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160B1 - 배관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160B1
KR102233160B1 KR1020200089789A KR20200089789A KR102233160B1 KR 102233160 B1 KR102233160 B1 KR 102233160B1 KR 1020200089789 A KR1020200089789 A KR 1020200089789A KR 20200089789 A KR20200089789 A KR 20200089789A KR 102233160 B1 KR102233160 B1 KR 10223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eaning
port
wash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3Cylindrically shaped p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46Launching or retrieval of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투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투입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관의 다른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배출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를 향해 투입된 후,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원통형의 세정구; 상기 세정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 및 상기 세정구배출부의 일 측에서 상기 배관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세정구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구가 상기 세정구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와 상기 세정구지지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정구의 추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세척 장치{PIPE CLEAN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배관의 세척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관로는 일정한 압력의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 수도관에 연결된다. 또한, 배관은 사용연한에 따라 오랜 시간동안 사용되므로, 배관의 내부 표면에 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흡착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배관의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배관에 축척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관세척장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종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1174호)에는, 관로의 일 측에 배치된 관세척장치에 세정구(피그)를 투입한 후, 물의 압력에 의해 세정구가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관로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다만, 특허문헌 1의 경우, 관로를 따라 투입된 세정구의 배출을 위해, 배관을 별도로 분리시켜야 하는 등 세정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로 세척을 위해, 배관의 분리 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피그의 투입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관 세척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관의 내부 세척을 위한 배관세척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구의 투입 및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관의 분리 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배관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세척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는, 배관의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투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투입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관의 다른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배출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를 향해 투입된 후,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원통형의 세정구; 상기 세정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 및 상기 세정구배출부의 일 측에서 상기 배관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세정구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구가 상기 세정구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와 상기 세정구지지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정구의 추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지지부재의 일 단에는, 상기 세정구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 고리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파지부재의 일 단에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도록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세정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지지부재가 상기 세정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세정구의 후방단에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지지부재는, 금속재료 또는 강성이 큰 특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구 투입덮개와 상기 세정구 배출덮개는, 각각 상기 배관에 나사 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는, 상기 배관의 내측면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파지부재는, 상기 세정구배출부의 일 측에 연통되는 배출관에 일 단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파지부재에는 내부에 일정한 직경의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관로를 따라 이동감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세정구가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정구투입부와 상기 세정구배출부는 각각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배관의 내부에 세정구를 투입하여 관로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관세척장치를 위한 세정구의 투입 및 배출이 보다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어 배관의 유지 및 보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배관에 형성된 세정구 지지부재와 세정구 파지부재를 이용하여, 배관의 분리 없이도, 세정구 투입부와 세정구 배출부를 통해, 세정구를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배관 세척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배관 세척 장치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세정구투입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세정구배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세정구지지부재가 세정구 투입을 위해 배출관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b는, 세정구투입부를 향해 세정구가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c는, 세정구투입부에 세정구가 투입된 후, 세정구지지부재에 외력을 인가하여 세정구가 배관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d는, 세정구지지부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e는, 배출관에 위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에 상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f는, 배출관에 위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의 단부에 절개부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g는, 세정구가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h는, 세정구가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배관(10)의 일 측에 배관 세척 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배관(10)의 일 측에 형성된 세정구투입부(10a)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배관(1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는 세정구배출부(10b)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배관 세척 장치(100)는, 배관(10)의 내부에 세정구(120)를 투입한 후, 세정구(120)를 수압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배관(1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할 수 있다.
배관 세척 장치(100)는, 배관(10)의 일정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세정구(120)에 의해 배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배관(10)에는,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물이 이동할 수 있으며, 배관(10)의 일 측에는, 관로 설치 밸브(11a, 11b)가 설치되어 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세정구투입부(10a)가 형성되는 배관(10)의 하부 일 측에는, 드레인관이 설치되어, 배관(10)의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배관(10)의 내부에 물이 차 있을 경우, 부력에 의해 세정구(120)를 세정구투입부(10a)로 투입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드레인관을 통해 물을 배출하는 것이 요구되며, 드레인관을 통한 물의 배출은, 드레인관에 연결된 드레인 밸브(13a, 13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부관(12)에 설치되는 관로 설치 밸브(11a, 11b)에 큰 차압이 걸려있는 경우, 부관(12)에 설치된 부관용밸브(12a)를 개방함으로써 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부관용밸브(12a)를 개방함으로써, 관로 설치 밸브(11a, 11b)에 걸린 차압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한, 관로 설치 밸브(11a, 11b)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관 세척 장치(100)는, 배관(10)의 일 측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세정구투입부(10a)와 세정구배출부(10b)에 나사체결로 고정 가능한 세정구 투입덮개(111)와 세정구 배출덮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구 투입덮개(111)는 배관(10)의 일 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세정구투입부(10a)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정구 배출덮개(112)는, 세정구투입부(10b)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정구 배출덮개(112)는 배관의 다른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배출부(10b)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정구 투입덮개(111)와 세정구 배출덮개(112)는, 각각 세정구투입부(10a)와 세정구배출부(10b)에 나사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세정구(120)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solid)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레탄 및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투입된 후, 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배관(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직경보다는 더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관(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세정구(120)의 외측면은 배관(10)의 내측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세정구(120)의 외경은 배관(10)의 내경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구(120)가 배관(10)의 내부에 위치되면,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세정구(120)가 이동하면서 배관의 내측면과의 접촉되면서 배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정구지지부재(13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구지지부재(1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구(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정구지지부재(130)는, 견고한(rigid) 특성을 가지도록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길이의 케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세정구지지부재(130)는 세정구(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일 단은 세정구(120)에 고정되고, 다른 일 단은 세정구투입부(10a)의 일 측에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출관(10c)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배출관(10c, 10d)은, 배관(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빼내는 역할을 한다.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단에는, 세정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세정구지지부재(130)가 이탈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세정구의 후방단에 지지되도록 이탈방지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40)는, 세정구지지부재(130)가 세정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방지부재(14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구지지부재(130)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재(140)는 세정구(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세정구지지부재(130)가 세정구(120)의 중심부를 통과해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매듭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단에는, 세정구(12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 고리 형상의 절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31)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관(10c)으로부터 인출된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부를 벤딩시킨 견고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개부(131)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정구파지부재(150)의 파지부(151)와 더욱 용이하게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절개부(131)는 세정구(120)가 배관(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단을 절단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정구파지부재(150)는, 세정구배출부(10b)의 일 측에서 배관(1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세정구파지부재(150)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부와 상호작용하여 세정구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구파지부재(150)의 일 단에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정구파지부재(1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재질의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구파지부재(150)는, 세정구배출부(10b)의 일 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출관(10d)에 결합된 배출호스(14)를 지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정구파지부재(150)의 일 단은, 배출호스(14)와 배출관(10d)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상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배출관(10d)에는 배출호스(14)가 연결되어, 배관(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빼낼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세정구(120)의 배출덮개를 열어 세정하는 물을 배출하였는데, 이 경우, 주변으로 물이 넘치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은, 배출관(10d)에 연결되는 배출호스(14)로 세정한 물을 배출하도록 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세정구(120)가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세정구파지부재(150)의 파지부(151)는 세정구(120)의 전방 중심부에 위치되는 절개부(131)와 서로 걸리게 되므로, 세정구(120)의 추가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세정구(120)가 이동하며, 세정구(120)가 세정구배출부(10b)에 인접하게 위치될 경우, 배출관(10d)을 통해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세정구파지부재(150) 및 세정구파지부재(150)의 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151)가 서로 끼워져 결합되므로, 세정구(120)의 추가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정구(120)에 결합된 절개부(131)가 파지부(151)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세정구파지부재(150)를 잡은 후, 이를 당기면서 세정구 배출부(10b)를 통해 세정구(12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배관 세척 장치(100)는, 배관을 향해 세정구(120)의 투입과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며 그 유지 및 보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세정구파지부재(150)에는 내부에는 일정한 직경의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세정구파지부재(150)의 단부에는 이동감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동감지부재(미도시)를 통해, 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세정구(120)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감지부재(미도시)는 세정구파지부재(150)의 내부 관로를 따라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감지부재(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세정구(120)의 위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투입된 세정구(120)가 배관을 따라 이동하여, 세정구배출부(10b)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각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세정구지지부재(130)가 배출관(10c)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4b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세정구(120)가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c는, 세정구투입부에 세정구(120)가 투입된 후, 배관(1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4d는, 세정구지지부재(130)에 힘이 인가되면서 세정구(120)가 배관(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4e는, 배출관(10c)에 위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130)에 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4f는, 배출관(10c)에 위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단부에 절개부(131)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투입된 후, 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배관(10)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배관(10)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일 측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투입될 수 있다.
세정구(120)의 중심부에는 세정구(120)를 관통하도록 세정구지지부재(130)가 설치된다. 이때,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단부는 이탈방지부재(140)와 결합되어 세정구지지부재(130)가 세정구(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세정구지지부재(130)의 다른 일 단부는 세정구 투입부(10a)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관(10c)을 지나 외부장치(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구(120)는 세정구투입부(10a)를 향해 전방부가 먼저 삽입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세정구(120)의 전방부가 투입되면, 배출관(10c)을 지나게 배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단부를 외부장치(미도시)에 고정된 상태로 잡아 당기게 되면, 세정구(120)는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세정구(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구지지부재(130)의 단부에 계속해서 인력이 작용하게 되면, 세정구(120)의 전방부는 배출관(10c)에 밀착되게 위치될 것이다. 세정구(120)의 전방부는 배출관(10c)에 밀착되게 위치되면, 사용자는, 세정구지지부재(130)의 일 측을 절개하고, 세정구(12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 고리 형상의 절개부(131)가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정구(120)에 결합된 세정구지지부재(130)에 절개부(131)가 형성되면, 세정구(120)는 도 4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관(10)의 내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세정구(120)의 외측면은 배관(10)의 내측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정구(120)가 배관에 위치되게 되면, 배관(10)의 내부에 유체가 흐르게 함으로써, 세정구(120)가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직경보다는 더 크도록 이루어지므로, 세정구(120)의 외측면은 배관(10)의 내측면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배관(1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h는, 세정구(120)가 세정구배출부(10b)를 향해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다.
세정구(120)는 배관(10)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배관(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세정구배출부(10b)의 일 측에서 배관(1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파지부재(150)에 의해 세정구(12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4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구파지부재(150)의 일 단에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151)가 형성되므로, 세정구(120)의 이동에 따라, 세정구(120)의 전방 중심부에 위치되는 절개부(131)와 서로 걸려 추가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파지부(151)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개부(131)와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151)에 절개부(131)가 결합되면, 세정구파지부재(150)에 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세정구 배출부(10b)를 통해 세정구(120)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배관 세척 장치(100)는, 배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관(10)을 향해 세정구(120)의 투입과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의 유지 및 보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배관 세척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배관
11a, 11b: 관로 설치 밸브
12: 부관
12a: 부관용밸브
13a, 13b: 드레인밸브
14: 배출호스
111: 세정구 투입덮개
112: 세정구 배출덮개
120: 세정구
130: 세정구 지지부재
131: 절개부
140: 이탈방지부재
150: 세정구파지부재
151: 파지부

Claims (10)

  1. 배관의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투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투입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관의 다른 일 측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세정구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 배출덮개;
    상기 세정구투입부를 향해 투입된 후,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원통형의 세정구;
    상기 세정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세정구지지부재; 및
    상기 세정구배출부의 일 측에서 상기 배관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세정구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구가 상기 세정구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와 상기 세정구지지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정구의 추가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세정구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세정구지지부재의 전방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견고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구파지부재는 상기 세정구배출부의 대각선 방향의 일 측에서 연통되는 배출관으로부터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 단이 상기 배출관에 고정되고,상기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의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와 상기 파지부는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의 일 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세정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관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지지부재가 상기 세정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세정구의 후방단에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지지부재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 투입덮개와 상기 세정구 배출덮개는, 각각 상기 배관에 나사 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는, 상기 배관의 내측면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파지부재에는 내부에 일정한 직경의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관로를 따라 이동감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세정구가 상기 세정구배출부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투입부와 상기 세정구배출부는 각각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KR1020200089789A 2020-07-20 2020-07-20 배관 세척 장치 KR10223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89A KR102233160B1 (ko) 2020-07-20 2020-07-20 배관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89A KR102233160B1 (ko) 2020-07-20 2020-07-20 배관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160B1 true KR102233160B1 (ko) 2021-03-29

Family

ID=7525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789A KR102233160B1 (ko) 2020-07-20 2020-07-20 배관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982A (ja) * 1988-03-15 1989-09-21 Bridgestone Corp パイプ内清掃用栓体
KR100906681B1 (ko) * 2008-05-29 2009-07-07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982A (ja) * 1988-03-15 1989-09-21 Bridgestone Corp パイプ内清掃用栓体
KR100906681B1 (ko) * 2008-05-29 2009-07-07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6319C (en) Pig receiver
KR100761368B1 (ko) 압력식 유송배관의 클리닝 장치
KR102335828B1 (ko) 클린볼을 이용한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KR101690588B1 (ko)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2062809B1 (ko)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CN109252567B (zh) 一种排水设备
JP2006348683A (ja) 高圧洗浄用保護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排水管の高圧洗浄方法
JP2007146502A (ja) 管路内面の洗浄装置
KR102233160B1 (ko) 배관 세척 장치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JP2009189910A (ja) 管内清掃方法
JP4633663B2 (ja) 排水管掃除装置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JP2007138561A (ja) 管内濁質除去装置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200190446Y1 (ko) 관로세척장치
JP5716122B2 (ja) 汚水排出システム
JP2015078513A (ja) 汚水排出システム
CN210948770U (zh) 一种矿用负压排渣排水设备
JP6333097B2 (ja) 流路洗浄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洗浄設備
JP2012096198A (ja) 管内面の洗浄方法
JP2019180548A (ja) 内視鏡洗浄装置及び内視鏡洗浄装置用の洗浄補助具
JP2008231724A (ja) ポンプ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基礎台
KR102645407B1 (ko) 세척배출호스 끝단에 연결된 부상노즐을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