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81Y1 -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Google Patents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281Y1 KR200496281Y1 KR2020220001984U KR20220001984U KR200496281Y1 KR 200496281 Y1 KR200496281 Y1 KR 200496281Y1 KR 2020220001984 U KR2020220001984 U KR 2020220001984U KR 20220001984 U KR20220001984 U KR 20220001984U KR 200496281 Y1 KR200496281 Y1 KR 2004962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 water
- control
- pressure
- ho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6—Apparatus or processes for fitting the drippers to the hoses or the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용수의 분기를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직관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물부족으로 인한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분기 및 압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용수가 공급되어 인입되는 인입관체를 구비하되, 그 반대 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한 분기관체들로 이루어진 분기몸체를 구비한 것과, 상기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는 호스를 체결고정시켜 탈착형으로 연결하는 호스연결유닛를 갖는 분기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탈착형으로 미리 호스를 별도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호스연결유닛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분기몸체에 별도의 분리없이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다시 풀거나 조임없이 간편하게 분기몸체의 각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 다른 방향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이점있다.
용수가 공급되어 인입되는 인입관체를 구비하되, 그 반대 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한 분기관체들로 이루어진 분기몸체를 구비한 것과, 상기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는 호스를 체결고정시켜 탈착형으로 연결하는 호스연결유닛를 갖는 분기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탈착형으로 미리 호스를 별도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호스연결유닛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분기몸체에 별도의 분리없이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다시 풀거나 조임없이 간편하게 분기몸체의 각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 다른 방향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이점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시 작물 용수 공급을 위해서 사용하는 분기밸브에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분기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의 분기를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직관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물부족으로 인한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분기 및 압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으로 설비가 된 유리온실 또는 비닐하우스 등지에 사용되는 관수시설은 외부에 별도 집수정 또는 하천의 용수를 펌프로 양수한 다음, 노지, 유리온실 및 비닐하우스 내로 양수되는 용수는 이송관으로 이송되어 각 이랑마다 분기밸브에 용수가 분기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기밸브는 작업자의 분기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용수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분기밸브는 동절기 또는 하절기 계절에 상관없이 동파 또는 변형이 해소되어야 하고, 작업자가 쉽게 분기밸브에 호스연결를 연결할 수 있어야 하며, 작업자가 용수조절을 쉽게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누구나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용수의 압력을 쉽게조절하여 용수를 절약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농업용 분기밸브구조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종류의 농업용 분기밸브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농업 용수관리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6737호(공개일자: 2003.01.23.)에서는 “파이프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호스와 호스를 연결하여 흐르는 물을 단속하는 농업용 밸브에 있어서, 밸브본체의 상부에 스템삽입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내부에 실링설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실링설치부에 제1밸브볼실링이 배치되고, 하단부에 볼설치돌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밸브스템이 중앙부 둘레면에 스템실링을 배치한 뒤,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스템삽입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스템의 볼설치돌부에 대응하는 삽입슬롯을 보유하여 밸브본체의 내부에 흐르는 물을 단속하는 밸브볼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스템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볼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한쪽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이 상기 밸브본체의 한쪽 개구부분에 삽입되고, 내부에 밀봉수단과 밀착되는 밀착면을 보유한 연결구가 상기 밀봉수단을 밸브볼 쪽으로 밀면서 상기 밸브본체의 한쪽 단부에 체결되며, 밸브스템을 회전하는 레버가 상기 밸브스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밸브”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53316호(공고일자: 2020.09.09.)에서는 “농업용 고압호스(9)의 절개부(9a)에 고정설치되는 분기관(1)에 분기밸브(2)를 탈부착형태로 고정설치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1)과 분기밸브(2)가 서로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밸브(2)의 분리, 이탈, 회전, 풀림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수단(A)을 구비한과, 상기 연결수단(A)은 상기 분기관(1)의 중심에 삽입홈을 갖는 연결관(12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는 돌출형 걸림돌
기(129)(129a)를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120)에는 외측에서 삽설되어 자유회전되도록 음각홈(131)(131a)을 대칭으로 구비한 원형 슬라이딩 고정부재(130)가 상기 연결관(120) 외면에 자유회전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120) 중심에는 분기밸브(2)의 편측에 통공구멍을 갖는 삽입관(201)을 탈부착형태로 구비하고, 상기삽입관(201)의 편측 외면에는 고정돌기(205)(205a)를 양측으로 구비하고, 상기 원형 슬라이딩 고정부재(130)의 좌, 우이동에 따라 상기 분기관(1)의 걸림돌기(129)(129a)와 상기 연결관(120)의 고정돌기(205)(205a)가 상기 음각홈(131)(131a)에 서로 정렬 고정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2822호(공개일자: 1997.07.24.)에서는 “분기관몸통(1)의 호스연결관(2)(3)에 단턱(4)(4a)과 나선부(5)를 각 구성하여 환돌부(6a)를 갖는 체결나사(6)로 체결하고,분기되는 밸브연결관(1a)의 나선부(5a)내측에 환요홈(7)을 구성하여 오링(8)을 끼우고,밸브몸통(9)의 연결관(9a)외연의 나선부(9b)로 체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수 분기용밸브”가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361호(공개일자 : 2000.11.06.) “유량의 흐름을 3방향으로 분해 또는 분산 시킬수 있게 한 "┰"형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좌우측 및 저면에 형성한 연결나사부(3)와; 통상의 볼밸브(4)와 개폐핸들(5), 그리고 연결용 수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나사부(3)에 체결고성시킬수 있게한 분기밸브체(7)(7')(7"); 로 구성하여 유량의 흐름을 1~3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멀티밸브”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6737호에서는 밸브스템을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밸브스템과 밸브본체 사이를 용이하게 밀봉하고, 밸브볼의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실링을 탄력적으로 밸브볼에 밀착되도록 하여 밸브볼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농업용 밸브를 제공하고,
또, 등록특허공보 제10-2153316호에서는 상기 분기관과 분기밸브가 서로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밸브의 분리, 이탈, 회전, 풀림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인입되는 용수를 통수제어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수의 흐름방향이 어떻게 되는지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나 이상 인입된 용수를 분기배출 시킬 수 있는 구조가 없고, 외부 연결호스와 밸브와의 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822 에서는 분기관의 호스연결관에는 복수개로 단이지게 하여 단이진 연결관에 호스를 끼우고 내향되는 환돌부를 갖는 체결나사로 체결하게 되면 단이진 지점에서 호스를 고정시켜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수 있고, 또 분기관의 밸브연결관에는 오일링삽지홈을 구성하여 밸브몸통의 연결관에 간단히 하고 견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고,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361 에서는 밸브동체를 2개 또는 3개가 일체로 된 일체형 동체로 형성하여, 분무호스나 관체를 양방향 또는 3방향으로 연결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와 더불어 각방향의 단속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넓은 면적 또는 좁은 면적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손쉽게 단속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용수 유입방향에서 수직으로 분기밸브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비하여 유입에 따른 원활한 용수분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각각의 용수분배를 분리하여 제어에 직관적이지 않아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으며, 호스 체결 및 분리가 번거로워 탈부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없음
본 고안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농작물 재배시 사용장소에 호스를 분기하여 용수를 선택적이고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조절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직관표시부를 구비하고,
용수가 인입되어 배출시킬 때 경사각을 구비한 분기관체를 구비하여 용수의 원활한 흐름을 이용하여 용수의 수압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비하며,
또, 인입 및 배출 호스를 별도의 탈착형 호스연결유닛에 체결시켜 분기몸체에 탈착형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하고,
또한, 가물 또는 인입 용수의 압력이 부족할 때 용수 압력을 조절 및 분기시킬 수 있는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재배를 위해 인입 용수를 조절하는 분기밸브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밸브는, 상기 분기밸브는 용수가 공급되어 인입되는 인입관체를 구비하되, 그 반대 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한 분기관체들로 이루어진 분기몸체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는 호스를 체결고정시켜 탈착형으로 연결하는 호스연결유닛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몸체에는 가이드리브와 분기관체사이 외면에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용수조절용 분기조절유닛을 구비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몸체는 편측에 원형형태의 인입관체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하는 분기관체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와 분기관체의 외측 끝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테를 구비하며, 상기 각 걸림테의 내부에는 가이드리브를 등간격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분기관체의 외측 끝단 중심 내면에는 편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홈과 걸림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분기관체 외면에는 삽입구멍을 구비하되, 그 삽입구멍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절편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유닛은 내부가 통공 되도록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라운드음각 형태의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후측 외면에는 끼움홈을 구비하되, 그 뒷쪽에 경사마찰면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경사마찰면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과 가이드돌출편을 일직선 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출편의 후측에는 원형 위치제한판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판의 내측에는 나사홈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의 뒤쪽으로 호스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홈에 끼움되는 나사홈을 형성한 체결레버를 구비하되, 그 체결레버의 외측에는 수개의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에는 기밀링이 안착끼움되도록 구비하되, 그 후측 끼움홈에는 수밀링을 구비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조절유닛은 상기 삽입구멍에는 수평으로 구멍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을 구비한 삽입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을 구비하고,상기 회전축봉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관체의 외면에는 삽입구멍을 구비하고 그 삽입구멍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편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멍에는 인입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분기관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유닛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수평으로 편측이 넓고 반대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구멍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을 구비한 삽입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을 구비하고,상기 회전축봉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을 구비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체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수의 통수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직관표시부를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체는 상기 분기몸체의 편측에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는,
탈착형으로 미리 호스를 별도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호스연결유닛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분기몸체(4)에 별도의 분리없이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다시 풀거나 조임없이 간편하게 분기몸체의 각 인입관체 및 분기관체에 다른 방향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용수의 공급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쉽게 조절하여 용수의 압력 및 분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수의 흐름방향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직관표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용수의 흐름방향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분기몸체 내부에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하여 내구성과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분기몸체에 경사각을 갖는 분기관체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용수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및 분기몸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기몸체 측단면 도 3의 가-가'선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기조절유닛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호스연결유닛의 부분확대 분해조립 및 측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압력조절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분기밸브의 또 다른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및 분기몸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기몸체 측단면 도 3의 가-가'선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기조절유닛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호스연결유닛의 부분확대 분해조립 및 측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압력조절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분기밸브의 또 다른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밸브(A)는,
용수가 공급되어 인입되는 인입관체(401)를 구비하되, 그 반대 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한 분기관체(402)(403)들로 이루어진 분기몸체(4)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401) 및 분기관체(402)(403)에는 호스(H)를 체결고정시켜 탈착형으로 연결하는 호스연결유닛(1)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몸체(4)에는,
가이드리브(411)와 분기관체(402)(403)사이 외면에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용수조절용 분기조절유닛(2)을 구비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몸체(4)는,
편측에 원형형태의 인입관체(401)을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하는 분기관체(402)(403)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401)와 분기관체(402)(403)의 외측 끝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테(404)를 구비하며, 상기 각 걸림테(404)의 내부에는 가이드리브(411)를 등간격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외측 끝단 중심 내면에는 편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홈(401)과 걸림홈(4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분기관체(402)(403) 외면에는 삽입구멍(407)을 구비하되, 그 삽입구멍(407)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408)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절편(408)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409)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유닛(1)은,
내부가 통공(107) 되도록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라운드음각 형태의 안착홈(106)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106)의 후측 외면에는 끼움홈(105)을 구비하되, 그 뒷쪽에 경사마찰면(102)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경사마찰면(102)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03)과 가이드돌출편(104)을 일직선 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출편(104)의 후측에는 원형 위치제한판(101)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판(101)의 내측에는 나사홈(108)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08)의 뒤쪽으로 호스이탈방지돌기(109)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홈(108)에 끼움되는 나사홈(121)을 형성한 체결레버(120)를 구비하되, 그 체결레버(120)의 외측에는 수개의 마찰편(122)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106)에는 기밀링(140)이 안착끼움되도록 구비하되, 그 후측 끼움홈(105)에는 수밀링(130)이 구비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조절유닛(2)은,
상기 삽입구멍(407)에는 수평으로 구멍(209)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206)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208)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207)을 구비한 삽입홈(2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205)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20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20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2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20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202)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2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관체(401)의 외면에는 삽입구멍(607)을 구비하고 그 삽입구멍(607)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608)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편(608)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609)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멍(607)에는 인입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분기관체(402)(40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유닛(6)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압력조절유닛(6)은,
수평으로 편측이 넓고 반대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구멍(699)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606)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608)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607)을 구비한 삽입홈(6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605)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60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60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6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60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602)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601)가 구비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수의 통수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직관표시부(406)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체(402)(403)는,
상기 분기몸체(4)의 편측에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가 인입되는 인입관체(401)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하나 이상 분기되는 분기관체(402)(403)을 구비하여 용수가 인입되어 외부로 분기 배출되도록 작동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시에 사용자가 인의적으로 조절하여 저압 또는 고압일 때 조절할 수 있는 분기조절유닛(2)을 가이드리브(411)와 분기관체(402)(403) 사이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 각 분기관체(402)(403)와 인입관체(401)의 외측에는 탈부착 형태로 호스(H)를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와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호스(H)의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다.
용수의 분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분기몸체(4)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측에 원형형태의 인입관체(401)을 구비한 후 그 반대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하는 원형 형태의 분기관체(402)(403)을 구비하여 일체로 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분기관체(402)(403)와 인입관체(401)의 외관 또는 내부 형태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각 분기관체(402)(403)와 인입관체(401)의 외측 끝단에는 단턱형태의 걸림테(404)를 구비하여 상기 호스연결유닛(1)이 체결과 분리시 손잡이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분기몸체(4)의 내부 중심에는 내구성 및 용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나이상 등간격으로 가이드리브(411)를 구비하여 신속한 분기 및 용수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관체(402)(403)의 외면에는 원형형태로 수직으로 관통된 삽입구멍(407)을 구비하여 그 외주면에는 임의 각도로 개방된 회전조절편(408)이 돌출되도록 구비하여 그 개방면 양측 끝에 회전제한턱(409)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구멍(407)에 삽입되는 분기조절유닉(2)이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상기 걸림핀(204)에 의해 상기 회전제한턱(409)의 회전반경 범위내에서 회전되어 용수의 통제가 가능하도록 작동하고,
또, 용수의 압력이 약하면 임의로 조절하여 용수의 압력을 높여 분기배출 되도록 작동하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조절유닛(2)은 수평으로 관통된 구멍(209)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원형 형태의 분기조절볼(206)을 구비하여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내부에서 임의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용수의 제어가 통수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분기조절볼(206)의 상면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207)을 구비한 삽입홈(205)을 구비하여 그 삽입홈(205)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203)을 구비한 회천축봉(202)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봉(2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204)을 구비하며, 그 회전축봉(202)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201)을 구비하여 육안으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양측 회전제한턱(409)과 걸림핀(204)의 회전반경 범위내에서 용수의 이동을 통수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2 내지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관체(402)(403)와 인입관체(401)에 탈부착 형태로 끼워지는 호스연결유닛(1)은,
사용자가 호스(H)를 각각 분기몸체(4)에 체결할 필요없이 미리 호스(H)에 체결시켜놓고 탈착형으로 고정시켜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 내부가 통공(107)되고 그 편체에는 음각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106)을 구비하여 상기 안착홈(106)에 기밀링(140)에 맞물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중에도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안착홈(106)의 후측 외면에는 끼움홈(105)을 구비하되 그 후측에는 경사마찰면(102)을 구비하여 그 끼움홈(105)에 수밀링(130)이 끼워져 상기 분기관체(402)(403)에 체결고정된 경사마찰면(102)과의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경사마찰면(102)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03)과 가이드돌출편(104)을 편측 또는 대칭으로 구비하여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가이드홈(401)과 걸림홈(405)에 가이드 되면서 걸림고정되도록 작동되어 쉽고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이드돌출편(104)의 후측에는 원형 위치 제한판(101)을 구비하여 상기 분기관체(402)(403) 및 인입관체(401)의 걸림테(404)와 맞물려지도록 작동하고,
사용 전·후 탈착 및 분리를 쉽게할 수 있는 손잡이 역활이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위치제한판(101)의 내측에는 나사홈(108)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홈(108)에 외부 호스(H)를 삽입시키면 상기 나사홈(108)의 후단에 구비된 호스이탈방지돌기(109)에 끼워져 호스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나사홈(108)에 끼워진 호스(H)는 나사홈(121)을 구비한 체결레버(120)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레버(120)의 외측에는 수개의 마찰편(122)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호스(H)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적으로 외부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분기관체(402)(403)의 외부에는 직관표시부(406)을 구비하여 용수의 이동방향 및 통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몸체(4)에 구비되는 분기관체(402)(403)에는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에서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관체(401)의 외면에는 인입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분기관체(402)(40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유닛(6)을 구비하여 저압 또는 용수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통수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6)은 수평으로 편측이 넓고 반대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구멍(699)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606)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용수가 좁아지는 구멍(699)을 통과하면서 용수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분기관체(402)(403)로 배출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구멍의 하측에는 기밀링(608)을, 그 상측으로는 양측에 걸림레일턱(607)을 구비한 삽입홈(605)이 끼워지는 걸림편(603)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편(603)의 상측에 수직으로 회전축봉(602)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봉(6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604)을 구비하며, 그 상측에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601)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여 통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H: 호스 A: 분기밸브
2: 분기조절유닛 4: 분기몸체
6: 압력조절유닛 101: 위치제한판
102: 경사마찰면 103: 걸림턱
104: 가이드돌출편 105: 끼움홈
106: 안착홈 107: 통공
108: 나사홈 109: 호스이탈방지돌기
120: 체결레버 121: 나사홈
122: 마찰편 130: 수밀링
140: 기밀링 201: 표시레버
202: 회전축봉 203: 걸림편
205: 삽입홈 206: 분기조절볼
207: 걸림레일턱 208: 기밀링
209: 구멍 401: 인입관체
402: 분기관체 402,403: 분기관체
404: 걸림테 406: 직관표시부
407: 삽입구멍 408: 회전조절편
409: 회전제한턱 411: 가이드리브
601: 표시레버 602: 회전축봉
603: 걸림편 605: 삽입홈
606: 분기조절볼 607: 걸림레일턱
608: 기밀링 699: 구멍
2: 분기조절유닛 4: 분기몸체
6: 압력조절유닛 101: 위치제한판
102: 경사마찰면 103: 걸림턱
104: 가이드돌출편 105: 끼움홈
106: 안착홈 107: 통공
108: 나사홈 109: 호스이탈방지돌기
120: 체결레버 121: 나사홈
122: 마찰편 130: 수밀링
140: 기밀링 201: 표시레버
202: 회전축봉 203: 걸림편
205: 삽입홈 206: 분기조절볼
207: 걸림레일턱 208: 기밀링
209: 구멍 401: 인입관체
402: 분기관체 402,403: 분기관체
404: 걸림테 406: 직관표시부
407: 삽입구멍 408: 회전조절편
409: 회전제한턱 411: 가이드리브
601: 표시레버 602: 회전축봉
603: 걸림편 605: 삽입홈
606: 분기조절볼 607: 걸림레일턱
608: 기밀링 699: 구멍
Claims (8)
- 농작물 재배를 위해 인입 용수를 조절하는 분기밸브(A)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A)는 용수가 공급되어 인입되는 인입관체(401)를 구비하되, 그 반대 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한 분기관체(402)(403)들로 이루어진 분기몸체(4)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401) 및 분기관체(402)(403)에는 호스(H)를 체결고정시켜 탈착형으로 연결하는 호스연결유닛(1)를 구비한 것과,
편측에 원형형태의 인입관체(401)을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경사각을 형성하는 분기관체(402)(403)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인입관체(401)와 분기관체(402)(403)의 외측 끝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테(404)를 구비하며, 상기 각 걸림테(404)의 내부에는 가이드리브(411)를 등간격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외측 끝단 중심 내면에는 편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홈(401)과 걸림홈(4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분기관체(402)(403) 외면에는 삽입구멍(407)을 구비하되, 그 삽입구멍(407)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408)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절편(408)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40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몸체(4)에는,
가이드리브(411)와 분기관체(402)(403)사이 외면에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용수조절용 분기조절유닛(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연결유닛(1)은,
내부가 통공(107) 되도록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라운드음각 형태의 안착홈(106)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106)의 후측 외면에는 끼움홈(105)을 구비하되, 그 뒷쪽에 경사마찰면(102)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경사마찰면(102)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03)과 가이드돌출편(104)을 일직선 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출편(104)의 후측에는 원형 위치제한판(101)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판(101)의 내측에는 나사홈(108)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08)의 뒤쪽으로 호스이탈방지돌기(109)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홈(108)에 끼움되는 나사홈(121)을 형성한 체결레버(120)를 구비하되, 그 체결레버(120)의 외측에는 수개의 마찰편(122)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106)에는 기밀링(140)이 안착끼움되도록 구비하되, 그 후측 끼움홈(105)에는 수밀링(1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조절유닛(2)은,
상기 삽입구멍(407)에는 수평으로 구멍(209)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206)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208)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207)을 구비한 삽입홈(2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205)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20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20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2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20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202)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20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체(401)의 외면에는,
삽입구멍(607)을 구비하고 그 삽입구멍(607)의 외주면에는 회전조절편(608)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편(608)에는 편측에 임의각도로 개방되고 그 양측에 회전제한턱(609)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멍(607)에는 인입 용수의 압력이 약할 때 용수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분기관체(402)(40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유닛(6)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압력조절유닛(6)은,
수평으로 편측이 넓고 반대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구멍(699)이 관통되는 원형 분기조절볼(606)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는 기밀링(608)을 그 상측에는 양측에 걸림레일턱(607)을 구비한 삽입홈(605)을 구비한 것과,
상기 삽입홈(605)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걸림편(60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수직으로 회전축봉(60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602)의 외면 편측에는 걸림핀(60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602)의 상측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레버(6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체(402)(403)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수의 통수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직관표시부(40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체(402)(403)는,
상기 분기몸체(4)의 편측에 최소 2개 내지 4개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984U KR200496281Y1 (ko) | 2022-08-16 | 2022-08-16 |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984U KR200496281Y1 (ko) | 2022-08-16 | 2022-08-16 |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281Y1 true KR200496281Y1 (ko) | 2022-12-19 |
Family
ID=8453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984U KR200496281Y1 (ko) | 2022-08-16 | 2022-08-16 |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281Y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2822Y1 (ko) * | 1995-12-11 | 1998-09-15 | 곽영대 | 농업용수 분기용밸브 |
KR19990011476U (ko) * | 1997-08-30 | 1999-03-25 | 정화석 | 호스 연결용 분기관 |
KR200279361Y1 (ko) | 1999-04-07 | 2002-06-24 | 해 만 최 | 농업용 멀티밸브 |
KR20030006737A (ko) | 2001-07-14 | 2003-01-23 | 임재희 | 농업용 밸브 |
KR20130009157A (ko) * | 2011-07-14 | 2013-01-23 | 진용환 |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
KR102153316B1 (ko) | 2019-04-03 | 2020-09-09 |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
-
2022
- 2022-08-16 KR KR2020220001984U patent/KR200496281Y1/ko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2822Y1 (ko) * | 1995-12-11 | 1998-09-15 | 곽영대 | 농업용수 분기용밸브 |
KR19990011476U (ko) * | 1997-08-30 | 1999-03-25 | 정화석 | 호스 연결용 분기관 |
KR200279361Y1 (ko) | 1999-04-07 | 2002-06-24 | 해 만 최 | 농업용 멀티밸브 |
KR20030006737A (ko) | 2001-07-14 | 2003-01-23 | 임재희 | 농업용 밸브 |
KR20130009157A (ko) * | 2011-07-14 | 2013-01-23 | 진용환 |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
KR102153316B1 (ko) | 2019-04-03 | 2020-09-09 |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없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0146B1 (en) | Above-ground adjustable spray pattern sprinkler | |
KR20050036956A (ko) | 풀아웃형 수도꼭지 | |
BRPI0806246A2 (pt) | conexão de subcorpo de cartucho | |
KR200496281Y1 (ko) | 저압 용수로 인한 압력조절 및 분기조절형 농업용 분기밸브구조 | |
CN101018967A (zh) | 可流量调节的快速连接供水截止阀 | |
US5439052A (en) | Pitless adapter valve for wells | |
US11154890B2 (en) | Underground sprinkler system | |
US7871022B1 (en) | Positionable mister assembly | |
KR102153316B1 (ko) |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 |
KR20180107912A (ko) | 농업용 점적호수 개폐 밸브 | |
CN113197058A (zh) | 一种农业节水系统 | |
CN210124185U (zh) | 一种园林景观植物灌溉设备 | |
US20200165802A1 (en) | Modular two-part sillcock | |
US9567733B2 (en) | Device for limiting the flow of a fluid, in particular the flow of water in a shower | |
US2990843A (en) | Anti-siphon anti-backflow valve | |
US7114202B1 (en) | Portable multi-point fluid delivery system | |
US20230294115A1 (en) | Dual-Outlet Water Adapter for Gardening | |
US20200325662A1 (en) | Mixing hydrant | |
KR200439589Y1 (ko) | 라인밸브 | |
US20160091098A1 (en) | Integrable Barrel Valve and Irrigation Piping Component Comprising Same | |
KR102445590B1 (ko) | 호스 꺾임 방지 및 재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꺾임 조절유닛을 구비한 농업용 점적호스밸브 | |
KR20140008931A (ko) |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 |
KR200442311Y1 (ko) |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 |
CN210800141U (zh) | 防冻分流式水嘴 | |
US11352771B2 (en) | Faucet stru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