피그발사관(200)은 피그(P)를 주배관(100)으로 발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배관(1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피그발사관(200)은 동일한 형태로 주배관(1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피그(P)를 발사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피그(P)를 수취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즉, 피그(P)가 발사되는 방향의 제한이 없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피그발사관(200)으로부터 피그(P)가 발사되면, 반대편에 설치된 피그발사관(200)은 피그(P)를 수취하는 피그수취관이 되는 것이다.
한편, 피그발사관(200)은 연결관(210)과, 투입관(220)을 포함한다.
이때, 연결관(210)은 피그(P) 및 압송수가 상기 주배관(100)으로 지나가는 관로 역할을 하며, 주배관(100)에 수평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관(210)의 직경은 주배관(100)의 직경과 동일하며,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주배관(100)에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관(210)에 형성된 플랜지가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10)에는 피그(P)의 발사 및 수취를 감지하는 센서(211)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210)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사전 배수구(2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클리닝 작업을 하기 전 연결관(210)의 압력을 해소시키고, 남아 있는 잔수를 배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주배관(100)이 연결된 연결관(210)의 반대편 플랜지에는 압송수 공급관(400)이 연결된다.
상기 압송수 공급관(400)은 주배관(100)에 통수되는 관로를 포함하는 강관이며, 펌프(미도시)로부터 펌핑된 물을 피그발사관(200)에 공급하여 피그발사관(200)에 투입된 피그(P)를 주배관(100)으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압송수 공급관(400)에는 그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V)가 설치된다.
상기 압송수 공급관(400)에 역시 플랜지가 형성되어 연결관(210)의 플랜지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관(220)은 피그발사관(200)의 내부로 피그(P)가 투입되는 부위이며, 연결관(21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투입관(220)의 직경 역시 주배관(1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연결관(210)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간에 결합 될 수도 있다.
이때, 투입관(220)은 피그(P)가 연결관(210)의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연결관(21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입관(220)의 상부에는 투입관(220)의 내부와 연통된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의 주변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기(221)가 설치된다.
또한, 투입관(220)에는 외부와 연통된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이 더 설치된다.
상기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은 전술한 압송수 공급관(400)과 더불어 압송수를 공급하거나, 피그(P)를 수취하는 경우 피그(P)에 의해 밀려온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로 역할을 한다.
즉,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물의 공급원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피그(P)를 수취하는 경우에는 관로를 개방하여 오수 및 슬러지를 외부에 배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관(210)에는 배수관(230)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230)은 피그(P)가 피그발사관(200)의 내부로 수취되는 과정에서 피그(P)를 압송하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서는 피그발사관(10)의 내경이 피그(P)에 비해 크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피그(P)와 피그발사관(10) 사이에 발생한 간격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면서 피그(P)에 발생하던 압송수의 압력이 해소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피그발사관(200)의 직경이 피그(P)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압송수의 압력을 줄이기 위한 배수 관(230)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만약, 배수관(23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면, 압송된 피그(P)가 피그발사관에 도착하는 순간 압송수의 압력이 줄어들지 않으므로, 상기 피그(P)는 투입관(220)에 쳐 박히면서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을 통한 오수 및 슬러지의 배출이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피그(P)에 대한 손상도 야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230)은 반드시 필요하며, 투입관(2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된다.
이때, 투입관(220)을 중심으로 주배관(100) 측에 설치된 것을 제1배수관(231)이라 하며, 제1배수관(231)의 반대측에 설치된 것을 제2배수관(232)이라 한다.
이때, 배수관(230)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피그 가이드 바(300)는 피그발사관(200)으로부터 피그(P)의 발사 또는 피그발사관(200)에 피그(P)가 수취되는 과정에서 투입관(220)으로 피그(P)가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그 가이드 바(300)는 제2배수관(23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주배관(100) 측을 향해 기울어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그 가이드 바(300)의 상부에는 가이드바 플랜지(31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배수관(232)에 형성된 플랜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 함이다.
이때, 가이드바 플랜지(310)의 중앙에는 제2배수관(232)의 내부에 연통된 통공(3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그(P)가 투입관(220)에 가이드 되는 과정에서 오수 및 슬러지의 일부는 제2배수관(232)을 통해서도 외부에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력식 유송배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압송수 공급관(400)의 밸브(V)를 잠가 상기 압송수 공급관(400)의 관로를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사전 배수구(212)를 개방하여, 관로 상의 압력을 빼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모두 배수시킨다.
다음으로, 피그발사관(200)의 반대편에 설치된 다른 피그발사관(이때는 피그를 수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에 설치된 제1배수관(231) 및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에 호스를 연결한 후, 그 호스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집수조(미도시)에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피그발사관(200)의 개폐기(221)를 열어 투입관(222)을 개방한다. 이후, 피그(P)를 연결관(210)의 바닥에 닿도록 투입관(222)을 통해 투입시킨다.
다음으로, 밸브(V)를 열어 폐쇄되어 있던 압송수 공급관(400)의 관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압송수 공급관(400)으로부터 피그발사관(20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 고, 그 물은 피그(P)의 후방을 밀어 주배관(100)으로 압송시킨다.
이때, 센서(211)는 피그(P)의 출발을 감지하게 된다.
이후, 피그(P)는 주배관(100)의 슬러지를 밀어내면서 주배관(1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고, 피그(P)에 의해 밀려나오는 오수 및 슬러지는 배수관(230) 및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을 통해 집수조로 배출된다.
이때, 집수조로 배출된 오수는 집수조에서 필터링 한 후, 배수 처리된다.
이후, 피그(P)가 다른 하나의 피그발사관(200)에 수취되면 센서(211)가 이를 감지하여 피그(P)의 도착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배수관(230) 및 외부 압송수 공급관(222)을 폐쇄시킨다.
이후, 주배관(100)의 양단에 설치된 압송수 공급관(400)의 관로를 개방하여 통수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유송배관에 의한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피그발사관(200)의 형태가 "T"형태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피그발사관(200)의 형태가 "T"형태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형태일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피그발사관(200)을 비롯한 주배관(100)이 맨홀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중, 피그발사관(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외부 즉, 지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은 비좁은 맨홀 내부의 특성상 작업자가 맨홀 내부에서 피그(P)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으로써, 피그발사관(200) 중, 투입관(200)의 길이를 연장하여 맨홀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피그발사관(200)은 주배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피그발사관(200)을 제거함으로써, 평상시에는 피그발사관(200)을 지상으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피그발사관(200) 중, 투입관(220)에는 외부 압송수 연결관(222) 및 배수관(230)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 압송수 연결관(222)은 투입관(2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배수관(230)은 투입관(2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배수관(230)은 피그(P)의 후방에 가해지는 압송수의 압력을 해소시켜야 하는 바, 투입관(220)에 도착된 피그(P)의 하방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배수관(230)은 연결관(21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피그(P)가 투입관(220)에 수용되기 전에 미리 압송수의 압력이 해소되기 때문에, 피그(P)가 투입관(220)의 정해진 곳에 원활하게 도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 관(230)은 투입관(220)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배관(100)을 압송주행하는 피그(P)는 투입관(220)으로 수용되고, 배수관(230)은 상기 피그(P)를 압송하던 주행 압력이 해소되도록 압송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피그(P)는 투입관(220)에 안정적으로 도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유송배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3의 피그 가이드 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주배관 200 : 피그발사관
210 : 연결관 211 : 센서
212 : 사전 배수구 220 : 투입관
221 : 개폐기 222 : 외부 압송수 공급관
230 : 배수관 231 : 제1배수관
232 : 제2배수관 300 : 피그 가이드 바
310 : 가이드바 플랜지 311 : 통공
400 : 압송수 공급관

Claims (9)

  1. 유체 및 피그가 통과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주배관;
    상기 주배관의 양단부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과 공칭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피그발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피그발사관은,
    주배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피그의 투입관로를 제공하며, 상기 투입관로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외부 압송수 공급관이 설치된 투입관;
    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연결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제1배수관 및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발사관은 "T"형, 또는 "Y"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피그발사관으로 피그를 가이드하는 피그 가이드 바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그 가이드 바는 제2배수관의 플랜지에 결합된 가이드바 플랜지를 포함하되, 가이드바 플랜지는 제2배수관의 관로에 연통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투입관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8. 유체 및 피그가 통과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주배관;
    상기 주배관의 양단부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과 공칭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피그발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피그발사관은,
    주배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외부 압송수 연결관과 배수관이 설치된 투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은 피그가 피그 발사관에 수취되었을 때, 피그의 하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9. 삭제
KR1020080050316A 2008-05-29 2008-05-29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90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16A KR100906681B1 (ko) 2008-05-29 2008-05-29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16A KR100906681B1 (ko) 2008-05-29 2008-05-29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681B1 true KR100906681B1 (ko) 2009-07-07

Family

ID=4133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316A KR100906681B1 (ko) 2008-05-29 2008-05-29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01B1 (ko) 2013-09-02 2014-05-27 한국가스공사 배관 검사로봇 런칭 및 리시빙 가이드장치
KR102063165B1 (ko) 2019-08-28 2020-01-07 (주)아세아텍 피그를 이용한 배관 수압 테스트 방법
KR102233160B1 (ko) * 2020-07-20 2021-03-29 부덕실업 주식회사 배관 세척 장치
RU2779681C1 (ru) * 2022-03-23 2022-09-1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атнефть" имени В.Д. Шашина Способ опорожнения участка нефтепровод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615A (ja) 2000-10-20 2002-05-09 Noriatsu Kojima 排水管継手および排水管掃除装置
KR200316306Y1 (ko) * 2003-02-28 2003-06-18 (주)아산테크 관로세척장치
KR200385537Y1 (ko) * 2005-03-05 2005-05-30 (주)아산테크 옥내배관용 관 세척장치
KR100761368B1 (ko) * 2007-05-11 2007-09-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압력식 유송배관의 클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615A (ja) 2000-10-20 2002-05-09 Noriatsu Kojima 排水管継手および排水管掃除装置
KR200316306Y1 (ko) * 2003-02-28 2003-06-18 (주)아산테크 관로세척장치
KR200385537Y1 (ko) * 2005-03-05 2005-05-30 (주)아산테크 옥내배관용 관 세척장치
KR100761368B1 (ko) * 2007-05-11 2007-09-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압력식 유송배관의 클리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01B1 (ko) 2013-09-02 2014-05-27 한국가스공사 배관 검사로봇 런칭 및 리시빙 가이드장치
KR102063165B1 (ko) 2019-08-28 2020-01-07 (주)아세아텍 피그를 이용한 배관 수압 테스트 방법
KR102233160B1 (ko) * 2020-07-20 2021-03-29 부덕실업 주식회사 배관 세척 장치
RU2779681C1 (ru) * 2022-03-23 2022-09-1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атнефть" имени В.Д. Шашина Способ опорожнения участка нефтепровод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368B1 (ko) 압력식 유송배관의 클리닝 장치
KR101690588B1 (ko)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RU254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скребка для очист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847514B1 (ko) 상수도관의 내부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6232650B1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855016B1 (ko)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MXPA04012365A (es) Cochino de tuberia de distribucion de inhibidor.
CN203725452U (zh) 海底输送管线的清洗系统
US3169545A (en) Apparatus for cleaning pipe systems
JP2021070976A (ja) 管路洗浄システム及び管路洗浄方法
JP2011101847A (ja) 水道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0883199B1 (ko) 관로세척장치
JP2009066522A (ja) 上水道管の清掃方法
KR2016004840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2466379B1 (ko) 관로 세척용 스마트 피그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JP2006207371A (ja) 排水管掃除装置
GB24667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pipe
KR20150086639A (ko) 해저의 피그저장라인을 이용한 피깅 시스템
JP2002129615A (ja) 排水管継手および排水管掃除装置
KR101453299B1 (ko) 사출금형의 냉각수로 세정장치
KR102567293B1 (ko) 배관 세척 및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3937B1 (ko) 상수도관 내의 불순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