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99Y1 -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99Y1
KR200446799Y1 KR20090004578U KR20090004578U KR200446799Y1 KR 200446799 Y1 KR200446799 Y1 KR 200446799Y1 KR 20090004578 U KR20090004578 U KR 20090004578U KR 20090004578 U KR20090004578 U KR 20090004578U KR 200446799 Y1 KR200446799 Y1 KR 200446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lubricating oil
supply
di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필
Original Assignee
한국폴리텍7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폴리텍7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폴리텍7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90004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88Lubr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8Lubricating, e.g. lubricating tool and workpiece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형홀더(11)및 상형홀더(31), 그리고, 상형홀더(31)에 설치된 펀치리테이너(40)와 이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이(23) 상에 안착된 모재(P)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키는 가동스트리퍼(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동스트리퍼(50)에는 그 선단이 펀치공(51) 내부를 향해 개구되는 관형상의 공급유로(55)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상기 공급유로(55)를 통해 펀치공(51)으로 전달되고, 펀치(45)의 외면에는 상기 펀치(45)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55)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윤활유홈(46)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55)를 통해 전달된 윤활유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윤활유 공급조절장치 또는 분사 장치 없이, 가동스트리퍼(50)와 펀치(45)의 상대운동을 통해, 펀치(45)가 모재(P)를 타격하지 않는 때에만 윤활유가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금형의 부품수 및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프레스, 프로그레시브, 금형, 윤활유

Description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Lubricant oil supply apparatus for press mold}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펀치가 모재를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모재를 눌러 고정하는 가동스트리퍼에 윤활유 공급장치가 구비되는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이란 타발과 절곡 등의 프레스 가공을 점진적으로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용 터미널 등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낸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가동측과 고정측으로 구분된다. 상기 가동측은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동측에는 모재에 압력을 가하는 펀치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측과 함께 구동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레시브 금형, 또는 프레스 금형에서는 모재와 펀치 또는 모재와 다이 사이의 소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유를 도포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모재와 펀치가 접하는 면에 윤활유를 공급하여, 모재로부터 타발되고 난 스크랩이 펀치에 소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펀칭공정에서 발생되 는 마찰열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프레스금형에 윤활장치가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의 하형측에 하형리테이너(1)가 구비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1)에는 다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1)에는 고정스트리퍼(3)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스트리퍼(3)는 상기 다이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동공간(S)을 형성하여, 모재가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재가 펀치에 의해 딸려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스트리퍼(3)에는 공급유로(5)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유로(5)에는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관(미도시)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유로(5)에는 윤활유채널(7)이 연결된다. 상기 윤활유채널(7)은 상기 고정스트리퍼(3)를 따라 연장되고, 그 일단은 상기 이동공간(S)을 향해 개구되어, 윤활유가 최종적으로 모재 상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윤활유채널(7)을 통해 공급된 윤활유는 모재에 도포되어 모재로부터 타발된 스크랩이 펀치의 선단에 소착되거나 또는 다이에 소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윤활유는 고정스트리퍼(3)를 통해 공급되는데, 이와 같은 윤활유의 공 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공급유로(5)에 연결된 별도의 조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즉, 윤활유가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또는 너무 소량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장치는 윤활유 공급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절장치는 프레스 금형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금형의 부품수를 늘이고 제조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절장치는 일반적으로 전기회로를 이용하여 제어되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고, 또 회로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프레스금형의 동작과 관계없이 윤활유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스트리퍼(3)에 공급유로(5)가 구비되어 모재에 직접 윤활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모재와 펀치가 접하는 부분 뿐 아니라, 그 외의 불필요한 부분에도 윤활유가 도포될 우려가 있고, 이는 추후에 제품으로부터 윤활유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 밖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윤활유를 분무식으로 도포하는 타입의 윤활유도포장치의 경우에는 분무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이 역시 부품수가 증가하고,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는 문제점 등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윤활유 공급조절장치 없이 프레스 금형의 동작과정을 통해 윤활유의 공급량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 금형이 동작되는 과정에서 윤활유가 펀치의 선단 가장자리 및 스크랩이 배출되는 다이의 배출구 주변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이가 설치되는 다이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타측에 구비되고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펀치리테이너와 이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이 상에 안착된 모재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펀치가 통과하는 펀치공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스트리퍼에는 그 선단이 상기 펀치공 내부를 향해 개구되는 관형상의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펀치공으로 전달되고, 상기 펀치의 외면에는 상기 펀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윤활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전달된 윤활유가 유입된다.
상기 펀치의 외면에는 상기 윤활유홈으로부터 상기 다이를 향하는 선단에 이르도록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트리퍼의 펀치공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홈으로 유입된 윤활유는 상기 유격을 통해 상기 다이 상의 모재에 도포된다.
상기 상형홀더에는 그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드럼과 상기 공급유로 사이에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드럼의 윤활유를 상기 공급유로에 전달한다.
상기 저장드럼에는 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윤활유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펀치의 윤활유홈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가 상기 다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윤활유홈이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펀치리테이너가 하강하여 상기 모재를 타격하면 상기 펀치의 외주면은 상기 공급유로의 개구된 출구를 막도록 위치설정된다.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연결관의 선단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에 압입되거나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펀치리테이너 또는 상기 상형홀더에는 푸시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펀치의 일단에는 푸시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푸시펀치에 상기 가동스트리퍼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푸시펀치의 타단에는 상기 가동스트리퍼가 접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윤활유 공급조절장치 또는 분사 장치 없이, 가동스트리퍼와 펀치의 상대운동을 통해, 펀치가 모재를 타격하지 않는 때에만 윤활유가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금형의 부품수 및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윤활유가 펀치에 형성된 윤활유홈에 안내되어 펀치 선단 및 모재에 공급되므로, 펀치와 모재가 접하는 부분에만 정확하게 묻게 되고, 기타 불필요한 부분에의 분사는 최소화될 수 있어 윤활유가 절약되고 제품에 윤활유가 묻는 양이 줄어 제품의 품질이 좋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펀치의 외주면에 묻은 윤활유가 펀치의 왕복과정에서 다이의 배출구 주변에 자연스럽게 도포되므로, 모재로부터 타발된 스크랩이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모재가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가공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중에서, 모재를 세이빙가공하기 위한 금형조립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스금형의 고정측에는 고정베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베이스(10)에는 하형홀더(11)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홀더(11)에는 탄성부재(S1)가 삽입되는데, 상기 탄성부재(S1)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프터핀(22)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홀더(11)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다이리테이너(20)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백킹플레이트와 다이리테이너(20)에는 배출구(H)가 연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H)는 모재(P)로부터 타발된 스크랩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이리테이너(20)에는 맞춤홀(21)이 형성된다. 상기 맞춤홀(21)은 아래에서 설명될 맞춤핀(49)이 삽입되어, 펀치리테이너(40)와 다이리테이너(20)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다이리테이너(20)에는 리프터핀(22)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핀(22)은 상기 다이리테이너(20)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S1)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핀(22)은 상기 모재(P)를 들어올려 모재(P)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이리테이너(20)에는 다이(23)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23)는 아래에서 설명될 펀치(45)와 함께 상기 모재(P)를 가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리테이너(20)에는 가이드핀(29)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29)은 다이리테이너(2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스트리퍼(50)의 가이드공(59)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핀(29)은 가동스트리퍼(50)가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형홀더(11)에는 가이드포스트(17)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포스트(17)트는 대략 봉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보스(39)에 삽입되어 상형홀더(31)와 하형홀더(11)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프레스금형의 가동측에는 가동베이스(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베이스(30)에는 구동부(3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스금형의 가동측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0')에는 상형홀더(31)가 설치되고, 상기 상형홀더(31)에는 백킹플레이트(32)와 펀치리테이너(40)가 적층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백킹플레이트(32)에는 고정볼트(35)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볼트(35)는 가동스트리퍼(50)가 상기 상형홀더(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볼트(35)는 상기 백킹플레이트(32)와 상형홀더(31)에 어느 정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형홀더(31)와 백킹플레이트(32) 및 펀치리테이너(40)에는 푸시펀치(36)와 푸시스프링(S2)이 구비되는데, 상기 푸시펀치(36)는 푸시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스트리퍼(50)를 모재(P)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볼트(35)는 상기 푸시펀치(36) 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그 선단이 가동스트리퍼(50)에 나사체결된다. 이에 따라 가동스트리퍼(50)는 상기 푸시스프링(S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펀치리테이너(40)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푸시펀치(36) 및 상기 고정볼트(35)는 상기 가동스트리퍼(50)에 밀려 함께 상형홀더(31)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된다. 물론, 상기 푸시펀치(36)와 고정볼트(35)는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상형홀더(31)에는 가이드보스(39)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보스(39)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17)가 입출되면서 프레스금형의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 2에는 하나의 가이드보스(39)와 가이드포스트(17)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펀치리테이너(40)에는 펀치(45)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45)는 상기 상형홀더(31)와 함께 다이(2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모재(P)를 타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치(45)는 모재(P)에 형성된 경사면 등을 제거하는 세이빙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펀치(45)는 그밖에 노칭이나 벤딩 등의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펀치(45)의 외면에는 윤활유홈(46)이 형성된다. 상기 윤활유홈(46)은 상기 펀치(45)의 외면을 둘러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윤활유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윤활유홈(46)은 가동스트리퍼(50)에 형성되는 공급유로(55)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공급유로(55)로부터 윤활유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펀치(45)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윤활유홈(46)이 공급유로(55) 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게 되면(도 3의 상태), 상기 공급유로(55)로부터 윤활유가 윤활유홈(46)으로 유입된다.
상기 펀치(45)의 외면에는 단차부(47)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7)는 상기 펀치(45)의 외면 일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단차부(47)와 가동스트리퍼(50)의 펀치공(51) 사이에는 유격(G)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47)는 상기 펀치(45)의 상기 윤활유홈(46)으로부터 상기 다이(23)를 향하는 선단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윤활유홈(46)에 유입된 윤활유가 단차부(47)와 펀치공(51) 사이의 유격(G)을 통해 다이(23)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펀치리테이너(40)에는 맞춤핀(49)이 구비된다. 상기 맞춤핀(49)은 상기 다이리테이너(20)의 맞춤홀(21)에 삽입되어, 펀치리테이너(40)와 다이리테이너(20)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펀치리테이너(40)에는 가동스트리퍼(5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50)는 상기 펀치리테이너(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볼트(35)에 연결되어 상기 펀치리테이너(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면부호 h는 펀치리테이너(40)와 가동스트리퍼(50)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간격은 가동스트리퍼(50)의 이동에 의해 가변적이다.
이와 같은 가동스트리퍼(50)는 상기 펀치(45)가 모재(P)를 타격하기에 앞서 모재(P)를 눌러 모재(P)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모재(P)가 펀치(45)에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가동스트리퍼(50)의 내부에는 공급유로(55)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유로(55)는 윤활유가 흐르는 부분으로, 후술할 저장드럼(60)으로부터 연결관(65)을 통해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펀치(45)의 윤활유홈(4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유로(55)는 가동스트리퍼(50)의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나, 상기 공급유로(55)는 상기 가동스트리퍼(50)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저장드럼(60)에 연결된 연결관(65)은 가동스트리퍼(50)의 측면까지만 연결되고, 상기 공급유로(55)가 가동스트리퍼(50)의 측면으로부터 펀치공(51)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스트리퍼(50)에는 펀치공(51)이 형성되는데, 상기 펀치공(51)은 상기 펀치(45)가 입출될 수 있도록 펀치(4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공(51)의 내면에는 상기 공급유로(55)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유로(55)는 연결관(65)과 연결되는 일단(66)으로부터 상기 펀치공(51)에 이르기까지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스금형이 작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공급유로(55)에 머무는 윤활유가 되도록 펀치공(51) 내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형홀더(11)와 상형홀더(31)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 블록(B,B')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토퍼블록(B,B')은 상기 상형홀더(31)와 하형홀더(11)가 너무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정장치이다.
상기 가동베이스(30)에는 저장드럼(60)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드럼(60)은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일종의 저장공간으로, 가동베이스(30)에 고정설치된다. 물론, 상기 저장드럼(60)은 상형홀더(3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드럼(60)에는 연결관(65)이 설치되어, 상기 저장드럼(60)의 윤활유를 상기 가동스트리퍼(50)의 공급유로(55)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65)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가동스트리퍼(50)가 작동되더라도 어느 정도 유연하게 움질일 수 있게 된다.
정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관(65)의 선단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55)의 일단에 나사체결되거나 압입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드럼(60)에는 조절밸브(62)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65)으로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상형홀더(31)가 구동부(30')에 의해 하형홀더(11)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펀치(45)는 상기 모재(P)를 타격하여 가공하게 되고, 다시 구동부(30')에 의해 상형홀더(31)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펀치(45) 역시 모재(P)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형홀더(31)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스트리퍼(50)가 먼저 상기 모재(P)를 누르게 되고, 상기 리프터핀(22)에 의해 들어올려져 있던 모재(P)는 상기 다이(23)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31)가 계속 하강하면 가동스트리퍼(50)는 상형홀더(3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펀치(45)가 가동스트리퍼(50)의 펀치공(51)으로부터 돌출되면서 모재(P)를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재(P)는 펀치(45)에 의해 가공된 후, 점진적으로 다이(23)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재(P)는 리프터핀(22)에 의해 항상 들어올려지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상형홀더(31)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자연스럽게 들어올려지게 된다. 한편, 상승된 모재(P)는 피더(미도시)에 의해 다음 공정을 위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빠른 속도로 반복됨에 따라 상기 모재(P)는 점진적으로 가공되면서 제품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윤활유가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윤활유는 상기 저장드럼(60)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65)을 따라 가동스트리퍼(50)의 공급유로(55) 내부로 계속 전달된다.
상기 공급유로(55)를 따라 흐르는 윤활유는 공급유로(55)의 말단(55'), 즉 상기 펀치공(51)의 내면에 이르게 되면 상기 펀치(45)의 외주면에 형성된 윤활유홈(46)으로 유입된다. 이는 도 3에서 보듯이, 펀치(45)가 모재(P)를 타격하기 전에 는 펀치(45)의 윤활유홈(46)이 상기 공급유로(55)의 말단(55')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윤활유홈(46)에 유입된 윤활유는 상기 펀치(45)의 단차부(47)와 펀치공(5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유격(G)을 통해 흐르게 되고, 결국 다이(23) 상에 안착된 모재(P) 및 펀치(45)의 외면에 도포된다. 즉, 별도의 공급장치나 분사장치 없이 윤활유가 점진적으로 모재(P) 및 펀치(45)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펀치(45)가 가동스트리퍼(50)와 상대이동하여 모재(P)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펀치(45)의 외면이 상기 공급유로(55)의 말단(55')을 가로막아 더 이상 윤활유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이미 펀치(45) 및 모재(P)에 윤활유가 도포되어, 펀치(45)가 모재(P)를 가공하는 순간에는 더 이상 윤활유가 도포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윤활유의 공급조절이 펀치(45)의 작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한편, 모재(P)를 타격한 상기 펀치(45)는 계속 이동하여 다이(23)에 형성된 배출구(H) 내주면에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해 펀치(45) 외주면에 도포된 윤활유는 상기 배출구(H) 내주면에 묻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재(P)로부터 타발된 스크랩은 배출구(H)에 걸리지 않고, 윤활유의 윤활기능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펀치가 모재를 타격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베이스 11: 하형홀더
12: 백킹플레이트 20: 다이리테이너
23: 다이 22: 리프터핀
30: 가동베이스 31: 상형홀더
32: 백킹플레이트 40: 펀치리테이너
45: 펀치 46: 윤활유홈
47: 단차부 50: 가동스트리퍼
51: 펀치공 55: 공급유로
60: 저장드럼 62: 조절밸브
65: 연결관

Claims (8)

  1. 다이가 설치되는 다이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측에 구비되고, 펀치가 설치되는 펀치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펀치리테이너와 이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이 상에 안착된 모재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펀치가 통과하는 펀치공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스트리퍼에는 그 선단이 상기 펀치공 내부를 향해 개구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펀치공으로 전달되고,
    상기 펀치의 외면에는 상기 펀치가 상기 펀치공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윤활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전달된 윤활유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펀치의 외면 중 상기 윤활유홈으로부터 상기 다이를 향하는 선단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가동스트리퍼의 펀치공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윤활유홈으로 유입된 윤활유가 상기 유격을 통해 상기 다이 상의 모재에 도포되고,
    상기 윤활유홈 및 공급유로의 위치는 상기 펀치가 다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펀치에 형성되는 윤활유홈이 가동스트리퍼의 공급유로와 서로 연통되고, 펀치리테이너가 하강하여 상기 펀치가 모재를 타격할 경우 상기 윤활유홈이 상기 공급유로의 위치로부터 이탈됨과 더불어 펀치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의 개구된 출구가 폐쇄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홀더에는 그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드럼과 상기 공급유로 사이에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드럼의 윤활유를 상기 공급유로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드럼에는 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윤활유의 공급량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펀치의 윤활유홈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연결관의 선단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에 압입되거나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리테이너 또는 상기 상형홀더에는 푸시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펀치의 일단에는 푸시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푸시펀치에 상기 가동스트리퍼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푸시펀치의 타단에는 상기 가동스트리퍼가 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090004578U 2009-04-16 2009-04-16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KR200446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578U KR200446799Y1 (ko) 2009-04-16 2009-04-16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578U KR200446799Y1 (ko) 2009-04-16 2009-04-16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799Y1 true KR200446799Y1 (ko) 2009-12-03

Family

ID=4605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578U KR200446799Y1 (ko) 2009-04-16 2009-04-16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799Y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124B1 (ko) * 2011-03-15 2012-02-22 정영일 금형 자동오일 공급장치
CN103302703A (zh) * 2013-06-17 2013-09-18 江苏华兰药用新材料股份有限公司 带自动喷硅油装置的冲边模具
CN104475590A (zh) * 2014-12-20 2015-04-01 无锡朗贤汽车组件研发中心有限公司 减小热成形钢板修边刃口磨损的模具系统
CN104475588A (zh) * 2014-12-06 2015-04-01 适新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冲压凸模用的自动润滑及冷却机构
CN104492979A (zh) * 2014-12-20 2015-04-08 无锡朗贤汽车组件研发中心有限公司 用于减小热成形钢板冲头磨损的模具结构
WO2017090818A1 (ko) * 2015-11-23 2017-06-01 (주)지아이엘 급유식 펀치
CN108127040A (zh) * 2018-02-08 2018-06-08 青岛金诺汽车模具有限公司 一种自给油式冲压模具导向组件和冲压模具
KR20190012937A (ko) 2017-07-31 2019-02-11 (주)씨에이테크 스트립퍼 가이드핀용 부시의 제조방법
CN110405045A (zh) * 2019-08-26 2019-11-05 方杰 一种防跳废料可调节冲压模具
CN110842072A (zh) * 2019-11-28 2020-02-28 绍兴西恒科技有限公司 一种铝制品冲压涂油一体式设备
CN111702425A (zh) * 2020-06-30 2020-09-25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发动机堵塞产品的生产工艺
KR102252500B1 (ko) * 2019-12-10 2021-05-14 신현집 펀치윤활냉각수단이 구비된 리튬 2차 전지 극판의 타발금형
IT201900021525A1 (it) * 2019-11-19 2021-05-19 Ferrari & Carena S R L Pressa e metodo di montaggio di pressa per tranciatura fine da 800 t
CN114101424A (zh) * 2021-11-26 2022-03-01 临沂市金立机械有限公司 一种背负式机架双向自动成型装置及工艺
WO2023033371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기재의 노칭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074A (ja) * 1993-12-16 1995-06-27 Murata Mach Ltd パンチホルダ孔及びパンチホルダ周面への潤滑装置
JPH09182922A (ja) * 1995-12-28 1997-07-15 Kawasaki Steel Corp 給油装置付パンチャー装置
JP2007007692A (ja) * 2005-06-30 2007-01-18 Toyota Boshoku Corp プレス金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074A (ja) * 1993-12-16 1995-06-27 Murata Mach Ltd パンチホルダ孔及びパンチホルダ周面への潤滑装置
JPH09182922A (ja) * 1995-12-28 1997-07-15 Kawasaki Steel Corp 給油装置付パンチャー装置
JP2007007692A (ja) * 2005-06-30 2007-01-18 Toyota Boshoku Corp プレス金型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124B1 (ko) * 2011-03-15 2012-02-22 정영일 금형 자동오일 공급장치
CN103302703A (zh) * 2013-06-17 2013-09-18 江苏华兰药用新材料股份有限公司 带自动喷硅油装置的冲边模具
CN104475588A (zh) * 2014-12-06 2015-04-01 适新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冲压凸模用的自动润滑及冷却机构
CN104475590A (zh) * 2014-12-20 2015-04-01 无锡朗贤汽车组件研发中心有限公司 减小热成形钢板修边刃口磨损的模具系统
CN104492979A (zh) * 2014-12-20 2015-04-08 无锡朗贤汽车组件研发中心有限公司 用于减小热成形钢板冲头磨损的模具结构
WO2017090818A1 (ko) * 2015-11-23 2017-06-01 (주)지아이엘 급유식 펀치
KR20190012937A (ko) 2017-07-31 2019-02-11 (주)씨에이테크 스트립퍼 가이드핀용 부시의 제조방법
CN108127040A (zh) * 2018-02-08 2018-06-08 青岛金诺汽车模具有限公司 一种自给油式冲压模具导向组件和冲压模具
CN110405045A (zh) * 2019-08-26 2019-11-05 方杰 一种防跳废料可调节冲压模具
CN110405045B (zh) * 2019-08-26 2020-09-15 永高股份有限公司 一种防跳废料可调节冲压模具
IT201900021525A1 (it) * 2019-11-19 2021-05-19 Ferrari & Carena S R L Pressa e metodo di montaggio di pressa per tranciatura fine da 800 t
CN110842072A (zh) * 2019-11-28 2020-02-28 绍兴西恒科技有限公司 一种铝制品冲压涂油一体式设备
KR102252500B1 (ko) * 2019-12-10 2021-05-14 신현집 펀치윤활냉각수단이 구비된 리튬 2차 전지 극판의 타발금형
CN111702425A (zh) * 2020-06-30 2020-09-25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发动机堵塞产品的生产工艺
CN111702425B (zh) * 2020-06-30 2021-10-15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发动机堵塞产品的生产工艺
WO2023033371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기재의 노칭 장치 및 방법
CN114101424A (zh) * 2021-11-26 2022-03-01 临沂市金立机械有限公司 一种背负式机架双向自动成型装置及工艺
CN114101424B (zh) * 2021-11-26 2024-01-16 临沂市金立机械有限公司 一种背负式机架双向自动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799Y1 (ko) 프레스금형의 윤활유공급장치
US10666119B2 (en) Laminate unit for manufacturing bonded-type laminated core membe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member
US10350868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nded-type laminated core member using high-frequency heating and laminate unit for the same
KR101525721B1 (ko) 열간 프레스 성형 방법 및 열간 프레스 성형 금형
US20170214300A1 (en) Bonded type laminated-core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dhesive applying unit for the same
JP2009082976A (ja) プレス成形装置
CN109382237B (zh) 涂布喷嘴头和具有该涂布喷嘴头的液体涂布装置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121726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US7210514B2 (en) Die casting machine
JP2002113620A (ja) 鋼球圧入装置
US2811941A (en) Device for forming annular enlargements on hollow members
JP2013220444A (ja) プレス成形方法
KR101220152B1 (ko) 냉간 단조금형
CN215620252U (zh) 一种驱动缸控制组件及压力机
CN211386542U (zh) 一种金属冲压模具
JP5404208B2 (ja) 熱交フィンのフィンカラー成形装置
KR20090108881A (ko) 동압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27476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JP7051196B2 (ja) ボル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ボルトかしめ装置
US3124027A (en) Reciprocating air nozzle for punch press machines
CN219443043U (zh) 一种金属板材冲压用模具
KR20190114418A (ko) 프레스금형의 소형 스크랩 취출장치
CN214813932U (zh) 一种压力机
CN220837786U (zh) 铆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