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99Y1 -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99Y1
KR200447999Y1 KR2020070020751U KR20070020751U KR200447999Y1 KR 200447999 Y1 KR200447999 Y1 KR 200447999Y1 KR 2020070020751 U KR2020070020751 U KR 2020070020751U KR 20070020751 U KR20070020751 U KR 20070020751U KR 200447999 Y1 KR200447999 Y1 KR 200447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door trim
impact pa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23U (ko
Inventor
사봉석
이형목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9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일측면이 도어트림에 결합되고 반대면은 인너패널을 향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차량 측면 충돌시 몸체의 붕괴가 용이하도록,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파손유도홈을 포함하되, 몸체의 중앙에는 강성보강을 위한 측벽으로 둘러싸인 중공홀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면에는 모서리 중앙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트림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충격흡수성능과 탑승자 안전성이 향상된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를 제공한다.
차량, 도어, 임팩트 패드, 도어트림, 인너패널, 몸체, 파손유도홈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IMPACT PAD FOR VEHICLE DOOR}
본 고안은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급격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면서 충격흡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도어트림과 도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어패널은 다시 도어트림 방향 즉, 차량의 내측 방향에 설치되는 인너패널과, 인너패널을 사이에 두고 도어트림의 반대방향 즉, 차량의 외측 방향에 설치되는 아우터패널로 구분된다.
여기서, 차량의 측면충돌시에는 그 충격으로 인해 도어패널 및 도어트림이 차량 내부로 진입되어 탑승자는 복부에 상해를 입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외 자동차 안전법규는 엄격한 시험을 요구하고 있고, 도어트림의 경우 인체복부상해(APF:Abdominal Peak Force)에 해당하는 부위 가 자체 측면충돌시험에서 목표 흡수에너지 내 반력이 2.0kgf 이하여야 하며, 충돌 충격 후 파손된 부위에 샤프에지(sharp edge:충돌 전 팔걸이 범위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온 양)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트림의 소재에 고무성분을 첨가하여 충격시 꾸겨지게끔 하여 샤프에지를 없애고, 구조적으로는 부분적으로 얇게 만들어 파손을 쉽게 유도하며, 차체에서 충격흡수를 최대한 많이 할 수 있도록 차체부분을 최적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측면충돌시 도어트림이 쉽게 파손되는 구조로 설계되었을 때, 통상적인 팔걸이 사용이나 차량내부 온도의 상승에 의해, 예기치 못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트림의 팔걸이 부분이 인체모형의 복부상해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쉽게 파손되어야 인체상해를 줄일 수 있으나, 무조건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라면 90kg의 수직하중 부하를 견디도록 한 수직 정하중 시험규격에 미달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아울러, 쉽게 파손되거나 접힐 수 있도록 팔걸이 형상 두께의 후면에 다수의 구멍을 내는 경우에는 이 구멍을 통해 먼지가 유입되어 표면이 오염되고, 또한 수직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내구력을 상실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트림(20)과 인너패널(미도시) 사이에 임팩트패드(10)가 설치되고 있는데, 차량 측면충돌시 인너패널(미도시)에 가해진 충격은 임팩트패드(10)에 의해 흡수 내지 분산되어 도어트림(20)의 차량 내부 진입을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복부 상해치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팩트패드 중 폴리우레탄 발포성형 패드는 재활용이 어렵고, 또한 성형조건에 따른 제품밀도의 산포가 발생하고 있어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임팩트패드의 경우, 충격흡수성능의 향상에 중점을 둔 제품들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강성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만큼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와 같은 경우 충격력에 의해 급격하게 붕괴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체적인 강성에 중점을 두어 제작된 제품들은 반대로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역시 탑승자의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강성이 측면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급격한 붕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충격흡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일측면이 도어트림에 결합되고 반대면은 인너패널을 향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차량 측면 충돌시 몸체의 붕괴가 용이하도록,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파손유도홈을 포함하되, 몸체의 중앙에는 강성보강을 위한 측벽으로 둘러싸인 중공홀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면에는 모서리 중앙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트림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공홀은 십자형 단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기 반대면 꼭지점에 는, 모따기된 살빼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의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강성증대를 통해 측면충돌 사고시 급격한 붕괴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향상된 충격흡수성능을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 어용 임팩트패드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는,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몸체(100)를 가지는데, 일측면(120)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일측면(120)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의 몸체(10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일측면(120)은 도어트림(200)에 결합되고, 그 반대면(140)은 인너패널(300) 방향으로 향하는데,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는 반대면(140)의 수직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고, 이 반대면(140)은 인너패널(300)과 접촉하게 되며, 도어트림(200)에 결합된 몸체(100)의 일측면(120)은 도어트림(200)과 접촉하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 몸체(100)의 일측면(120)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트림(200)과 접촉하게 되는 면을 가리키고, 반대면(140)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너패널(300)과 접촉하게 되는 면을 가리킨다.
몸체(100)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는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 패드에 비해 제작공정이 단순해지고 중량이 절감되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몸체(100)의 일측면(120)과 그 반대면(140)을 잇는 몸체(100)의 외주면(130) 에는 차량 측면 충돌시 몸체(100)의 붕괴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파손유도홈(131)이 형성되는데, 이 파손유도홈(131)은 충돌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몸체(100)의 외주면(130)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파손유도홈(131)의 단면형상과 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외주면(130) 중간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 충돌시 몸체(100)는 도어트림(200)과 인너패널(300)에 각각 일측면(120)과 반대면(140)이 접촉되고, 이후에는 이 파손유도홈(131)을 따라 외주면(130)이 몸체(100)의 내부 방향으로 붕괴되는 것이다.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된 몸체(100)의 강성보강을 위해, 몸체(100) 중앙에 측벽(151)으로 둘러싸인 중공홀(150)이 형성된다.
이 중공홀(150)은 몸체(100)의 일측면(120) 중앙에서 반대면(140) 중앙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공홀(150)을 둘러싼 측벽(151)에 의해 몸체(100)의 강성이 보강된다.
즉,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트림(200)과 인너패널(300)에 각각 일측면(120)과 반대면(140)이 접촉된 몸체(100)는 외주면(130)과 함께 이 중공홀(150)의 측벽(151)이 변형 또는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중공홀(150)의 측벽(151)에 의해 몸체(100)의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탑승자의 통상적인 팔걸이 사용이나 차량내부 온도의 상승에 의한,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예기치 못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 다.
이때, 중공홀(150)의 형상은 강성과 충격흡수를 고려한 설계조건에 따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충격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십자형 단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반대면(140) 꼭지점에는 모따기된 살빼기부(141)가 형성된다.
이 살빼기부(141)는 충격흡수성능 향상을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반대면(140) 코너부분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모따기됨으로써, 충돌시 쉽게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살빼기부(141)가 크게 형성될수록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바, 살빼기부(141)의 형상 즉 몸체(100)의 반대면(140)과 외주면(130)의 모따기 정도는 강성과 충격흡수를 고려한 설계조건에 따라 선택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에서는 몸체(100)의 반대면(140)과 외주면(130)이 같은 길이로 모따기 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모따기 되는 길이를 크게 하여 살빼기부(141)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충격에 더욱 쉽게 파손되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모따기 길이를 작게 하여 살빼기부(141)를 작게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며, 반대면(140)의 모따기 길이와 외주면(130)의 모따기 길이를 각각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동일한 충격력에 대한 반대면(140)과 외주면(130)의 붕괴정도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몸체(100)의 반대면(140)에서 일측면(120)까지 외주면(130)의 모서리를 따라 살빼기부(141)가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 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는 몸체(100)의 일측면(120)이 도어트림(200)의 하부 즉, 탑승자의 복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결합되는데, 몸체(100)의 일측면(120) 모서리에 형성되는 지지부(122)에 의해 도어트림(200)에 결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부(122)는 몸체(100)의 일측면 모서리에서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며, 몸체(100)가 안정적으로 도어트림(2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 중앙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122)는 접착제 등에 의해 도어트림(200)에 본딩결합되거나 열융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22)의 단부에 체결공(122a)이 형성되고, 여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22b) 등의 체결구가 삽입되어 몸체(100)를 도어트림(200)에 결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의 두께는 강성과 충격흡수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중공홀의 측벽 두께를 외주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혹은 얇게 하는 등 필요에 따라 각 부위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2)가 도어트림(200)에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차량 측면 충돌로 인해 인너패널(3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인너패널(300)이 차량 내측, 즉 도어트림(200)쪽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인너패널(300)이 몸체의 반대면(140)에 부딪히게 되면, 몸체의 외주면(130)이 파손유도홈(131)을 따라 파단되고 중공홀의 측벽(151)이 붕괴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도어트림(200)을 통해 차량 내부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0)의 반대면(140) 각 꼭지점 부분에 살빼기부(141)가 형성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충격이 흡수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설치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공간부
120 : 일측면 121 : 개구부
122 : 지지부 122a : 체결공
122b : 볼트 130 : 외주면
131 : 파손유도홈 140 : 반대면
141 : 살빼기부 150 : 중공홀
151 : 측벽 200 : 도어트림
300 : 인너패널

Claims (7)

  1. 차량 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개구된 일측면이 상기 도어트림에 결합되고 반대면은 상기 인너패널을 향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몸체; 및
    차량 측면 충돌시 상기 몸체의 길이가 짧아지는 길이방향 붕괴가 용이하도록, 차량 측면 충돌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파손유도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강성보강을 위한 측벽으로 둘러싸인 십자형 단면형상의 중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일측면에는 모서리 중앙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트림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기 반대면 꼭지점에는 모따기된 살빼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70020751U 2007-12-26 2007-12-26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KR200447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51U KR200447999Y1 (ko) 2007-12-26 2007-12-26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51U KR200447999Y1 (ko) 2007-12-26 2007-12-26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23U KR20090006523U (ko) 2009-07-01
KR200447999Y1 true KR200447999Y1 (ko) 2010-03-08

Family

ID=4132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51U KR200447999Y1 (ko) 2007-12-26 2007-12-26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9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048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JP2006151250A (ja) * 2004-11-30 2006-06-15 Kyoraku Co Ltd 車両用衝撃吸収体
KR100786014B1 (ko) * 2006-10-24 2007-12-14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048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JP2006151250A (ja) * 2004-11-30 2006-06-15 Kyoraku Co Ltd 車両用衝撃吸収体
KR100786014B1 (ko) * 2006-10-24 2007-12-14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23U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7625B (zh) 儿童安全座椅
US7357444B2 (en) Tunable geometry for energy absorbing foam to lower peak load during side impact
KR101457995B1 (ko) 범퍼 백빔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한 범퍼 백빔
KR200447999Y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 패드
KR100786014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0933786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 내장재
KR101010177B1 (ko) 자동차용 에너지 업소버
KR100895245B1 (ko)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부재
KR20060026196A (ko) 차량용 도어
KR100683223B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200183523Y1 (ko) 충격완화용 범퍼 어셈블리
KR101563815B1 (ko) 차량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337829B1 (ko) 자동차 필라트림의 충격흡수 장치
KR100637844B1 (ko) 차량방호책용 충격흡수장치
KR10056665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분산용 커버
JP4880308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WO2004103777A1 (en) Dual bumper for protecting walker
KR0139619Y1 (ko) 범퍼 스테이의 충격완충구조
KR200149978Y1 (ko) 자동차 도어 완충장치
KR100407264B1 (ko) 차량 도어의 아암레스트
KR200307541Y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의 충격 흡수 내장재
KR0116012Y1 (ko) 자동차용 도어 측면충격흡수장치
KR950010364Y1 (ko) 차량용 범퍼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00448156B1 (ko) 범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